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744B1 -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 - Google Patents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744B1
KR101926744B1 KR1020170050017A KR20170050017A KR101926744B1 KR 101926744 B1 KR101926744 B1 KR 101926744B1 KR 1020170050017 A KR1020170050017 A KR 1020170050017A KR 20170050017 A KR20170050017 A KR 20170050017A KR 101926744 B1 KR101926744 B1 KR 101926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amber
pollutant
pipe
st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995A (ko
Inventor
곽병열
Original Assignee
곽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병열 filed Critical 곽병열
Priority to KR1020170050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744B1/ko
Publication of KR20180116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10Dividing the first rain flush out of the stormwater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에 관한 것으로, 초기우수에서 오염물을 선별하여 오염물이 제거된 우수를 집수하고 집수한 우수 중에서 상등수를 계량수로 하여 우수의 유로를 전환함으로써 정화도가 높은 정화우수를 사용수로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제1 내지 제3격벽을 통해 내부에 우수 집수실과 오염물 배출실과 부력실 및 정화우수 급수실이 구획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의 우수 집수실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우수 집수실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상기 오염물 배출실로 유도하는 한편 오염물이 분리된 우수를 상기 우수 집수실로 유도하는 오염물 선별망(20)과; 상기 우수 집수실에 집수되는 우수를 상기 오염물 배출실로 유도하거나 외부로 드레인하는 오염물 드레인부(16)와; 상기 우수 집수실에 집수된 우수를 상기 부력실로 유도하는 계량수 급수관(30)과; 상기 부력실에 설치되며 상기 부력실에 일정량의 우수가 집수되면 상기 우수 집수실에 집수된 우수를 공급받아 상기 정화우수 급수실로 유도하는 부력식 우수 전환수단(40)과; 상기 부력실에 집수된 우수를 오염물 배출관으로 유도하는 계량수 드레인관(50)을 포함하여, 오염물을 제거한 우수를 계량수로 하여 상기 부력식 우수 전환수단을 가동하고 상기 우수 집수실에 집수되는 정화우수를 상기 정화우수 급수실로 유도한다.

Description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APPARATUS FOR INDUCING STORAGE OF PURIFY RAINWATER AND REMOVING POLLUTANT IN EARLY RAINWATER, AND COMBINE WATER PROCESSING INSTALLATION INCLUDING THIS SAME}
본 발명은 우수 처리 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우수를 계량수로 하여 강우시 오염도가 높은 초기 우수를 배제하고 청정의 정화우수를 재활용 가능하도록 급수하는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에 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수자원 고갈, 지역별 수자원 편차 및 오염의 심화 등으로 물의 위기가 도래하고 있고, 향후 물 부족 문제가 점차 심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빗물의 가치가 주목을 받고 있다.
빗물이용시설은 전국적으로 설치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 법적 대상 시설 외에도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초기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배제된 빗물은, 살균이나 소독이 불필요한 깨끗한 물이며 일반적으로 음용수로는 사용되어지지 않고 청소용수 및 조경용수, 소방용수, 화장실 용수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어 짐으로써 물 부족에 대한 좋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요구에 맞게 빗물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고 이용할 수 있는 기술들이 많이 개발되어 지고 있는 실정이며, 초기우수의 배제방법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알 수 있다.
빗물 집수면에 축적된 곤충의 사체나 낙엽, 황사 등의 각종 이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처리하는 방법은, 초기우수를 우수관거 등으로 직접 배제하는 방법과, 초기우수 저장조를 따로 구비하여 집수한 후 이를 여과 등의 공정을 거쳐 처리하는 방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별도의 저장시설과 공간이 필요하다.
초기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배제하는 방법에는 스크린에 의한 분리나 콩자갈,모래 등을 이용한 여과장치 및 원심력을 이용한 와류장치 등이 이용되어 지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들은 강우시 이물질에 의해 막힘 현상이 발생하여 기능을 상실할 뿐만 아니라 강우종료시에는 이물질을 제거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는 빗물집수면적에 0.05미터를 곱한 규모 이상의 용량으로 빗물 이용시설의 규모를 규정하고 있으며, 이물질이 포함되어진 초기우수의 배제량도 동일하게 규정하고 있다. 초기 우수의 배제량을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강우를 감지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밸브가 작동하는 시간에 의한 제어 방법과, 우량계를 이용하여 일정한 양을 계측한 후 제어밸브를 작동하는 강우량에 의한 제어 방법 등이 이용되어 지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모두 동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한편, 강우의 불규칙한 특성으로 인해 일정시간이 경과 했다 하여도 강우량이 부족하면, 비교적 양질의 우수를 집수하기는 어려울 수 있으므로 시간에 의한 제어방법 보다는 강우량에 의한 제어방법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초기우수 배제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비교적 큰 규모가 필요하며 동력을 이용해야 하고 정량제어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강우종료시 초기우수 배제장치를 청소해 주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1604465호)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받은 것으로, 우수를 집수하며 초기우수 유출실과 부력실이 구비된 집수탱크와; 상기 집수탱크 안에 설치되며 상기 집수탱크의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통해 공급된 후 상기 초기우수 유출실에 집수되는 우수와 이물질을 상기 초기우수 유출실로 방류 유도하는 초기우수 유출관과; 상기 집수탱크의 부력실에 연결되어 상기 부력실에 집수되는 우수를 재활용을 위하여 저장부로 유도하는 청정우수 배출관과; 상기 집수탱크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집수탱크 내부에 유입되는 우수 중에서 일부 우수를 상기 부력실로 유도하는 계량수 가이드와; 상기 집수탱크에 유입되는 우수를 상기 집수탱크의 초기우수 유출실로 유도하는 한편, 상기 계량수 가이드에 의해 일정량의 계량수가 저장됨으로써 초기 우수가 상기 초기우수 유출관을 통해 배출되면 상기 집수탱크에 유입되는 우수를 상기 부력실로 유도하는 우수전환수단으로 구성되며, 우수를 계량수로 하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오염도가 높은 초기 우수도 함께 부력실로 유도되어 부력실에 집수된 우수가 청정우수 배출관을 