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173B1 -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173B1
KR100977173B1 KR1020080018076A KR20080018076A KR100977173B1 KR 100977173 B1 KR100977173 B1 KR 100977173B1 KR 1020080018076 A KR1020080018076 A KR 1020080018076A KR 20080018076 A KR20080018076 A KR 20080018076A KR 100977173 B1 KR100977173 B1 KR 100977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torage tank
management system
mountain
rain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2864A (ko
Inventor
한무영
문정수
김기동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80018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173B1/ko
Publication of KR20090092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산지에서 빗물을 모으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터널형 공간을 만들거나 종래에 산중에 형성된 공간을 이용하여 빗물 저장조로 활용하고 집수 저장된 빗물을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은 산에 설치되어 빗물을 집수하고, 이용하기 위한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산 비탈면에 형성된 빗물 집수 유도 도랑을 따라 유입되는 빗물을 집수/저장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빗물 저장조; 상기 빗물 저장조 내로 유입되는 빗물 속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부재; 상기 빗물 저장조 내의 수위 및 수온을 감시/조절하는 원격 모니터링 센서; 상기 빗물 저장조 내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 시설에서 사용하거나 비상시에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펌프 장치; 상기 빗물 저장조와 연결되어 외부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는 빗물 배출부; 및 상기 빗물 저장조 내의 빗물의 수위 및 수온을 원격 감시/제어하고, 외부 중앙 관제 센터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원격 송수신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빗물관리시스템, 빗물저장, 산, 터널, 필터, 빗물 저장조, 다목적

Description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Multipurpose Rainwater Management System installed at the mountain}
본 발명은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산지에서 빗물을 모으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터널형 공간을 만들거나 종래에 산중에 형성된 공간을 이용하여 빗물 저장조로 활용하고 집수 저장된 빗물을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향후 기후변화에 의한 물 부족과 국지적인 게릴라성 강우에 의한 홍수 발생증가로 종래의 물 관련 인프라의 안전성이 위협을 받고 있다. 종래의 빗물 관리방법은 내린 빗물을 모두 하천으로 흘러가게 한 다음, 하천에서 치수를 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특히, 우리나라는 산악 지형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빗물이 산을 타고 내려오는 동안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바뀌어 토양을 침식시키고 도로를 파괴하며 하천의 유량이 많아져서 하천의 제방이나 댐 제방의 안전도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수질면에서도 산지 빗물 유출수는 하천이나 호수에 탁수를 유발시키거나 비점오염원으로 작용하여 하천 수질의 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그리고, 한꺼번에 내려간 빗물은 지하로 침투되지 못하여 봄에는 가뭄문제가 발생하며, 산불이 날 경우에도 화재 진압용 물공급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빗물을 산 중턱에 모아 두고 이를 필요시에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지만, 산 중턱에는 빗물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고, 특히 댐과 같은 저류 시설을 만들 수 있는 적절한 지형이 부족하여 이에 따른 대응책이 절실히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한 본 발명은 산지에서 빗물을 모으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터널형 공간을 만들거나 종래에 산중에 형성된 공간을 이용하여 빗물 저장조로 활용하고 집수 저장된 빗물을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은 산에 설치되어 빗물을 집수하고, 이용하기 위한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산 비탈면에 형성된 빗물 집수 유도 도랑을 따라 유입되는 빗물을 집수/저장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빗물 저장조; 상기 빗물 저장조 내로 유입되는 빗물 속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부재; 상기 빗물 저장조 내의 수위 및 수온을 감시/조절하는 원격 모니터링 센서; 상기 빗물 저장조 내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 시설에서 사용하거나 비상시에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펌프 장치; 상기 빗물 저장조와 연결되어 외부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는 빗물 배출부; 및 상기 빗물 저장조 내의 빗물의 수위 및 수온을 원격 감시/제어하고, 외부 중앙 관제 센터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원격 송수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빗물 저장조는 빗물 유출구 측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빗물 저장조의 내측으로 빗물 내에 혼합된 오염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염물 유입 방지턱을 구비하고, 상기 빗물 저장조는 상기 빗물 유출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빗물 저장조는 관리건물의 지하에 구비되고, 상기 빗물저장조의 입구측에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의 유입속도를 늦출 수 있도록 완충저류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빗물관리시스템은 상기 필터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빗물 저장조 