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546B1 -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546B1
KR100972546B1 KR1020090111616A KR20090111616A KR100972546B1 KR 100972546 B1 KR100972546 B1 KR 100972546B1 KR 1020090111616 A KR1020090111616 A KR 1020090111616A KR 20090111616 A KR20090111616 A KR 20090111616A KR 100972546 B1 KR100972546 B1 KR 100972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dy
cap
rainwater
storage tank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성
변상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렌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렌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렌탈
Priority to KR1020090111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로 우수를 통과시킬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복수개의 박스체(20)를 연결함과 동시에 지중에 매설하여 우수를 저류시키거나 지중으로 침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저류 탱크(270)와, 상기 저류 탱크(270)를 구성하는 상기 박스체(20)의 둘레벽에 결합되는 캡(40)과, 상기 박스체(20)를 연결 지지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박스체(2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둘레면에는 우수를 통과시키는 유통공(22)이 형성되며 각 둘레부 중에서 서로 이웃한 박스체(20)와 마주하는 둘레부에 상측과 측면 방향으로 개구된 조인트홈(202)을 가지면서 동시에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결합 돌출부(204)와 결합홈부(206)가 형성되며, 상기 박스체(20)의 상기 유통공(22) 위치에는 캡결합부(30)가 구비되어, 상기 박스체(20)의 상기 캡결합부(30)에 상기 캡(40)이 결합되어 상기 유통공(22)을 막아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수, 저류, 침투, 박스체, 결합 돌출부, 결합홈부, 바이패스관, 부구

Description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Rain station system}
우수 저류 및 침투조용 박스와 이를 이용한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를 지하에 저류하였다가 생활용수나 소방용수 등의 여러가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경우에 따라 강우시 우수를 지중으로 효율적으로 침투시켜 지하수 고갈 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으며, 우수를 수돗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절약에도 기여하고 지구 온난화 방지, 탄소 발생률 저감 등의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증가나 지표의 포장율 상승에 따라 호우시에 우수가 지하로 침수할 수 없기 때문에 하수도나 하천으로 일시에 유입되고, 이러한 우수 유입량이 유입 허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홍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우수가 지중으로 제대로 침투되지 못하면 지하수가 고갈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도시화가 점차적으로 진행되면서 흙으로 지표 위를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로 포장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처럼 콘크리트나 아스팔트의 포장율이 커지면서 강우시 우수(빗물)가 지하로 제대로 침투할 수 없어 하수도나 하천으로 일시에 유입되어 홍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아스팔트나 콘트리트 노면으로 인하여 우수가 지표에서 지중으로 제대로 침투되지 못하여 지하수 고갈이라는 심각한 여러 문제를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강우시 우수를 지하에 임시로 저장하여 홍수에 대비하고 지중으로 우수를 침투시켜 지하수 고갈 방지 기능을 하는 저류조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강우 특성상 여름에 많은 비가 내리는 만큼 이러한 우수를 모아놓았다가 여러 필요한 곳에 사용하거나 지중에 우수를 침투시켜 지하수 고갈 방지에 대한 대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를 지하에 저류하였다가 생활용수나 소방용수 등으로 사용하거나 경우에 따라 수돗물로도 우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절약에 기여하고, 나아가 지구 온난화 방지와 탄소 발생률 저감에도 기여하며, 강우시 우수를 지중으로 효율적으로 침투시켜 지하수 고갈 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 바이패스 구조를 더 구비하고 있어서, 우수에 섞인 불순물이 저류탱크 자체에 들어오는 비율을 상당히 줄여줄 