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899B1 -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899B1
KR101632899B1 KR1020160004367A KR20160004367A KR101632899B1 KR 101632899 B1 KR101632899 B1 KR 101632899B1 KR 1020160004367 A KR1020160004367 A KR 1020160004367A KR 20160004367 A KR20160004367 A KR 20160004367A KR 101632899 B1 KR101632899 B1 KR 101632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age
duct
drainage path
layer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병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004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3/00Floats for actuation of valves or oth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에 관한 것으로, 담수용량의 극대화를 통해 공동주택(주차장, 옥상 등) 바닥의 물을 처리하고, 물의 양에 따라 드레인의 변화를 주어 신속한 배수를 통해 공동주택 바닥의 침수를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은, 좌우 수직부와 중앙의 격벽 및 저부의 바닥부에 의해 상기 격벽을 중심으로 하여 상층 배수로(11)와 하층 배수로(12)가 상하로 구획되고, 상기 격벽에 상기 상층 배수로와 하층 배수로를 연결하는 통공이 형성되는 배수 덕트(10)와; 상기 배수덕트의 상층 배수로와 하층 배수로 중 일측 이상에 연결되어 상층 배수로와 하층 배수로에 집수되는 오수를 하수계통으로 드레인하는 드레인부와; 상기 배수덕트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레이팅(20)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덕트는 좌우 수직부와 중앙의 격벽에 의해 "H"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연쇄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이상의 덕트 본체(13), 상기 덕트 본체들의 저부에 결합되어 하층 배수로를 형성하는 바닥판(14), 상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을 저부에서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와 이 바닥 지지부의 양측에서 각각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덕트 본체들의 좌우 수직부를 외부에서 덮어 누수를 차단하는 좌우 지지부로 이루어져 이웃하는 덕트 본체들을 연결하는 소켓(15)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FLOOR DRAIN STRUCTURE OF APARTMENT BUILDING}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용량의 극대화를 통해 공동주택(주차장, 옥상 등) 바닥의 물을 신속하게 처리하고, 물의 양에 맞는 드레인을 유도하여 물의 정체로 인한 오염을 막고 많은 양의 물을 신속하게 배수하는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주차장, 옥상, 단지 변 등의 바닥에는 빗물(우수) 등의 배수를 위한 배수시설이 갖추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0587626호)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배수블록과 그레이팅 사이에 완충재가 삽설되는 구조의 배수 그레이팅 어셈블리 소음방지구조에 있어서, 완충을 위하여 배수블록 상,하부에 쐐기모양으로 요철부를 형성하여 상기 배수블록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부받침대와, 몸체가 탄성을 갖는 고무 소재로 되고 하부받침대의 요철부와 대응되는 쐐기모양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받침대 위에 조립되는 상부받침대를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그레이팅 몸체는 폭방향으로 분할되는 그레이팅분할체이고 각각의 그레이팅분할체의 가로대의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가 가로방향으로 관통되는 축핀으로 고정되게 조립되는 것이며, 배수블록이 단일 배수로를 갖는 구조이기 때문에 배수용량이 제한적이며, 단일 배수로의 구조 상 물의 양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양의 배수만이 가능하므로 배수량이 많아지는 경우 배수블록 안에서 물의 정체가 발생되어 물의 오염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유발되고 또한 공동주택의 바닥이 침수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등록특허 제10-058762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담수용량의 극대화를 통해 공동주택(주차장, 옥상 등) 바닥의 물을 처리하고, 오수의 양에 맞는 최적의 드레인을 유도하여 오수의 정체로 인한 오염과 공동주택 바닥의 침수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은, 좌우 수직부와 중앙의 격벽 및 저부의 바닥부에 의해 상기 격벽을 중심으로 하여 상층 배수로와 하층 배수로가 상하로 구획되고, 상기 격벽에 상기 상층 배수로와 하층 배수로를 연결하는 통공이 형성되는 배수덕트와; 상기 배수덕트의 상층 배수로와 하층 배수로 중 일측 이상에 연결되어 상층 배수로와 하층 배수로에 집수되는 오수를 하수계통으로 드레인하는 드레인부와; 상기 배수덕트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레이팅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덕트는 좌우 수직부와 중앙의 격벽에 의해 "H"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연쇄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이상의 덕트 본체, 상기 덕트 본체들의 저부에 결합되어 하층 배수로를 형성하는 바닥판, 상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을 저부에서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와 이 바닥 지지부의 양측에서 각각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덕트 본체들의 좌우 수직부를 외부에서 덮어 누수를 차단하는 좌우 지지부로 이루어져 이웃하는 덕트 본체들을 연결하는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에 의하면, 상층 배수로와 하층 배수로의 복층 구조를 통해 물의 배수량이 적은 경우에는 상층 배수로에서 신속한 배수가 이루어지고 이때 하층 배수로는 건식 상태를 유지하여 물에 의한 오염을 일으키지 아니하고, 한편, 물의 양이 많아지는 경우에는 하층 배수로와 상층 배수로를 함께 배수공간으로 이용하여 동시에 많은 양의 배수가 이루어지고, 또한, 상층 배수로가 폐색되는 경우 하층 배수로가 물을 배수하므로 물의 정체로 인한 오염을 막고 공동주택 바닥의 침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배수 덕트를 기성품인 H 빔을 이용하여 원활한 자재수급을 통해 시공성이 좋고 또한 고강도를 통해 공동주택의 바닥을 견고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의 시공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의 작용 상태도.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은, 상층 배수로(11)와 하층 배수로(12)가 갖추어지며 공동주택(주차장, 옥상, 단지 변 등)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오수(여기서 오수는 우수, 하수 등 모든 물을 의미한다)를 집배수하는 배수 덕트(10)와 배수 덕트(10)의 상측에 결합되는 그레이팅(20) 및 배수 덕트(10) 내부에 집수되는 오수를 하수계통으로 드레인하는 드레인부로 구성된다.