내에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끝부분이 'U'자형인 유입관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빗물 저장조는 폐광산 터널 또는 동굴 구조물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빗물 배출부는 상기 빗물 저장조의 빗물 유출구 측에 결합하고, 외부로 빗물을 배출시키는 배관; 및 상기 배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원격 송수신장치에 의한 자동 또는 사용자의 수동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 부재는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이 정화된 후 정화된 빗물이 배출되는 제1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어 정화되지 않는 빗물이 배출되는 제2 배출구 및 내측에 걸림대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대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정화시키는 필터 메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산 중턱에 빗물관리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일시에 버려지는 빗물의 유출량을 감소시켜 이용 가능한 수자원의 확보를 가능하게 하고, 하류의 홍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빗물을 모아 흘러내리는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토양 침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도로 파손 및 붕괴의 위험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천의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집수 저장된 빗물을 이용함으로써 인근 하천의 건천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인근 시설물에 빗물을 공급하거나 필요 용수로 사용함으로써 물 부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빗물 저장조에 집수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여 산불 화재시와 같은 비상 사태에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소방 용수 부족에 의한 산림자원의 훼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에 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이 적용된 산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빗물 저장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과 외부 중앙 관제 센터와의 신호 송수신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100, 이하' 빗물관리시스템'이라 한다)은 산(A) 중턱에 설치되는 것으로, 비가 내릴 경우 빗물을 모아두고 이를 필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물부족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한 빗물관리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관리시스템(100)을 설치하는 조건으로, 산(A) 비탈면에 빗물 집수 유도 도랑(B)을 유도하고, 이를 빗물 저장조(110)와 연결하여 빗물을 집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관리시스템(100)은 빗물 집수 유도 도랑(B)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집수하고 저장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빗물 저장조(110)와, 상기 빗물 저장조(110) 내로 유입되는 빗물 속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부재(120)와, 상기 빗물 저장조(110) 내의 수위 및 수온을 감시/조절하는 원격 모니터링 센서(130)와, 상기 빗물 저장조(110) 내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 시설(미도시)에서 사용하거나 비상시에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펌프 장치(140)와, 상기 빗물 저장조(110)와 연결되어 외부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는 빗물 배출부(150), 및 상기 빗물 저장조(110) 내의 빗물의 수위 및 수온을 원격 감시/제어하고, 외부 중앙 관제 센터(D, 도 6참조)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원격 송수신장치(16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관리시스템(100)을 통해 집수할 수 있는 강수는 봄비, 장마 비, 가을 비, 눈 녹은 물 등이 될 수 있으며, 산(A) 비탈면에 형성된 빗물 집 수 유도 도랑(B)을 통해 빗물 저장조(110) 내로 유입시키게 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빗물 저장조(110)는 산 중턱에 매설되어 빗물 유출구(11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데, 이는 후술할 빗물 배출부(150)를 통해 빗물이 자연 배수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빗물 저장조(110) 내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 빗물 저장조(110)는 터널형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에 산에 많이 존재하는 폐광산 터널(미도시)이나 동굴 형태의 구조물(미도시)을 빗물 저장조로 활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빗물 저장조(110)의 빗물 유출구(112) 측 바닥면에는 빗물 저장조(110)의 내측으로 빗물 내에 혼합된 오염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오염물 유입 방지턱(11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장조(110)가 집수/저장할 수 있는 빗물의 용량은 집수할 대상 유역의 투영면적×0.05 의 규모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현장 여건이나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집수 대상 유역의 투영면적이 100ha 일 경우에 빗물 저장조의 필요 용량은 1,000,000㎡×0.05m= 50,000㎥가 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빗물 저장조(110) 내에는 일정량의 빗물을 상시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산불이 나는 비상시와 같은 경우에 화재 진압용으로 빗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빗물관리시스템(100)은 상기 빗물 저장조(110)와 연계하여 관리 건물(C)을 설치하게 되며, 관리 건물(C)의 지하에는 빗물 저장조(11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관리 건물(C)의 상층에는 주민 교육센터나 전시실 및 홍보실 등을 위치시킬 수 있다.