수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 작업이 종래에 비하여 훨씬 용이하고 유지 보수비도 매우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로 우수를 통과시킬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복수개의 박스체(20)를 연결함과 동시에 지중에 매설하여 우수를 저류시키거나 지중으로 침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저류 탱크(270)와, 상기 저류 탱크(270)를 구성하는 상기 박스체(20)의 둘레벽에 결합되는 캡(40)과, 상기 박스체(20)를 연결 지지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박스체(2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둘레면에는 우수를 통과시키는 유통공(22)이 형성되며 각 둘레부 중에서 서로 이웃한 박스체(20)와 마주하는 둘레 부에 상측과 측면 방향으로 개구된 조인트홈(202)을 가지면서 동시에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결합 돌출부(204)와 결합홈부(206)가 형성되며, 상기 박스체(20)의 상기 유통공(22) 위치에는 캡결합부(30)가 구비되어, 상기 박스체(20)의 상기 캡결합부(30)에 상기 캡(40)이 결합되어 상기 유통공(22)을 막아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둘레면에는 우수를 통과시키는 유통공이 형성되며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결합 돌출부)와 결합홈부가 형성된 박스체를 연결하고, 각 박스체에 형성된 유통공에 캡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강우 특성상 여름에 많은 비가 내려도 우수를 효율적으로 모아놓았다가 여러 필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지중에 우수를 침투시켜 지하수 고갈 방지에 현격히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각종 생활용수나 소방용수 등의 여러 용도로 우수를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경우에 따라 우수를 수돗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물절약에도 기여하고 나아가 지구 온난화 방지와 탄소 발생률 저감 등의 여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유익한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요부인 박스체가 상면과 저면에 결합 돌출부와 결합홈부를 갖는 구조를 취하여, 복수개의 박스체를 연결하여 저류 탱크를 만들 때에 각각의 하측 박스체 상면의 결합 돌출부에 상측 박스체의 결합홈부를 끼워 맞추는 식으 로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 시간 단축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후 좌우 방향으로 연결된 각각의 박스체에 조인트홈을 형성하고, 서로 이웃한 박스체의 조인트홈에 조인트의 각 조인트편을 쐐기식으로 끼워맞춰 시공하기 때문에, 각 박스체의 연결 구조 강도를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저류 탱크 자체의 시공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각 박스체의 유통공 부분에 형성된 캡결합부에 복수개의 통공을 갖는 캡을 결합하고, 이러한 캡의 통공은 미세한 메시망으로 막아줄 수 있는 구조를 취하므로, 지중에서 각 박스체의 내부, 즉 저수탱크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보다 효율적인 저수 기능과 우수 침투 기능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가 유입되는 부분에 우수가 이물질이나 다량의 유량 유입 등의 원인으로 적체되어 과도하게 넘치는 경우에는 유자형 관체의 유입단 내부 수위와 저류 탱크의 필터링 구간 내부 수위가 같은 레벨로 상승하면서 부구도 힌지부(254)를 중심으로 상승하고, 부구가 상승함에 따라 유자형 관체 유출단 내부의 유로 개폐판이 닫혀지면서 우수를 막아 주므로, 우수 유입단측에 우수가 적체되지 않고 바이패스관을 통해 외부로 빠지기 때문에, 우수가 넘치지 않고 바이패스관을 통해 배수 트랩 등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한편, 우수가 정상적으로 유입되면 유자형 관체의 유입단 수위에 비하여 저수탱크의 필터링 구간 내부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부구도 함께 하강하고, 부구가 하강함에 따라 유자형 관체의 유출단 내부 유로를 막았던 유로 개폐판이 열리기 때문에, 필터링 구간으로 우수가 정 상 유입되도록 절환할 수 있게 된다. 즉, 우수가 저류 및 침투조에서 맨홀 등의 밖으로 넘쳐나는 일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성 등에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바이패스 구조를 가짐으로 인하여 우수에 섞인 불순물(예를 들어, 미세한 황토같은 것)이 저류탱크 자체에 들어오는 비율을 상당히 줄여줄 수 있기 때문에, 점검도랑에 이물질이 쌓이는 주기를 상당히 늘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청소 작업 주기를 현저히 늘릴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 작업이 종래에 비하여 훨씬 용이하고 유지 보수비도 매우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유입맨홀을 통해 우수가 저류탱크로 들어오면 황토나 기타 