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079B1 -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 - Google Patents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079B1
KR101828079B1 KR1020160169903A KR20160169903A KR101828079B1 KR 101828079 B1 KR101828079 B1 KR 101828079B1 KR 1020160169903 A KR1020160169903 A KR 1020160169903A KR 20160169903 A KR20160169903 A KR 20160169903A KR 101828079 B1 KR101828079 B1 KR 101828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nhole
rainwater
storm
ini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병열
Original Assignee
곽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병열 filed Critical 곽병열
Priority to KR1020160169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07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 B01D24/4823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drying
    • B01D24/483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drying by compre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10Dividing the first rain flush out of the stormwater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에 관한 것으로, 우수 맨홀에서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여과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우수 저장조에 양질의 우수를 저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은, 우수 유입구와 우수 방류구가 구비되며 내부가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맨홀 본체(10)와; 상기 맨홀 본체의 내부에 세워져 상기 맨홀 본체 내부를 상기 우수 유입구 및 우수 방류구와 각각 대응하는 집수부(11)와 배출부(12)로 구획하고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우수를 오버플로우에 의해 상기 배출부로 유도하는 칸막이(20)와; 상기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집수부 내부의 우수를 우수 저장조로 직접 유도(또는 초기우수 배제장치를 이용한 간접 유도)하는 저장수 유도관(30)과; 상기 저장수 유도관의 내부에 적용되며 상기 저장수 유도관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재(40)와; 상기 여과재를 가압하거나 상기 여과재를 상기 저장수 유도관 내부에서 흔들어 상기 여과재에 여과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청소부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RAIN WATER MANHOLE FOR EXCLUSION FIRST RAIN AND RAINWATER RECYCLING EQUIPMENT INCLUDING THIS SAME}
본 발명은 우수 맨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 맨홀에서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여과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우수 저장조에 양질의 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수자원 고갈, 지역별 수자원 편차 및 오염의 심화 등으로 물의 위기가 도래하고 있고, 향후 물 부족 문제가 점차 심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물 부족 현상의 해결을 위한 일환으로 우수의 가치가 주목을 받고 있다.
빗물이용시설은 전국적으로 설치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 법적 대상 시설 외에도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초기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배제된 빗물은, 살균이나 소독이 불필요한 깨끗한 물이며 일반적으로 음용수로는 사용되어지지 않고 청소용수 및 조경용수, 소방용수, 화장실용수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어 짐으로써 물 부족에 대한 좋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요구에 맞게 빗물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고 이용할 수 있는 기술들이 많이 개발되어 지고 있는 실정이며, 초기우수의 배제방법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알 수 있다.
빗물 집수면에 축적된 곤충의 사체나 낙엽, 황사등의 각종 이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처리하는 방법은, 초기 우수를 우수관거 등으로 직접 배제하는 방법과, 초기우수 저장조를 따로 구비하여 집수한 후 이를 여과 등의 공정을 거쳐 처리하는 방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별도의 저장시설과 공간이 필요하다.
