KR20070039337A - 영구배수시스템 - Google Patents

영구배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337A
KR20070039337A KR1020050094549A KR20050094549A KR20070039337A KR 20070039337 A KR20070039337 A KR 20070039337A KR 1020050094549 A KR1020050094549 A KR 1020050094549A KR 20050094549 A KR20050094549 A KR 20050094549A KR 20070039337 A KR20070039337 A KR 20070039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water
section
receiving section
sump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8583B1 (ko
Inventor
이기환
이정훈
차승훈
Original Assignee
쌍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4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583B1/ko
Publication of KR20070039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58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1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 E02D31/1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against upward hydraulic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구배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에 매입되어 공동을 형성하는 집수정과; 상기 지하에 매입되며, 지하수를 유입시키는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유공관과; 상기 유공관에 대해 기립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유공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를 일정 수위까지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유공관과 연통하는 수용구간과, 상기 수용구간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용구간의 지하수가 상기 일정 수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수용구간으로부터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구간과 연통하는 연결구간과, 상기 수용구간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구간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연결구간과 연통되어 상기 수용구간에서 상기 연결구간으로 유입된 지하수를 상기 집수정으로 배출하는 배출구간을 갖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집수정으로 지하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지 않고 지하수의 수위에 따라 집수정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므로, 집수정의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전체적인 배수효율이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영구배수시스템{De-Water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구배수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지하수의 수위가 부력안정수위 이상인 경우, 배출관을 통해 집수정으로 지하수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영구배수시스템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집수정 12 : 출입구커버
13 : 수중펌프 14 : 유출관
20 : 유공관 21 : 유입공
30 : 배출관 30a : 수용구간
30b : 연결구간 30c : 배출구간
31 : 배출구 40 : 개구부커버
본 발명은, 영구배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집수정으로 지하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지 않고 지하수의 수위에 따라 집수정으로 지하수를 유입시킬 수 있는 영구배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구배수공법은 지하구조물에 대한 양압력 해소방안으로 굴착이 완료된 최하층 바닥면에 배수로를 형성하고 유입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유도하여 압력배수 및 중력배수를 통하여 구조물에 작용하는 양압력을 해소하여 구조물의 안정을 도모하는 공법이다.
영구배수공법의 한 예로 한국공개특허 제2005-0029332호에는 기초바닥 아래에 판형배수재 포설 및 트렌치를 형성하고, 트렌치 내에 유공관을 설치하여 건축물 내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모아 양수하여 지하수의 유압으로 기초바닥에 작용하는 양압력을 제거하도록 한 트렌치와 배수재를 이용한 기초바닥 영구배수 구조체 및 그의 구축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영구배수 구조체에 있어서, 집수정 내부로 노출되는 유공관의 일단부영역에는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음에 따라, 지하수 수위가 변동됨에 관계없이 지하수가 지속적으로 유공관으로 유입되고, 유공관으로 유입된 지하수는 유공관의 개구부를 통해 집수정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지하수가 지속적으로 집수정으로 유입됨에 따라, 매일 정기적으로 집수정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펌핑작업을 해야 하므로 집수정의 유지관리 비용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지하수가 유공관으로 유입됨에 따라 미세 흙 입자가 유공관을 감싼 부직포에 달라붙어 장기적으로 부직포의 통수능력을 감소시키게 되어 영구배수시설 전체의 배수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수정으로 지하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지 않고 지하수의 수위에 따라 집수정으로 지하수를 유입시킬 수 있는 영구배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영구배수시스템에 있어서, 지하에 매입되어 공동을 형성하는 집수정과; 상기 지하에 매입되며, 지하수를 유입시키는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유공관과; 상기 유공관에 대해 기립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유공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를 일정 수위까지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유공관과 연통하는 수용구간과, 상기 수용구간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용구간의 지하수가 상기 일정 수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수용구간으로부터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구간과 연통하는 연결구간과, 상기 수용구간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구간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연결구간과 연통되어 상기 수용구간에서 상기 연결구간으로 유입된 지하수를 상기 집수정으로 배출하는 배출구간을 갖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배수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에는 상기 배출구간 상의 지하수를 상기 집수정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공관과 상기 배출관의 상기 수용구간 사이에는 개구부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출관은 상기 유공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유공관과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구배수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되어 공동을 형성하는 집수정(10)과, 지하에 매입되며 지하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공(21)이 형성된 한 쌍의 유공관(20)과, 각 유공관(20)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지하수의 수위에 따라 지하수를 집수정(10)으로 배출시키는 한 쌍의 배출관(30)을 포함한다.