통해 급수되므로 정화우수라 하지만 오염도가 높은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60446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초기우수에서 오염물을 선별하여 오염물이 제거된 우수를 집수하고 집수한 우수 중에서 상등수를 계량수로 하여 우수의 유로를 전환함으로써 정화도가 높은 정화우수를 사용수로 공급하는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는,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제1 내지 제3격벽을 통해 내부에 우수 집수실과 오염물 배출실과 부력실 및 정화우수 급수실이 구획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우수 집수실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우수 집수실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상기 오염물 배출실로 유도하는 한편 오염물이 분리된 우수를 상기 우수 집수실로 유도하는 오염물 선별망과; 상기 우수 집수실에 집수되는 우수를 상기 오염물 배출실로 유도하거나 외부로 드레인하는 오염물 드레인부와; 상기 우수 집수실에 집수된 우수를 상기 부력실로 유도하는 계량수 급수관과; 상기 부력실에 설치되며 상기 부력실에 일정량의 우수가 집수되면 상기 우수 집수실에 집수된 우수를 공급받아 상기 정화우수 급수실로 유도하는 부력식 우수 전환수단과; 상기 부력실에 집수된 우수를 오염물 배출관으로 유도하는 계량수 드레인관을 포함하여, 오염물을 제거한 우수를 계량수로 하여 상기 부력식 우수 전환수단을 가동하고 상기 우수 집수실에 집수되는 정화우수를 상기 정화우수 급수실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은, 우수를 공급받는 우수 맨홀과; 상기 우수 맨홀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오염물을 제거하여 정화우수를 급수하는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와; 상기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통해 급수되는 우수를 저장하여 사용수로 급수하는 저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에 의하면, 초기우수에서 오염물을 선별하여 오염물이 제거된 우수를 집수하고 집수한 우수 중에서 상등수를 계량수로 하여 우수의 유로를 전환함으로써 정화도가 높은 정화우수를 사용수로 공급하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청정도가 높아 정화우수를 제약없이 다양한 용수로 공급하므로 자원재활용에 따른 비용 창출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의 정면도.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 4는 우수가 유입되지 않은 상태이며,
도 5는 우수가 유입되어 우수로부터 오염물을 배제하여 저수부에 저장하는 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에 적용된 우수 맨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에 적용된 우수 맨홀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에 적용된 저장수 유도관과 청소부재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에 적용된 진동식 청소부재를 보인 도면.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에 적용된 저장소의 예시도로서,
도 11은 정화우수의 저장시이며,
도 12는 정화우수의 침투시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의 저장소에 적용된 침투유도관의 다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의 저장소에 외장형 침투유도관이 적용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의 저장소에 내장형 침투유도관이 적용된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100)는,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을 제거하여 정화우수를 급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내부에 우수 집수실(11)과 오염물 배출실(12)과 부력실(13) 및 정화우수 급수실(14)이 구획된 케이스(10), 케이스(10)의 우수 집수실(11)에 유입되는 오염물(낙엽 등)을 제거하여 우수만 우수 집수실(11)에 집수되도록 하는 오염물 선별망(20), 우수 집수실(11)에 집수된 우수를 부력실(13)로 유도하는 계량수 급수관(30), 부력실(13)에 설치되며 부력에 의해 우수 집수실(11)에 집수된 우수를 정화우수 급수실(14)로 유도하는 부력식 우수전환수단(40), 부력실(13) 안에 유입된 우수를 드레인하는 계량수 드레인관(50)으로 구성된다.
케이스(10)는 제1 내지 제3격벽(11a,12a,13a)을 통해 내부에 우수 집수실(11)과 오염물 배출실(12)과 부력실(13) 및 정화우수 급수실(14)이 구획 형성된 박스 형태(예컨대 육면체 형태)이다.
제1 내지 제3격벽(11a,12a,13a)은 각각의 기능에 맞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저부와 좌우 양측이 케이스(10)와 연결되는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케이스(10)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립식의 경우 예를 들어 케이스(10)의 좌우 양측과 저부 중 일측 이상에 홈을 형성하여 제1 내지 제3격벽(11a,12a,13a)을 상기 홈에 삽입 조립하며 누수 방지를 위하여 패킹이 적용된다.
우수 집수실(11)과 오염물 배출실(12) 및 정화우수 급수실(14)은 각각 우수를 집수, 오염물을 하천 등으로 방류 배출, 정화우수를 저수부에 급수하기 위한 관로가 함께 구성되며, 예를 들어 각각 배관이 연결되는 관형의 우수 집수포트(11a), 오염물 배출포트(12a) 및 정화우수 급수포트(14a)가 구성된다.
또한, 우수 집수실(11)에 집수된 우수가 부력식 우수전환수단(40)으로 흐르도록 급수유도판(15)이 적용된다.
급수유도판(15)은 제1격벽(11a)의 상단부에서 시작하여 부력실(13)을 향하는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오염물 선별망(20)에 의해 선별된 오염물이 오염물 배출실(12)에 낙하하도록 공간을 두고 형성된다. 따라서, 우수 집수실(11)에 집수된 우수는 제1격벽(11a)의 높이까지 차오르다가 급수유도판(15)을 타고 부력식 우수전환수단(40)으로 흐르게 된다.
급수 유도판(15)은 우수 집수실(11)에서 공급되는 우수를 부력식 우수전환수단(40)으로 흐르는 것을 막지 않으면서 오염물 선별망(20)에서 낙하하는 오염물이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양측에 차단벽(15a)이 구성될 수 있다.
급수 유도판(15)은 우수의 빠른 급수를 위하여 제1격벽(11a)에서 부력식 우수전환수단(40)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본 발명은 급수유도판(15)을 사용하지 않고 부력식 우수전환수단(40)이 직접 제1격벽(11)의 상부로 이동하여 우수 집수실(11)과 연결됨으로써 우수를 유도하는 것도 포함된다.
오염물 선별망(20)은 외부에서 우수 집수실(11)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을 제거하여 우수를 우수 집수실(11)로, 오염물을 오염물 배출실(12)로 유도하는 것이며, 우수 집수실(11)에서부터 오염물 배출실(12)의 상부에 걸쳐 형성되며, 오염물이 오염물 배출실(12)로 낙하하도록 제2격벽(12a)과의 사이에는 공간을 마련한다.
케이스(10)는 제조와 유지보수를 위하여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박스로서 전술한 구성이 갖추어진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덮개로 구성된다.
우수 집수실(11), 오염물 배출실(12), 부력실(13) 및 정화우수 급수실(14)은 도면에 도시된 배열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오염물 선별망(20)은 우수를 하부로 통과시키는 한편 오염물을 오염물 배출실(12)로 유도하는 망(21), 오염물이 부력식 우수전환수단(40)을 회피하여 오염물 배출실(2)에 낙하하도록 유도하는 오염물 유도벽(22)으로 구성된다.
도면에서 망(21)은 급수 유도판(15)의 상부까지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망(21)은 우수 집수실(11)에서부터 오염물 배출실(12)에 걸쳐 배치되는 경우 우수 집수실(11)과 대응하는 부분은 선별구멍이 있는 망으로 형성되고 오염물 배출실(12)과 대응하는 부분은 구멍이 없는 판재로 형성되는 복합형도 가능하다.
