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218B1 -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218B1
KR101744218B1 KR1020160149785A KR20160149785A KR101744218B1 KR 101744218 B1 KR101744218 B1 KR 101744218B1 KR 1020160149785 A KR1020160149785 A KR 1020160149785A KR 20160149785 A KR20160149785 A KR 20160149785A KR 101744218 B1 KR101744218 B1 KR 101744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uct
parking lot
underground parking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흠
Original Assignee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9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8Arrangement of draining devices, e.g. manual shut-of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6Large containers for use undergr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4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8Combined units with different devices; Arrangement of different devic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동주택의 지하 주차장에서 얻을 수 있는 물을 소방수로 사용하도록 급수하는 한편 화재 진화 후 지하 주차장의 노면에 고인 폐수를 신속하게 배수하여 지하 주차장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는, 지하 주차장의 경사형 진출입로의 아래쪽에 상기 진출입로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매설되는 집수덕트 본체, 상기 집수덕트 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다수의 통수공이 구비된 집수덕트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출입로의 노면을 따라 흘러내려오는 물을 집수하는 집수 덕트(10)와; 상기 집수 덕트의 일측에 연결되는 집수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집수 덕트를 통해 집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한편 상수 급수수단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물을 소방수로 하여 화재 진압을 위한 살수수단에 급수하는 급수 탱크(30)와; 상기 급수 탱크에 저장 중인 물의 저수위와 만수위를 각각 감지하는 저수위 센서(31) 및 만수위 센서(32)와; 상기 저수위 센서를 통해 물이 저수위로 감지되면 상기 상수 급수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상수 급수수단을 통해 상수가 상기 급수 탱크에 저장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만수위 센서를 통해 물이 만수위로 감지되면 상기 상수 급수수단 및 상기 집수 덕트와의 연결을 차단하는 컨트롤러(33)와; 지하 주차장의 가장자리를 따라 매설되는 배수덕트 본체 및 상기 배수덕트 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다수의 통수공이 구비된 배수덕트 덮개로 이루어지며 지하 주차장의 노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집수하여 배수하는 배수 덕트(40)와; 상기 배수 덕트를 통해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회수 탱크(50)와; 상기 지하 주차장의 주차 구역에 설치되어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여 차량의 주차를 안내하며 지하 주차장의 노면에 있는 물을 일시 저장한 후 상기 회수 탱크로 전달하는 집수 겸용 범퍼(100)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 겸용 범퍼는 상기 지하 주차장의 바닥 아래에 매설되는 매설부(110), 상기 매설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하 주차장의 노면 위로 돌출되는 범퍼부(120), 상기 범퍼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물을 저장하는 제1저장부(130), 상기 범퍼부의 둘레부에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지하 주차장이 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하 주차장 노면의 물을 상기 제1저장부로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유입공(131), 상기 매설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통공을 통해 상기 제1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제2저장부(140), 상기 제2저장부와 상기 배수 덕트를 연결하여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배수 덕트로 유도하는 유도관(1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FIRE FIGHTING WATER SUPPLY AND DRAIN APPARATUS OF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지하 주차장에서 얻을 수 있는 물을 소방수로 사용하도록 급수하는 한편 화재 진화 후 지하 주차장의 노면에 고인 폐수를 신속하게 배수하여 지하 주차장의 오염을 방지하는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가구가 밀집되어 생활하는 공동주택 및 아파트의 급수방식은 수돗물이나 지하수를 고층 옥상에 있는 물탱크로 올려 보낸 후 저장하고, 각 가구로 내려보내어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이때, 보통은 동일 물탱크를 이용하여 가구 및 지하 주차장 내 스프링클러 설비와 연결시켜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소화설비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스프링클러 설비는 배관의 내부에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가압수가 항상 충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프링 