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699B1 -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9699B1 KR101269699B1 KR1020100137087A KR20100137087A KR101269699B1 KR 101269699 B1 KR101269699 B1 KR 101269699B1 KR 1020100137087 A KR1020100137087 A KR 1020100137087A KR 20100137087 A KR20100137087 A KR 20100137087A KR 101269699 B1 KR101269699 B1 KR 1012696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rainwater
- storage facility
- fire
- rainwater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17 death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분산 배치된 다수의 빗물저장시설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도시와 산지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화재 발생 지역에 신속하게 소방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은, 서로 다른 위치에 분산적으로 설치되며, 빗물을 저장하는 저수조와 강우 시 빗물을 집수하여 상기 저수조에 유입시키는 집수수단을 구비한 복수의 빗물저장시설; 상기 빗물저장시설과 통신하여 각 빗물저장시설의 빗물의 저장 상태를 확인하고 화재 발생시 해당 지역에 위치된 빗물저장조의 빗물이 소방용수로 공급되게 하는 관리센터; 및 상기 빗물저장시설과 관리센터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은, 서로 다른 위치에 분산적으로 설치되며, 빗물을 저장하는 저수조와 강우 시 빗물을 집수하여 상기 저수조에 유입시키는 집수수단을 구비한 복수의 빗물저장시설; 상기 빗물저장시설과 통신하여 각 빗물저장시설의 빗물의 저장 상태를 확인하고 화재 발생시 해당 지역에 위치된 빗물저장조의 빗물이 소방용수로 공급되게 하는 관리센터; 및 상기 빗물저장시설과 관리센터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지나 도시 지역 등 광범위하고 중요한 지역에 빗물저장시설을 분산형으로 구비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화재 발생시 해당 지역에 신속하게 소방용수를 공급함으로써 효율적인 화재 진압 및 용수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매년 임야, 도시 등 전국 곳곳에서 화재로 인한 엄청난 물적/인적 피해가 발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07년~2009년 사이의 3년 동안 화재로 인해 약 9,000억원 정도의 재산 손실이 발생했고, 약 1,300명이 사망했으며, 문화재와 같은 중요 역사적 유물의 손실도 여러 차례 발생하였다. 이처럼 전국에서 발생하는 여러 화재들이 국민들의 생활을 위협하므로, 화재로부터 국민들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이 시급히 필요하다.
화재는 예방이 가장 중요하겠지만, 발생한 화재의 신속한 진압도 매우 중요한데, 통상적으로 화재 진압과정에서는 물리적 한계, 예를 들어 화재 발생지역까지의 이동 거리, 교통환경, 소방용수의 부족 등으로 인해 효율적인 진압이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 화재로 인한 피해 규모가 확대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도심에 위치한 초고층빌딩과 같은 곳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상기의 한계들로 인하여 화재의 진압이 매우 어렵다.
종래의 소방시설은 사용빈도가 낮고, 관리범위가 제한적이며, 설치비용이 높아 효용성이 떨어졌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국토 전지역에 대하여 발생된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통합된 전역 방재 시스템을 구축하기가 어려웠으며, 화재 발생의 위험도나 화재로 인한 피해 정도가 큰 지역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방재 시설을 설치 및 관리하는 집중형 방재 시스템이 사용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집중적으로 관리되는 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 효율적인 진압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피해가 확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기후 변화로 인해 지속적으로 산림북방한계선이 상승하고, 건조일수가 증가되고, 지하수위가 저하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향후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에 대한 취약성이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므로, 국토 전역에 대한 효율적인 방재 시스템 구축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산 배치된 다수의 빗물저장시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도시와 산지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화재 발생 지역에 신속하게 소방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우시 빗물을 집수하는 집수수단을 통해 유입되어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이 급수수단을 통해 유입되어 저장되는 소방용수저장조를 구비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분산 설치되는 복수의 빗물저장시설;
상기 빗물저장시설과 통신하여 각 빗물저장시설의 빗물 저장 상태를 확인하고, 화재 발생시 해당 지역에 위치된 소방용수저장조의 빗물을 소방용수로 공급하도록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중앙제어기를 구비하는 관리센터; 및
상기 빗물저장시설과 관리센터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중앙제어기에서 출력된 빗물저장시설의 작동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빗물저장시설의 빗물수위를 수신하여 중앙제어기에 전송하도록 중앙통신기 및 상기 중앙통신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빗물저장시설은 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을 화재발생 지역의 소방용수저장조로 공급하는 급수관 및 상기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작동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급수밸브를 구비한 급수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빗물저장시설의 소방용수저장조는 도시지역의 지하에 매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빗물저장시설과 통신하여 각 빗물저장시설의 빗물 저장 상태를 확인하고, 화재 발생시 해당 지역에 위치된 소방용수저장조의 빗물을 소방용수로 공급하도록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중앙제어기를 구비하는 관리센터; 및