불순물이 함께 들어오는데, 본 발명에서는 바이패스관 구조를 가짐으로 인하여 불순물은 최대한 저류탱크 외부로 바이패스시켜서 불순물의 유입량을 최소화시키고, 이러한 불순물이 저류탱크 주위의 점검도랑에 쌓이는 량이 그만큼 많이 줄어들게 되므로, 점검도랑에 연통된 점검맨홀로 사람이 들어가서 청소 작업을 해주는 주기를 매우 늘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지 보수 작업이 종래에 비하여 매우 용이하고, 아울러, 유지 보수비도 매우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주요부인 박스체를 상하로 다단 적재됨과 동시에 전후 좌우로 연결되어 저류 탱크를 구성하는데, 박스체의 연결 부분에는 별도의 방수시트를 붙여줌으로써 저류가 필요한 부분의 밀봉 구조를 완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을 구성하는 박스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박스체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박스체에 캡을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저류 탱크의 박스체 일부에 캡을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저류탱크의 일부에 방수시트를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저류 탱크에 필터링 구간을 형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바이패스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9와 도 10은 도 8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부로 우수를 통과시킬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복수개의 박스체(20)를 연결 설치함과 동시에 지중에 매설하여 우수를 저류시키거나 지중으로 침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저류 탱크(270)와, 이 저류 탱크(270)를 구성하는 각 박스체(20)의 둘레벽에 결합되는 캡(40)과, 저류 탱크(270)의 일측 위치에 연결된 유입맨홀(2)과, 저류 탱크(270)의 타측 위치에 연결된 유출맨홀(3)을 포함하는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이다. 이때, 각 박스체(20)는 장방형 이외에 기역자형이나 기타 여러가지 형태로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박스체(20)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내부 중간에는 격벽(205)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직육면체 박스체(20)의 전후 상하 둘레부에는 격벽(205)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유통공(22)이 구비되고 좌우 둘레부와 격벽(205)에도 유통공(2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박스체(20)는 상하 좌우 방향으로 장방향으로 적재되어 우수 저류 탱크(270)를 구성하는데, 박스체(20)의 둘레벽(여섯개의 둘레벽) 중에서 적어도 이웃할 박스체(20)와 마주하는 둘레벽의 상측 위치에 상단과 측방으로 개구된 조인트홈(202)이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홈(202)은 박스체(20)의 둘레벽에 두 개 형성되어 있다. 이 조인트홈(202)은 박스체(20)의 상측에서 보았을 때 외측 방향으로 거리가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마름모꼴 홈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박스체(20)는 각 둘레벽부가 이어지는 모서리 부분의 안쪽면에 보강살부가 더 구비되어, 박스체(20) 자체가 버티는 힘을 더 높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직육면체 형상 박스체(20) 내부의 격벽(205) 두께는 박스체(20)의 둘레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박스체(20) 내부의 격벽(205)의 두께는 둘레벽에 비해 두 배 정도인데, 직육면체 박스의 격벽(205) 가운데를 절단하여 정육면체형의 박스체(20)를 만들 때, 정육면체 박스의 모든 둘레벽의 두께가 같아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박스체(20)의 격벽(205)의 상단부에는 가운데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한 쌍의 조인트홈(20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체(20)의 격벽(205) 부분을 수직으로 잘라서 정육면체 형상의 박스체(20)를 만들 때, 격벽(205) 상단부의 한 쌍의 조인트홈(202)이 분리되어 각 정육면체 박스체(20)의 마름모꼴 홈형상의 조인트홈(202)으로 형성된다.
상기 박스체(20)의 각 둘레벽에는 캡결합부(30)가 형성되고, 이러한 캡결합부(30)의 가운데 부분에 유통공(22)이 형성되며, 이러한 유통공(22)이 박스체(20) 의 각 둘레벽에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캡결합부(30)는 박스체(20)의 둘레벽과 직교하도록 안쪽으로 연장된 드럼형의 캡끼움 보스(32)와, 이러한 캡끼움 보스(32)의 내측단에 구비되며 중앙부에는 유통공(22)이 구비된 막음편(34)과, 이 막음편(34)의 외표면에 상기 캡끼움 보스(32)와 나란하도록 외향 연장되며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캡체결 보스(36)로 구성된다.