한편, 본 출원인은 초기우수 배제와 관련된 특허(특허 제10-1604465호, 특허 제10-1334423호)를 보유하고 있다. 전술한 특허는 우수를 건축물의 옥상, 공중에서 직접 공급받아 초기우수를 배제한 후 우수 저장조에 저장하는 기술로서, 양질의 청정우수를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물 부족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계량수의 집수와 초기 우수의 배출 및 청정우수의 유도를 위한 모든 구성이 집수탱크에 일체화되어 간단하고 쉽게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므로 보급의 활성화가 가능하고, 산간지역이나 도서지역처럼 운반과 시공이 어려운 지역과 전력공급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지중 우수 관로를 이용하는 빗물이용기술도 있으며, 종래 기술에 의한 지중 빗물이용기술은 대개 지중 우수관로와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우수 맨홀 및 우수를 저장하는 우수 저장조로 구성되며, 단지 우수를 우수 저장조에 저장하기 위한 관로 구성이기 때문에 우수 저장조에 오염도가 높은 우수가 저장되고, 우수 저장조 안에서 오염도가 높아져 우수 저장조에 저장된 우수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허 제10-078637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수 맨홀에서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여과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우수 저장조에 양질의 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은, 우수 유입구와 우수 방류구가 구비되며 내부가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맨홀 본체와; 상기 맨홀 본체의 내부에 세워져 상기 맨홀 본체 내부를 상기 우수 유입구 및 우수 방류구와 각각 대응하는 집수부와 배출부로 구획하고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우수를 오버플로우에 의해 상기 배출부로 유도하는 칸막이와; 상기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집수부 내부의 우수를 우수 저장조로 유도하는 저장수 유도관과; 상기 저장수 유도관의 내부에 적용되며 상기 저장수 유도관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재와; 상기 여과재를 가압하거나 상기 여과재를 상기 저장수 유도관 내부에서 흔들어 상기 여과재에 여과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청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에 의하면, 우수 맨홀을 격벽에 의해 집수부와 배출부로 구분하고, 집수부에 모인 우수를 저장수 유도관을 통해 여과하여 1차로 여과된 우수를 초기우수 배제장치에 급수함으로써 초기우수 배제장치의 여과 부담이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초기우수 배제장치에서 여과율을 높여 정화도가 높은 정화수를 우수 저장조에 저장하므로 빗물자원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이 적용된 우수 이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에 적용된 저장수 유도관과 청소부재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에 적용된 청소부재의 다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이 적용된 우수 이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의 일부 절결 사시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100)은, 우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우수를 방류수로 하여 하천 등에 방류하는 한편 우수를 우수 저장조(200)로 유도하는 맨홀 본체(10), 맨홀 본체(10) 내부에 세워지며 맨홀 본체(10) 내부를 집수부(11)와 배출부(12)로 구획하되 집수부(11)에 유입된 우수가 오버플로우를 통해 배출부(12)로 넘어하도록 하는 칸막이(20), 맨홀 본체(10)의 집수부(11)에 유입되는 우수를 우수 저장조(200)로 유도하는 저장수 유도관(30), 저장수 유도관(30)을 통해 우수 저장조(200)로 유도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재(40), 여과재(40)에 의해 여과된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부재(50,60)로 구성된다.
맨홀 본체(10)는 예컨대, 콘크리트체로서[재질은 콘크리트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재질(철, 합성수지 등)이 가능하다], 유지보수를 위하여 상부가 개방되며 물론, 뚜껑(13)에 의해 개폐된다.
맨홀 본체(10)는 우수 유입구(14)와 우수 방류구(15)가 구비되며, 우수 유입구(14)와 우수 방류구(15)에는 우수 유입관(1)과 우수 방류관(2)이 각각 연결된다.
우수 유입구(14)는 칸막이(20)에 의해 구획된 집수부(11)와 통하도록 구성되어 우수를 유입부(12)에 유입하고, 우수 방류구(15)는 칸막이(20)에 의해 구획된 배출부(12)와 통하도록 구성되어 우수를 우수 방류관(2)으로 유도한다.
이러한 우수의 흐름에 맞춰 우수 유입구(14)는 우수 방류구(15) 보다 높은 위치에 하며, 바람직하게 우수 유입구(14)는 맨홀 본체(10)의 상부쪽에, 우수 방류구(15)는 맨홀 본체(10)의 바닥쪽에 배치된다.
칸막이(20)는 우수 유입구(14)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를 저장수 유도관(30)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맨홀 본체(10) 내부를 집수부(11)와 배출부(12)로 구획하는 것이며, 상단 높이는 저장수 유도관(30)의 입구보다는 높지만 우수 유입구(14)보다는 낮게 배치되어 우수를 저장수 유도관(30)으로 유도하면서 일부 우수가 배출부(12)로 넘어가도록 한다.
또한, 칸막이(20)는 저부에 하나 이상의 통공(21)이 구비되며, 이 통공(21)을 통해 집수부(11)의 바닥부에 있는 잔류수와 이물질을 배출부(12)로 유도한다. 즉, 적은 양의 우수[저장수 유도관(30)의 유입부보다 낮은 수위의 물]가 유입되는 경우 이 잔류수는 통공(21)을 통해 배출부(12)로 유동한 후 방류한다.