오염물 유도벽(22)은 망(21)의 상부에 평면에서 볼 때 삼각형의 형태, 즉, 우수 집수포트(11a)의 반대쪽으로 가면서 벌어지는 경사의 2개의 벽을 갖는 형태이고, 우수 집수포트(11b)를 통해 케이스(10) 내부에 유입되는 오염물을 양측으로 분할한 후 오염물 배출실(12)로 낙하하도록 한다.
오염물 유도벽(22)은 오염물이 끼지 않도록 구멍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오염물 선별망(20)을 통해 오염물이 제거되었지만, 일부 작은 크기의 오염물은 망(21)을 통과하며, 따라서, 우수 집수실(11)의 바닥에는 오염물이 침전될 수 있다. 우수 집수실(11)에 침전된 오염물은 정화우수의 정화도를 낮추는 것이므로 정화우수 급수실(14)에 급수되지 않도록 오염물 배출실(12)로 유도되며, 이는 드레인부(16)를 통해 이루어진다.
드레인부(16)는 제1격벽(11a)의 바닥부에 양측이 통하도록 형성되는 구멍으로서, 우수 집수실(11)의 바닥에 있는 오염물과 저층수가 오염물 배출실(12)로 드레인되도록 한다.
계량수 급수관(30)은 우수 저장실(11)에 집수된 우수를 부력실(13)로 유도하는 것이며, 제1격벽(11a)과 제2격벽(12a)을 관통하여 유입단은 우수 집수실(11)에 배출단은 부력실(12)에 대응하도록 배관되는 하나 이상의 관이다. 계량수 급수관(30)은 케이스(1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배관되어 일정량의 우수가 오염물 배출실(12)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오염도가 낮은 정화우수를 급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입단은 케이스(10)의 바닥을 향해 개방되는 엘보우 형태가 바람직하다.
부력식 우수전환수단(40)은 우수의 초기 유입시 오염물의 제거를 위하여 급수 유도판(15)과 연결되지 않으며, 오염물이 제거되면 급수 유도판(15)과 정화우수 급수실(1)을 연결하여 우수 집수실(11)에 집수된 우수를 정화우수 급수실(14)로 유도하도록 구성되며, 우수 전달판(41), 우수 전달판(41)에 결합되는 부력체(42)로 구성된다.
우수 전달판(41)은 축핀(43)을 통해 케이스(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오염물의 배출시 부력체(42)의 자중에 의해 급수 유도판(15) 및 정화우수 급수실(14)과 연결되지 아니하고 우수의 전달시 양측이 각각 급수 유도판(15) 및 정화우수 급수실(14)에 연결되어 급수 유도판(15)으로부터 우수 집수실(11)의 우수를 정화우수 급수실(14)로 전달한다.
우수 전달판(41)은 부력실(13)에 일정량의 우수가 집수되면 부력에 의해 급수 유도판(15)으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정화우수 급수실(50)에 급수하는 것으로, 평평한 판재도 가능하고, 계단 형태(예를 들어 2단)도 가능하다.
우수 전달판(41)은 좌우 양측에 급수 유도판(15)에서 전달받은 우수를 좌우로 낙하하지 않고 정화우수 급수실(14)에 급수하도록 좌우 양측에 벽(44)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우수 전달판(41)은 급수 유도판(15)의 차단벽(15a) 사이의 폭으로 형성되어 차단벽(15a) 사이를 통해 우수를 공급받아 전달한다.
우수 전달판(41)은 우수를 전달하는 위치에서 제2격벽(12a) 위에 올려져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제2격벽(12a)은 상부에 우수 전달판(41)이 삽입되는 홈을 갖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격벽(12a)의 상단부는 우수 전달판(41)의 스토퍼를 겸한다.
우수 전달판(41)은 우수를 공급하는 위치에서 급수 유도판(15)쪽보다 정화우수 급수실(14)쪽이 낮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제3격벽(13a)도 상단부가 우수 전달판(41)의 폭과 맞는 홈이 구비되는 형태이다.
우수 전달판(41)을 따라 전달되는 우수의 유속을 가속하기 위하여 가속안내판(45)이 구성될 수 있다.
가속안내판(45)은 바람직하게 우수 전달판(41)의 하류쪽[정화우수 급수실(50)쪽] 표면에 경사(직선 경사, 곡선 경사)지게 형성되어 우수가 와류형태로 흘러 유속을 가속한다.
부력체(42)는 내부에 부력재(에어 등)가 충진되는 박스 형태, 또는 우수에 부상하는 폼 등이 가능하다.
계량수 드레인관(50)은 우수의 유입량이 줄어들거나 없으면 부력식 우수전환수단(4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부력실(13) 안에 유입된 우수를 부력실(13)에서 배출하는 것이며, 물론, 부력식 우수전환수단(40)의 작동을 위하여 부력실(13)에 유입되는 우수의 양보다 적은 양의 우수가 배출되는 크기로 구성된다.
계량수 드레인관(50)은 케이스(10)의 외부에 배출되어 오염물 배출포트(12b) 또는 오염물 배출 포트(12b)에 연결되는 오염물 배출관에 연결되어 오염물 배출실(12)에 포집된 오염물과 함께 하천 등으로 방류된다.
정화우수 급수실(14)은 부력식 우수전환수단(40)으로부터 공급되는 우수를 저수부에 공급하는 공간이며, 정화우수의 정화도를 높이기 위하여 여과 필터(60)가 적용될 수 있다.
필터(60)는 다양한 제품이 사용 가능하고, 정화우수 급수실(14) 전체를 덮는 크기의 판 형태로 구성되며, 유지보수를 위하여 정화우수 급수실(14)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예를 들어 케이스(10)와 제3격벽(13)의 마주하는 면에 돌출된 턱에 안착]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1. 평상시(도 4 참고).
우수가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부력실(13)에 우수가 유입되지 않아 부력식 우수전환수단(40)은 자중에 의해 급수 유도판(15) 및 정화우수 급수실(14)과 연결되지 않는다.
2. 우수 유입시(도 5 참고).
우수는 케이스(10) 안에 유입되며, 케이스(10)는 맨홀, 건물 옥상 등과 배관으로 연결되어 우수가 유입된다.
초기 우수에는 오염물(낙엽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우수 유입포트(11b)를 통해 케이스(10) 안에 유입된 우수는 오염물 선별망(20)으로 낙하한다. 이때, 오염물 선별망(20)의 망(21)의 선별구멍보다 작은 우수와 일부 오염물은 망(21)을 통과하여 우수 집수실(11)에 집수되고 낙엽 등의 오염물은 오염물 유도벽(22)의 안내를 받아 양측 가장자리로 유도되어 오염물 배출실(12)로 낙하하여 모이게 된다.