배수 덕트(10)는 H 단면의 덕트 본체(13), 덕트 본체(13)의 저부에 결합되어 하층 배수로(12)를 형성하는 바닥판(14), 소켓(15)으로 구성된다.
덕트 본체(13)는 좌우 수직부와 중앙의 격벽에 의해 "H"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즉, 기성제품인 H 빔의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통공과 드레인부의 형성을 위한 구멍만을 천공하는 가공을 통해 H 빔을 그대로 이용하므로 적용이 매우 용이하고, H 빔의 강도 특성을 통해 공동주택의 바닥부의 균열과 파손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덕트 본체(13)는 공동주택의 바닥과 일체로 합성되도록 외부에 다수의 스터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덕트 본체(13)는 공동주택의 바닥에 매설되는 철근과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공동주택의 바닥과 일체로 합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덕트 본체(13)는 기성품인 H 빔인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틸박스나 알루미늄 박스보다 강도가 높아 일부 오수가 공동주택의 바닥에 침투하여도 바닥의 손상을 막는데 매우 효과적이고,
바닥판(14)은 H 빔인 덕트 본체(13)에 하층 배수로(12)를 형성하기 위하여 설치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덕트 본체(13)의 저부에 용접 등으로 결합[덕트 본체(13)와 동일 재질이 바람직함)됨으로써 저부가 막힌 하층 배수로(12)를 형성한다. 상층 배수로(11)는 그레이팅(20)이 결합되는 것으로 형성된다.
덕트 본체(13)는 복수개 이상이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배수시설을 구성하며, 바닥판(14)은 시공 전에 각각의 덕트 본체(13)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론, 배수 덕트(10)의 시공 현장에서 바닥에 먼저 설치된 후 덕트 본체(13)가 올려진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소켓(15)은 덕트 본체(13)들을 연쇄적으로 연결하여 덕트 본체(13)들 사이를 통해 오수가 공동주택의 바닥으로 누출되는 것을 막는 것이며, 예컨대, 덕트 본체(13)와 바닥판(14)의 둘레부를 감싸면서 용접으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소켓(15)은 바닥판(15)들의 이음부와 덕트 본체(13)의 좌우 수직부들의 이음부를 외부에서 감싸는 구조로서, 바닥판(14)을 저부에서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16)와 이 바닥 지지부(16)의 양측에서 각각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덕트 본체(13)들의 좌우 수직부를 외부에서 덮는 좌우 지지부(17)로 이루어진다.
그레이팅(20)은 공동주택의 바닥을 따라 흐르는 오수를 배수 덕트(10)로 유도하기 위한 다공성의 판재로서 배수 덕트(10)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상기 드레인부는 배수 덕트(10)의 상층 배수로(11)와 하층 배수로(12)에 집수되는 오수를 하수계통으로 드레인하는 것이며, 제1드레인부(30)와 제2드레인부(40)로 구성되는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층 배수로(11)와 하층 배수로(12)의 복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복층 구조를 이용하여 드레인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특징이 있다.