이러한 박스체(20) 각 둘레벽의 캡결합부(30)에 캡(40)이 결합된다. 이때, 캡(40)은 박스체(20)의 유통을 막아주는 디스크(42)와, 이 디스크(42)의 내측면 외곽부에 구비되며 내주면에는 캡체결 보스(36) 외주면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나사부를 갖는 테두리부(4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캡(40)의 디스크(42) 외표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이러한 오목홈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46)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을 기준으로 한 쌍의 조인트편(52)을 갖는 형상의 조인트(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조인트(50)는 중간을 기준으로 마름모꼴 블록 형상의 한 쌍의 조인트편(52)을 갖는 쐐기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조인트(50)의 한 쌍의 조인트편(52)을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각 박스체(20)의 서로 마주한 두 개의 조인트홈(202)에 끼워서 복수개의 박스체(20)를 장방형으로 연결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각 박스체(20)의 조인트홈(202)은 평면을 기준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너비가 줄어드는 마름모꼴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각각의 박스체(20)를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하여 각각 의 조인트홈(202)이 만났을 때 중간을 기준으로 두 개의 마름모꼴 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인트(50)는 중간을 기준으로 두 개의 마름모꼴 조인트편(52)이 대향되게 배치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각 박스체(20)의 마름모꼴 홈에 각각의 조인트편(52)을 쐐기식으로 끼움 결합하면 복수개의 박스체(20)를 전후 좌우 방향으로 보다 견고하게 연결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저류 및 침투조용 박스를 이용하여 우수 저류 및 침투조를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둘레면에는 우수를 통과시키는 유통공(22)이 형성되며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결합 돌출부(204)와 결합홈부(206)가 형성된 박스체(20)를 전후 좌우 방향으로 적제한다.
이때, 쐐기 역할을 하는 상기 조인트(50)의 각 조인트편(52)을 서로 이웃한 각 박스의 조인트홈(202)에 끼워 맞춤으로써 각각의 박스체(20)를 조인트(50)를 매개로 견고하게 연결한다.
이어서, 아래단의 박스체(20) 위에 상측의 박스체(20)를 쌓아 나가되, 상측 박스체(20)의 양단부가 어긋나는 형식, 즉 벽돌을 쌓듯이 어긋나게 쌓아준다. 이때, 양끝에는 필수적으로 정육면체 형상의 박스체(20)를 써야되는데, 상기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체(20)의 중간 격벽(205) 가운데를 잘라서 정육면체 형상의 박스체(20)를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고, 정육면체 형상의 박스체(2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박스체(20)를 장방형으로 쌓아주면 각 박스체(20) 둘레벽의 유통공(22)이 상호 연통되므로, 내부에 우수가 저류되거나 유통될 수 있 는 구조의 저수탱크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복수개의 박스체(20)를 장방형으로 적재하여 저수탱크를 형성한 다음에는 최외곽 위치의 박스체(20)에 형성된 각 캡결합부(30)에 캡(40)을 결합하여 박스체(20)의 각각의 유통공(22)을 막아준다. 즉, 저수탱크의 양측면과 전후면 및 상면을 캡(40)으로 막아주는 것이다. 물론, 최하측의 박스체(20)에 형성된 캡결합부(30)에는 미리 캡(40)으로 막아준 상태이므로, 저수탱크의 저면은 막힌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캡(40)은 원판형 디스크(42)의 외곽 위치에 환형의 테두리부(44)가 구비되고, 테두리부(44)의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디스크(42)의 외표면에는 파지부(46)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캡(40)의 파지부(46)를 그립핑한 상태(잡은 상태)에서 캡(40)을 돌려 테두리부(44)를 박스체(20)에 캡결합부(30)에 나사식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캡(40)의 테두리부(44) 내주면의 나사부가 박스체(20)의 캡결합부(30)를 