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126B1 -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126B1
KR101939126B1 KR1020180098617A KR20180098617A KR101939126B1 KR 101939126 B1 KR101939126 B1 KR 101939126B1 KR 1020180098617 A KR1020180098617 A KR 1020180098617A KR 20180098617 A KR20180098617 A KR 20180098617A KR 101939126 B1 KR101939126 B1 KR 101939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re
sprinkler
unit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규섭
Original Assignee
(주)골드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골드이엔지 filed Critical (주)골드이엔지
Priority to KR1020180098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9Methods or equipment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2C99/0009 - A62C99/008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신기, 셋톱박스 및 관리서버를 통해 소방설비의 정상 작동유무 및 관로의 수압 값을 소방본부 혹은 관리본부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실시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비정상적인 작동이 발생되면 이를 즉시 확인하여 건물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으므로 소방설비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대형재난을 방지할 수 있고, 인터넷망으로 실시간 소방설비가 관리되어 인력낭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안전점검의 객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제 옥내소화전과 스프링클러가 작동할 때의 소방수의 수압을 검출할 수 있으며, 옥내소화전급수관과 스프링클러급수관의 천공이나 크랙 등 이상유무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관리가 가능하게 되도록 함과 아울러 점검에 사용된 소방수와 빗물이 무동력으로 저류하여 원예용수와 청소용수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firefighting facility i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소방 분야 기술 중에서,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소방설비의 정상 작동유무 및 관로의 수압 값을 소방본부 혹은 관리본부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실시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비정상적인 작동이 발생되면 이를 즉시 확인하여 건물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소방설비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대형재난을 방지할 수 있고, 인터넷망으로 실시간 소방설비가 관리되어 인력낭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안전점검의 객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제 옥내소화전과 스프링클러가 작동할 때의 소방수의 수압을 검출할 수 있으며, 옥내소화전급수관과 스프링클러급수관의 천공이나 크랙 등 이상유무를 검출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관리가 가능하게 되도록 함과 아울러 점검에 사용된 소방수와 빗물이 무동력으로 저류하여 원예용수와 청소용수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내에 설치되는 소방시설은 각 층마다 구비되어 화재를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화재경보기, 스프링클러, 소방펌프 및 옥내소화전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소방시설은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초기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형화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소방시설이 항상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소방시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유무를 관리실에서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수신기가 구비되며, 수신기에는 표시등이 구비되어 소방시설이 정상적일 경우에는 표시등이 점등되고, 소방시설이 비정상 상태일 경우에는 표시등이 소등되어 관리자가 소방시설의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표시등이 소등되어 소방시살이 비정상임을 확인하게 되면, 곧바로 소방시설의 점검 및 보수유지 작업을 수행하여 소방시설이 항상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0980호(2009.12.02. 등록) "각종 건물에 설비된 소방설비의 관리시스템"(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은 입력모듈부가 구비되는 수신기, 셋톱박스 및 관리서버를 통해 소방설비의 정상 작동유무 및 관로의 압력 값을 소방본부 혹은 관리본부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실시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비정상 작동이 발생되면 이를 즉시 확인하여 건물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으므로 소방설비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대형재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터넷망으로 실시간 소방설비가 관리되므로 인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전점검의 객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 1은 공동주택의 옥상에 구비된 물탱크로부터 관로에 공급되는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2147호(2017.05.25. 등록)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합 관리장치"(이하, '선행기술 2'라 함)는 공동주택의 옥상에 구비된 물탱크로부터 관로로 공급되는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옥내소화전 및 스프링클러의 물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소방설비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압력검툴센서부에 의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수압은 관로를 통하여 옥내소화전 및 스프링클러에 소방수가 공급될 때의 수압인 압력 값인데, 상기 선행기술 1, 2는 압력검출센서부가 옥상에 설치된 물탱크에 연결된 관로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수압 값을 측정하지 못한다.
즉, 상기 선행기술 1, 2의 압력검출센서부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는 수압 값은 물탱크 내의 수위와 압력검출센서부의 설치위치 간의 수두차에 따른 수압??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단지 관로에 물이 채워져 있음을 의미하는 수압 값을 측정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선행기술 1, 2는 실제 측정이 필요한 수압 값이 관로를 통하여 옥내소화전 및 스프링클러로 수방수가 공급될 때의 수압 값을 측정할 수 없어 압력검출센서부에 의하여 측정되는 수압 값은 소방설비 통합 관리에서 의미가 없는 것이다.
또한 옥내소화전급수관과 스프링클러급수관에 소방수를 공급하면서 수압을 검출하는 것이 아니므로 옥내소화전 및 스프링클러에 소방수를 공급하는 옥내소화전급수관과 스프링클러급수관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없다.
즉, 실제 화재가 발생하여 옥내소화전과 스프링클러에 소방수가 급수되는 과정에서 급수관에 천공 또는 크랙 부위가 있는 경우 수압이 떨어지게 되는데 상기 선행기술 1, 2에서는 이러한 급수관의 천공 또는 크랙 부위를 검출해낼 수 없다.