관리 건물(C)의 지하에는 빗물 저장조와 연계하여 빗물 저장조(110) 내의 빗물을 감시/제어할 수 있는 기반 시설이 설치되는데, 이는 빗물 저장조(110) 내로 유입되는 빗물 속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부재(120)와, 빗물 저장조(110) 내의 수위 및 수온을 감시/조절하는 원격 모니터링 센서(130)와, 빗물 저장조(110) 내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 시설(미도시)에서 사용하거나 비상시에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펌프 장치(140)와, 빗물 저장조(110)와 연결되어 외부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는 빗물 배출부(150), 및 빗물 저장조(110) 내의 빗물의 수위 및 수온을 원격 감시/제어하고, 외부 중앙 관제 센터(D, 도 6참조)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원격 송수신장치(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관리 건물(C)의 지하로 유입되는 빗물이 유량이 많아져 빗물 저장조(110) 내로 급격한 유입을 막기 위해 일차적으로 유입되는 빗물의 유입 속도를 늦추기 위한 것으로, 빗물 저장조(110)의 입구 측에 완충저류조(17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필터 부재(12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21)와 상기 본체(121)의 내부에 결합하는 필터 메쉬(122)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
상기 본체(121)는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21a)와, 상기 유입구(121a)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이 정화된 후 정화된 빗물이 배출되는 제1 배출구(121b), 및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어 정화되지 않는 빗물이 배출되는 제2 배출구(121c)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본체(121)의 내부 측면에는 필터 메쉬(122)가 결합하는 걸림대(121d)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 메쉬(122)는 유입구(121a)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빗물을 정화시키는 것이며, 이 필터 메쉬(122)를 통해 정화된 빗물은 제1 배출구(121b)를 통해 배출되고, 정화되지 않는 빗물은 제2 배출구(121c)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21)의 상부면에는 마개(121e)가 결합되며, 본체(121)의 내부로 필터 메쉬(122)를 삽입한 후 마개(121e)를 덮어 본체(121)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빗물관리시스템(100)은 필터 부재(120)와 연결되어 빗물 저장조(110) 내에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끝부분이 'U'자형인 유입관(123)이 더 구비되며, 이 'U'자형 유입관(123)은 빗물이 유입될 시 빗물 저장조(110) 바닥면에 쌓여 있을 부유 물질이 부유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원격 모니터링 센서(130)는 빗물 저장조(110) 내의 수위 및 수온을 감시/조절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빗물 저장조(110) 내의 빗물의 수위와 수온을 외부 중앙 관제 센터(D, 도 6참조)에서 원격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모니터링 가능하게 되며, 산불과 같은 비상 사태 발생시에는 빗물 배출부(150)의 개폐밸브(152)를 작동하여 소방 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빗물을 방류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펌프 장치(140)는 빗물 저장조(110) 내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 시설에서 사용하거나 비상시에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는 관리 건물(C) 내에서 필요로 하는 용수로 저장된 빗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도 2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빗물 배출부(150)는 빗물 저장조의 빗물 유출구(112) 측에 결합하여 외부로 빗물을 배출시키는 배관(151)과 상기 배관(151)의 일단에 구비되어 원격 송수신장치(160)에 의한 자동 또는 사용자의 수동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밸브(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관(151)을 통해 배출되는 빗물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빗물 배출 시에는 무동력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밸브(152)는 외부 중앙 관제 센터(D)에서 원격으로 신호 조절하여 개폐 가능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수동 개폐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빗물 배출부(150)를 통해 배출되는 빗물은 가뭄이 발생할 경우 필요에 따라 하천(E)으로도 배출될 수 있으며, 빗물의 온도를 이용하여 건물의 난방이나 냉방용 시스템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2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송수신장치(160)는 외부 중앙 관제 센터(D)와의 유/무선 신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술한 원격 모니터링 센서(130)와 개폐밸브(152)의 원격 감시/제어에 의한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첨부 도면 중,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이 적용된 산지의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빗물관리시스템(100)은 산(A) 중에 다수의 시스템으로 설치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관리시스템(100)에 의하면, 빗물 저장조(110)에 