구성하는 캡체결 보스(36) 외주면의 나사부게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박스체(20)의 모든 유통공(22)을 캡(40)으로 막아주고, 박스체(20)의 양측 일부 유통공(22)은 우수 유입맨홀과 우수 배출 트랩에 파이프 등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측에 배치된 박스체(20)의 유통공(22)만을 캡(40)으로 막아주고, 상측에 배치된 박스체(20)의 유통공(22) 부분은 복수개의 통공을 갖는 다른 구조의 캡(40)에 의해 막아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캡(40)으로 막아준 높이까지만 우수 가 저류되고 나머지는 다른 캡(40)의 통공을 통해 배출되어 지중으로 침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에는 캡(40)의 통공 내측 위치에 미세한 메시를 갖는 메시망을 설치하여 지중의 외부 이물질이 저수탱크 내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저류 탱크(270)의 일부 영역에 필터링 구간(272)이 구획 형성되고, 필터링 구간(272)과 마주하는 박스체(20)의 캡결합부(30)에는 우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 부재가 설치되고, 필터링 구간(272)에는 유입맨홀(2)과 연통된 유자형 관체(210)가 구비되고, 유자형 관체(210)의 내부에는 유로 개폐판(256)이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유로 개폐판(256)에는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250)가 연결되며, 유로 개폐판(256)과 유자형 관체(210)의 유입부 사이의 유로에는 바이패스관(220)이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점검도랑(230)에는 수직으로 연장된 점검 맨홀이 연결되고, 이러한 점검 맨홀에는 유자형 관체(210)가 수용되고 부구(250)는 필터링 구간(272)에 수용 배치되어 수위에 따라 부구(250)가 힌지부(254)를 매개로 승강된다. 부구(250)는 연결로드를 매개로 유로 개폐판(256)에 연결되고, 힌지부(254)는 유자형 관체(210)나 기타 적당한 위치에 구비된 브라켓 등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힌지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254)는 기타 공지의 힌지 장치를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스크린 부재는 각 박스체(20)의 캡결합부(30)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통공형 캡(40), 즉 전후면으로 연통되는 통공을 갖는 캡(40)이다. 이때에는 우 수에서 이물질을 보다 확실하게 걸러내도록 미세한 메시를 가진 메시망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링 구간(272)으로 유입된 우수에서 불필요한 이물질이 걸러져 아래의 점검도랑(230)에 쌓이는 한편, 이물질이 걸러진 우수는 스크린 부재를 통과하여 저류 탱크(270)의 내부로 유입된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우수가 유입되는 부분에 우수가 이물질이나 다량의 유량 유입 등의 원인으로 적체되어 과도하게 넘치는 경우에는 유자형 관체(210)의 유입단 내부 수위와 저류 탱크(270)의 필터링 구간(272) 내부 수위가 같은 레벨로 상승하면서 부구(250)도 힌지부(254)를 중심으로 상승하고, 부구(250)가 상승함에 따라 유자형 관체(210) 유출단 내부의 유로 개폐판(256)이 닫혀지면서 우수를 막으므로, 우수 유입단측에 우수가 적체되지 않고 바이패스관(220)을 통해 외부로 빠지게 된다. 이때, 바이패스관(220)은 배수 트랩(4)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우수가 넘치지 않고 바이패스관(220)을 통해 배수 트랩(4)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이물질이나 다량의 유량 유입 등의 원인이 생기지 않아 우수가 정상적으로 유입되면 유자형 관체(210)의 유입단 수위에 비하여 저수탱크의 필터링 구간(272) 내부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부구(250)도 함께 하강하고, 부구(250)가 함께 하강함에 따라 유자형 관체(210)의 유출단 내부 유로를 막았던 유로 개폐판(256)이 열리므로, 필터링 구간(272)을 우수가 정상 유입되도록 절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자형 관체(210)는 점검 맨홀 내부에 수용되고, 부구(250)는 필 터링 구간(272)에 수용 배치되는데, 이러한 유자형 관체(210)의 최하측에는 이물질 수집캡(240)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유자형 관체(210)에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주기적으로 이물질 수집캡(240)을 열어서 청소해주면 된다.