다시 말하여 상기 선행기술 1, 2에서 실질적으로 관로를 통해 옥내소화전 및 스프링클러에 소방수를 공급할 때의 수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옥내소화전전급수관과 스프링클러급수관을 통해 옥내소화전와 스프링클러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면서 압력검출센서부에 의하여 관로 내의 수압을 측정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관로를 통하여 소방수를 공급하게 되면, 옥내소화전과 스프링클러에서 소방수가 방수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사실상 실현할 수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0980호(2009.12.02. 등록) "각종 건물에 설비된 소방설비의 관리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2147호(2017.05.25. 등록)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합 관리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방설비의 정상 작동유무 및 관로의 수암 값을 소방본부 혹은 관리본부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실시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비정상적인 작동이 발생되면 이를 즉시 확인하여 건물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소방설비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대형재난을 방지할 수 있고, 인터넷망으로 실시간 소방설비가 관리되어 인력낭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안전점검의 객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제 옥내소화전과 스프링클러가 작동할 때의 소방수의 수압을 검출할 수 있으며, 옥내소화전급수관과 스프링클러급수관의 천공이나 크랙 등 이상유무를 검출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관리가 가능하게 되도록 함과 아울러 점검에 사용된 소방수와 빗물이 무동력으로 저류하여 원예용수와 청소용수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건물 내에 설비되어 있는 각종 소방설비의 작동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할 수 있는 입력모듈부가 내부 혹은 일측에 구비되는 수신기; 상기 입력모듈부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에서 입력 받은 데이터 중 비정상적인 데이터는 송수신부로 송신하고 정상적인 데이터는 저장토록 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송신하거나 혹은 수신하도록 구비되는 인터넷송수신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저장 명령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기억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셋톱박스; 소방본부 혹은 관리본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셋톱박스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팝업창 등으로 디스플레이화 함과 동시에 반대로 관리자가 접속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셋톱박스에 송신되고 있는 데이터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 터미널제어기와, 구축되는 각종 건물의 위치 및 건물 내부 약도 등의 히스토리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어 관리자가 터미널제어기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저장 및 제공하는 주기억장치를 포함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공동주택의 옥내소화전과 스프링클러에 공급되는 소방수의 압력과 유량을 층별로 측정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소방수배관계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방수관리계통은 공동주택의 옥상에 설치되는 소방수탱크에 메인밸브를 통해 연결되는 소방수급수관과, 상기 소방수급수관에 각 층별 옥내소화전 입수밸브를 통하여 병렬로 연결되며 각 층별 옥내소화전 출수밸브를 통해 옥내소화전에 연결되는 각 층별 옥내소화전급수관과, 상기 소방수급수관에 각 층별 스프링클러 입수밸브를 통하여 병렬로 연결되며 각 층별 스프링클러 출수밸브를 통해 스프링클러에 연결되는 각 층별 스프링클러급수관과, 공동주택의 일측 외벽에 설치되어 상기 소방수급수관의 하단이 연결되어 점검에 사용된 소방수가 저류되는 저류탱크와, 상기 저류탱크의 하단 양단부에 양단이 연결되는 살수관과, 상기 저류탱크의 하단 양단부에 연결되는 배수관과, 상기 저류탱크에 하단 양단부에 연결되는 제1 포트와, 상기 살수관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2 포트와, 상기 배수관에 연결되는 제3 포트를 가지며, 제2 포트와 제3 포트가 제1 포트에 대하여 차단되는 폐쇄상태와, 제1 포트와 제2 포트가 연결되는 살수상태와, 제1 포트와 제3 포트가 연결되는 배수모드로 조작하기 위한 핸들을 포함하는 3방향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저류탱크는 평상시에는 빗물을 저류하여 원예용수와 청소용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면이 개방된 저류탱크본체와, 상기 저류탱크본체를 복개하는 저류탱크덮개로 구성되며, 상기 저류탱크덮개를 상기 저류탱크본체의 상면 개방부를 복개하며 상면이 저류탱크본체의 상단면보다 낮게 배치되는 스틸그레이팅과, 상기 스팅그레이팅의 상면에 복개되는 걸름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류탱크의 내벽면에는 상기 스틸그레이팅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살수관의 관벽에는 복수열의 살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살수공 수평방향열 살수공, 13도상향열 살수공, 30도상향열 살수공, 45도상향열 살수공 및 60도상향열 살수공으로 형성하여 살수거리를 달리하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옥내소화전 및 스프링클러에 공급되는 소방수의 수압을 검출하여 검출된 수암 값을 상기 수신기의 입력모듈부에 송출하는 수압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압검출부는 상기 옥내소화전급수관에 설치되는 옥내소화전수압센서와, 상기 스프링클러급수관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 수압센서와, 상기 옥내소화전 수압센서와 스프링클러 수압센서에서 측정된 수압 값을 입력받아 전송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전송된 수압 값을 RSC485통신을 통해 입력모듈부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입력모듈부에는 압력검출부에서 검출되어 송신되는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연산장치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수압검출부는 상기 메인밸브, 옥내소화전 입수밸브, 옥내소화전 출수밸브, 스프링클러 입수밸브, 스프링클러 출수밸브를 개폐할 수 있는 수압검출모드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에 의하면 수신기, 셋톱박스 및 관리서버를 통해 소방설비의 정상 작동유무 및 관로의 수압 값을 소방본부 혹은 관리본부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실시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비정상적인 작동이 발생되면 이를 즉시 확인하여 건물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으므로 소방설비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대형재난을 방지할 수 있고, 인터넷망으로 실시간 소방설비가 관리되어 인력낭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안전점검의 객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제 옥내소화전과 스프링클러가 작동할 때의 소방수의 수압을 검출할 수 있으며, 옥내소화전급수관과 스프링클러급수관의 천공이나 크랙 등 이상유무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관리가 가능하게 되도록 함과 아울러 점검에 사용된 소방수와 빗물이 무동력으로 저류하여 원예용수와 청소용수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의 셋톱박스의 블록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의 관리서버의 블록도,
도 4는 공동주택의 소방수배관계통을 보인 도면,
도 5는 저류탱크, 살수관, 배수관, 3방향 밸브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살수관의 확대 사시도 및 확대 단면도,
도 7은 수압검출부를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기(100), 셋톱박스(200) 및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기(100)는 공동주택 내에 설치되는 소방시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유무를 관리실에서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이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공동주택의 관리실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수신기(100)의 작동신호를 입력받아 송신할 수 있는 입력모듈부(120)를 수신부(100)의 내부 또는 일측에 구비한다.