제1드레인부(30)는 상층 배수로(11)에 집수되는 오수를 하층 배수로(12)를 거치지 않고 드레인하는 것이며, 제2드레인부(40)는 상층 배수로(11)에 집수되는 오수를 하층 배수로(12)를 경유한 후 드레인하는 것으로, 오수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상층 배수로(11)만을 사용하여 오수를 신속하게 드레인함과 아울러 하층 배수로(12)의 오염을 막으며, 오수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상층 배수로(11)와 하층 배수로(12) 모두를 활용하여 신속하게 드레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기 위하여 제1드레인부(30)는 상단의 유입부가 상층 배수로(11)와 통하고 하단이 하수계통과 호스 등으로 연결되는 관형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 소켓(15)의 내부에는 덕트 본체(13)의 격벽과 동일 높이로 이루어져 양측에서 각각 상기 격벽이 맞닿아 용접 등으로 고정되며 드레인공(32)이 구비된 집수판(31), 상단부가 집수판(31)의 드레인공(32)과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하층 배수로(12)를 통과한 후 덕트 본체(13)의 저부로 돌출 형성되어 드레인공(32)을 통해 드레인되는 오수를 배수 덕트(10)의 외부로 유도하는 제1드레인관(33)으로 구성된다.
제1드레인부(30)는 소켓(15)과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하는데도 특징이 있으며, 즉, 제1드레인부(30)는 동일한 구성으로 덕트 본체(13)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기성품인 덕트 본체(13)에 제1드레인부(3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가공 작업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그레이팅(20)의 홀을 통해서는 작은 크기의 이물질이 유입되며, 이 이물질이 제1드레인부(30)를 통해 하수계통에 배출되지 않도록 이물질 수거망(34)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집수판(31)은 상부가 개방된 포켓 형태로서 상단부가 덕트 본체(13)의 격벽(13a)과 동일 높이로 이루어져 격벽(13a)을 따라 흐르는 오수가 내부에 유입된 후 제1드레인관(33)을 통해 드레인되도록 하고, 이물질 수거망(34)은 상부가 개방된 통 구조로서 둘레부는 막히고 바닥부만 오수가 통과하는 망 구조로 이루어지며, 집수판(31)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수거한다.
이물질 수거망(34)은 소켓(15)의 양측 벽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제2드레인부(40)는 오수의 양이 많아져 제1드레인부(30)만으로는 원활한 배수가 어려운 경우 하층 배수로(12)를 드레인 공간으로 활용하여 상층 배수로(11)와 하층 배수로(12) 모두에서 드레인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동주택 바닥의 오수를 신속하게 배수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상층 배수로(11)와 하층 배수로(12)를 연결하는 통공(18), 통공(18)을 개폐하는 밸브(41), 하층 배수로(12)와 하수계통을 연결하는 제2드레인관(42)이 구성된다.
통공(18)은 배수 덕트(10)의 길이방향 양측 중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와 이들 사이의 1개소 이상에 형성될 수 있고, 상층 배수로(11)에 집수된 오수를 하층 배수로(12)로 유도한다.
밸브(41)는 상층 배수로(11)에 장착되며 통공(18)을 평상시[상층 배수로(11)의 처리량이 적은 경우] 폐쇄하고, 만수시[상층 배수로(11)에 집수된 오수의 양이 많아 제1드레인부(30)만으로는 원활한 드레인이 이루어지지 않아 상층 배수로(11)가 만수위를 유지하는 경우] 통공(18)을 개방한다.
밸브(41)는 전자식이나 기계식 수위 감지에 의한 개폐 구성보다는 상층 배수로(11)에 집수되는 오수의 수위에 따라 개폐하는 부유식 구성이 바람직하고, 상층 배수로(11)의 통공(18) 상부에는 밸브 장착부(43)가 구성된다.
밸브 장착부(43)는 상측 배수로(11)와 통하는 유입부(44)가 구비되면서 저부가 통공(18)과 연통하도록 구성되며, 물론, 내부에서 밸브(41)가 승강하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유입부(44)는 밸브 장착부(43)에서 수평으로 돌출된 관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층 배수로(11)의 물을 밸브 장착부(43) 내부로 유입하여 밸브(41)를 부상시킬 수 있는 모든 구조가 가능하다.
밸브 장착부(43)는 덕트 본체(13)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 통 구조로서 덕트 본체(13)에 조립되는 것 모두가 가능하다.
밸브 장착부(43)는 밸브(41)의 교체나 청소 등을 위하여 상부가 개방되며, 이 상부에 별도의 덮개(45)가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다.
밸브(41)는 볼밸브로서, 밸브 장착부(43) 안에 승강 가능하게 수납되며, 자중에 의해 통공(18)을 폐쇄하고 상층 배수로(11)에 집수되는 오수의 양에 의해 상승하여 통공(18)을 개방할 수 있다.