저장수 유도관(30)은 맨홀 본체(10)의 집수부(11)에 유입되는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부(31), 유입부(31)를 통해 유입된 우수를 우수 저장조(200)로 유도하는 유도부(32)로 구성되며, 부가적으로 유입부(31)에 설치되는 다공성 여과판(33)을 포함하는 엘보우 형태의 관이다. 또한, 저장수 유도관(30)은 청소부재(50)의 수용을 위하여 유입부(31)의 직상부에 청소부재(50)가 수용되는 관로가 더 구비되는 T 형태도 가능하다.
유입부(31)는 맨홀 본체(10)의 우수 방류구(15)보다 높게 배치되면서 맨홀 본체(10)의 바닥을 향해 개방되어 맨홀 본체(10)의 바닥에서부터 차오르는 우수가 유입되도록 한다.
유도부(32)는 맨홀 본체(10)의 측벽을 관통하는 횡방향의 관형이며 유입부(31)에 유입되는 우수를 맨홀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켜 우수 저장조(200)로 유도한다.
다공성 여과판(33)은 유입부(31)에 설치되어 유입부(31)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이며, 여과재(40)의 여과부담을 덜어줌으로써 우수 저장조(200)에 저장되는 저장수의 정화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고, 여과재(40)의 수명도 연장하며, 청소작업도 줄이는데 도움을 준다.
저장수 유도관(30)은 청소부재(50)의 설치 등을 위하여 유입부(31)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으며, 이 개방부는 우수가 통과하지 못하는 형태의 덮개(34)를 통해 밀폐됨으로써 우수가 유입부(31)를 통해서만 유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덮개(34)에는 청소부재(50)가 관통되는 구멍이 구비되고 이 구멍을 통해서 저장수 유도관(30)에 유입된 우수가 맨홀 본체(10)로 누출되지 않고 반대로 맨홀 본체(10) 내부의 우수가 여과재(40)를 거치지 않고 유입되지 않도록 씰링 처리된다.
저장수 유도관(30)은 유지보수를 위하여 맨홀 본체(10)에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맨홀 본체(10)에 관형의 소켓을 맨홀 본체(10)의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하여 저장수 유도관(30)의 유도부(32)를 상기 소켓에 클램프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
여과재(40)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입자상 이물질)을 우수로부터 여과하는 것으로, 예컨대 스폰지, 다공성 폼, 활성탄 등이 사용된다.
여과재(40)는 저장수 유도관(30) 내부에 충진되며 다공성 여과판(33)에 의해 충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유입부(31)를 거쳐 저장수 유도관(30)의 밖으로 누출되지 않는 입도이고, 청소부재(50)를 통해 유도부(32)를 거쳐 우수 저장조(200)로 누출되지 않는다.
여과재(40)는 청소부재(5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저장수 유도관(30)에 적용되며, 가압식 청소부재(50)의 경우 가압판에 의해 충진상태가 유지되고 진동식 청소부재(60)의 경우 충진망에 의해 충진상태가 유지된다.
본 실시예는 맨홀 본체(10)의 집수부(11)에 유입된 우수를 저장수 유도관(30)을 통해 우수 저장조(200)로 유도하기 위한 급수관(18)을 포함한다.
청소부재(50,60)는 가압식 청소부재(50)(도 4), 진동식 청소부재(60)(도 5) 등이 가능하다.
가압식 청소부재(50)는 여과재(40)를 상부에서 누르는 다공성의 가압판(51), 가압판(51)의 상부에 연결되면서 맨홀 본체(10)의 뚜껑(13)을 관통하는 가압봉(52) 및 가압봉(52)의 상부[뚜껑(13)을 관통한 부분]에 형성되는 손잡이(53)로 구성된다.