집수/저장된 빗물은 적절한 수질 처리를 한 후 수영장 용수나 물놀이 시설용수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정수처리 시설을 거쳐 비상시 음용수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빗물 저장조(110)에 저장된 빗물의 온도를 이용하여 여름에는 냉방용으로, 겨울에는 난방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빗물관리시스템(100)의 빗물 저장조(110)로서 폐광산 터널을 이용할 경우에는 폐광산에 모인 침출수나 고인 물을 집수되는 빗물을 이 용한 희석 방법에 의하여 농도를 낮추어 수질을 무해화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이 적용된 산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빗물 저장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과 외부 중앙 관제 센터와의 신호 송수신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이 적용된 산지의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빗물관리시스템 110: 빗물 저장조
111: 오염물 유입 방지턱 120: 필터 부재
121: 본체 121a: 유입구
121b: 제1 배출구 121c: 제2 배출구
121d: 걸림대 121e: 마개
122: 필터 메쉬 123: 유입관
130: 원격 모니터링 센서 140: 펌프 장치
150: 빗물 배출부 151: 배관
152: 개폐밸브 160: 원격 송수신장치
170: 완충저류조
A: 산 B: 빗물 집수 유도 도랑 C: 관리 건물
D: 외부 중앙 관제 센터 E: 하천

Claims (7)

  1. 산에 설치되어 빗물을 집수하고, 이용하기 위한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산 비탈면에 형성된 빗물 집수 유도 도랑을 따라 유입되는 빗물을 집수/저장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빗물 저장조;
    상기 빗물 저장조 내로 유입되는 빗물 속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부재;
    상기 빗물 저장조 내의 수위 및 수온을 감시/조절하는 원격 모니터링 센서;
    상기 빗물 저장조 내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 시설에서 사용하거나 비상시에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펌프 장치;
    상기 빗물 저장조와 연결되어 외부로 빗물을 배출할 수 있는 빗물 배출부; 및
    상기 빗물 저장조 내의 빗물의 수위 및 수온을 원격 감시/제어하고, 외부 중앙 관제 센터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원격 송수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빗물 저장조는 빗물 유출구 측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빗물 저장조의 내측으로 빗물 내에 혼합된 오염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염물 유입 방지턱을 구비하고,
    상기 빗물 저장조는 상기 빗물 유출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빗물 저장조는 관리건물의 지하에 구비되고, 상기 빗물저장조의 입구측에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의 유입속도를 늦출 수 있도록 완충저류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관리시스템은 상기 필터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빗물 저장조 내에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끝부분이 'U'자형인 유입관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장조는 폐광산 터널 또는 동굴 구조물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배출부는 상기 빗물 저장조의 빗물 유출구 측에 결합하고, 외부로 빗물을 배출시키는 배관; 및 상기 배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원격 송수신장치에 의한 자동 또는 사용자의 수동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는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이 정화된 후 정화된 빗물이 배출되는 제1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어 정화되지 않는 빗물이 배출되는 제2 배출구 및 내측에 걸림대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대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정화시키는 필터 메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
KR1020080018076A 2008-02-28 2008-02-28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 KR100977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076A KR100977173B1 (ko) 2008-02-28 2008-02-28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076A KR100977173B1 (ko) 2008-02-28 2008-02-28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864A KR20090092864A (ko) 2009-09-02
KR100977173B1 true KR100977173B1 (ko) 2010-08-20

Family

ID=41301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076A KR100977173B1 (ko) 2008-02-28 2008-02-28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17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5701A (zh) * 2012-12-05 2013-03-27 河海大学 一种坡地径流集蓄过滤灌溉水源系统装置
CN103485411A (zh) * 2013-09-24 2014-01-01 杜振义 在坡地上开挖坑池蓄存雨水设置
KR20180083051A (ko) 2017-01-12 2018-07-20 심상구 자연유하식 산지 빗물 집수 시스템
CN109113124A (zh) * 2018-06-22 2019-01-01 杭州天顶距土地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 一种坡地集水系统