상기 빗물저장시설과 관리센터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중앙제어기에서 출력된 빗물저장시설의 작동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빗물저장시설의 빗물수위를 수신하여 중앙제어기에 전송하도록 중앙통신기 및 상기 중앙통신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빗물저장시설은 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을 화재발생 지역의 소방용수저장조로 공급하는 급수관 및 상기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작동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급수밸브를 구비한 급수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빗물저장시설의 소방용수저장조는 도시지역의 지하에 매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이러한 경우, 상기 중앙통신기 및 통신단말기는 무선 송수신 방식의 것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 빗물저장시설의 저수조는 산지의 지면에 매입 설치되고, 상기 집수수단은 경사진 수로를 이루도록 산지의 지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저수조의 유입구와 연결된 집수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빗물저장시설의 집수수단은 상기 저수조의 상부에 구비되는 집수막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막은 지지대에 의해 중앙부가 낮아지도록 설치되고, 중앙부에 상기 저수조의 유입구와 연결되는 연결구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빗물저장시설의 집수수단은 산지의 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집수구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구의 하부에 저수조가 매입 설치되고, 상기 저수조는 상기 집수구의 물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투수성 구조의 벽체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빗물저장시설은 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집수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삭제
이러한 경우, 상기 빗물저장시설의 집수수단은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집수조 및 상기 집수조의 빗물을 저수조로 이동시키는 집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산지나 도시 지역 등에 빗물저장시설을 분산형으로 설치하고 각 빗물저장시설와 통신하여 화재 발생 시 소방용수 공급이 이루어지게 하는 관리센터를 구비하여 소방용수 관리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광범위한 지역에 대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하고 용수를 관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에서 빗물저장시설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에서 빗물저장시설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에서 빗물저장시설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에서 빗물저장시설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에서 빗물저장시설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에서 빗물저장시설 제6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에서 빗물저장시설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에서 빗물저장시설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에서 빗물저장시설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에서 빗물저장시설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에서 빗물저장시설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에서 빗물저장시설 제6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의 한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은 산지(10)나 도시지역(20) 등을 비롯한 다양한 지역에 분산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빗물저장시설(110), 각 빗물저장시설(110)의 통합적 관리 및 운용을 위한 관리센터(100), 각 빗물저장시설(110)와 관리센터(100)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빗물저장시설(110)은 설치 지역에 내리는 빗물을 집수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빗물을 화재 발생 시 소방용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것으로, 빗물을 저장하는 저수조(111), 강우 시 빗물을 집수하여 상기 저수조(111)에 유입시키는 집수수단, 상기 저수조(111)에 저장된 빗물을 화재 발생 장소로 공급하는 급수수단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저수조(111)는 설치 지역의 지상 지형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용수 확보가 가능하도록 기존의 대용량 저수조에 비해 작은 중/소규모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다수의 지점에 매입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센터(100)는 관측, 신고, 보고 등에 의해 어느 지역의 화재 발생 상황이 접수되면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급수신호를 전달하여 적절한 위치의 빗물저장시설(110)로부터 소방용수 공급이 이루어지게 하는 중앙제어기(101)를 구비한다.
상기 중앙제어기(101)는 입력된 통신신호를 연산처리하여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제어기(101)는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전달된 신호에 의해 각 빗물저장시설(110)의 저수조(111)에 수용된 빗물의 수위를 확인하고, 이를 적정 수위와 비교한 다음 적절한 저장수량이 유지되도록 빗물의 유입과 배출을 제어하는 작동 신호를 통신수단을 통해 각 빗물저장시설(110)로 전달한다.