클러 헤드의 감열부가 화재로 인해 개방되면, 배관의 가압수가 방출되면서 유수 검지장치인 알람밸브 조립체가 작동하여 경보가 발생하고, 이와 함께 가압 송수장치가 구동되어 소화수가 스프링클러 헤드를 통해 연속적으로 살수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지하 주차장은 주거 공간이 아니지만 주거 공간의 소방설비와 같이 운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지하 주차장에 배수시설이 마련되어 있지만 폐소방수의 신속한 배수를 위한 시설이 아니기 때문에 화재 진화에 사용된 소방수의 신속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지하 주차장의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66226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동주택의 지하 주차장에서 얻을 수 있는 물을 소방수로 사용하도록 급수하는 한편 화재 진화 후 지하 주차장의 노면에 고인 폐수를 신속하게 배수하여 지하 주차장의 오염을 방지하는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는, 지하 주차장의 경사형 진출입로의 아래쪽에 상기 진출입로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매설되는 집수덕트 본체, 상기 집수덕트 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다수의 통수공이 구비된 집수덕트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출입로의 노면을 따라 흘러내려오는 물을 집수하는 집수 덕트와; 상기 집수 덕트의 일측에 연결되는 집수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집수 덕트를 통해 집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한편 상수 급수수단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물을 소방수로 하여 화재 진압을 위한 살수수단에 급수하는 급수 탱크와; 상기 급수 탱크에 저장 중인 물의 저수위와 만수위를 각각 감지하는 저수위 센서 및 만수위 센서와; 상기 저수위 센서를 통해 물이 저수위로 감지되면 상기 상수 급수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상수 급수수단을 통해 상수가 상기 급수 탱크에 저장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만수위 센서를 통해 물이 만수위로 감지되면 상기 상수 급수수단 및 상기 집수 덕트와의 연결을 차단하는 컨트롤러와; 지하 주차장의 가장자리를 따라 매설되는 배수덕트 본체 및 상기 배수덕트 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다수의 통수공이 구비된 배수덕트 덮개로 이루어지며 지하 주차장의 노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집수하여 배수하는 배수 덕트와; 상기 배수 덕트를 통해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회수 탱크와; 상기 지하 주차장의 주차 구역에 설치되어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여 차량의 주차를 안내하며 지하 주차장의 노면에 있는 물을 일시 저장한 후 상기 회수 탱크로 전달하는 집수 겸용 범퍼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 겸용 범퍼는 상기 지하 주차장의 바닥 아래에 매설되는 매설부, 상기 매설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하 주차장의 노면 위로 돌출되는 범퍼부, 상기 범퍼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물을 저장하는 제1저장부, 상기 범퍼부의 둘레부에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지하 주차장이 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하 주차장 노면의 물을 상기 제1저장부로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유입공, 상기 매설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통공을 통해 상기 제1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제2저장부, 상기 제2저장부와 상기 배수 덕트를 연결하여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배수 덕트로 유도하는 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에 의하면, 공동주택의 지하 주차장의 경사형 진출입로를 통해 자연스럽게 모이는 물을 소방수로 급수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고, 아울러, 화재 진화 후 지하 주차장의 노면에 고인 폐수를 집수겸용 범퍼를 통해 일시 저장하여 배수 계통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신속한 배수가 가능하여 폐소방수에 의한 지하 주차장의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에 적용된 집수겸용 범퍼와 배수 덕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에 적용된 집수겸용 범퍼와 배수 덕트의 시공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에 적용된 집수겸용 범퍼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에 적용된 집수겸용 범퍼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정면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는, 공동 주택의 지하에 시공되는 지하 주차장의 하향 경사형 진출입로(1)의 아래쪽에 진출입로(1)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진출입로(1)를 따라 흘려 내려오는 물을 집수하는 집수 덕트(10), 집수 덕트(10)와 연결되어 집수 덕트(10)에 집수된 물을 급수하는 집수관(20), 지하 주차장에 설치되며 집수관(20)과 연결되어 집수 덕트(10)에 의해 집수된 물을 저장 및 화재 진압을 위한 살수수단(2)에 급수하는 급수 탱크(30), 지하 주차장의 노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회수하는 배수 덕트(40), 지하 주차장에 마련되며 배수 덕트(40)에 의해 회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회수 탱크(50), 지하 주차장의 노면에 있는 물을 일시 저장 및 배수 덕트(40)에 공급하는 한편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는 집수겸용 범퍼(100)로 구성된다.