따라서, 우수 집수실(11)에는 우수가 집수되고, 오염물 배출실(12)에는 오염물이 모인 후 오염물 배출포트(12b)를 통해 방류 배출된다. 한편, 우수 집수실(11)의 바닥에는 모래 등의 오염물이 침전되고 이 오염물은 드레인부(16)를 통해 오염물 배출실(12)로 이동하여 방류 배출된다. 이와 같이 우수 집수실(11)에 유입된 오염물도 오염물 배출실(12)로 배출하므로 정화우수의 정화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드레인부(16)를 통해 배출되는 우수의 양보다 우수 집수실(11)에 유입되는 우수의 양이 많으면 우수 집수실(11) 안에 우수가 집수된다. 이 과정에서 우수 집수실(11)의 우수의 수위가 계량수 급수관(30)의 유입단에 도달하면 우수가 부력실(13)로 이동하여 부력실(13)에 저장된다.
부력실(13)에 유입되는 우수는 계량수 드레인관(50)을 통해 오염물 배출포트(12b)로 드레인되지만, 드레인수보다 계량수 급수관(30)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양이 많아 부력실(13)에는 우수가 저장된다.
부력실(13)에 우수가 저장되면 부력식 우수전환수단(40)은 도면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우수 전달판(41)이 회전하여 도면 기준 좌측은 급수 유도판(15)과 대응함과 아울러 우측은 정화우수 급수실(14)의 상부와 대응한다.
따라서, 우수 집수실(11)에 집수되는 우수는 급수 유도판(15)의 상부로 넘어 급수 유도판(15)을 따라 흐르다가 우수 전달판(41)에 공급되고, 이어서, 우수 전환판(41)을 따라 흐르다가 필터(60)의 상부에 공급된다. 이 때, 우수는 우수 전환판(41)의 경사를 타고 빠르게 흘러내려가고 또한 가속안내판(45)을 통해 빠르게 흘러내려간다.
우수는 우수 전달판(41)을 통해 빠르게 흘러 필터(60)를 통과하고, 이 과정에서 오염물이 필터링된다.
오염물이 필터링된 우수는 정화우수 급수실(14)에서 배출되어 저수부(저장탱크 등)에 급수된다.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은,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 맨홀(200)('맨홀'로 약칭함), 우수 맨홀(200)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초기 오염물을 배제하는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100)('유도장치'로 약칭함),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100)로부터 오염물이 배제된 우수를 저장하는 저장과 침투 복합형 우수 저수조(300)('저수조'로 약칭함)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우수 맨홀(200)을 사용하지 않고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100)('유도장치'로 약칭함),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100)로부터 오염물이 배제된 우수를 저장하는 저장과 침투 복합형 우수 저수조(300)만으로 구성되는 것도 포함된다.
맨홀(200)과 유도장치(100)는 계량수 급수관(400)으로 연결되고, 유도장치(100)와 저수조(300)는 정화수 급수관(500)으로 연결된다.
도 7과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맨홀(200)은 우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우수를 방류수로 하여 하천 등에 방류하는 한편 우수를 유도장치(100)로 유도하는 맨홀 본체(210), 맨홀 본체(210) 내부에 세워지며 맨홀 본체(210) 내부를 집수부(211)와 배출부(212)로 구획하되 집수부(211)에 유입된 우수가 오버플로우를 통해 배출부(212)로 넘어가도록 하는 칸막이(220), 맨홀 본체(210)의 집수부(211)에 유입되는 우수를 유도장치(100)로 유도하는 저장수 유도관(230), 저장수 유도관(230)을 통해 유도장치(100)로 유도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재(240), 여과재(240)에 의해 여과된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부재(250)로 구성되며, 유입되는 우수를 정화없이 유입받은 그대로 유도장치(100)에 전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을 제거하여 정화된 우수를 유도장치(100)에 전달하는 특징이 있다.
맨홀 본체(210)는 예컨대, 콘크리트체로서[재질은 콘크리트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재질(철, 합성수지 등)이 가능하다], 유지보수를 위하여 상부가 개방되며 물론, 뚜껑(213)에 의해 개폐된다.
맨홀 본체(210)는 우수 유입구와 우수 방류구가 구비되며, 상기 우수 유입구와 우수 방류구에는 우수 유입관(1)과 우수 방류관(2)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우수 유입구 즉 우수 유입관(1)은 칸막이(220)에 의해 구획된 집수부(211)와 통하도록 구성되어 우수를 집수부(211)에 유입하고, 상기 우수 방류구 즉 우수 방류관(2)은 칸막이(220)에 의해 구획된 배출부(212)와 통하도록 구성되어 우수를 우수 방류관(2)으로 유도한다.
이러한 우수의 흐름에 맞춰 상기 우수 유입구는 상기 우수 방류구 보다 높은 위치에 하며, 바람직하게 우수 유입구는 맨홀 본체(210)의 상부쪽에, 우수 방류구는 맨홀 본체(210)의 바닥쪽에 배치된다.
칸막이(220)는 상기 우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를 저장수 유도관(230)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맨홀 본체(210) 내부를 집수부(211)와 배출부(212)로 구획하는 것이며, 상단 높이는 저장수 유도관(230)의 입구보다는 높지만 우수 유입구보다는 낮게 배치되어 우수를 저장수 유도관(230)으로 유도하면서 일부 우수가 배출부(212)로 넘어가도록 한다.
또한, 칸막이(220)는 저부에 하나 이상의 통공(221)이 구비되며, 이 통공(221)을 통해 집수부(211)의 바닥부에 있는 잔류수와 이물질을 배출부(212)로 유도한다. 즉, 적은 양의 우수[저장수 유도관(230)의 유입부보다 낮은 수위의 물]가 유입되는 경우 이 잔류수는 통공(221)을 통해 배출부(212)로 유동한 후 방류한다.
도 9에서 보이는 것처럼, 저장수 유도관(230)은 맨홀 본체(210)의 집수부(211)에 유입되는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부(231), 유입부(231)를 통해 유입된 우수를 유도장치(100)로 유도하는 유도부(232)로 구성되며, 부가적으로 유입부(231)에 설치되는 다공성 여과판(233)을 포함하는 엘보우 형태의 관이다. 또한, 저장수 유도관(230)은 청소부재(50)의 수용을 위하여 유입부(231)의 직상부에 청소부재(250)가 수용되는 관로가 더 구비되는 T 형태도 가능하다.
유입부(231)는 맨홀 본체(210)의 우수 방류구보다 높게 배치되면서 맨홀 본체(210)의 바닥을 향해 개방되어 맨홀 본체(210)의 바닥에서부터 차오르는 우수가 유입되도록 한다.