또한, 상기 박스체(20)를 상하로 다단 적재됨과 동시에 전후 좌우로 연결되어 저류 탱크(270)를 구성하는데, 박스체(20)의 연결 부분에는 별도의 방수시트(300)를 더 붙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략 2층 정도의 박스체(20) 부분에만 우수를 저류시키고 나머지 부분으로 우수를 배출하여 지중에 침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2층까지의 각 박스체(20) 연결 부분에 방수시트(300)를 붙여주면 된다. 이때, 방수시트(300)는 부틸 고무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아울러, 하측 박스체(20) 상면의 결합 돌출부(204)와 상측 박스체(20) 저면의 결합홈부(206)가 서로 맞물림식으로 적제되는데, 이러한 결합 돌출부(204)와 결합홈부(206) 사이에도 별도의 방수시트(300)를 더 개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저류 탱크(270)의 밀봉이 필요한 부분의 밀봉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바이패스관(220) 구조를 가짐으로 인하여 우수에 섞인 불순물(예를 들어, 미세한 황토같은 것)이 저류탱크(270) 자체에 들어오는 비율을 상당히 줄여줄 수 있기 때문에, 점검도랑(230)에 이물질이 쌓이는 주기를 상당히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점검맨홀(6)로 인부가 들어가서 점검도랑(230)에 적재된 슬러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 주기를 현저히 늘릴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 작업이 종 래에 비하여 훨씬 용이하고 유지 보수비도 매우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을 구성하는 박스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박스체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박스체에 캡을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저류 탱크의 박스체 일부에 캡을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저류탱크의 일부에 방수시트를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저류 탱크에 필터링 구간을 형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바이패스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9와 도 10은 도 8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단면도

Claims (8)

  1. 내부로 우수를 통과시킬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복수개의 박스체(20)를 연결함과 동시에 지중에 매설하여 우수를 저류시키거나 지중으로 침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저류 탱크(270)와, 상기 저류 탱크(270)를 구성하는 상기 박스체(20)의 둘레벽에 결합되는 캡(40)과, 상기 박스체(20)를 연결 지지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박스체(2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둘레면에는 우수를 통과시키는 유통공(22)이 형성되며 각 둘레부 중에서 서로 이웃한 박스체(20)와 마주하는 둘레부에 상측과 측면 방향으로 개구된 조인트홈(202)을 가지면서 동시에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결합 돌출부(204)와 결합홈부(206)가 형성되며, 상기 박스체(20)의 상기 유통공(22) 위치에는 캡결합부(30)가 구비되어, 상기 박스체(20)의 상기 캡결합부(30)에 상기 캡(40)이 결합되어 상기 유통공(22)을 막아주도록 구성되며,
    상기 저류 탱크(270)의 일부 영역에 필터링 구간(272)이 구획 형성되고, 상기 필터링 구간(272)에 마주하는 박스체(20)의 캡결합부(30)에는 우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링 구간(272)에는 유입맨홀(2)과 연통된 유자형 관체(210)가 구비되고, 상기 유자형 관체(210)의 내부에는 유로 개폐판(256)이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유로 개폐판(256)에는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250)가 연결되며, 상기 유로 개폐판(256)과 상기 유자형 관체(210)의 유입부 사이의 유로에는 바이패스관(22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20)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내부 중간에는 격벽(205)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직육면체 박스체(20)의 전후 상하 둘레부에는 상기 격벽(205)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유통공(22)이 구비되고 좌우 둘레부와 상기 격벽(205)에도 유통공(2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20)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각각의 둘레부에는 상기 유통공(2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을 기준으로 한 쌍의 조인트편(52)을 갖는 형상의 조인트(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인트(50)의 상기 한 쌍의 조인트편(52)을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각 박스체(20)의 서로 마주한 두 개의 조인트홈(202)에 끼워서 복수개의 박스체(20)를 연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결합부(30)는 상기 박스체(20)의 둘레벽과 직교하도록 안쪽으로 연장된 드럼형의 캡끼움 보스(32)와, 상기 캡끼움 보스(32)의 내측단에 구비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유통공(22)이 구비된 막음편(34)과, 상기 막음편(34)의 외표면에 상기 캡끼움 보스(32)와 나란하도록 외향 연장되며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캡체결 보스(36)로 구성되며, 상기 캡(40)은 상기 박스체(20)의 상기 유통공(22)을 막아주는 디스크(42)와, 상기 디스크(42)의 내측면 외곽부에 구비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캡체결 보스(36) 외주면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나사부를 갖는 테두리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자형 관체(210)의 최하측에는 이물질 수집캡(240)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20)는 상하로 다단 적재됨과 동시에 전후 좌우로 연결되어 상기 저류 탱크(270)를 구성하며, 상기 박스체(20)의 연결 부분에는 방수시트(3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
KR1020090111616A 2009-11-18 2009-11-18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 KR100972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616A KR100972546B1 (ko) 2009-11-18 2009-11-18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616A KR100972546B1 (ko) 2009-11-18 2009-11-18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2546B1 true KR100972546B1 (ko) 2010-07-28