집수 덕트(10)는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공간을 갖는 집수덕트 본체 및 상기 집수덕트 본체의 상측 개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집수덕트 덮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집수덕트 본체는 진출입로(1)의 아래쪽 노면에 노면보다 낮은 높이로 매설되고, 바닥면은 집수관(20)이 연결되는 곳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집수덕트 덮개는 진출입로(1)를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상기 집수덕트 본체에 집수하기 위하여 다수의 통수공이 구비된 망 구조일 수 있다.
집수관(20)은 집수 덕트(10)와 급수 탱크(30)를 연결하여 집수 덕트(10)를 통해 집수되는 물을 급수 탱크(30)에 급수한다.
집수관(20)은 주름관 등 다양한 관이 사용 가능하며 집수 덕트(10)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망이 구비된다.
집수관(20)은 밸브(21)를 통해 개폐되며, 급수 탱크(30)에 물이 만수위로 저장되면 밸브(21)를 폐쇄하여 물이 저장되지 않도록 한다.
급수 탱크(30)는 집수관(20)을 통해 급수되는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살수수단에 급수한다. 물을 살수수단에 급수(펌프에 의한 급수)하는 것은 공지의 소방수 급수수단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급수 탱크(30)는 집수 덕트(10)를 통해 집수되는 물의 양이 적더라도 충분한 양의 소방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수 급수수단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급수 탱크(30)에는 저수위 센서(31)와 만수위 센서(32)가 갖추어지며, 급수 탱크(30)는 상수 급수수단과 상수 급수관(34)을 통해 연결된다. 이 상수 급수관(34)은 상수 밸브(35)에 의해 개폐된다.
컨트롤러(33)는 저수위 센서(31)와 만수위 센서(32)를 통해 저수위와 만수위를 판단한다. 또한, 컨트롤러(33)는 저수위 센서(31)에 의해 저수위로 판단하면 상수 밸브(35)를 열어 상수가 상수 급수관(34)을 통해 급수 탱크(30)에 급수되도록 한다.
한편, 컨트롤러(33)는 만수위 센서(32)에 의해 급수 탱크(30) 내부의 물을 만수위로 판단하면 상수 급수관(34)의 상수 밸브(35)를 폐쇄하고 또한 집수관(20)의 밸브(21)를 폐쇄한다.
물론, 급수 탱크(30)에서 물을 소방수로 하여 살수수단(2)에 급수함으로써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밸브(21,35)를 열어 물을 보충하며, 이때는 집수관(20)과 상수 급수관(34)의 동시 급수 등 다양한 급수가 가능하다.
한편, 집수 탱크(30)는 정화실(36)과 급수실(37)로 구획되며, 정화실(36)에는 집수관(20)이 연결되어 집수 덕트(10)를 통해 집수된 물이 일시 저장 및 정화되고, 급수실(37)은 정화실(36)에서 정화된 물(상등수)과 상수 급수관(34)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수가 저장 및 살수수단(2)에 급수된다.
정화실(36)은 집수관(20)에서 집수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침전을 통해 정화하여 상등수를 오버플로우 유로[정화실(36)과 급수실(37)을 구획하는 격벽의 상부에 형성]를 통해 급수실(37)에 공급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 활성탈 필터 등이 충진될 수 있다.
배수 덕트(40)는 지하 주차장의 가장자리를 따라 매설되는 배수덕트 본체(41) 및 배수덕트 본체(41)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다수의 통수공이 구비된 배수덕트 덮개(42)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배수 덕트(40)는 집수겸용 범퍼(100)와 연결되어 집수겸용 범퍼(100)에 저장된 물을 회수 탱크(50)로 유도 배수한다.
회수 탱크(50)는 배수 덕트(40)를 통해 유도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며, 내부에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제, 필터 등 여과수단, 상등수의 배수를 위한 1단 이상의 상등수 배수구가 갖추어지고, 부가적으로 상등수 배수구보다 낮은 높이 바람직하게 바닥쪽에 이물질 배출구가 갖추어질 수 있다. 상기 상등수 배수구는 급수 탱크(30)와 관로로 연결되어 상등수를 급수 탱크(30)에 급수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등수의 급수는 수위차를 이용한 방식, 펌프에 의한 방식 모두가 가능하다.