상기 입력모듈부(120)가 송신하는 작동신호는 정상신호와 비정상신호 모두를 포함하며,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전송하는 방법으로는 실시간 전송에 유리한 시리얼통신, 즉, RSC485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송하는 방법은 아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통신방법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수신기(100)의 정상작동과 비정상작동의 판단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상기 셋톱박스(200)는 상기 입력모듈부(120)와 RSC485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입력모듈부(12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실시간 저장함과 동시에 비정상데이터를 검출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셋톱박스(200)는 데이터입력부(210), 중앙처리장치(220), 인터넷송수신부(230) 및 주기억장치(24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입력부(210)는 상기 입력모듈부(120)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상기 중앙처리장치(220)는 상기 데이터입력부(210)에서 입력받은 데이터 중 비정상데이터를 검출하여 인터넷송수신부(230)를 통해 전송하고, 정상적인 데이터를 주기억장치(240)에 실시간 저장하도록 한다.
인터넷송수신부(230)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20)에서 송신된 비정상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송신하거나 또는 관리서버(300)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셋톱박스(200)는 인터넷 접속 등의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소방본부 또는 관리본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구축되는 공동주택의 상세 약도 및 위치의 히스토리가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으며, 상기 셋톱박스(200)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수집하여 디스플레이화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관리서버(300)는 데이터수집부(310), 중앙처리장치(320), 터미널제어기(330) 및 주기억장치(34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수집부(310)는 상기 셋톱박스(200)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320)는 상기 데이터수집부(310)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터미널제어기(330) 및 주기억장치(34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터미널제어기(330)는 상기 중앙처리장치(320)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를 통해 팝업창 등으로 디스플레이화 함과 동시에 반대로 관리자가 접속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셋톱박스(200)로 송신되고 있는 데이터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터미널제어기(330)는 랜이나 통신을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320)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 등을 총괄하는 기기이다.
상기 주기억장치(340)는 구축되는 공동주택의 위치 및 내부 약도 등이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어 관리자가 터미널제어기(330)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저장 및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는 옥내소화전과 스프링클러에 공급되는 소방수의 압력과 유량을 층별로 측정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소방수관리계통(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방수관리계통(400)은 공동주택의 옥상에 설치되는 소방수탱크(410)에 메인밸브(Vm)를 통해 연결되는 소방수급수관(Lm)과, 상기 소방수급수관(Lm)에 각 층별 옥내소화전 입수밸브(V11)를 통하여 병렬로 연결되며 각 층별 옥내소화전 출수밸브(V12)를 통해 옥내소화전에 연결되는 각 층별 옥내소화전급수관(L1)과, 상기 소방수급수관(Lm)에 각 층별 스프링클러 입수밸브(V21)를 통하여 병렬로 연결되며 각 층별 스프링클러 출수밸브(V22)를 통해 스프링클러에 연결되는 각 층별 스프링클러급수관(L2)과, 공동주택의 일측 외벽에 설치되어 상기 소방수급수관(Lm)의 하단이 연결되어 점검에 사용된 소방수가 저류되는 저류탱크(420)와, 상기 저류탱크(420)의 하단 양단부에 양단이 연결되는 살수관(430)과, 상기 저류탱크(420)의 하단 양단부에 연결되는 배수관(440)과, 상기 저류탱크(420)에 하단 양단부에 연결되는 제1 포트(451)와, 상기 살수관(430)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2 포트(452)와, 상기 배수관(440)에 연결되는 제3 포트(453)를 가지며, 제2 포트(451)와 제3 포트(453)가 제1 포트(451)에 대하여 차단되는 폐쇄상태와, 제1 포트(451)와 제2 포트(452)가 연결되는 살수상태와, 제1 포트(451)와 제3 포트(453)가 연결되는 배수모드로 조작하기 위한 핸들(454)을 포함하는 3방향 밸브(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상기 소방수탱크(410)는 공동주택의 옥상에 생활용수탱크와 별도로 설치된다.
상기 옥내소화전급수관(L1)과 스프링클러급수관(L2)은 공동주택의 각 층별마다 설치되며, 스프링클러급수관(L2)에는 각 세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스프링클러에 소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스프링클러연결관(도시생략)이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메인밸브(Vm), 옥내소화전 입수밸브(V11), 옥내소화전 출수밸브(V12), 스프링클러 입수밸브(V21), 스프링클러 출수밸브(V22)는 전자신호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전자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저류탱크(420)의 용적은 최소 소방수탱크(410)의 용적과 같거나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저류탱크(420)는 공동주택의 전면 및/또는 후면의 전폭에 걸쳐서 설치함으로써 용적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공동주택의 전면 및/또는 후면의 전폭에 걸쳐서 설치되는 화단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저류탱크(420)는 바닥이 지면에 위치하고 상단은 1층의 옥내소화전급수관(L1)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저류탱크(420)는 상면이 개방된 저류탱크본체(421)와 상기 저류탱크본체(421)의 상면 개방부를 복개하는 저류탱크덮개(422)로 구성하고, 저류탱크본체(421)와 저류탱크덮개(422)를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평상시에는 빗물을 저류하여 원예용수와 청소용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저류탱크덮개(422)를 상기 저류탱크본체(421)의 상면 개방부를 복개하며 상면이 저류탱크본체(421)의 상단면보다 낮게 배치되는 스틸그레이팅(423)과, 상기 스틸그레이팅(423)의 상면에 복개되는 걸름망(424)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틸그레이팅(422)은 강철재로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통상적인 스틸그레이팅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걸름망(423)은 낙엽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저류탱크본체(421)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철재 또는 합성수지재 망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류탱크(420)의 내벽면에는 상기 스틸그레이팅(423)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대(424)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425)는 앵글 형강을 절단하여 저류탱크본체(421)의 내벽면에 매설되는 앵커볼트와 너트(도시생략)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살수관(430)은 상기 저류탱크(420)가 공동주택의 후면에 설치된 경우 저류탱크(420)의 후면 하단부에 양단이 연결되고, 상기 저류탱크(420)가 공동주택의 전면에 설치된 경우에는 저류탱크(420)의 전면 하단부에 양단이 연결된다.
