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322Y1 -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 - Google Patents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322Y1
KR200438322Y1 KR2020070000056U KR20070000056U KR200438322Y1 KR 200438322 Y1 KR200438322 Y1 KR 200438322Y1 KR 2020070000056 U KR2020070000056 U KR 2020070000056U KR 20070000056 U KR20070000056 U KR 20070000056U KR 200438322 Y1 KR200438322 Y1 KR 2004383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concrete layer
flow path
floor
basement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호
Original Assignee
강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승호 filed Critical 강승호
Priority to KR2020070000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3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3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3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07Base structures; Cella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는 바닥콘크리트층과 그 상부를 덮는 누름콘크리트층으로 형성되는 건물의 지하 바닥면에 배수유도로를 통해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누름콘크리트층에 길이방향으로 소정깊이와 너비로 형성되어 물이 유도되도록 하는 배수유도로; 및 일단부는 상기 배수유도로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집수정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수유도로로 유도된 물을 상기 집수정으로 흘러보내기 위해, 상기 일단부의 위치보다 타단부의 위치가 낮아 낙차를 갖도록 하며,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매설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건물의 지하층 넓이가 넓거나, 배수유도로와 집수정간의 거리가 먼 경우에도 물흐름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낙차를 확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는 종래에 누름콘크리트층 상부에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배수유도로의 하부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층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바닥콘크리트층에 매설되면서, 타단부가 집수정으로 연결되는 배수관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배수관이 매설되는 건물의 지하층 넓이 및 배수유도로와 집수정간의 거리에 따라, 비례하여 커지게 되는 상기 배수관의 경사를 위한 일단부와 타단부의 높이차의 수용 범위가 늘어나므로 건출물의 면적에 구애받지 않으며, 상기 배수관에 경사를 가지도록 수월하게 시공할 수 있어, 원활하게 지하층 바닥면의 물을 집수정으로 배출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건물, 지하층, 바닥, 집수정, 배수

Description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Drain System Of Basement Floor Construc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하층 바닥의 누름콘크리트층 내부에 배수관이 시공된 단면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지하층 바닥의 바닥콘크리트층 내부에 배수관이 시공된 단면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지하층 바닥의 상면에 형성된 배수유도로 및 그 하부의 배수관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 굴토마감면 2: 버림콘크리트
3: 바닥콘크리트 4: 누름콘크리트
5: 집수정 10: 배수유도로
12: 걸름덮개 20: 배수관
본 고안은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콘크리트층과 그 상부를 덮는 누름콘크리트층으로 이루어지는 건물의 지하 바닥면의 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배수유도로 및 집수정으로 연결되는 배수관이 바닥콘크리트층에 매설되는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상가, 기타 대형 건물 또는 건축물을 신축하게 되면 지하구조물의 시공이 필수로 수반되는데, 건축물의 벽체와 바닥면에 생기는 누수, 균열, 들뜸현상 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시공된 건축물등의 지하층 바닥면으로 부터 침투되는 지하수 및 상기 지하층 바닥면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배수 처리하기 위한 적절한 배수시공이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하층 바닥의 누름콘크리트층 내부에 배수관이 시공된 단면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건물이 지어지는 지층의 상면에 굴토마감면(1)을 형성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과정을 거쳐 버림콘크리트층(2)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바닥콘크리트층(3)을 형성하고, 그 위에는 건물의 지하층 바닥면을 이루게 되는 누름콘크리트층(4)을 형성하게 된다.
지하층 바닥면의 시공시, 상기 누름콘크리트층(4)의 상면으로는 건물의 측벽(미도시)과 인접되는 가장자리부에 지하층 바닥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수유도로(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콘크리트층(4)의 상면은 중앙부에서 상기 배수유도로(10) 가 형성되는 가장자리부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방수처리되게 시공되어, 상기 누름콘크리트층(4)의 상부로 유입된 물을 상기 배수유도로(10)로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배수유도로(10)는 상기 누름콘크리트층(4)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지하층 바닥면의 테두리부를 따라서 형성된다.
상기 배수유도로(10)는 상기 누름콘크리트층(4)의 상부에 소정깊이 및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누름콘크리트층(4)에서 유입된 물을 집수정(5)으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배수유도로(10)는 상기 집수정(5)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집수정(5)으로 연결된다.