집수정(10)은 배출관(30)을 통해 배출된 지하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지하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집수정(10)의 상부에는 집수정(10)으로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고, 출입구는 출입구커버(12)에 의해 개폐된다.
유공관(20)의 배출관(30)을 통해 집수정(10)으로 배출된 지하수는 수정펌프(13)와, 유출관(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각 유공관(20)은 내부가 빈 관형상으로 지하수가 유공관(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입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유공관(20)을 시공하는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트렌치 터파기를 한 후, 부직포를 깔고, 자갈을 포설한 후, 유공관(20)을 설치하고, 자갈을 2차 포설한 후, P.E. 필름을 깔고 난 후, 버림콘크리트를 형성하게 된다.
유공관(20)과 배출관(30) 사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는 개구부커버(40)에 의해 폐쇄된다. 이에 개구부커버(40)를 상향 이동시켜서 개구부를 개방시킨 후, 개방된 개구부를 통해 유공관(20)을 청소할 수 있다.
배출관(30)은 거의 ∩자 형상으로 가지고 있으며, 일측은 유공관(20)과 연통 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집수정(10)으로 지하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31)가 마련되어 있다.
배출관(30)은 유공관(20)과 연통하며 유공관(20)으로부터의 지하수를 수용하는 수용구간(30a)과, 배출구(31)를 통해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간(30c)과, 수용구간(30a)과 배출구간(30c)을 연결하는 연결구간(30b)을 포함한다.
수용구간(30a)은 유공관(20)에 대해 기립방향으로 배치되며 유공관(20)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를 일정 수위까지 수용할 수 있도록 유공관(20)과 연통되어 있다.
연결구간(30b)은 수용구간(30a)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수용구간(30a)의 지하수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상승되면 수용구간(30a)으로부터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수용구간(30a)과 연통되어 있다.
배출구간(30c)은 수용구간(30a)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연결구간(30b)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며, 연결구간(30b)과 연통되어 수용구간(30a)에서 연결구간(30b)으로 유입된 지하수를 배출구(31)를 통해 집수정(10)으로 배출시킨다.
이에 평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공(21)을 통해 유공관(20)으로 유입된 지하수가 배출관(30)의 수용구간(30a)에 수용되어 있으며, 유공관(20)에 지하수가 많이 유입되어 배출관(30)의 수용구간(30a)에 수용된 지하수의 수위가 연결구간(30b)까지 올라가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간(30b)을 통해 배출구간(30c)으로 유입되어 배출구간(30c)의 배출구(31)를 통해 집수정(10)으로 배출된다(도 2참조).
즉, 지하수의 수위가 부력안정수위 이하일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공(21)을 통해 유공관(20)으로 유입되어 수용구간(30a)에 수용되는 지하수는 연결구간(30b) 보다 낮은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예로 비가 많이 와서 지하수의 수위가 부력안정수위 이상일 경우 유공관(20)으로 많은 양의 지하수가 유입됨에 따라 수용구간(30a)의 지하수의 수위는 계속 상승하게 되고, 연결구간(30b)까지 다다르면, 지하수는 연결구간(30b)을 통해 배출구간(30c)으로 유입되고, 배출구(31)를 통해 집수정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구배수시스템에 있어서, 지하수의 수위 변동과는 무관하게 유공관을 통해 지하수가 지속적으로 집수정으로 유입되던 종래와는 달리, 지하수의 수위가 부력안정수위 이하일 경우 지하수는 배출관(30)의 수용구간(30a) 내에 수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지하수가 집수정(10)으로 유입되지 않고, 지하수의 수위가 부력안정수위 이상일 경우 배출관(30)의 수용구간(30a)에 수용된 지하수의 수위가 연결구간(30b)까지 상승하고, 연결구간(30b)을 통해 배출구간(30c)으로 유입된 지하수는 배출구(31)를 통해 집수정(10)으로 배출된다.