상기 살수관(430)의 관벽에는 복수열의 살수공(431)이 형성된다.
상기 살수공(431)은 수평방향열의 살수공(431a), 15도상향열의 살수공(431b), 30도상향열의 살수공(431c), 45도상향열의 살수공(431d) 및 60도상향열의 살수공(431e)으로 형성하여 각 열의 살수거리를 다르게 함으로써 화단 전체에 대한 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상기 배수관(440)에는 호스(도시생략)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저류탱크(420)에 저류된 소방수 또는 빗물을 청소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배수관(440)과 3방향 밸브(450)는 저류탱크(420) 내의 소방수 또는 빗물을 드레인하기 위한 드레인관과 드레인밸브로서의 역할을 겸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는 상기 옥내소화전 및 스프링클러에 공급되는 소방수의 수압을 검출하여 검출된 수압 값을 상기 수신기(100)의 입력모듈부(120)에 송출하는 수압검출부(500)를 더 포함한다(도 1 참조).
상기 수압검출부(500)는 각 층의 옥내소화전급수관(L1)과 스프링클러급수관(L2)에 적정한 압력의 소방수가 공급되는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압검출부(500)는 상기 옥내소화전급수관(L1)에 설치되는 옥내소화전수압센서(510)와, 상기 스프링클러급수관(L2)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 수압센서(520)와, 상기 옥내소화전 수압센서(510)와 스프링클러 수압센서(520)에서 측정된 수압 값을 입력받아 전송하는 중앙처리부(530)와, 상기 중앙처리부(530)로부터 전송된 수압 값을 RSC485통신을 통해 입력모듈부(120)로 전송하는 송신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7 참조).
상기 입력모듈부(120)에는 압력검출부(500)에서 검출되어 송신되는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연산장치가 추가로 구비된다.
따라서 입력모듈부(120)는 변환된 디지털 값을 실시간으로 셋톱박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셋톱박스(200)의 중앙처리장치(220)는 압력검출부(500)에서 측정하여 전송되는 압력 값이 법정 수압 값 범위이면 정상 값으로 인식하고, 이 범위를 벗어나면 비정상 값으로 인식하도록 세팅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압력검출부(500)가 입력모듈부(120)에 송신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입력모듈부(120)를 통하지 않고 셋톱박스(200)에 직접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너무나 명백하다.
상기 수압검출부(500)는 상기 메인밸브(Vm), 옥내소화전 입수밸브(V11), 옥내소화전 출수밸브(V12), 스프링클러 입수밸브(V21), 스프링클러 출수밸브(V22)를 개폐할 수 있는 수압검출모드 입력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압검출모드 입력부(550)에 수압검출모드가 입력되면, 메인밸브(Vm), 옥내소화전 입수밸브(V11), 스프링클러 입수밸브(V21)가 개방되어, 소방수탱크(510)의 소방수가 메인밸브(Vm)를 통해 소방수급수관(Lm)으로 급수되고, 소방수탱크(410)의 소방수가 옥내소화전 입수밸브(V11) 및 스프링클러 입수밸브(V21)를 통해 옥내소화전급수관(L1) 및 스프링클러급수관(L2)으로 급수됨과 아울러 소방수급수관(Lm)의 하단에서 상기 저류탱크(420)에 저류된다.
이 과정에서 옥내소화전급수관(L1) 및 스프링클러급수관(L2)에 설치된 옥내소화전 수압센서(510) 및 스프링클러 수압센서(520)가 옥내소화전급수관(L1) 및 스프링클러급수관(L2) 내의 수압을 검출하게 된다.
옥내소화전 수압센서(510) 및 스프링클러 수압센서(520)에 의하여 검출된 수압 값은 중앙처리장치(530)에 전송되고, 중앙처리장치(530)에서 송신부(540)를 통하여 수신기(100)의 입력모듈부(120)에 입력된다.
이때 입력모듈부(120)는 옥내소화전 수압센서(510) 및 스프링클러 수압센서(520)에서 측정한 수압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전송하게 된다.
상기 옥내소화전 출수밸브(V12)와 스프링클러 출수밸브(V22)는 실제 화재가 발생하여 옥내소화전과 스프링클러에 급수가 필요한 경우에 개방되는 것으로 본 발명과는 별도의 시스템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신기(100) 내부에 구비된 입력모듈부(120)는 수신기(100)의 작동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한다.
계속해서, 입력모듈부(12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셋톱박스(200)의 데이터입력부(210)가 입력받고, 중앙처리장치(220)가 주기억장치(240)에 실시간 저장하게 된다. 이때, 셋톱박스(200)의 중앙처리장치(220)에는 입력된 데이터를 비정상데이터(수신부의 표시등 오프)는 검출하여 인터넷송수신부(230)를 통해 전송한다.