다르게는 볼밸브(41) 상부에 볼밸브(41)를 통공(18)의 폐쇄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코일스프링(46)이 적용된다.
코일스프링(46)은 밸브 장착부(43) 내부에 삽입되며 밸브(41)의 상부에서 덮개(45)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밸브(41)를 통공(18)으로 밀어 밸브(41)에 의해 통공(18)의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코일스프링(46)의 탄성력을 이기는 수압이 작용되면 밸브(41)가 상승하여 통공(18)이 개방된다.
코일스프링(46)이 적용되는 경우 코일스프링(46)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텐션조절판(47)이 부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텐션조절판(47)은 밸브 장착부(43)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덮개(45)의 저부에 배치되어 코일스프링(46)을 지지하며, 덮개(45)를 기준으로 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코일스프링(46)의 텐션을 조절하고, 예를 들어 덮개(45)에 승강봉(48)이 나사 체결되고 이 승강봉(48)의 하부에 텐션조절판(47)이 연결되며, 텐션조절판(47)은 승강봉(48)의 승강에 의해 승강하여 코일스프링(46)의 텐션을 조절한다.
제2드레인관(42)은 일측이 하층 배수로(12)의 바닥부를 관통하는 한편 타측이 하수계통에 연결되어 하층 배수로(12)에 집수되는 오수를 하수계통으로 드레인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2드레인부(40)는 배수 덕트(10)의 길이방향 양측 중에서 어느 일측 단부[통공(18)은 반대쪽 단부에 형성됨]의 1개소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2 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2개 이상인 경우 제1드레인부(30)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드레인부(40)는 덕트 본체(13) 대신 소켓(15)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즉, 소켓은 제1드레인부(30)가 갖추어지는 소켓과 제2드레인부(40)가 갖추어지는 소켓으로 구분된다.
상층 배수로(11)와 하층 배수로(12)는 각각 바닥부가 제1드레인부(30)와 제2드레인부(40)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의 작용을 설명한다.
공동주택의 바닥을 따라 흐르는 오수는 그레이팅(20)의 홀을 통과하여 배수 덕트(10)의 상층 배수로(11)에 집수된다.
상층 배수로(11)에 집수된 오수는 제1드레인부(30)를 향해 흐르다가 이물질 수거망(34)에서 낙하하여 제1드레인관(33)을 통해 하수계통으로 드레인된다.
한편, 오수의 양이 많아지거나 제1드레인부(30)의 폐색 등이 발생되어 상층 배수로(11)에 오수가 만수위로 집수되면 밸브(41)가 상승하여 통공(18)이 개방된다.
통공(18)이 개방됨에 따라 상층 배수로(11) 내부의 오수가 통공(18)을 통해 하층 배수로(12)로 배출되며, 하층 배수로(12)를 따라 흐르다가 제2드레인관(42)을 통해 하수계통으로 드레인된다. 따라서, 제1드레인부(30)가 막히거나 제1드레인부(30)의 드레인 용량 이상의 오수가 집수되더라도 제2드레인부(40)를 통해 드레인이 이루어지므로 공동주택의 바닥의 침수를 막을 수 있다.
10 : 배수 덕트, 11 : 상층 배수로
12 : 하층 배수로, 13 : 덕트 본체
14 : 바닥판, 15 : 소켓
16 : 바닥 지지부, 17 : 좌우 지지부
18 : 통공, 20 : 그레이팅
30 : 제1드레인부, 31 : 집수판
32 : 드레인공, 33 : 제1드레인관
40 : 제2드레인부, 41 : 밸브
42 : 제2드레인관, 43 : 밸브 장착부
44 : 유입부, 45 : 덮개
46 : 코일스프링, 47 : 텐션조절판
48 : 승강봉,

Claims (3)

  1. 좌우 수직부와 중앙의 격벽 및 저부의 바닥부에 의해 상기 격벽을 중심으로 하여 상층 배수로(11)와 하층 배수로(12)가 상하로 구획되고, 상기 격벽에 상기 상층 배수로와 하층 배수로를 연결하는 통공(18)이 형성되는 배수 덕트(10)와;
    상기 배수덕트의 상층 배수로와 하층 배수로 중 일측 이상에 연결되어 상층 배수로와 하층 배수로에 집수되는 오수를 하수계통으로 드레인하는 드레인부와;
    상기 배수덕트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레이팅(20)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덕트는 좌우 수직부와 중앙의 격벽에 의해 "H"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연쇄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이상의 덕트 본체(13), 상기 덕트 본체들의 저부에 결합되어 하층 배수로를 형성하는 바닥판(14), 상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을 저부에서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와 이 바닥 지지부의 양측에서 각각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덕트 본체들의 좌우 수직부를 외부에서 덮어 누수를 차단하는 좌우 지지부로 이루어져 이웃하는 덕트 본체들을 연결하는 소켓(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배수덕트에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상부가 상기 상층 배수로와 통하도록 형성되는 한편 하부가 하수계통과 연결되어 상층 배수로에 집수되는 오수를 상기 하층 배수로를 거치지 않고 드레인하는 제1드레인관(33), 상기 상층 배수로에 형성되며 상기 통공을 폐쇄하다가 상기 상층 배수로에 일정량의 오수가 집수되면 상기 통공을 개방하는 밸브(41),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하층 배수로에 집수되는 오수를 상기 하수계통으로 드레인하는 제2드레인관(40)을 포함하고, 이에 의하여 평상시 상기 밸브에 의해 상기 통공이 폐쇄되어 상기 제1드레인관을 통해 상층 배수로에 집수된 오수를 드레인하고, 상기 상층 배수로에 일정량 이상의 오수가 집수되면 상기 밸브에 의해 상기 통공이 개방되어 제2드레인관을 통해 오수를 드레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