상기 배수유도로(10)의 저면은 일단부에서 상기 집수정(5)을 향하면서, 상기 집수정(5)으로 연결되는 타단부 방향으로 물이 자연스럽게 흘러서 상기 집수정(5)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일정높이 높게 위치되어 최소한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수유도로(10)로 유입된 물을 상기 집수정(5)으로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경사를 가지도록 상기 배수유도로(10)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높이차(H)가 있어야 하는데, 상기 건축물의 지하층 바닥면의 넓이가 넓어질수록 상기 배수유도로(10)와 집수정(5)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고, 상기 지하층 바닥면이 넓어지면서, 배수유도로(10)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상기 배수유도로(10)가 최소한의 경사 만을 가지더러도, 상기 배수유도로(10)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높이차(H)는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지하층 바닥면은 굴토마감면(1), 버림콘크리트층(2), 바닥콘크리트층(3) 및 누름콘크리트층(4)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버림콘크리트층(2)은 지층의 상기 굴토마감면(1)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과정을 거쳐 보통 약 6㎝의 두께로 형성되고, 그 위에 상기 바닥콘크리트층(3)은 약 1m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누름콘크리트층(4)은 약 5㎝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구조의 종래 배수관(20)이 상기 누름콘크리트층(4)에 매설되는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는 약 5㎝두께를 가지는 누름콘크리트층(4) 내에 매설되야하데, 상기 배수관(20)이 매설되는 건출물의 지하층 바닥면의 넓이가 넓어질수록, 상기 배수관(20)에 경사를 주기가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유도로의 하부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바닥콘크리트층에 매설되면서, 타단부가 집수정으로 연결되는 배수관을 구비함으로써, 건출물의 면적에 구애받지 않으며, 상기 배수관에 경사를 가지도록 수월하게 시공할 수 있어, 원활하게 지하층 바닥면의 물을 집수정으로 배출가능하게 하는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바닥콘크리트층 과 그 상부를 덮는 누름콘크리트층으로 형성되는 건물의 지하 바닥면에 배수유도로를 통해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누름콘크리트층에 길이방향으로 소정깊이와 너비로 형성되어 물이 유도되도록 하는 배수유도로; 및 일단부는 상기 배수유도로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집수정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수유도로로 유도된 물을 상기 집수정으로 흘러보내기 위해, 상기 일단부의 위치보다 타단부의 위치가 낮아 낙차를 갖도록 하며,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매설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건물의 지하층 넓이가 넓거나, 배수유도로와 집수정간의 거리가 먼 경우에도 물흐름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낙차를 확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유도로 상부를 덮도록 그에 상응하는 크기와 넓이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유도로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걸름덮개;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관은 상기 배수유도로에 연결된 일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누름콘크리트층를 관통하여 바닥콘크리트층에서 소정각도로 굴절되어, 경사를 가지면서 기울어져 상기 집수정으로 연장형성되어 연결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 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지하층 바닥의 바닥콘크리트층 내부에 배수관이 시공된 단면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지하층 바닥의 상면에 형성된 배수유도로 및 그 하부의 배수관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는 굴토마감면(1)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과정을 거쳐 버림콘크리트층(2)을 형성하고, 바닥콘크리트층(3), 누름콘크리트층(4) 및 누름콘크리트층(4)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바닥콘크리트층(3) 내부로 배수관(20)을 매설하고, 상기 누름콘크리트층(4) 상면에 배수유도로(10)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배수유도로(10)는 건축물의 시공시 건물의 측벽(미도시)과 인접하게되는 상기 누름콘크리트층(4) 상면의 가장자리부 소정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누름콘크리트층(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부 이상에 형성된다.
상기 배수유도로(10)는 상기 누름콘크리트층(4) 상면에, 상기 건물의 측벽(미도시)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소정깊이와 너비를 갖도록 굴토형성된다.