즉 입력받은 데이터 중 수신기(100)에 구비된 표시등(110) 중 어느 하나라도 오프되면 검출하여 즉시 송신하고, 온 상태이면 실시간 저장만 한다. 또한 수압 값은 실시간 저장하되 정상 값을 벗어나면 즉시 송신한다.
만약, 수신기(100)의 A표시등이 오프되면, 이 데이터를 셋톱박스(200)의 인터넷송수신부(230)가 인터넷망을 통해 송신한다.
이와 같이 송신된 데이터는 소방본부 또는 관리본부에 구축되어 있는 관리서버(300)의 데이터수집부(310)가 수집하게 되고, 수집된 데이터는 중앙처리장치(320)의 명령에 따라 주기억장치(340)에 저장됨과 동시에 터미널제어기(3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화 된다.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통상 인터넷 포털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메일 알림 방식인 팝업창이 모니터에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이 팝업창에는 주기억장치(340)에 저장된 공동주택의 명칭과 위치가 함께 나타나게 된다.
즉, "B위치에 있는 C공동주택의 A표시등이 오프되었습니다"는 문구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소방본부의 관리자는 이 문구가 개재된 팝업창을 클릭하면 A표시등이 설비되어 있는 공동주택 내의 약도를 상세하게 보여준다. 물론, 약도는 관리서버(300)의 주기억장치(340)에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음으로 가능하다.
이러한 경고 문구를 접한 관리 소방관은 전화 또는 팩스 등의 통신을 이용하여 C공동주택의 관리자에게 확인 및 수리를 요청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압검출부(500)를 구성하는 수압검출모드 입력부(550)에 수압검출모드가 입력되면, 그 입력모드가 중앙처리장치(530)에 전송되고, 중앙처리장치(530)는 밸브개방명령을 출력하게 되며, 이에 따라 메인밸브(Vm), 옥내소화전 입수밸브(V11), 스프링클러 입수밸브(V21)가 개방되어 소방수탱크(410)의 소방수가 소방수급수관(Lm)으로 급수되고, 소방수급수관(Lm)에 병렬로 연결된 옥내소화전급수관(L1)과 스프링클러급수관(L2)에 급수되며, 최종적으로는 소방수급수관(Lm)의 하단에서 저류탱크(420)에 저류된다.
이에 따라 옥내소화전급수관(L1)과 스프링클러급수관(L2)에는 실제 옥내소화전과 스프링클러에 소방수가 급수될 때와 동일한 수압 값이 작용하게 되고, 그 수압 값이 옥내소화전 수압센서(510)와 스프링클러 수압센서(520)에 의하여 검출되어 RSC485통신에 의하여 수신기(10)의 입력모듈부(120)로 전송되고, 입력모듈부(120)는 입력된 수압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셋톱박스(200)로 전송한다.
입력모듈부(120)에서 셋톱박스(200)로 전송된 수압 값은 데이터입력부(210)에 입력되고, 중앙처리장치(220)가 주기억장치(240)에 실시간 저장하게 된다.
이때, 셋톱박스(200)의 중앙처리장치(220)에는 입력된 데이터에서 비정상적인 데이터(수신부의 표시등 오프)는 검출하여 인터넷 송수신부(230)를 통해 전송하게 되고, 수압검출부(500)에서 검출하여 인터넷 송수신부(230)를 통해 전송하게 되며, 수압검출부(500)에서 검출되어 전송되는 수압 값이 법정 수압 값 범위이면 정상 데이터로 인식하고, 이 범위를 벗어나면 비정상 데이터로 인식하여 인터넷 송수신부(230)를 통해 전송하게 된다.
즉, 입력받은 데이터 중 수신기(100)에 구비된 표시등(110) 중 어느 하나라도 오프되면 검출하여 즉시 송신하게 되고, 온 상태이면 실시간 저장만 하게 된다.
만약, 수신기(100)의 A표시등이 오프되면 이 데이터를 셋톱박스(200)의 인터넷 송수신부(230)가 인터넷망을 통해 송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송신된 데이터를 소방본부 또는 관리본부에 구축되어 있는 관리서버(300)의 데이터수집부(310)가 수집하게 되고, 수집된 데이터는 중앙처리장치(320)의 명령에 따라 주기억장치(340)에 저장됨과 동시에 터미널제어기(330)를 통해 디스플레이화 된다.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통상 인터넷 포털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메일 알림 방식인 팝업창이 모니터에 나타나게 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팝업창에는 주기억장치(340)에 저장된 공동주택의 명칭과 위치가 함께 나타나게 된다. 즉, "B위치에 있는 C공동주택의 A표시등이 오프되었습니다"라는 문구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소방본부의 관리자가 이 문구가 개재된 팝업창을 클릭하면 A표시등이 설비되어 있는 공동주택 내의 약도를 상세하게 보여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약도는 관리서버(300)의 주기억장치(340)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음으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고 문구를 접한 관리 소방관은 전화 또는 팩스 등의 통신을 이용하여 C공동주택의 관리자에게 확인 및 수리를 요청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신기(100)에 입력되는 각종 데이터는 물론이고 옥내 소화전 및 스프링클러에 소방수를 공급하는 소방수급수관(Lm), 옥내소화전급수관(L1) 및 스프링클러급수관(L2)내의 수압이 정상 값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전송하게 된다.