상기 통신수단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설치 및 관리 편의성 면에서 무선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한 것으로, 상기 관리센터(100)에는 각 빗물저장시설(110)로부터 전송된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중앙제어기(101)에 입력하고 중앙제어기(101)에서 출력된 작동신호를 무선송신하는 중앙통신기(103)가 구비되며, 각 빗물저장시설(110)에는 상기 중앙통신기(103)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단말기(113)가 설치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중앙통신기(103)와 통신단말기(113) 사이에는 원거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무선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빗물저장시설(110)을 이루는 저수조(111)와 집수수단 및 급수수단의 구체적인 구조는 설치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지(10)에 설치되는 빗물저장시설(110)의 구조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도시지역에 설치되는 빗물저장시설(110)의 구조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빗물저장시설(110)은 탱크 형의 저수조(111)가 산지(10)의 지면 하부에 매입 설치되어 지면에 흘러내리는 빗물을 수집 및 저장한다. 상기 집수수단으로서 저수조(111)에 유입구(115)가 구비되고, 경사진 수로를 이루도록 사면을 따라 형성된 집수로(116)가 각 유입구(115)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급수수단으로서 저수조(111)에 급수관(121)이 연결되고, 각 급수관(121)에 상기 통신단말기(113)의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급수밸브(122)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빗물저장시설(110)을 구비한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은 비가 내릴 때 산지(10)의 지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집수로(116)를 통해 저수조(111)에 자연적으로 수집되고, 저수조(111)에 충분한 빗물이 수용되면 빗물의 유입이 자연적으로 중지된다. 이에 따라, 빗물의 집수와 저수량 조절 등을 위한 별도의 장치나 동력이 필요 없게 되므로, 소방용수 저장을 위한 시설물의 구조가 간편해지고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빗물저장시설(110)이 설치된 장소와 가까운 곳에 산불이 발생하거나 인접 지역에 화재가 발생하면, 관리센터(100)의 중앙제어기(101)에서 출력된 급수신호가 중앙통신기(103)에 의해 외부로 전송되고, 전송된 급수신호를 해당 통신단말기(113)가 수신하여 빗물저장시설(110)의 급수관(121)에 연결된 급수밸브(122)를 개방시킨다. 이와 같이 급수밸브(122)가 개방되면 저수조(111)에 저장된 빗물이 소화용 살수장치를 비롯한 여러 소방장치와 시설물에 신속하게 공급되어 화재 진압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산지(10)의 높은 위치에 빗물저장시설(110)이 설치되어 중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소방용수 공급이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급수장치와 동력이 필요 없게 되어 소방용수 공급을 위한 시설물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유지/관리 노력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상기 빗물저장시설(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설치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빗물저장시설(110)은 지면에 설치되는 저수조(111)의 상부에 집수수단으로서 집수막(131)이 설치된다. 상기 집수막(131)은 외측단 부분이 복수의 지지대(133)에 의해 지지되어 중앙부가 낮아지도록 설치되고, 중앙부에 상기 저수조(111)의 유입구(115)와 연결되는 연결구(13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통신수단으로서 관리센터(100)의 중앙통신기(103)와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단말기(113)가 구비되고, 급수수단으로서 급수관(121) 및 급수밸브(122)가 구비된다.
이러한 도 3의 빗물저장시설(110)은 강우 시 상기 집수막(131) 표면에 낙하되는 빗물이 중앙부로 수집되어 연결구(132)를 통해 저수조(111)의 내부로 수집되며, 화재 발생 시 상기 관리센터(100)로부터 전달된 통신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122)가 개방되어 소방용수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도 3의 구조는 상기 집수막(131)을 펼치거나 접어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므로, 필요한 장소나 시간에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빗물 집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빗물저장시설(110)은 산지(10)의 일부를 파내어 오목한 집수구(12)를 형성하고, 이 집수구(12)의 하부에 저수조(111)를 매입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수조(111)는 상기 집수구(12) 및 지중의 물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망이나 메쉬 구조의 벽체(118)로 이루어지며, 이물의 유입 방지를 위한 여과재가 벽체를 따라 설치된다. 상기 저수조(111)의 상부에는 상기 집수구(12) 내부로 연통되는 연결관(119)이 구비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통신단말기(113), 급수관(121) 및 급수밸브(122)가 설치된다.