KR20190020455A (ko) 2017-08-21 2019-03-04 남미영 빗물 집수판 및 이를 이용한 집수장치
CN111779199A (zh) * 2020-07-21 2020-10-16 太仓标美海绵城市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楼宇表面控温的雨水收集利用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8871A (zh) * 2013-01-28 2013-05-08 朱加林 大型场馆抗冲击智能控制型雨水利用系统
CN104563200A (zh) * 2014-12-25 2015-04-29 贵州省交通规划勘察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路面水和隧道涌水作为水源的隧道消防系统
CN105040773A (zh) * 2015-07-16 2015-11-11 杜振义 一种保护雨水资源流失的开发方法
CN105178387B (zh) * 2015-07-31 2017-05-31 崔新明 雨水综合利用的智能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5442687A (zh) * 2015-11-05 2016-03-30 贵州师范大学 一种喀斯特山区集水养畜系统
CN105464166A (zh) * 2015-12-07 2016-04-06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岩溶山区水资源循环利用系统
WO2018230895A1 (ko) * 2017-06-12 2018-12-20 최중식 수자원 관리를 통한 재난 방지시스템
KR101965254B1 (ko) * 2017-06-12 2019-04-03 최중식 수자원 관리를 통한 재난 방지시스템
DE102018128443A1 (de) * 2018-11-13 2020-05-14 ACO Severin Ahlmann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Entwässerungssystem und Rigole
CN112825699A (zh) * 2019-11-02 2021-05-25 武汉海辰友邦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多功能校园综合管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5984A (ja) * 1995-09-29 1997-04-08 Shibata Ind Co Ltd 貯水構造
JPH10298947A (ja) * 1997-04-28 1998-11-10 Sagamiharashi 調整池の排水流量制御システム
JP2000240109A (ja) * 1999-02-25 2000-09-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雨水集約浄化設備
KR100662520B1 (ko) 2005-10-12 2007-01-02 블루그린링크(주) 강우수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5984A (ja) * 1995-09-29 1997-04-08 Shibata Ind Co Ltd 貯水構造
JPH10298947A (ja) * 1997-04-28 1998-11-10 Sagamiharashi 調整池の排水流量制御システム
JP2000240109A (ja) * 1999-02-25 2000-09-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雨水集約浄化設備
KR100662520B1 (ko) 2005-10-12 2007-01-02 블루그린링크(주) 강우수 정화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5701A (zh) * 2012-12-05 2013-03-27 河海大学 一种坡地径流集蓄过滤灌溉水源系统装置
CN103485411A (zh) * 2013-09-24 2014-01-01 杜振义 在坡地上开挖坑池蓄存雨水设置
CN103485411B (zh) * 2013-09-24 2016-03-23 杜振义 在坡地上开挖坑池蓄存雨水的方法
KR20180083051A (ko) 2017-01-12 2018-07-20 심상구 자연유하식 산지 빗물 집수 시스템
KR20190020455A (ko) 2017-08-21 2019-03-04 남미영 빗물 집수판 및 이를 이용한 집수장치
CN109113124A (zh) * 2018-06-22 2019-01-01 杭州天顶距土地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 一种坡地集水系统
CN111779199A (zh) * 2020-07-21 2020-10-16 太仓标美海绵城市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楼宇表面控温的雨水收集利用系统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864A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7173B1 (ko)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
KR101096768B1 (ko) 빗물이용장치
KR101039196B1 (ko) 저류조를 이용한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JP2009257005A (ja) 高架道路の雨水利用システム
KR101023537B1 (ko)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KR101224277B1 (ko) 저류조를 이용한 오수 및 계곡수 분리용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CN110205897A (zh) 面向海绵城市透水路面的雨洪管理系统及管理方法
CN106835971A (zh) 一种立交桥雨水回收系统及其安装方法
KR100511208B1 (ko) 재활용 및 홍수방지용 빗물저수조 시스템
KR101269699B1 (ko) 광역 방재를 위한 분산형 소방용수 관리 시스템
KR20080112531A (ko) 빗물 저장 탱크
KR200398164Y1 (ko) 초기 빗물처리장치
KR20130011103A (ko) 빗물관리시설장치
KR101531692B1 (ko)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85534B1 (ko) 우수 유출 저감시설
KR102320487B1 (ko) 빗물활용 저류시스템
KR100779545B1 (ko)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KR101111185B1 (ko) 경계겸용 초기 강우 정화 블록
KR100846029B1 (ko) 건물 홈통 연결용 빗물처리시스템
JP2002004393A (ja) 地表水の地下還元装置
KR200426248Y1 (ko)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KR20240014235A (ko) 비점오염저감 및 우수저류장치
KR100714315B1 (ko) 화단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1047112B1 (ko) 인공함양장치
KR100984372B1 (ko)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