아울러 공동주택에서 비정상 데이터가 상당한 시간 동안 입력되지 않으면 관리 소방관은 터미널제어기(330)를 통해 셋톱박스(200)의 주기억장치(240)에 실시간 저장되고 있는 데이터 및 수압 값을 수시로 확인하여 정상작동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전기를 이용한 소방 시설 통합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입력모듈부(120)가 구비된 수신기(100), 셋톱박스(200), 관리서버(300)를 통해 소방설비의 정상 작동유무 및 수압검출부(500)에 의해 검출된 옥내소화전급수관(L1)과 스프링클러급수관(L2) 내의 수압 값을 소방본부 또는 관리본부에 인터넷망을 통해 실시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비정상 작동이 발생하면 이를 즉시 확인하여 건물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으므로 소방설비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대형재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동주택의 소방설비가 인터넷망으로 실시간으로 관리되므로 인력낭비를 방지할 수 없음은 물론 안전점검의 객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옥내소화전급수관(L1)과 스프링클러급수관(L2) 내의 수압 값을 검출함에 있어서는 옥내소화전급수관(L1)과 스프링클러급수관(L2)에 급수를 하는 상태에서 수압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실제 소방수가 옥내소화전과 스프링클러에 급수될 때와 동일한 수압 값을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소방설비의 관리가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소방수급수관(Lm)과 옥내소화전급수관(L1) 및 스프링클러급수관(L2)에 천공 또는 크랙 부위가 있을 경우에는 옥내소화전 수압센서(510)와 스프링클러 수압센서(520)에 의하여 검출되는 수압 값이 설정된 수압 값보다 낮게 검출되므로 소방수급수관(Lm)과 옥내소화전급수관(L1) 및 스프링클러급수관(L2)을 점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압검출부(500)에 의하여 옥내소화전급수관(L1)과 스프링클러급수관(L2)의 수압 값의 검출이 완료되거나 수압검출모드 입력부(550)에 수압검출종료모드가 입력되면, 메인밸브(Vm), 옥내소화전 입수밸브(V11) 및 스프링클러 입수밸브(V21)가 폐쇄되고, 옥내소화전급수관(L1)과 스프링클러급수관(L2)의 점검이 완료된다.
상술한 점검과정에서 저류탱크(420)에 저류된 소방수는 공동주택의 각 동에 마련된 화단에 대한 원예용수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공동주택의 각 동 주변의 보행로, 차로, 주차장, 기타 시설물 등에 대한 청소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
저류탱크(420)에 저류된 소방수를 원예용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관리자가 살수밸브(440)를 개방하면 저류탱크(410)에 저류된 소방수가 양단이 저류탱크(410)의 하면에 연결된 살수관(430)으로 유입되고, 살수관(430)에 형성된 복수개의 살수공(431)을 통해 살수되어 화단에 원예용수로 제공될 있다.
저류탱크(420)에 저류된 소방수를 청소용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관리자가 배수밸브(460)를 개방하면 저류탱크(410)에 저류된 소방수가 상단이 저류탱크(410)의 하면에 연결된 배수관(450)을 통해 배수되는바, 배수관(450)에 호스 등을 연결하면 보행로, 차로, 주차장, 기타 시설물 등 원하는 위치에 소방수를 배수하여 청소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점검에 사용된 소방수는 펌프를 이용하여 다시 소방수탱크(410)로 회수하여 소방수로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나, 고층 아파트와 같은 경우 소방수를 옥상의 소방수탱크(410)로 회수하기 위해서는 초대형 양수펌프가 필요하게 되며, 많은 전력소모가 발생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점검에 사용된 소방수를 저류하였다가 원예용수 또는 청소용수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저류탱크(420)는 상면이 개방된 저류탱크본체(421)의 상면 개방부를 복개하며 상면이 저류탱크본체(421)의 상단면보다 낮게 배치되는 스틸그레이팅(423)과, 상기 스팅그레이팅(423)의 상면에 복개되는 걸름망(42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빗물이 걸름망(424)과 스틸그레이팅(423)을 통해 저류탱크본체(421)에 저류되며, 걸름망(424)에 의하여 낙엽 등의 이물질이 걸러지므로 저유된 빗물을 원예용수와 청소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3방향 밸브(450)는 평상시에는 핸들(545)을 돌려서 제1 포트(451)에 대하여 제2 포트(452)와 제3 포트(453)가 모두 차단되도록 하여 저류탱크(420) 내에 저류된 소방수 또는 빗물이 살수관(430)을 통해 살수되거나 배수관(440)을 통해 배수되지 않는 상태로 되도록 하다.