이러한 도 4의 구조는 강우 시 상기 집수구(12)에 수집되는 빗물과 지중으로 침투된 빗물, 또는 지하수 등이 벽체(118)를 통해 상기 저수조(111)의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고, 통신단말기(113)를 통해 수신된 관리센터(100)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122)가 개방되어 소방용수를 공급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빗물저장시설(110)은 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블록(140)으로 이루어진 저수조를 구비한다. 이 저수조는 상부에 흐르는 빗물을 각 블록(140) 하부의 수용공간 내부에 유입되도록 하여 빗물을 수집하며, 수집된 빗물을 관리센터(100)의 작동신호에 따라 소방용수로 공급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빗물저장시설은 도시지역(20)에 적용되는 것으로, 저수조(111)에 저장되는 비상용수량을 저수위로 제어한다. 상기 저수조(111)는 지하에 매입 설치되는 제1저수조(111a)와 제2저수조(111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저수조(111a)와 제2저수조(111b)는 배플통로(157)를 통해 연통된다. 강우 시에 빗물을 수집하여 상기 제1저수조(111a)에 유입되게 하는 집수수단으로서, 건물(21)의 옥상 등에 집수조(151)가 설치되고, 이 집수조(151)의 빗물을 제1저수조(111a)로 이동시키는 집수관(152)이 설치된다. 상기 집수관(152)에는 빗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가 설치된다. 또한, 저장된 빗물을 소방용수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수단으로서 제2저수조(111b)에 급수관(121)을 통해 빗물을 소방용수저장조(112)로 공급하는 급수펌프(158)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121)에 급수밸브(122)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빗물저장시설(110)은 도시지역(20)의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을 이루는 것으로, 건물(21)의 집수조(151)나 도로의 유수로부터 수집된 빗물을 다수의 지점에 분산 배치된 저수조(111a,111b)에 저장하며, 화재발생 시 관리센터(100)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통신단말기에 수신되면 급수펌프(158)가 작동되고 급수밸브(122)가 개방되어 화재발생 지역에 소방용수저장조(112)로 소방용수를 공급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빗물저장시설(110) 역시 도시지역(20)에 적용되는 것으로, 비상용수가 저장되는 복수의 저수조와 소방용수저장조(112)를 개별적으로 운전한다. 상기 빗물저장시설은 지하에 매입 설치되는 제1저수조(111a), 제2저수조(111b), 소방용수저장조(112) 등으로 이루어지며, 각 저수조(111a,111b)와 소방용수저장조(112)는 상호 용수 이동이 가능하도록 관로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각 저수조의 용수 운용은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저수조(111a)는 아파트 단지의 빗물 등 지표상으로 유수되는 빗물을 수집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빗물을 제2저수조(111b)로 공급하며, 제2저수조(111b)는 건물(21)의 옥상 등에 수집된 빗물과 상기 제1저수조(111a)로부터, 또는 상수도를 통해 공급된 물을 저장하고, 이 물을 소방용수저장조(112)로 공급하거나 다양한 용도의 용수로 외부에 공급한다. 또한, 소방용수저장조(112)는 지하수나 상수도 또는 상기 제2저수조(111b)로부터 공급된 물을 저장하고, 이 물을 소방용수로 외부에 공급한다.
상기 제1저수조(111a)로 빗물이 유입되는 제1집수관(164)에는 수위센서, 산도센서 등으로부터 검출된 빗물 상태에 따라 빗물 유입을 조절하는 집수밸브(165)가 설치되고, 상기 제2저수조(111b)로 빗물이 유입되는 제2집수관에는 이물 유입 방지를 위한 필터(167)가 설치된다.
이러한 빗물저장시설은 소정 기간, 예를 들어 2 ~ 3주마다 각 저수조에 수용된 물을 교체하여 주기적인 용수 수질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산지 20 : 도시지역
100 : 관리센터 101 : 중앙제어기
103 : 중앙통신기 110 : 빗물저장시설
111 : 저수조 112 : 소방용수저장조
113 : 통신단말기 116 : 집수로
121 : 급수관 122 : 급수밸브
131 : 집수막 133 : 지지대
100 : 관리센터 101 : 중앙제어기
103 : 중앙통신기 110 : 빗물저장시설
111 : 저수조 112 : 소방용수저장조
113 : 통신단말기 116 : 집수로
121 : 급수관 122 : 급수밸브
131 : 집수막 133 : 지지대
Claims (11)
- 강우시 빗물을 집수하는 집수수단을 통해 유입되어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이 급수수단을 통해 유입되어 저장되는 소방용수저장조를 구비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분산 설치되는 복수의 빗물저장시설;
상기 빗물저장시설과 통신하여 각 빗물저장시설의 빗물 저장 상태를 확인하고, 화재 발생시 해당 지역에 위치된 소방용수저장조의 빗물을 소방용수로 공급하도록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중앙제어기를 구비하는 관리센터; 및
상기 빗물저장시설과 관리센터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수단은, 상기 중앙제어기에서 출력된 빗물저장시설의 작동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빗물저장시설의 빗물수위를 수신하여 중앙제어기에 전송하도록 중앙통신기 및 상기 중앙통신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빗물저장시설은 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을 화재발생 지역의 소방용수저장조로 공급하는 급수관 및 상기 통신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작동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급수밸브를 구비한 급수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빗물저장시설의 소방용수저장조는 도시지역의 지하에 매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통신기 및 통신단말기는 무선 송수신 방식의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 - 삭제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저장시설의 저수조는 산지의 