유도부(232)는 맨홀 본체(210)의 측벽을 관통하는 횡방향의 관형으로 계량수 급수관(400)과 연결되며, 유입부(231)에 유입되는 우수를 맨홀 본체(210) 외부의 유도장치(100)로 유도한다.
다공성 여과판(233)은 유입부(231)에 설치되어 유입부(231)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이며, 여과재(240)의 여과부담을 덜어줌으로써 유도장치(100)에 저장되는 저장수의 정화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고, 여과재(240)의 수명도 연장하며, 청소작업도 줄이는데 도움을 준다.
저장수 유도관(230)은 청소부재(250)의 설치 등을 위하여 유입부(231)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으며, 이 개방부는 우수가 통과하지 못하는 형태의 덮개(234)를 통해 밀폐됨으로써 우수가 유입부(231)를 통해서만 유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덮개(234)에는 청소부재(250)가 관통되는 구멍이 구비되고 이 구멍을 통해서 저장수 유도관(230)에 유입된 우수가 맨홀 본체(210)로 누출되지 않고 반대로 맨홀 본체(210) 내부의 우수가 여과재(240)를 거치지 않고 유입되지 않도록 씰링 처리된다.
저장수 유도관(230)은 유지보수를 위하여 맨홀 본체(210)에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맨홀 본체(210)에 관형의 소켓을 맨홀 본체(210)의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하여 저장수 유도관(230)의 유도부(232)를 상기 소켓에 클램프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
여과재(240)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입자상 이물질)을 우수로부터 여과하는 것으로, 예컨대 스폰지, 다공성 폼, 활성탄 등이 사용된다.
여과재(240)는 저장수 유도관(230) 내부에 충진되며 다공성 여과판(233)에 의해 충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유입부(231)를 거쳐 저장수 유도관(230)의 밖으로 누출되지 않는 입도이고, 청소부재(250)를 통해 유도부(232)를 거쳐 유도장치(100)로 누출되지 않는다.
여과재(240)는 청소부재(25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저장수 유도관(230)에 적용되며, 가압식 청소부재의 경우 가압판에 의해 충진 상태가 유지되고 진동식 청소부재의 경우 충진망에 의해 충진상태가 유지된다.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청소부재(250)는 여과재(240)를 상부에서 누르는 다공성의 가압판(251), 가압판(251)의 상부에 연결되면서 맨홀 본체(210)의 뚜껑(213)을 관통하는 가압봉(252) 및 가압봉(252)의 상부[뚜껑(213)을 관통한 부분]에 형성되는 손잡이(253)로 구성되는 가압식 청소부재가 가능하다.
가압판(251)은 여과재(24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우수가 유도부(232)를 향해 흐를 수 있도록 다공성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여과재(240)가 유도부(232)의 아래쪽에 충진되도록 설치된다. 저장수 유도관(230)의 내벽에는 가압판(251)이 설치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예컨대 링 형태의 걸림턱(235)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봉(252)은 지상에 배치되는 손잡이(253)와 지중에 배치되는 가압판(251)을 연결하는 것이며, 지상에서 작업자가 손잡이(253)를 잡고 가압할 때 가압봉(252)이 가압판(251)을 가압함으로써 가압판(251)에 의해 여과재(240)에 있는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
한편, 손잡이(253)와 가압봉(252)의 상부가 뚜껑(213)의 상부로 돌출되면 보행자와 차량의 간섭에 의해 파손되고 통행에 불편함을 주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압봉(252)은 가압판(251)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가압판(251)에는 너트부가, 가압봉(252)의 하단부에는 볼트부가 구성되며, 평상시 가압봉(252)을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되고 청소시 가압봉(252)을 가압판(51)에 연결(볼트부와 너트부에 의한 나사 체결)하여 사용한다.
도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청소부재(250)는 내부에 여과재(240)가 충진되며 저장수 유도관(230)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여과재 충진망(254), 여과재 충진망(254)의 상부에 연결되면서 맨홀 본체(210)를 개폐하는 뚜껑(213)을 관통하는 진동봉(255) 및 진동봉(255)에 연결되는 손잡이(256)로 구성되는 진동식도 가능하다.
여과재(240)는 여과재 충진망(254) 내부에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우수에 의해 흘러가는 손실이 없으며, 저장수 유도관(230)의 내부에는 여과재 충진망(254)의 상승을 구속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진동봉(255)은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함으로써 여과재 충진망(254) 안에 충진된 여과재(240)를 흔들어 여과재(240)로부터 이물질이 떨어지도록 한다.
진동봉(255)의 상부와 손잡이(256)는 맨홀 본체(210)의 뚜껑(213) 상부로 돌출되어 보행자의 통행에 불편을 줄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진동봉(255)과 여과재 충진망(254)의 연결구조는 나사식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맨홀(200)은 방류관(2)을 통해 오염물을 방류하도록 구성되며, 전술한 것처럼, 유도장치(100)는 오염물 배출실(12)에서 오염물을 하천으로 방류하도록 구성되므로, 맨홀(200)과 유도장치(100)에서 버려지는 오염물을 모아 방류할 수 있도록 회수관(26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수관(260)은 양측이 유도장치(100)의 오염물 배출부(12) 및 맨홀(200)의 배출부(212)와 연결[우수 방류관(2)보다 높은 곳에 연결]되어 배출부(212) 내의 우수가 유도장치(100)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고, 아울러, 유도장치(100)의 우수가 배출부(212)로만 유입되도록 하는 체크밸브가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1과 도 1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저수조(300)는 유도장치(100)로부터 급수되는 정화우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310), 저수탱크(310)에 저장된 일부의 정화우수를 지중에 침투시키는 정화우수 침투관(320), 정화우수 침투관(320)의 개폐를 통해 정화우수의 침투를 제어하는 밸브체(330), 저수탱크(310)에 저장 중인 정화우수를 활용하기 위한 급수수단(350)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 투수재(341)와 투수시트(342)로 이루어진 투수부(340)가 저수탱크(310) 아래에 시공되어 정화우수 침투관(320)을 통해 배출되는 정화우수를 저장 및 저장된 정화우수를 지중에 침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지반 침하 등으로 인한 본 발명 저수 시설의 뒤틀림을 막기 위하여 기초부(360)가 구성된다.
저수탱크(310)는 콘크리트, 합성수지, 철판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정화우수 급수관(500)과 연결되는 관형의 유입부(311)가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정화우수의 방류를 위한 방류관과 연결되는 방류부(312)가 갖추어진다.
또한, 저수탱크(10) 상단에는 정화우수유입에 따른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에어벤트(313)가 구성되어 지상과 연통된다.
저수탱크(310)의 내부에 유입되는 정화우수에는 모래와 낙엽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의 회수를 위하여 이물질 회수조(314)가 갖추어진다.