저류탱크(420)에 저류된 소방수 또는 빗물을 원예용수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핸들(454)을 돌려서 제1 포트(451)에 제2 포트(452)에 연결되고 제3 포트(453)는 차단되도록 하면, 저류탱크(420) 내에 저류된 소방수 또는 빗물이 제1 포트(451)와 제2 포트(452)를 통해 살수관(430)으로 유입되고, 살수관(430)에 형성된 복수개의 살수공(431)을 통해 살수되어 화단에 원예용수로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살수공(431)은 수평방향열의 살수공(431a), 15도상향열의 살수공(431b), 30도상향열의 살수공(431c), 45도상향열의 살수공(431d) 및 60도상향열의 살수공(431e)으로 형성하여 각 열의 살수거리를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화단 전체에 대한 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저류탱크(420)에 저류된 소방수 또는 빗물을 청소용수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핸들(454)을 돌려서 제1 포트(451)에 제3 포트(453)가 연결되고 제2 포트(452)는 차단되도록 하면, 저류탱크(420) 내에 저류된 소방수 또는 빗물이 제1 포트(451)와 제3 포트(453)를 통해 배수관(440)으로 유입되고, 배수관(440)에 연결되는 호스(도시생략)를 통하여 청소가 필요한 장소에 청소용수로서 공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수신기 110 : 표시등
120 : 입력모듈부 200 : 셋톱박스
210 : 데이터입력부 220 : 중앙처리장치
230 : 인터넷송수신부 240 : 주기억장치
300 : 관리서버 310 : 터미널송수신부
320 : 중앙처리장치 330 : 데이터수집부
340 : 주기억장치 400 : 소방수배관계통
410 : 소방수탱크 420 : 저류탱크
421 : 저류탱크본체 422 : 저류탱크덮개
424 : 스틸그레이팅 424 : 걸름망
430 : 살수관 440 : 배수관
450 : 3방향 밸브 451 : 제1 포트
452 : 제2 포트 453 : 제3 포트
Lm : 소방수급수관 L1 : 옥내소화전급수관
L2 : 스프링클러급수관 V11 : 옥내소화전 입수밸브
V12 : 옥내소화전 출수밸브 V21 : 스프링클러 입수밸브
V22 : 스프링클러 출수밸브 500 : 수압검출부
510 : 옥내소화전 수압센서 520 : 스프링클러 수압센서
530 : 중앙처리장치 540 : 송신부
550 : 수압검출모드 입력부

Claims (1)

  1. 건물 내에 설비되어 있는 각종 소방설비의 작동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할 수 있는 입력모듈부(120)가 내부 혹은 일측에 구비되는 수신기(100);
    상기 입력모듈부(120)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입력부(210)와, 상기 데이터입력부(210)에서 입력 받은 데이터 중 비정상적인 데이터는 송수신부로 송신하고 정상적인 데이터는 저장토록 하는 중앙처리장치(22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20)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 송신하거나 혹은 수신하도록 구비되는 인터넷송수신부(23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20)의 저장 명령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기억장치(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셋톱박스(200);
    소방본부 혹은 관리본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셋톱박스(200)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수집부(330)와, 상기 데이터수집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32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320)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팝업창 등으로 디스플레이화 함과 동시에 반대로 관리자가 접속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셋톱박스(200)에 송신되고 있는 데이터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 터미널제어기(310)와, 구축되는 각종 건물의 위치 및 건물 내부 약도 등의 히스토리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어 관리자가 터미널제어기(310)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저장 및 제공하는 주기억장치(340)를 포함하는 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공동주택의 옥내소화전과 스프링클러에 공급되는 소방수의 압력과 유량을 층별로 측정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소방수배관계통(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방수배관계통(400)은 공동주택의 옥상에 설치되는 소방수탱크(410)에 메인밸브(Vm)를 통해 연결되는 소방수급수관(Lm)과, 상기 소방수급수관(Lm)에 각 층별 옥내소화전 입수밸브(V11)를 통하여 병렬로 연결되며 각 층별 옥내소화전 출수밸브(V12)를 통해 옥내소화전에 연결되는 각 층별 옥내소화전급수관(L1)과, 상기 소방수급수관(Lm)에 각 층별 스프링클러 입수밸브(V21)를 통하여 병렬로 연결되며 각 층별 스프링클러 출수밸브(V22)를 통해 스프링클러에 연결되는 각 층별 스프링클러급수관(L2)과, 공동주택의 일측 외벽에 설치되어 상기 소방수급수관(Lm)의 하단이 연결되어 점검에 사용된 소방수가 저류되는 저류탱크(420)와, 상기 저류탱크(420)의 하단 양단부에 양단이 연결되는 살수관(430)과, 상기 저류탱크(420)의 하단 양단부에 연결되는 배수관(440)과, 상기 저류탱크(420)에 하단 양단부에 연결되는 제1 포트(451)와, 상기 살수관(430)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2 포트(452)와, 상기 배수관(440)에 연결되는 제3 포트(453)를 가지며, 제2 포트(451)와 제3 포트(453)가 제1 포트(451)에 대하여 차단되는 폐쇄상태와, 제1 포트(451)와 제2 포트(452)가 연결되는 살수상태와, 제1 포트(451)와 제3 포트(453)가 연결되는 배수모드로 조작하기 위한 핸들(454)을 포함하는 3방향 밸브(4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저류탱크(420)는 평상시에는 빗물을 저류하여 원예용수와 청소용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면이 개방된 저류탱크본체(421)와, 상기 저류탱크본체(421)를 복개하는 저류탱크덮개(422)로 구성되고, 상기 저류탱크덮개(422)를 상기 저류탱크본체(421)의 상면 개방부를 복개하며 상면이 저류탱크본체(421)의 상단면보다 낮게 배치되는 스틸그레이팅(423)과, 상기 스틸그레이팅(423)의 상면에 복개되는 걸름망(42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류탱크(420)의 내벽면에는 상기 스틸그레이팅(423)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대(425)가 구비되며,
    상기 살수관(430)의 관벽에는 복수열의 살수공(431)이 형성되고,
    상기 살수공(431)은 수평방향열 살수공(431a), 13도상향열 살수공(431b), 30도상향열 살수공(431c), 45도상향열 살수공(431d) 및 60도상향열 살수공(431e)으로 형성하여 살수거리를 달리하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옥내소화전 및 스프링클러에 공급되는 소방수의 수압을 검출하여 검출된 수압 값을 상기 수신기(100)의 입력모듈부(120)에 송출하는 수압검출부(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압검출부(500)는 상기 옥내소화전급수관(L1)에 설치되는 옥내소화전수압센서(510)와, 상기 스프링클러급수관(L2)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 수압센서(520)와, 상기 옥내소화전 수압센서(510)와 스프링클러 수압센서(520)에서 측정된 수압 값을 입력받아 전송하는 중앙처리부(530)와, 상기 중앙처리부(530)로부터 전송된 수압 값을 RSC485통신을 통해 입력모듈부(120)로 전송하는 송신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입력모듈부(120)에는 압력검출부(500)에서 검출되어 송신되는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연산장치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수압검출부(500)는 상기 메인밸브(Vm), 옥내소화전 입수밸브(V11), 옥내소화전 출수밸브(V12), 스프링클러 입수밸브(V21), 스프링클러 출수밸브(V22)를 개폐할 수 있는 수압검출모드 입력부(5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