가압판(51)은 여과재(4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우수가 유도부(32)를 향해 흐를 수 있도록 다공성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여과재(40)가 유도부(32)의 아래쪽에 충진되도록 설치된다. 저장수 유도관(30)의 내벽에는 가압판(51)이 설치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예컨대 링 형태의 걸림턱(35)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봉(52)은 지상에 배치되는 손잡이(53)와 지중에 배치되는 가압판(51)을 연결하는 것이며, 지상에서 작업자가 손잡이(53)를 잡고 가압할 때 가압봉(52)이 가압판(51)을 가압함으로써 가압판(51)에 의해 여과재(50)에 있는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
한편, 손잡이(53)와 가압봉(52)의 상부가 뚜껑(13)의 상부로 돌출되면 보행자와 차량의 간섭에 의해 파손되고 통행에 불편함을 주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압봉(52)은 가압판(51)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가압판(51)에는 너트부(51a)가, 가압봉(52)의 하단부에는 볼트부(52a)가 구성되어 가압봉(52)은 볼트부(52a)와 너트부(51a)를 통해 가압판(5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평상시 별도로 보관되고 청소시 가압판(51)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가압봉(52)을 가압판(51)에 조립하기 위하여 뚜껑(13)에는 작업홀(16)이 형성된다. 작업홀(16)은 가압봉(52)을 가압판(51)에 연결하기 위한 크기로 형성되고, 물론 작업홀(16)은 작업홀 덮개(17)에 의해 개폐된다. 작업홀(16)은 뚜껑(13)이 밀폐 구조인 경우에만 적용되는 것이며, 맨홀 본체(10)가 우수 유입형인 경우 뚜껑(13)이 우수의 유입홀을 갖고 있으므로 별도의 작업홀을 구성하지 않는다.
진동식 청소부재(60)는 내부에 여과재(40)가 충진되며 저장수 유도관(30)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여과재 충진망(61), 여과재 충진망(61)의 상부에 연결되면서 맨홀 본체(10)를 개폐하는 뚜껑(13)을 관통하는 진동봉(62) 및 진동봉(62)에 연결되는 손잡이(63)로 구성된다.
여과재(40)는 여과재 충진망(61) 내부에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우수에 의해 흘러가는 손실이 없으며, 저장수 유도관(30)의 내부에는 여과재 충진망(61)의 상승을 구속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진동봉(62)은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함으로써 여과재 충진망(61) 안에 충진된 여과재(40)를 흔들어 여과재(40)로부터 이물질이 떨어지도록 한다.
진동봉(62)의 상부와 손잡이(63)는 맨홀 본체(10)의 뚜껑(13) 상부로 돌출되어 전술한 가압식 청소부재(50)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일으키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진동봉(62)과 여과재 충진망(61)의 연결구조는 가압식 청소부재(50)의 가압봉(52)과 가압판(51)의 연결구조처럼 나사식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압식 청소부재(50)의 가압봉(52)과 손잡이(53)의 연결구조, 진동식 청소부재(60)의 진동봉(62)과 손잡이(63)의 연결구조는 전술한 나사식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손잡이(53)(63)를 가압봉(52)과 진동봉(62)에 각각 신축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압봉(52)과 진동봉(62)을 뚜껑(13)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하고, 손잡이(53)(63)의 저부에 가압봉(52)과 진동봉(62)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또는 가압봉과 진동봉을 덮는)되는 연결관을 형성하여 평상시 손잡이(52,53)를 별도로 보관하고, 청소시 뚜껑(13)의 작업홀을 개방한 후 손잡이(52,53)의 연결관을 넣어 가압봉(52)과 진동봉(62)에 끼움식 등을 통해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을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은, 본 실시예에 의한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100), 우수 맨홀(100)에 의해 1차로 여과된 우수를 급수받아 저장하는 우수 저장조(200)로 구성된다. 우수 저장조(200)는 지중에 매설되는 탱크 구조로서, 급수관(18)이 상부쪽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에 따르면, 우수는 우수 유입관(1)을 통해 본 발명의 맨홀(100)의 맨홀 본체(10)의 집수부(11)에 유입된다.
우수는 집수부(11)에 집수되며 저장수 유도관(30)의 유입부(31)를 통해 저장수 유도관(30) 내부에 유입되고, 이 과정에서 다공성 여과판(33)을 통해 유입부(11)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1차 제거된다.
다공성 여과판(33)을 통과하여 차오르는 우수는 여과재(4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2차로 제거되고, 유도부(32)의 높이에서 유도부(32)를 통해 급수관(18)으로 이동한 후 급수관(18)을 따라 우수 저장조(200)에 급수되어 저장된다.