이물질 회수조(314)는 저수탱크(310)의 저부에 저수탱크(310)의 바닥부보다 낮은 높이로 상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는 형태이며 저수탱크(310) 바닥에 있는 이물질이 모이도록 한다.
이물질의 자연스러운 회수를 위하여 저수탱크(310)의 바닥부는 이물질 회수조(314)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저수탱크(310)는 이물질 회수조(314)에 모인 이물질의 청소를 위하여 외부(지상)와 통하는 청소 맨홀(315) 및 작업자의 이동을 위한 사다리가 구성될 수 있다.
방류부(312)는 직접 방류관을 통해 하천으로 방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미 맨홀(200)에서 오염물 등을 하천으로 방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방류부(312)는 맨홀(200)의 방류계통과 연결될 수 있다.
정화우수 침투관(320)은 저수탱크(310) 내부에 저수탱크(310) 외부와 통하도록 설치되어 저수탱크(310) 내부에 저장 중인 일부 물을 저수탱크(310) 외부인 투수부(340)로 배출[투수부(40)의 미적용시 지중으로 배출]하는 것이며, 정화우수의 유입과 배출을 위하여 내부에 공간이 있는 관형이며 유입부(321)와 배출부(322)가 구성된다.
정화우수 침투관(320)의 유입부(321)는 저수탱크(10) 내부와 통하고 배출부(322)는 저수탱크(10) 외부와 통하도록 설치되며, 유입부(321)와 배출부(322)는 예를 들어 각각 하나 이상의 원형 구멍으로서 정화우수 침투관(320)의 둘레부에 형성된다.
또한, 배출부는 정화우수 침투관(320)의 저부를 개방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정화우수 침투관(320)의 유입부(321)가 저수탱크(310)의 바닥부보다 높게 배치됨과 아울러 방류부(312)보다 낮기 때문에 유입부(321) 아래에 저장중인 정화우수를 지중에 침투시키지 못하고 방류관(12)을 통해 방류시키지 못하므로 일정량의 정화우수를 항상 저장하고 있다.
아울러, 정화우수 침투관(320)은 밸브체(330)의 개폐를 통해 정화우수를 침투시키는 것이며, 즉, 밸브체(330)에 의해 유입부(321)의 개방시 저수탱크(310) 내부의 정화우수를 배출부(322)를 통해 침투시키고 유입부(321)의 폐쇄시 저수탱크(310) 내부의 정화우수를 침투시키지 못한다. 본 발명은 밸브체(330)의 개폐와 별도로 저수탱크(310)에 일정량의 정화우수가 저장되면 자연적으로 정화우수를 침투시킬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정화우수 침투관(320)의 내부와 저수탱크(310) 내부를 서로 통하게 하여 저수탱크(310) 내부의 정화우수를 정화우수 침투관(320)으로 유도하는 정화우수유도관(323)이 구성된다.
정화우수유도관(323)은 일측이 정화우수 침투관(320)의 둘레부에 연결되어 분기되는 형태로서, 일측의 배출단이 정화우수 침투관(320)의 유입부(321)와 배출부(322) 사이에 연결되며 타측의 유입단이 상기 일측의 배출단보다 높게[방류부(312)보다 낮게]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정화우수유도관(323)은 단품으로 구성되어 필요시 정화우수 침투관(32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론, 정화우수유도관(323)의 미사용시 정화우수유도관(323)이 연결되는 부분은 밀폐된다.
정화우수유도관(323)의 상부의 입구측에는 부유물이 투수부(3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랩부(324)가 구성될 수 있다. 트랩부(324)는 유입단이 저부를 향하도록 벤딩된 형태로서 수면 아래에 배치되어 부유물의 침투를 차단한다.
정화우수유도관(323)의 타측의 유입단에는 정화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이 구성될 수 있다.
정화우수유도관(323)의 유입단 높이는 정화우수을 침투시키는 높이이며, 정화우수의 침투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정화우수유도관(323)의 유입단에는 수위조절캡(325)(도 13 참고)이 구성될 수 있다. 수위조절캡(325)은 상하부가 개방된 관형이며 트랩부가 없는 형태의 정화우수유도관(323)의 유입단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정화우수 침투관(320)은 저수탱크(10)를 관통하는 부분에서 밀봉 처리되는 것은 물론이며, 둘레부에 저수탱크(310)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정화우수 침투관(320)을 지지함과 아울러 밀봉을 돕는 링형상의 날개부가 구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 날개부는 조립식으로서 정화우수 침투관(320)에 다양한 높이로 설치됨으로써 유입부(321)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밸브체(330)는 바람직하게 정화우수 침투관(32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부(321)를 개폐하는 밸브(331), 밸브(331)에 연결되면서 지상을 향해 설치되고 핸들(332)이 구비된 밸브봉(333), 저수탱크(310)의 외부에 설치되며 밸브봉(333)을 보호하는 밸브 맨홀(334)로 구성된다.
밸브(331)는 정화우수 침투관(320)의 유입부(321) 위쪽으로 상승하여 유입부(321)를 개방하고 반대로 유입부(321)의 아래쪽으로 상승하여 유입부(321)를 폐쇄하는 것이며, 구조 상 유입부(321)를 폐쇄하는 것이 아니라 유입부(321)와 배출부(22) 사이를 막아 유입부(321)를 통해 유입된 정화우수이 배출부(322)로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밸브(331)는 전술한 방식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유입부(321)를 직접적으로 개폐하는 방식도 가능하고, 예를 들어 관형으로 구성되어 정화우수 침투관(320)의 둘레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정화우수 침투관(20)으로 하강하여 겹쳐짐으로써 유입부(321)를 폐쇄하고 정화우수 침투관(320)의 유입부(321) 상부로 상승하여 유입부(321)를 개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밸브봉(333)은 지상에서 밸브(331)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구성이며, 정화우수 침투관(20)의 상부를 관통하여 지상을 향해 설치되고 핸들(32)이 밸브 맨홀(34) 안에 배치된다.
밸브봉(333)은 밸브(331)를 승강시킬 수 있는 모든 방식이 가능하다.
밸브 맨홀(334)은 저수탱크(310)의 외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밸브봉(333)의 상부와 핸들(332)이 수용되는 맨홀 본체 및 상기 맨홀 본체의 상측 개방부를 개폐하는 덮개로 구성된다.
투수부(340)를 통해 저수탱크(310)에서 배출되는 정화우수를 일시 저장한 후 지중에 침투시키며, 즉 저수탱크(310)의 정화우수을 지중에 바로 침투시키지 않고 투수부(340)에 저장한 후 저장된 정화우수을 소량씩 지중에 침투시킴으로써 갈수기에 지반의 영양화가 가능하다.