이때, 상기 누름콘크리트층(4)의 상면은 통상적으로 중앙부에서 상기 배수유도로(10)가 형성되는 가장자리부를 향해 소정의 경사를 가지면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부표면에 방수처리되도록 시공되어, 상기 누름콘크리트층(4)의 상부로 유입된 물을 상기 배수유도로(10)로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흐르게 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유도로(10)의 상부에는 그에 상응하는 크기와 넓이로 형성되는 걸름덮개(12)가 덮어져서, 상기 배수유도로(10)로 주차장 차량바퀴가 빠져 통행이 불편해 지거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관(20)은 일단부는 상기 배수유도로(1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누름콘크리트층(4)를 관통하여 바닥콘크리트층(3)에서 소정각도로 굴절되어, 경사를 가지도록 기울어지게 연장형성되어 타단부가 상기 집수정(5)으로 연결되게 매설된다.
상기 배수관(20)은 상기 배수유도로(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유도로(10)에 모여진 물을 집수정(5)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바닥콘크리트층(3)에 매설된다.
상기 배수관(20)은 상기 배수유도로(10)로 유도된 물을 상기 집수정(5)으로 흘러보내기 위해 소정의 경사를 형성하도록, 상기 배수유도로(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일단부의 위치와 상기 집수정(5)에 연결되는 타단부의 위치는 높이차(H')를 가지게 시공된다.
상기 건축물의 지하층 바닥면의 넓이가 넓어질수록 상기 배수유도로(10)와 집수정(5)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배수관(20)의 길이도 길어질 수밖에 없다. 상기 지하층 바닥면이 넓어지고, 배수관(20)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상기 배수관(20)이 최소한의 경사 기울기를 형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상기 배수관(20)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높이차(H')는 비례적으로 커지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 배수관(20)은 종래의 누름콘크리트층(4)에 매설되던 것과 달 리 상대적으로 누름콘크리트층(4)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바닥콘크리트층(3)에 매설됨으로써, 상기 배수관(20)이 경사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배수관(20) 일단부와 타단부의 높이차(H')의 수용 범위가 늘어나므로, 건출물의 면적이 커지더라도, 상기 배수관(20)의 경사를 형성하기 수월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는 종래에 누름콘크리트층 상부에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배수유도로의 하부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층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바닥콘크리트층에 매설되면서, 타단부가 집수정으로 연결되는 배수관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배수관이 매설되는 건물의 지하층 넓이 및 배수유도로와 집수정간의 거리에 따라, 비례하여 커지게 되는 상기 배수관의 경사를 위한 일단부와 타단부의 높이차의 수용 범위가 늘어나므로 건출물의 면적에 구애받지 않으며, 상기 배수관에 경사를 가지도록 수월하게 시공할 수 있어, 원활하게 지하층 바닥면의 물을 집수정으로 배출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바닥콘크리트층과 그 상부를 덮는 누름콘크리트층으로 형성되는 건물의 지하 바닥면에 배수유도로를 통해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누름콘크리트층에 길이방향으로 소정깊이와 너비로 형성되어 물이 유도되도록 하는 배수유도로; 및
    일단부는 상기 배수유도로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집수정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수유도로로 유도된 물을 상기 집수정으로 흘러보내기 위해, 상기 일단부의 위치보다 타단부의 위치가 낮아 낙차를 갖도록 하며, 상기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매설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건물의 지하층 넓이가 넓거나, 배수유도로와 집수정간의 거리가 먼 경우에도 물흐름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한 낙차를 확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도로 상부를 덮도록 그에 상응하는 크기와 넓이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유도로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걸름덮개;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배수유도로에 연결된 일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누름콘크리트층를 관통하여 바닥콘크리트층에서 소정각도로 굴절되어, 경사를 가지면서 기울어져 상기 집수정으로 연장형성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
KR2020070000056U 2007-01-03 2007-01-03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 KR2004383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056U KR200438322Y1 (ko) 2007-01-03 2007-01-03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056U KR200438322Y1 (ko) 2007-01-03 2007-01-03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322Y1 true KR200438322Y1 (ko) 2008-02-04

Family