한편, 집수부(11)에 집수된 우수가 저장수 유도관(30)을 통해 우수 저장조(200)로 급수되는 중에 우수가 격벽(20)의 높이까지 차게 되면 우수는 격벽(20) 위를 넘어 배출부(12)로 넘어간다.
배출부(12)에 모인 우수는 우수 방류관(2)을 통해 하천 등으로 방류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여과재(40)에는 이물질이 남게 되고, 따라서, 여과재(40)는 여과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뚜껑(13)을 여는 작업없이 여과재(40)를 청소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관리자가 청소부재(50,60)를 이용하여 여과재(40)에 남은 이물질을 여과재(4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가압식 청소부재(50)의 경우 손잡이(53)를 잡고 누르면 가압봉(52)과 가압판(51)이 하강하면서 여과재(40)를 가압하고, 가압판(51)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여과재(40)에 남은 이물질이 여과재(40)에서 떨어져 제거된다.
진동식 청소부재(60)의 경우 손잡이(63)를 잡고 여과재 충진망(61)의 상승과 하강 동작을 반복하면 여과재 충진망(61)에 충진된 여과재(40)에 떨림이 발생되어 여과재(40)에 남은 이물질이 여과재(40)로부터 떨어져 제거된다.
떨어진 이물질은 통공으로 배출되어지며 집수부는 청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우수의 양이 줄어들면 저장수 유도관(30) 내부의 우수가 여과재(40)와 유입부(31)를 통과하여 저장수 유도관(30)에서 배출되고, 이 과정에서 여과재(40)에 남은 이물질이 여과재(40)에서 제거되는 역세척 효과도 일어난다.
<실시예 2>
도 7과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100)은, 급수관(18)을 통해 급수되는 우수가 초기우수 배제장치(300)를 거친 후 우수 저장조(200)에 저장된다.
초기우수 배제장치(300)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받은 특허 제10-1604465호 등 다양한 기술의 제품이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맨홀 본체(10)의 집수부(11)에 유입된 우수를 저장수 유도관(30)을 통해 초기우수 배제장치(300)로 유도하기 위한 급수관(18), 맨홀 본체(10)의 배출부(12)를 통해 초기우수 배제장치(300)와 연결되어 초기우수 배제장치(300)에서 버려진 우수를 우수 맨홀(100)의 배출부(12)에 회수시켜 방류되도록 하는 회수관(19)을 포함한다.
회수관(19)은 우수 방류관(2)보다 높은 곳에 연결되어 배출부(12) 내의 우수가 초기우수 배제장치(300)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고, 아울러, 초기우수 배제장치(300)의 물이 배출부(12)로만 유입되도록 하는 체크밸브가 구성될 수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는 여과재(40)를 통해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로 여과하고 1차 여과된 우수를 초기우수 배제장치(300)에 의해 2차로 여과하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을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은,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100), 초기우수 배제장치(300), 우수 저장조(200)로 구성된다.
초기우수 배제장치(300)는 급수관(310)을 통해 우수 저장조(200)와 연결되어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100)을 통해 여과된 후 초기우수 배제장치(300)를 통해 2차로 여과된 정화수를 우수 저장조(200)에 급수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초기우수 배제장치(300)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예컨대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100)과 우수 저장조(300)를 직접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210)와 밸브(220)가 구성될 수 있다(도 9참고). 물론 초기우수 배제장치(300)의 입구와 출구에는 밸브(220)와 반대로 개폐 작동하는 밸브가 갖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밸브(220)가 개방되면 우수 맨홀(100)에서 배출되는 우수가 바이패스 유로(210)를 통해 우수 저장조(200)에 저장되고, 이 때 초기우수 배제장치(300)의 보수가 가능하면서도 우수를 우수 저장조(20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밸브(220)가 폐쇄되면 우수는 우수 맨홀(100) - 초기우수 배제장치(300) - 우수 저장조(200)의 경로로 흘러 저장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맨홀 본체, 20 : 칸막이
30 : 저장수 유도관, 31 : 유입부
32 : 유도부, 33 : 다공성 여과판
40 : 여과재,
50 : 가압식 청소부재, 51 : 가압판
52 : 가압봉, 60 : 진동식 청소부재
61 : 충진망, 62 : 진동봉
100 :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200 : 우수 저장조,
300 : 초기우수 배제장치,

Claims (9)

  1. 우수 유입구와 우수 방류구가 구비되며 내부가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맨홀 본체(10)와;
    상기 맨홀 본체의 내부에 세워져 상기 맨홀 본체 내부를 상기 우수 유입구 및 우수 방류구와 각각 대응하는 집수부(11)와 배출부(12)로 구획하고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우수를 오버플로우에 의해 상기 배출부로 유도하는 한편 저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통공(21)을 통해 상기 집수부의 바닥부에 있는 잔류수와 이물질을 상기 배출부로 유도하는 칸막이(20)와;
    상기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집수부 내부의 우수를 우수 저장조로 유도하는 저장수 유도관(30)과;