투수부(340)는 자갈 등의 골재로 구성되는 다수의 투수재(341) 및 투수재(341)를 덮거나 감싸 투수재(341)의 유실을 막는 투수시트(342)로 구성된다.
투수재(341)는 일정 높이로 쌓여 투수층을 형성하고, 투수시트(342)는 이 투수층의 상부와 좌우 양측을 덮거나 투수층 전체를 감싸는 것 모두가 가능하다.
급수수단(350)은 급수펌프, 급수관으로 구성 가능하고, 급수관을 저수탱크(310) 내부에 설치하여 유입단이 바닥 부근[유입부(321)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하고 급수펌프를 저수탱크(310) 외부의 지상에 설치할 수 있고, 물론, 급수펌프를 저수탱크(310) 내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초부(360)는 저수탱크(310)와 투수부(340)의 뒤틀림 방지를 위하여 바람직하게 콘크리트체로 구성되며, 현장 타설식과 조립식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식 모두가 가능하다.
투수부(340)가 저수탱크(310)의 직하부에 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투수부(340)는 저수탱크(10)의 직하부가 아닌 주변에 시공되는 것도 포함되고, 이때, 정화우수 침투관(320)은 투수부(340)에 정화우수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관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 정화우수 침투관(320)은 저수탱크(10) 내의 정화우수를 지중에 침투시키고, 별도의 정화우수급수관을 추가로 구성하여 이 정화우수급수관을 통해 저수탱크(310) 내의 정화우수를 저수탱크(310)로부터 먼 곳의 투수부(340)에 급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저수조(300)는 밸브에 의한 내장형의 침투유도관(320)을 갖는 밸브 제어식 내장 침투형이라 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방류 침투형(도 14), 밸브리스 내장 침투형(도 15)도 가능하다.
도 1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방류 침투형은 전술한 빗물 침투관(320)을 사용하지 않고 방류부(312)를 통해 방류되는 우수를 투수부(340)에 투수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방류부(312)에서 분기 형성되며 방류부(312)를 따라 방류되는 우수를 투수부(340)에 침투시키는 외장형 침투유도관(370)이 구성된다.
외장형 침투유도관(370)은 도면 기준 상부가 방류부(312)의 저부에서 분기되는 형태이고 저수탱크(310)를 따라 배열되면서 저부가 투수부(340) 안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외장형 침투유도관(370)은 저수탱크(310)의 외벽에 밴드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외장형 침투유도관(370)은 우수 침투의 제어를 위하여 밸브(371)가 구성될 수 있다. 밸브(371)는 지상에서 조작 가능한 모든 형태가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이물질 회수조 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빗물이 저수탱크(310) 안에 저장되어 필요시 급수수단(350)의 가동시 빗물을 급수한다.
우수가 방류부(312)의 높이 이상으로 차오르면 방류부(312)를 통해 저수탱크(3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방류부(312)를 따라 흐르는 우수 중 일부 우수는 외장형 침투유도관(370)에 유입되어 외장형 침투유도관(370)을 통해 투수부(340)에 투수된다.
밸브(371)가 적용된 경우 방류부(312)를 따라 흐르는 우수는 밸브(371)가 개방된 경우에만 외장형 침투유도관(370)을 통해 침투한다.
우수의 방류와 침투로 인하여 우수의 저장량이 방류부(312) 이하가 되면 우수는 저수탱크(310) 안에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다.
도 15에서 보이는 것처럼, 밸브리스 내장 침투형은 저수탱크(310)에 내장형 침투유도관(380)이 설치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내장형 침투유도관(380)은 상하 양측에 개방된 유입부와 배출부가 구비된 관형으로서 저수탱크(310)의 내부와 외부[투수부(340)에 걸쳐 세워져 설치되어, 상측의 유입부가 저수탱크(310)의 바닥보다 높게 배치되어 항상 일정량의 우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저부의 배출부가 투수부(340) 안에 삽입된다.
내장형 침투유도관(380)의 상측의 유입부는 방류부(312)의 높이보다는 낮은 것이다.
내장형 침투유도관(380)의 상부 입구측에도 트랩부가 구성될 수 있다.
내장형 침투유도관(380)은 전술한 수위조절캡(325)과 동일한 목적 달성을 위한 수위조절캡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저수탱크(310) 안에 유입된 우수는 내장형 침투유도관(380)의 상측의 유입부 아래 수위로는 저장된다. 이 수위 이상의 우수는 내장형 침투유도관(380)을 통해 투수부(340)에 침투되고, 방류부(312) 높이의 우수는 방류부(312)를 통해 하천 등으로 방류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케이스,
11 : 우수 집수실, 12 : 오염물 배출실
13 : 부력실, 14 : 정화우수 급수실
15 : 급수 유도판,
20 : 오염물 선별망,
21 : 망, 22 : 오염물 유도벽
30 : 계량수 급수관,
40 : 부력식 우수전환수단,
41 : 우수 전달판, 42 : 부력체
50 : 계량수 드레인관,
60 : 필터,
100 :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
200 : 우수 맨홀,
300 : 저장과 침투 복합형 우수 저수조,

Claims (13)

  1.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제1 내지 제3격벽을 통해 내부에 우수 집수실과 오염물 배출실과 부력실 및 정화우수 급수실이 구획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의 우수 집수실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우수 집수실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상기 오염물 배출실로 유도하는 한편 오염물이 분리된 우수를 상기 우수 집수실로 유도하는 오염물 선별망(20)과;
    상기 우수 집수실에 집수되는 우수를 상기 오염물 배출실로 유도하거나 외부로 드레인하는 오염물 드레인부(16)와;
    상기 우수 집수실에 집수된 우수를 상기 부력실로 유도하는 계량수 급수관(30)과;
    상기 부력실에 설치되며 상기 부력실에 일정량의 우수가 집수되면 상기 우수 집수실에 집수된 우수를 공급받아 상기 정화우수 급수실로 유도하는 부력식 우수 전환수단(40)과;
    상기 부력실에 집수된 우수를 오염물 배출관으로 유도하는 계량수 드레인관(50)을 포함하여, 오염물을 제거한 우수를 계량수로 하여 상기 부력식 우수 전환수단을 가동하고 상기 우수 집수실에 집수되는 정화우수를 상기 정화우수 급수실로 유도하고,
    상기 오염물 선별망은 상기 우수 집수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망, 상기 망의 상부에 가장자리로 가면서 벌어지는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망을 따라 흐르는 오염물을 상기 오염물 배출실로 유도하는 오염물 유도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격벽의 상단부에 상기 제2격벽과 오염물이 낙하하는 공간을 형성하여 오염물의 배출을 간섭하지 않는 한편 우수 집수실에 집수된 우수를 상기 부력식 우수전환수단으로 유도하는 급수 유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력식 우수전환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좌우 양측에 벽이 형성된 우수 전달판, 상기 우수 전달판에 형성되며 상기 부력실에 집수되는 우수에 의해 상기 우수 전달판을 회전시켜 상기 우수 전달판이 상기 급수 유도판과 상기 정화우수 급수실에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우수 집수실에 집수되는 우수가 상기 급수 유도판과 우수 전달판을 경유한 후 상기 정화우수 급수실에 급수되도록 하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화우수 급수실에 형성되며 상기 부력실 우수전환수단을 통해 유도되는 우수를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
  6. 우수를 공급받아 오염물을 제거하여 정화우수를 급수하는 청구항 1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100)와;
    상기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통해 급수되는 우수를 저장하여 사용수로 급수하는 저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
  7. 우수를 공급받는 우수 맨홀과;
    상기 우수 맨홀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오염물을 제거하여 정화우수를 급수하는 청구항 1에 의한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100)와;
    상기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통해 급수되는 우수를 저장하여 사용수로 급수하는 저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우수 맨홀은,