또한, 회수 탱크(50)에는 내부의 이물질과 물을 강제로 배수하여 빈 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드레인관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관은 밸브에 의해 개폐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집수겸용 범퍼(100)는 지하 주차장의 노면에 있는 물을 일시 저장 및 배수 덕트(40)에 급수하는 기능과 지하 주차장의 주차 구역에 설치되어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는 범퍼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며, 기능에 맞춰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이 구조는 매설부(110), 범퍼부(120), 제1저장부(130), 제2저장부(140) 및 유도관(150)의 장방형 일체 구조이다.
매설부(110)는 지하 주차장의 노면 밑에 매설되어 범퍼부(120)를 지지하고 뿐만 아니라 내부에 제2저장부(140)가 형성되어 제1저장부(130)로부터 낙하하는 물을 저장한다.
범퍼부(120)는 매설부(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설치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지하 주차장의 노면보다 돌출되고 돌출 높이는 통상 범퍼와 동일하다.
범퍼부(120)는 내부에 제1저장부(130)가 형성되며, 아울러, 지하 주차장의 노면의 물을 제1저장부(130)로 유도하기 위하여 둘레부에 제1저장부(130)와 지하 주차장의 노면이 통하도록 하나 이상의 유입공(131)이 형성된다.
유입공(131)은 범퍼부(120)의 양쪽 긴 면 모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론, 좌우 양쪽의 작은 면에도 형성 가능하고,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대개 차량의 좌우 바퀴에 맞춰 2개의 범퍼부(120)가 구성되며, 바람직하게 1개의 매설부(110)의 상부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의 범퍼부(120)가 구성될 수 있다.
유도관(150)은 제2저장부(140)와 배수 덕트(4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이며, 제2저장부(140)에 저장된 물을 배수 덕트(140)로 유도 배수하고, 원활한 유도 배수를 위하여 배수 덕트(40)를 향해 가면서 하향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도관(150)은 제2저장부(140)에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제2저장부(140)의 바닥보다 위쪽에 배치된다.
또한, 유도관(150)의 위치에 따라 제2저장부(140)에는 물이 고이게 될 것이고, 이 물의 부패로 인하여 지하 주차장을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제2저장부(140)의 바닥에는 배수 덕트(40)와 연결되는 드레인관(151)이 형성된다. 단, 드레인관(151)은 유도관(150)보다 작은 통수면적을 갖는 관으로 구성되어 제2저장부(140)에 많은 양의 물이 저장되도록 한다.
집수겸용 범퍼(100)는 유입공(131)을 통해 물을 유입하여 저장 및 배수 덕트(40)로 유도하는 것은 물론 배수 덕트(40)에서 이동하는 물도 저장 가능하며, 따라서, 지하 주차장에 저장조를 확충하여 화재 진화를 위한 소방수가 지하 주차장의 노면을 오염시키는 것을 막아 주고 이로 인한 차량의 손상도 막아 준다.
도 4는 집수겸용 범퍼(100)의 다른 예로서, 매설부(110)와 범퍼부(120)는 조립 가능하도록 분할 구성되며, 매설부(110)의 제2저장부(140)의 내부에 활성탄 필터(160)가 수납되는 형태이다.
매설부(110)는 지하 주차장 바닥에 고정되도록 둘레부에 전단키 등이 갖추어짐으로써 몰탈에 의해 일체로 합성되어 설치되고, 범퍼부(120)는 스크류 등을 통해 매설부(11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4의 형태의 경인 도면에서는 매설부(110)들이 떨어져 있는 것 즉, 1개 주차 구역에 있는 집수겸용 범퍼(100)들이 독립적으로 배수 덕트(40)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2개 주차 구역 이상에 설치되는 2개 이상의 매설부(110)는 서로 연결되는 일체형도 가능하고, 모든 매설부(110)들이 연결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활성탄 필터(160)는 그물망 안에 충진되어 사용된다.
활성탄 필터(160)는 오염도에 따라 세척이나 교체를 필요로 하며, 범퍼부(120)를 매설부(110)에서 분리하면 매설부(110)에서 활성탄 필터(160)를 꺼낼 수 있으며, 활성탄 필터(160)를 세척한 후 다시 수납하거나 새것으로 수납하여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5는 집수겸용 범퍼(100)의 저장능력을 높게 하기 위한 것이며, 집수겸용 범퍼(100)의 제1저장부(130)에는 물 저장관(170)이 적용된다.