Family

ID=42646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616A KR100972546B1 (ko) 2009-11-18 2009-11-18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54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668B1 (ko) 2012-02-21 2012-08-08 최금준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141308A (ko) * 2015-05-29 2016-12-08 박지운 분할 조립형 pc 블록을 갖는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KR101788120B1 (ko) * 2016-12-12 2017-11-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우수용 저류 및 배수 시스템
CN110318445A (zh) * 2019-05-22 2019-10-11 石嘴山市宁鸿炭素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森林或草原灭火的储水设备雨水自动收集箱
KR20190135301A (ko) * 2018-05-28 2019-12-06 동아컨설탄트(주) 셀 구조물 및 저장조 장치
CN111945851A (zh) * 2020-08-17 2020-11-17 左全清 一种城市水利工程道路用排水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195A (ko) * 2003-10-30 2005-05-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빗물 저수장치와 저수조 형성용 블록
JP2005139625A (ja) * 2003-11-04 2005-06-02 Yoshihiko Murata 貯水タンク及び貯水槽
KR100553085B1 (ko) 2005-08-16 2006-02-21 주식회사 뉴보텍 보강대가 구비된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KR20090104424A (ko) * 2008-03-31 2009-10-06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조립식 우수 저장시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195A (ko) * 2003-10-30 2005-05-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빗물 저수장치와 저수조 형성용 블록
JP2005139625A (ja) * 2003-11-04 2005-06-02 Yoshihiko Murata 貯水タンク及び貯水槽
KR100553085B1 (ko) 2005-08-16 2006-02-21 주식회사 뉴보텍 보강대가 구비된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KR20090104424A (ko) * 2008-03-31 2009-10-06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조립식 우수 저장시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668B1 (ko) 2012-02-21 2012-08-08 최금준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141308A (ko) * 2015-05-29 2016-12-08 박지운 분할 조립형 pc 블록을 갖는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KR101878286B1 (ko) * 2015-05-29 2018-07-16 박지운 분할 조립형 pc 블록을 갖는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KR101788120B1 (ko) * 2016-12-12 2017-11-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우수용 저류 및 배수 시스템
KR20190135301A (ko) * 2018-05-28 2019-12-06 동아컨설탄트(주) 셀 구조물 및 저장조 장치
KR102120879B1 (ko) * 2018-05-28 2020-06-09 동아컨설탄트(주) 셀 구조물 및 저장조 장치
CN110318445A (zh) * 2019-05-22 2019-10-11 石嘴山市宁鸿炭素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森林或草原灭火的储水设备雨水自动收集箱
CN111945851A (zh) * 2020-08-17 2020-11-17 左全清 一种城市水利工程道路用排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742B1 (ko) 우수 저류조
US89858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storing, and distributing storm water
KR100952192B1 (ko)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US81137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storing, and distributing storm water
US95460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storing, and distributing storm water
KR100972546B1 (ko) 우수 저류 및 침투조 시스템
JP5791287B2 (ja) 雨水貯留施設
KR101023537B1 (ko)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GB2452108A (en) A storm water management system
KR20190053753A (ko) 조립식 빗물침투 배수측구
KR20150138771A (ko) 이중벽체형 저수옹벽 및 그 시공방법
JP5025364B2 (ja) 雨水貯留浸透施設用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浸透施設
KR100813995B1 (ko) 주철판넬을 이용한 저류조 구조물 및 저류조 축조방법
KR101043661B1 (ko) 지중 침투형 빗물배수장치
JP6106136B2 (ja) 浸透システム
JP6153122B2 (ja) 雨水貯溜配管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排水桝
KR101163130B1 (ko) 분리가능한 투수부재를 갖는 우수받이
KR101356964B1 (ko) 도로 집수정
KR100771586B1 (ko) 터널형 빗물 처리 시스템
KR200426719Y1 (ko) 터널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1272581B1 (ko) 유입조, 우수 유입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유출 저감 시스템
KR100541290B1 (ko)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우수통제시설물
KR101568018B1 (ko) 터널형 빗물 저류침투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30076322A (ko) 트랩형 우수받이
JP6391008B2 (ja) 雨水貯溜管路構造とそれに用いる雨水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3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42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7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7042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50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