    우수 유입구와 우수 방류구가 구비되는 한편 계량수 급수관을 통해 상기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와 연결되며 내부가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맨홀 본체(210), 상기 맨홀 본체의 내부에 세워져 상기 맨홀 본체 내부를 상기 우수 유입구 및 우수 방류구와 각각 대응하는 집수부(211)와 배출부(212)로 구획하고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우수를 오버플로우에 의해 상기 배출부로 유도하는 한편 저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통공(221)을 통해 상기 집수부의 바닥부에 있는 잔류수와 이물질을 상기 배출부로 유도하는 칸막이(220), 상기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집수부 내부의 우수를 우수 저장조로 유도하는 저장수 유도관(230), 상기 저장수 유도관의 내부에 적용되며 상기 저장수 유도관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재(240), 상기 여과재를 가압하거나 상기 여과재를 상기 저장수 유도관 내부에서 흔들어 상기 여과재에 여과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청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양측이 상기 맨홀 본체의 우수 방류구와 상기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의 오염물 배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을 상기 우수 방류구를 통해 방류하는 회수관(2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
  10.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정화우수 급수관(500)을 통해 상기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의 정화우수 급수실과 연결되어 정화우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310), 상기 저수탱크로부터 정화우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이 정화우수를 지중에 침투시키는 투수부(340), 상기 저수탱크의 내부와 외부인 상기 투수부에 걸쳐 설치되는 관형이며 상기 저수탱크의 내부와 통하는 하나 이상의 유입부 및 상기 저수탱크의 외부와 통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부이 구비되어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정화우수를 상기 투수부 또는 지중에 침투시키되, 상기 유입부은 상기 저수탱크의 바닥보다 높게 배치되어 상기 유입부 이하로 정화우수가 저장되도록 하는 빗물 침투관(320), 상기 빗물 침투관의 유입부을 개폐하는 밸브체(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
  11.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정화우수 급수관(500)을 통해 상기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의 정화우수 급수실과 연결되어 정화우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310), 상기 저수탱크로부터 정화우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이 정화우수를 지중에 침투시키는 투수부(340), 상기 저수탱크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수위에 의해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정화우수를 방류하는 방류부, 상기 방류부에서 분기 형성되며 상기 방류부를 따라 방류되는 정화우수를 상기 투수부에 침투시키는 외장형 침투유도관(3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
  12.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정화우수 급수관(500)을 통해 상기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의 정화우수 급수실과 연결되어 정화우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310), 상기 저수탱크로부터 정화우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이 정화우수를 지중에 침투시키는 투수부(340), 상하 양측에 개방된 유입부와 배출부가 구비된 관형으로서 상기 유입부가 상기 저수탱크의 바닥보다 높게 배치되도록 상기 저수탱크의 내부와 외부인 상기 투수부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정화우수를 상기 배출부를 통해 지중에 침투시키는 내장형 침투유도관(3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저수탱크와 상기 우수 맨홀은 상기 저수탱크에서 방류되는 정화우수를 상기 우수 맨홀을 통해 방류하도록 배관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
KR1020170050017A 2017-04-18 2017-04-18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 KR101926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017A KR101926744B1 (ko) 2017-04-18 2017-04-18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017A KR101926744B1 (ko) 2017-04-18 2017-04-18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995A KR20180116995A (ko) 2018-10-26
KR101926744B1 true KR101926744B1 (ko) 2019-03-07

Family

ID=6409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017A KR101926744B1 (ko) 2017-04-18 2017-04-18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7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0138A (zh) * 2020-08-29 2020-11-24 北京逸智联科技有限公司 一种海绵城市初期雨水收集系统以及收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074B1 (ko) * 2012-09-24 2013-04-24 주식회사 우성이앤씨 오염수 처리장치
KR101604465B1 (ko) * 2015-06-10 2016-03-17 곽병열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 및 우수 저장 유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226B1 (ko) * 2009-08-18 2012-05-16 백종선 장치형 초기우수 비점오염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074B1 (ko) * 2012-09-24 2013-04-24 주식회사 우성이앤씨 오염수 처리장치
KR101604465B1 (ko) * 2015-06-10 2016-03-17 곽병열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 및 우수 저장 유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995A (ko) 201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656B1 (ko) 친환경 여과 집수조 및 그것을 이용한 우수 재순환 시스템
KR101243415B1 (ko) 빗물정화장치
US8512555B1 (en)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US6315897B1 (en) Rain water run-off filtering system
KR100854314B1 (ko) 초기우수 처리시설
US7820040B2 (en) Water pollution trap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096768B1 (ko) 빗물이용장치
KR100562168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20150114224A (ko)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KR100704901B1 (ko) 강우의 특성을 고려한 우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0767754B1 (ko) 정화시설 내부 저장수를 이용하여 물청소하는 오염수다중정화시설 및 오염수 정화방법
KR100958295B1 (ko) 우수활용이 가능한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101089756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101828079B1 (ko)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
KR101926744B1 (ko) 초기오염물 배제형 우수 저장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수처리 시설
KR101604465B1 (ko)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 및 우수 저장 유도 장치
KR101879690B1 (ko) 정수형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 및 우수 저장 유도 장치
KR20100114354A (ko) 초기 우수처리장치
KR20110131868A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185579B1 (ko) 초기우수배제형 빗물 저류장치
KR100927459B1 (ko) 빗물처리장치
KR100763119B1 (ko) 우수처리시스템
CN107724512B (zh) 一种可自动调节降雨初期雨水弃流量的雨水口
KR101771073B1 (ko)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 및 시공 공법
KR101865202B1 (ko) 우수 배수시설의 전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