지면에 매입 설치되고, 상기 집수수단은 경사진 수로를 이루도록 산지의 지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저수조의 유입구와 연결된 집수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저장시설의 집수수단은 상기 저수조의 상부에 구비되는 집수막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막은 지지대에 의해 중앙부가 낮아지도록 설치되고, 중앙부에 상기 저수조의 유입구와 연결되는 연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저장시설의 집수수단은 산지의 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집수구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구의 하부에 저수조가 매입 설치되고, 상기 저수조는 상기 집수구의 물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투수성 구조의 벽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저장시설은 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집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저장시설의 집수수단은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집수조 및 상기 집수조의 빗물을 저수조로 이동시키는 집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7087A KR101269699B1 (ko) | 2010-12-28 | 2010-12-28 |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7087A KR101269699B1 (ko) | 2010-12-28 | 2010-12-28 |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2743A KR20120092743A (ko) | 2012-08-22 |
KR101269699B1 true KR101269699B1 (ko) | 2013-05-30 |
Family
ID=46884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7087A KR101269699B1 (ko) | 2010-12-28 | 2010-12-28 |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969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5235Y1 (ko) * | 2012-08-28 | 2013-02-07 | 이재준 | 급수 설비용 종합 절수 장치 |
CN103674101B (zh) * | 2013-05-31 | 2016-04-20 | 中国计量学院 | 一种模拟大型载客汽车发动机舱火灾防控机理的实验装置 |
WO2018230895A1 (ko) * | 2017-06-12 | 2018-12-20 | 최중식 | 수자원 관리를 통한 재난 방지시스템 |
KR101965254B1 (ko) * | 2017-06-12 | 2019-04-03 | 최중식 | 수자원 관리를 통한 재난 방지시스템 |
KR102178098B1 (ko) * | 2019-01-31 | 2020-11-12 | 최하정 | 수자원 활용 구조물 |
JP7040835B1 (ja) * | 2021-09-17 | 2022-03-23 | 株式会社ランドビジネス | 地域治水システム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63759A (ja) | 2005-08-29 | 2007-03-15 | Fuji Robin Ind Ltd | 緊急用貯水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消火装置 |
KR100779545B1 (ko) * | 2006-06-30 | 2007-11-27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
-
2010
- 2010-12-28 KR KR1020100137087A patent/KR1012696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63759A (ja) | 2005-08-29 | 2007-03-15 | Fuji Robin Ind Ltd | 緊急用貯水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消火装置 |
KR100779545B1 (ko) * | 2006-06-30 | 2007-11-27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2743A (ko) | 2012-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9699B1 (ko) |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 | |
KR100977173B1 (ko) |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 | |
KR101415246B1 (ko) | 침매터널 조인트의 누수량 측정 장치 | |
JP2009108534A (ja) | 雨水貯留施設、および雨水貯留施設の監視・管理システム | |
KR20190103033A (ko) | 도시 물순환 터미널을 이용한 비산 미세먼지 감축시스템 | |
CN113015829A (zh) | 排水系统和排水沟 | |
KR101939126B1 (ko) |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시설 점검 장치 | |
KR101965254B1 (ko) | 수자원 관리를 통한 재난 방지시스템 | |
WO2021063295A1 (zh) | 一种超长隧道的消防供水系统 | |
KR101418040B1 (ko) | 가변형 빗물 저장 탱크 | |
US20240011274A1 (en) | Distributed utility system | |
CN109381830A (zh) | 一种超长公路隧道分区供水消防系统以及供水消防方法 | |
KR20100121012A (ko) | 산불방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 |
CN205475275U (zh) | 栈桥面雨水集排系统 | |
CN217325482U (zh) | 敞开式市政综合管廊结构 | |
CN106320432A (zh) | 雨水与废水收集再利用系统 | |
CN215025490U (zh) | 一种油库用泡沫液降落槽 | |
US20170274234A1 (en) | Method of installing, designing, servicing or testing a water-based fire protection system | |
CN212612909U (zh) | 一种用于山区森林灭火的雨水收集装置 | |
CN104594450A (zh) | 一种利用沟谷山间水作为水源的隧道消防系统 | |
JP2005113656A (ja) | 初期消火水の雨水利用施設 | |
CN211692564U (zh) | 隧道衬砌排水系统 | |
KR20210155708A (ko) | 빗물관리를 통한 자연재해예방과 소방체계구축 시스템 | |
CN208884626U (zh) | 单建地下建筑消防水箱 | |
CN208183799U (zh) | 一种包含透水铺装单元的排水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