    상기 저장수 유도관의 내부에 적용되며 상기 저장수 유도관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재(40)와;
    상기 여과재를 가압하거나 상기 여과재를 상기 저장수 유도관 내부에서 흔들어 상기 여과재에 여과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청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2. 우수 유입구와 우수 방류구가 구비되며 내부가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맨홀 본체(10)와;
    상기 맨홀 본체의 내부에 세워져 상기 맨홀 본체 내부를 상기 우수 유입구 및 우수 방류구와 각각 대응하는 집수부(11)와 배출부(12)로 구획하고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우수를 오버플로우에 의해 상기 배출부로 유도하는 한편 저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통공(21)을 통해 상기 집수부의 바닥부에 있는 잔류수와 이물질을 상기 배출부로 유도하는 칸막이(20)와;
    상기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집수부 내부의 우수를 상기 맨홀 본체와 우수 저장조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초기우수배제장치로 유도 배수하여 우수가 상기 초기우수배제장치를 통과한 후 우수 저장조로 유도되도록 하는 저장수 유도관(30)과;
    상기 저장수 유도관의 내부에 적용되며 상기 저장수 유도관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재(40)와;
    상기 여과재를 가압하거나 상기 여과재를 상기 저장수 유도관 내부에서 흔들어 상기 여과재에 여과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청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 유도관은 상기 맨홀 본체의 우수 방류구보다 높게 배치되면서 상기 맨홀 본체의 바닥을 향해 개방되는 유입부(31), 상기 맨홀 본체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상기 유입부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유도부(32), 상기 유입부에 형성되는 다공성 여과판(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는 상기 여과판의 상부에 상기 유도부보다 낮은 높이까지 적층되고, 상기 청소부재는 상기 여과재를 상부에서 누르는 다공성의 가압판(51), 상기 가압판의 상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맨홀 본체를 개폐하는 뚜껑을 관통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재를 가압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가압식 청소부재(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재는 내부에 상기 여과재가 충진되며 상기 저장수 유도관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여과재 충진망(61), 상기 여과재 충진망의 상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맨홀 본체를 개폐하는 뚜껑을 관통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재를 상하로 흔들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진동식 청소부재(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맨홀 본체의 우수 방류구에 통하면서 상기 초기우수배제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초기우수배제장치에서 걸러진 우수를 상기 우수 방류구를 통해 방류하는 방류수 회수관(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7. 우수 유입구와 우수 방류구가 구비되며 내부가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맨홀 본체(10), 상기 맨홀 본체의 내부에 세워져 상기 맨홀 본체 내부를 상기 우수 유입구 및 우수 방류구와 각각 대응하는 집수부(11)와 배출부(12)로 구획하고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우수를 오버플로우에 의해 상기 배출부로 유도하는 한편 저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통공(21)을 통해 상기 집수부의 바닥부에 있는 잔류수와 이물질을 상기 배출부로 유도하는 칸막이(20), 상기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집수부 내부의 우수를 여과 유도하는 저장수 유도관(30), 상기 저장수 유도관의 내부에 적용되며 상기 저장수 유도관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재(40), 상기 여과재를 가압하거나 상기 여과재를 상기 저장수 유도관 내부에서 흔들어 상기 여과재에 여과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청소부재를 포함하는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100)과;
    상기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의 급수관(18)과 연결되며 상기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을 통해 여과된 우수를 급수관을 통해 급수받아 저장하는 우수 저장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을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