물 저장관(170)은 주름형 관이며 즉 접힌 상태로 제1저장부(13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저장부(130)에 많은 양의 물이 저장되는 경우 펼쳐지면서 저장공간을 확보하여 더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한다.
물 저장관(170)은 제1저장부(130)의 좌우 양쪽에 각각 유입공(131)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설치되며, 도 5의 상부와 같이 평상시에는 접혀 제1저장부(13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아니하고, 물의 양이 많아지는 경우 펼쳐지면서 범퍼부(1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저장공간을 확보한다. 물이 배수되어 물 저장관(170)에 물이 없으면 관리자가 강제로 밀어 넣을 수 있고, 또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접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지하 주차장의 진출입로(1)를 통해서는 우수 등의 물이 집수 덕트(10)를 향해 흘러내리고, 집수 덕트(10)를 통해 집수된 후 급수 탱크(30)에 저장된다.
급수 탱크(30)가 정화실(36)과 급수실(37)로 구성된 경우 집수관(20)에서 공급되는 물은 정화실(36)을 통해 정화된 후 급수실(37)로 이동된 후 살수수단(2)에 급수된다.
화재시 살수수단(2)은 급수 탱크(30)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살수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이 과정에서 많은 양의 물이 지하 주차장의 노면에 고이게 된다.
지하 주차장의 노면에 있는 물은 구배를 통해 배수 덕트(40)로 이동되어 배수 덕트(40)를 통해 회수 탱크(50)에 회수되고, 아울러, 일부 물은 집수겸용 범퍼(100)의 유입공(131)을 통해 제1저장부(130) 안에 유입되고 이어서 제2저장부(140)로 낙하되어 저장된다.
제2저장부(140)에서 물을 저장하는 만큼 배수 덕트(40)의 부담이 줄어들게 되므로 배수 덕트(40)를 통해 신속한 배수가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 소방수로 인한 지하 주차장의 오염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진출입로, 2 : 살수수단
10 : 집수 덕트, 20 : 집수관
30 : 급수 탱크, 40 : 배수 덕트
50 : 회수 탱크, 100 : 집수겸용 범퍼
110 : 매설부, 120 : 범퍼부
130 : 제1저장부, 140 : 제2저장부
150 : 유도관, 160 : 활성탄 필터
170 : 물 저장관,

Claims (3)

  1. 지하 주차장의 경사형 진출입로의 아래쪽에 상기 진출입로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매설되는 집수덕트 본체, 상기 집수덕트 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다수의 통수공이 구비된 집수덕트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출입로의 노면을 따라 흘러내려오는 물을 집수하는 집수 덕트(10)와;
    상기 집수 덕트의 일측에 연결되는 집수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집수 덕트를 통해 집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한편 상수 급수수단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물을 소방수로 하여 화재 진압을 위한 살수수단에 급수하는 급수 탱크(30)와;
    상기 급수 탱크에 저장 중인 물의 저수위와 만수위를 각각 감지하는 저수위 센서(31) 및 만수위 센서(32)와;
    상기 저수위 센서를 통해 물이 저수위로 감지되면 상기 상수 급수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상수 급수수단을 통해 상수가 상기 급수 탱크에 저장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만수위 센서를 통해 물이 만수위로 감지되면 상기 상수 급수수단 및 상기 집수 덕트와의 연결을 차단하는 컨트롤러(33)와;
    지하 주차장의 가장자리를 따라 매설되는 배수덕트 본체 및 상기 배수덕트 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며 다수의 통수공이 구비된 배수덕트 덮개로 이루어지며 지하 주차장의 노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집수하여 배수하는 배수 덕트(40)와;
    상기 배수 덕트를 통해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회수 탱크(50)와;
    상기 지하 주차장의 주차 구역에 설치되어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여 차량의 주차를 안내하며 지하 주차장의 노면에 있는 물을 일시 저장한 후 상기 회수 탱크로 전달하는 집수 겸용 범퍼(100)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 겸용 범퍼는 상기 지하 주차장의 바닥 아래에 매설되는 매설부(110), 상기 매설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하 주차장의 노면 위로 돌출되는 범퍼부(120), 상기 범퍼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물을 저장하는 제1저장부(130), 상기 범퍼부의 둘레부에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지하 주차장이 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하 주차장 노면의 물을 상기 제1저장부로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유입공(131), 상기 매설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통공을 통해 상기 제1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제2저장부(140), 상기 제2저장부와 상기 배수 덕트를 연결하여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배수 덕트로 유도하는 유도관(15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집수 겸용 범퍼의 매설부와 범퍼부는 조립 가능하도록 분할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제2저장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되는 물을 정화하는 활성탄 필터가 수납되고,