KR1020180098617A 2018-08-23 2018-08-23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 KR101939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617A KR101939126B1 (ko) 2018-08-23 2018-08-23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617A KR101939126B1 (ko) 2018-08-23 2018-08-23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126B1 true KR101939126B1 (ko) 2019-04-11

Family

ID=6616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617A KR101939126B1 (ko) 2018-08-23 2018-08-23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1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338B1 (ko) * 2021-03-15 2021-05-18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의 옥외 전기 배관 고정장치
CN113856116A (zh) * 2021-09-22 2021-12-31 万升消防科技有限公司 基于plc智能控制的高压细水雾巡检控制系统及巡检控制方法
CN114712765A (zh) * 2022-03-30 2022-07-08 慧之安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水压检测的消火栓故障检测和报警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726U (ko) * 1989-06-30 1991-02-19
JPH09122266A (ja) * 1995-10-30 1997-05-13 Hochiki Corp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KR20030063052A (ko) * 2002-01-22 2003-07-28 김상욱 옥내의 생활용수 급수배관 겸용식의 간이형자동스프링클러시스템
US20050199748A1 (en) * 2004-03-10 2005-09-15 Heil Joel C. Structural fire protection system
KR100930980B1 (ko) 2007-11-26 2009-12-10 (주)다산기업 각종 건물에 설비된 소방장비의 관리시스템
KR101662267B1 (ko) * 2016-05-16 2016-10-05 (주)동화이엔씨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
KR101662758B1 (ko) * 2015-10-29 2016-10-05 (주)아록이엔지 도로 침수 방지, 지하수위 유지를 통한 지반안정 및 우수 재이용을 위한 우수 저류 및 관리시스템
KR101701454B1 (ko) * 2016-06-27 2017-02-06 (주)태양유니스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개폐밸브 감지 스위치
KR101742147B1 (ko) 2016-11-28 2017-05-31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합 관리장치
KR101744218B1 (ko) * 2016-11-10 2017-06-08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726U (ko) * 1989-06-30 1991-02-19
JPH09122266A (ja) * 1995-10-30 1997-05-13 Hochiki Corp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KR20030063052A (ko) * 2002-01-22 2003-07-28 김상욱 옥내의 생활용수 급수배관 겸용식의 간이형자동스프링클러시스템
US20050199748A1 (en) * 2004-03-10 2005-09-15 Heil Joel C. Structural fire protection system
KR100930980B1 (ko) 2007-11-26 2009-12-10 (주)다산기업 각종 건물에 설비된 소방장비의 관리시스템
KR101662758B1 (ko) * 2015-10-29 2016-10-05 (주)아록이엔지 도로 침수 방지, 지하수위 유지를 통한 지반안정 및 우수 재이용을 위한 우수 저류 및 관리시스템
KR101662267B1 (ko) * 2016-05-16 2016-10-05 (주)동화이엔씨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
KR101701454B1 (ko) * 2016-06-27 2017-02-06 (주)태양유니스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개폐밸브 감지 스위치
KR101744218B1 (ko) * 2016-11-10 2017-06-08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
KR101742147B1 (ko) 2016-11-28 2017-05-31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합 관리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16726 U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338B1 (ko) * 2021-03-15 2021-05-18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의 옥외 전기 배관 고정장치
CN113856116A (zh) * 2021-09-22 2021-12-31 万升消防科技有限公司 基于plc智能控制的高压细水雾巡检控制系统及巡检控制方法
CN114712765A (zh) * 2022-03-30 2022-07-08 慧之安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水压检测的消火栓故障检测和报警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126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
CA2801242C (en) Non interrupting on-line water distribution pressure monitoring system for compression type wet and dry barrel fire hydrants
US20240017103A9 (en) Automated wildfire prevention and protection system for dwellings, buildings, structures and property
US20050126794A1 (en) Fire prevention system
KR101418707B1 (ko) 수리시설물 관리를 위한 다기능 물관리자동화시스템
CN106352247A (zh) 一种管网监测控制系统及采用该系统实现的监测控制方法
US11141617B2 (en) Irrigation water recirculation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US20100000745A1 (en) Integrated water supply system for multi-floor buildings
Yadav et al. Assessment of water requirement and calculation of fire flow rates in water based fire fighting installation
CN106345092A (zh) 智能化高层建筑消防监控系统
KR101269699B1 (ko)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
KR101926089B1 (ko) 공동주택의 전기를 이용한 소방 시설 통합 관리 시스템
KR100930980B1 (ko) 각종 건물에 설비된 소방장비의 관리시스템
CN110772746A (zh) 一种消防水监控系统
US202201434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CA3130838A1 (en) Automated wildfire prevention and protection system for dwellings, buildings, structures and property
KR101742147B1 (ko)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합 관리장치
CN217366985U (zh) 本质安全的预制舱式泛水型自动灭火系统
US20050199748A1 (en) Structural fire protection system
KR102211460B1 (ko) 공동주택의 통신 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 관리 시스템
JP2850105B2 (ja) 住宅用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JPH1043325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2942916B2 (ja) 集合住宅の消火設備
US20240212467A1 (en) Networks, systems and methods for wildfire mitigation
CN106693264A (zh) 一种楼道自动灭火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