  8. 우수 유입구와 우수 방류구가 구비되며 내부가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맨홀 본체(10), 상기 맨홀 본체의 내부에 세워져 상기 맨홀 본체 내부를 상기 우수 유입구 및 우수 방류구와 각각 대응하는 집수부(11)와 배출부(12)로 구획하고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우수를 오버플로우에 의해 상기 배출부로 유도하는 한편 저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통공(21)을 통해 상기 집수부의 바닥부에 있는 잔류수와 이물질을 상기 배출부로 유도하는 칸막이(20), 상기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집수부 내부의 우수를 여과 유도하는 저장수 유도관(30), 상기 저장수 유도관의 내부에 적용되며 상기 저장수 유도관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재(40), 상기 여과재를 가압하거나 상기 여과재를 상기 저장수 유도관 내부에서 흔들어 상기 여과재에 여과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청소부재를 포함하는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100)과;
    상기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의 급수관(18)과 연결되며 상기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을 통해 여과된 우수를 급수관(18)을 통해 급수받아 2차로 이물질을 여과하는 초기우수 배제장치(300)와;
    상기 초기우수 배제장치와 급수관(310)으로 연결되며 상기 초기우수 배제장치로부터 급수되는 우수를 저장하는 우수 저장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을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과 상기 우수 저장조를 직접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210) 및 밸브(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을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
KR1020160169903A 2016-12-13 2016-12-13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 KR101828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903A KR101828079B1 (ko) 2016-12-13 2016-12-13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903A KR101828079B1 (ko) 2016-12-13 2016-12-13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079B1 true KR101828079B1 (ko) 2018-02-09

Family

ID=61198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903A KR101828079B1 (ko) 2016-12-13 2016-12-13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0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284B1 (ko) * 2018-09-19 2019-03-22 지에스이앤씨(주) 건물 영구배수 공법에 의한 지하수 환원 시스템
KR102199768B1 (ko) * 2019-08-05 2021-01-07 블루그린링크(주) 물순환형 도로 세척시스템
CN113565189A (zh) * 2021-08-02 2021-10-29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可实现自动控制雨水收集与弃流的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284B1 (ko) * 2018-09-19 2019-03-22 지에스이앤씨(주) 건물 영구배수 공법에 의한 지하수 환원 시스템
KR102199768B1 (ko) * 2019-08-05 2021-01-07 블루그린링크(주) 물순환형 도로 세척시스템
CN113565189A (zh) * 2021-08-02 2021-10-29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可实现自动控制雨水收集与弃流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6333B2 (en) Storm drain filtration system
KR101749656B1 (ko) 친환경 여과 집수조 및 그것을 이용한 우수 재순환 시스템
US9051192B2 (en) Surface water filtration systems
KR102067348B1 (ko)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협잡물 분리 저장기능을 갖는 점배수식 집수정
KR101061208B1 (ko) 빗물 이용 장치
KR101032421B1 (ko) 빗물 재이용 장치
KR101828079B1 (ko)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
KR101023537B1 (ko)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KR20150114224A (ko)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KR20050003330A (ko) 초기 우수를 배제한 청정 우수 포집 장치
KR100958295B1 (ko) 우수활용이 가능한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20110018761A (ko)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100927631B1 (ko) 생물막 여재를 이용한 비점 오염물 저감장치
KR101355342B1 (ko) 우수 재사용을 위한 집수장치
US10040006B2 (en) Bag filter apparatus for filtering fluids
JP3270962B2 (ja) 雨水再利用システム
KR20140052597A (ko) 부표와 여과망이 구비된 빗물처리장치
KR101926744B1 (ko)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
US20130043171A1 (en) Storm water pollution full capturing system
KR102046131B1 (ko) 초기우수 수질 처리 시스템
PL176565B1 (pl) Budowla przenośna z elementów prefabrykowanych z żelbetu lub z materiału zastępczego
KR101528834B1 (ko) 탈부착형 거름망을 구비한 맨홀과 경사면을 형성하는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KR20160027786A (ko) 도로상의 각종 오염물과 초기우수를 분리수집하여 하천오염을 예방하는 다기능빗물받이
JP2012072598A (ja) 雨水処理施設
KR102283190B1 (ko) 조합형 빗물 저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