    상기 집수겸용 범퍼의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제1저장부와 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된 물에 의해 펼쳐지면서 상기 집수겸용 범퍼의 외부로 돌출되는 주름형 물 저장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60149785A 2016-11-10 2016-11-10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 KR101744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785A KR101744218B1 (ko) 2016-11-10 2016-11-10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785A KR101744218B1 (ko) 2016-11-10 2016-11-10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218B1 true KR101744218B1 (ko) 2017-06-08

Family

ID=59220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785A KR101744218B1 (ko) 2016-11-10 2016-11-10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2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126B1 (ko) * 2018-08-23 2019-04-11 (주)골드이엔지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
CN109630891A (zh) * 2019-02-15 2019-04-16 无锡锦绣轮毂有限公司 生物菌设备水箱清理用管路结构
CN110925918A (zh) * 2019-12-10 2020-03-27 安庆师范大学 一种计算机机房安全预防系统
CN113540662A (zh) * 2020-03-31 2021-10-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包及其电池托盘、车辆
CN113550380A (zh) * 2021-06-16 2021-10-26 广州市机电安装有限公司 一种装配式喷水灭火系统及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715B1 (ko) * 2011-10-04 2013-08-08 이문기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662267B1 (ko) * 2016-05-16 2016-10-05 (주)동화이엔씨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715B1 (ko) * 2011-10-04 2013-08-08 이문기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662267B1 (ko) * 2016-05-16 2016-10-05 (주)동화이엔씨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126B1 (ko) * 2018-08-23 2019-04-11 (주)골드이엔지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
CN109630891A (zh) * 2019-02-15 2019-04-16 无锡锦绣轮毂有限公司 生物菌设备水箱清理用管路结构
CN110925918A (zh) * 2019-12-10 2020-03-27 安庆师范大学 一种计算机机房安全预防系统
CN110925918B (zh) * 2019-12-10 2020-12-15 安庆师范大学 一种计算机机房安全预防系统
WO2021115170A1 (zh) * 2019-12-10 2021-06-17 安庆师范大学 一种计算机机房安全预防系统
CN113540662A (zh) * 2020-03-31 2021-10-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包及其电池托盘、车辆
CN113550380A (zh) * 2021-06-16 2021-10-26 广州市机电安装有限公司 一种装配式喷水灭火系统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218B1 (ko)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
KR101662267B1 (ko)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
CA2711427C (en) Rainwater collection and redistribution system
US5863151A (en) Rainwater saver system
US9890520B2 (en) Water capture device for storage and distribution
US7614192B2 (en) Building drainage system
KR101555447B1 (ko) 빗물 처리 및 이용장치
US7374669B2 (en) Vacuum waste removal system
KR101670792B1 (ko) 공동주택용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KR101828079B1 (ko)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
KR101230015B1 (ko) 빗물을 재활용하는 야외 화장실용 급수 시설
JP2008002258A (ja) 排水システム
KR101878321B1 (ko) 건축물 지하 주차장 배수 시설
EP1693524B1 (en) Stormwater flow control
WO2010142950A1 (en) Rainwater harvesting system
JP2011038295A (ja) 雨水排水構造
CN208363178U (zh) 用于超高层建筑的雨水收集和排水系统
GB2496729A (en) Rainwater harvesting system
TWM484600U (zh) 排水系統的匯流存水彎頭結構
KR101069826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KR102392836B1 (ko) 섬유상 및 입상여재의 다단구조 여재층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CN215025490U (zh) 一种油库用泡沫液降落槽
JPH0344842Y2 (ko)
AU2006201568A1 (en) Water diverter
JP2002309628A (ja) 雨水貯留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