ID=4133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056U KR200438322Y1 (ko) 2007-01-03 2007-01-03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322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690B1 (ko) 2011-06-23 2013-01-09 홍종인 건축물의 결로수 방지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293778B1 (ko) * 2011-05-16 2013-08-06 홍종인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04060628A (zh) * 2013-11-05 2014-09-24 中国建筑第四工程局有限公司 无裂缝、无渗漏超大面积地下室地坪的制作方法及结构
KR101687315B1 (ko) * 2016-06-17 2016-12-16 주식회사 서웅이엔씨 이젝팅 기능을 갖는 배수관
CN109457760A (zh) * 2018-12-25 2019-03-12 深圳市建筑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地下室消防水池结构及建筑
RU194156U1 (ru) * 2019-07-18 2019-11-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строительной физики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архитектуры и строительных наук" (НИИСФ РААСН)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залива подвала многоэтажного дома
KR102337379B1 (ko) * 2020-08-24 2021-12-08 이윤경 지하 주차장용 배수설비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867A (ko) * 1999-11-09 2000-02-07 홍종인 부력사고 방지를 위한 능동적 자연배수 구조 및 공법
KR200412083Y1 (ko) * 2006-01-09 2006-03-22 박옥교 유역별 상향수압 조절 연직 배수시스템
KR200419448Y1 (ko) * 2006-03-21 2006-06-20 박옥교 과도한 상향 수압을 수용하기 위한 배수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867A (ko) * 1999-11-09 2000-02-07 홍종인 부력사고 방지를 위한 능동적 자연배수 구조 및 공법
KR200412083Y1 (ko) * 2006-01-09 2006-03-22 박옥교 유역별 상향수압 조절 연직 배수시스템
KR200419448Y1 (ko) * 2006-03-21 2006-06-20 박옥교 과도한 상향 수압을 수용하기 위한 배수 구조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778B1 (ko) * 2011-05-16 2013-08-06 홍종인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219690B1 (ko) 2011-06-23 2013-01-09 홍종인 건축물의 결로수 방지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04060628A (zh) * 2013-11-05 2014-09-24 中国建筑第四工程局有限公司 无裂缝、无渗漏超大面积地下室地坪的制作方法及结构
CN104060628B (zh) * 2013-11-05 2016-04-13 中国建筑第四工程局有限公司 无裂缝、无渗漏超大面积地下室地坪的制作方法及结构
KR101687315B1 (ko) * 2016-06-17 2016-12-16 주식회사 서웅이엔씨 이젝팅 기능을 갖는 배수관
CN109457760A (zh) * 2018-12-25 2019-03-12 深圳市建筑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地下室消防水池结构及建筑
RU194156U1 (ru) * 2019-07-18 2019-11-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строительной физики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архитектуры и строительных наук" (НИИСФ РААСН)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залива подвала многоэтажного дома
KR102337379B1 (ko) * 2020-08-24 2021-12-08 이윤경 지하 주차장용 배수설비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322Y1 (ko)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
JP2007138707A (ja) 透水性舗装用歩車道境界ブロック及び透水性舗装の排水構造
JP4284665B2 (ja) 側溝の排水構造
RU157316U1 (ru) Линейный водоотводный канал
JP3944518B2 (ja) 境界ブロックを用いた道路の排水構造
CN208702024U (zh) 倒置式屋面明暗结合双重排水结构
JP2006132320A5 (ko)
JP2007100506A (ja) 集水桝とこれを用いた舗装道路の排水構造
KR100710917B1 (ko) 지하수 배수장치 및 배수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연결장치
JP2006219832A (ja) 排水性舗装用の境界ブロックセット、これを用いた排水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8261165A (ja) 歩車道境界用排水装置
US8182174B2 (en) Drainage system for directing surface water to underground strata
CN106638641B (zh) 基坑降水水井结构及其施工方法
EP1518964A1 (en) Surface drainage arrangement
JP5650995B2 (ja) プラットホームにおける水抜き構造、及びプラットホームにおける水抜き構造の施工方法
JP4125834B2 (ja) 側溝、側溝の蓋部材、および境界ブロック
KR200411498Y1 (ko) 유역별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연직 배수시스템
CN208748465U (zh) 一种无障碍坡道透水式排水沟
KR200419448Y1 (ko) 과도한 상향 수압을 수용하기 위한 배수 구조체
KR100821742B1 (ko) 측벽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KR101012480B1 (ko) 지하주차장 배수로 구조
KR20100041095A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0556820B1 (ko) 양압력 감쇄처리용 챔버 및 그의 시공방법
JP4528743B2 (ja) 側溝用集水枡及び側溝の施工方法
JP2005264722A (ja) 集水用グレーチングとこれを用いた道路の排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