이에 지속적으로 유공관을 통해 지하수가 집수정으로 유입되던 종래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영구배수시스템은 집수정(10)의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지하수가 유공관으로 유입됨에 따라 미세 흙 입자가 부직포에 달라붙어 장기적으로 부직포의 통수능력이 감소되던 종래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영구배수시스템은 미세 흙 입자가 부직포에 달라붙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어 부직포의 통수능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영구배수시설 전체의 배수효율 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집수정으로 지하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지 않고 지하수의 수위에 따라 집수정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므로, 집수정의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전체적인 배수효율이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영구배수시스템에 있어서,
    지하에 매입되어 공동을 형성하는 집수정과;
    상기 지하에 매입되며, 지하수를 유입시키는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유공관과;
    상기 유공관에 대해 기립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유공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를 일정 수위까지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유공관과 연통하는 수용구간과, 상기 수용구간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용구간의 지하수가 상기 일정 수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수용구간으로부터 지하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구간과 연통하는 연결구간과, 상기 수용구간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구간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연결구간과 연통되어 상기 수용구간에서 상기 연결구간으로 유입된 지하수를 상기 집수정으로 배출하는 배출구간을 갖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배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에는 상기 배출구간 상의 지하수를 상기 집수정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배수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과 상기 배출관의 상기 수용구간 사이에는 개구부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배수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유공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유공관과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배수시스템.
KR1020050094549A 2005-10-07 2005-10-07 영구배수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728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549A KR100728583B1 (ko) 2005-10-07 2005-10-07 영구배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549A KR100728583B1 (ko) 2005-10-07 2005-10-07 영구배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337A true KR20070039337A (ko) 2007-04-11
KR100728583B1 KR100728583B1 (ko) 2007-06-15

Family

ID=38160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5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8583B1 (ko) 2005-10-07 2005-10-07 영구배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5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841B1 (ko) * 2005-07-27 2014-08-07 지오스트리지 코퍼레이션 물 저장 시스템
CN104831758A (zh) * 2015-05-06 2015-08-12 河海大学 一种降低环境污染的尾矿堆存系统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217B1 (ko) 2018-07-27 2019-12-12 주식회사 군장종합건설 지하수 배수재의 시공방법 및 이 배수재 위에 설치되는 기초 슬래브를 이용하여 배수재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차단하는 방법
KR102391182B1 (ko) 2020-01-15 2022-04-27 노승엽 영구배수를 이용한 대형 수조의 수온 관리시스템
KR102700724B1 (ko) * 2024-03-26 2024-08-29 지에스이앤씨(주) 적용성이 향상된 건물 영구배수 공법에 의한 지하수 환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9076U (ko) 1978-01-20 1979-08-01
KR100481148B1 (ko) * 2002-03-20 2005-04-07 이창남 헥사튜브코넥터 배수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841B1 (ko) * 2005-07-27 2014-08-07 지오스트리지 코퍼레이션 물 저장 시스템
CN104831758A (zh) * 2015-05-06 2015-08-12 河海大学 一种降低环境污染的尾矿堆存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583B1 (ko) 200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3580B1 (ko)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
KR100476331B1 (ko) 유공관을 이용한 구조물 지하배수공법
CN114032937B (zh) 一种基坑排水装置及其施工方法
JP2004524467A (ja) サンドトラップから沈殿物を除去する方法
KR100941705B1 (ko) 집수정
KR100753556B1 (ko) 감압 배수시스템 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28583B1 (ko) 영구배수시스템
KR20150138771A (ko) 이중벽체형 저수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972546B1 (ko)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
CN209384255U (zh) 一种隧道基坑用排水系统
KR100601227B1 (ko) 감소된 월류수 발생 개소를 갖는 지하수 배수 장치
KR100665984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트랜치형 자연 배수로시공방법
KR100964741B1 (ko) 오염방지용 지하수 취수구조
CN209555956U (zh) 一种引流暗埋降排水结构
CN111980041A (zh) 一种降水箱及基坑作业面降水系统
KR200412083Y1 (ko) 유역별 상향수압 조절 연직 배수시스템
KR100666102B1 (ko)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연직 배수시스템
KR100945595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0693807B1 (ko) 적정수압 유지를 위한 트렌치형 배수로 시공방법
KR200314875Y1 (ko) 배수처리 구조물용 커넥터
CN219992646U (zh) 一种机场区域可穿围界防钻的排水沟
KR200419448Y1 (ko) 과도한 상향 수압을 수용하기 위한 배수 구조체
JP2008138374A (ja) 雨水流出抑制施設
KR100784174B1 (ko) 초연약지반의 표층처리가 되게 한 투수와 배수를 겸한 부재의 집배수 장치와 이에 의한 초연약지반 표층 처리 공법
KR100665986B1 (ko) 적정수압 유지를 위한 배수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