  3. 삭제
KR1020160004367A 2016-01-13 2016-01-13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 KR101632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367A KR101632899B1 (ko) 2016-01-13 2016-01-13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367A KR101632899B1 (ko) 2016-01-13 2016-01-13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899B1 true KR101632899B1 (ko) 2016-06-23

Family

ID=56353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367A KR101632899B1 (ko) 2016-01-13 2016-01-13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8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251B1 (ko) * 2021-02-19 2021-08-31 주식회사 대명기술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발코니용 조립식 배수시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4760A (ja) * 1992-02-04 1993-08-24 Norihiro Umezawa 複合機能型側溝
KR100587626B1 (ko) 2005-11-14 2006-06-08 주식회사 평화티씨엠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수 그레이팅 어셈블리 소음방지구조
KR20070044408A (ko) * 2007-03-13 2007-04-27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효율적인 배수가 가능하며 그 구조강도가 개선되는인공지반의 배수구조
KR20110034755A (ko) * 2009-09-29 2011-04-06 장해철 드레인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4760A (ja) * 1992-02-04 1993-08-24 Norihiro Umezawa 複合機能型側溝
KR100587626B1 (ko) 2005-11-14 2006-06-08 주식회사 평화티씨엠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수 그레이팅 어셈블리 소음방지구조
KR20070044408A (ko) * 2007-03-13 2007-04-27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효율적인 배수가 가능하며 그 구조강도가 개선되는인공지반의 배수구조
KR20110034755A (ko) * 2009-09-29 2011-04-06 장해철 드레인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251B1 (ko) * 2021-02-19 2021-08-31 주식회사 대명기술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발코니용 조립식 배수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13932B1 (ru) Сборный модульный дом из конструкций из формованного под давлением порошка
KR101085466B1 (ko) 건축구조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EP1801319A1 (de) Hygienehaus
RU2677504C2 (ru) Концептуальное здание, вертикальный канальный элемент и способ адаптивной компоновки пространств внутри здания
KR101893097B1 (ko) 결로수 배출이 용이한 물탱크
KR101632899B1 (ko)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
KR101321992B1 (ko) 블록식 우수 저류조
KR100969552B1 (ko) 지하수위 조절 집배수장치
KR100564921B1 (ko) 하수도관 맨홀
RU2656405C2 (ru) Станция перекач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1878321B1 (ko) 건축물 지하 주차장 배수 시설
CN113453859A (zh) 用于浅层应用的流体地下管理用模块和组件
JP6768436B2 (ja) 排水チャンバー
KR101787567B1 (ko) 건축물 옥상 패널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64208B1 (ko)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
KR101701804B1 (ko) 공동주택의 드레인 환경 개선용 배관라인
KR101986294B1 (ko) 수질 정화용 여과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029164B1 (ko) 초기우수 배제 장치
KR200436063Y1 (ko) 슬러리피트가 구비된 돈사
KR20100124231A (ko) 곡선교량의 배수로용 집수구
KR101951558B1 (ko) 전자 제품과 연동되는 건축물의 폐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595221B1 (ko) 건습식 복합형 조립식 콘크리트 맨홀 구조체
KR101371151B1 (ko) 밸브실
KR20050037234A (ko) 육각형탱크를 서로 집합한 다수격벽 물탱크.
KR101646902B1 (ko)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