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437B1 - 피디에프 물탱크 - Google Patents

피디에프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437B1
KR101269437B1 KR1020130006645A KR20130006645A KR101269437B1 KR 101269437 B1 KR101269437 B1 KR 101269437B1 KR 1020130006645 A KR1020130006645 A KR 1020130006645A KR 20130006645 A KR20130006645 A KR 20130006645A KR 101269437 B1 KR101269437 B1 KR 101269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nhole
support member
water tan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석
정경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지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지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지기공
Priority to KR1020130006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0Large containers rigid parallelepiped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0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으로 절곡된 수평지지부재를 수직지지부재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결합하여 보강함으로 수직지지부재의 휨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평지지부재 사이에 보온부재를 장착하여 결로의 발생을 차단하여 오염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닥판재보다 하향으로 단차진 배수유도로를 형성하여 물탱크 내부의 침전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어 청소작업을 단축시키고, 급수관 하부의 물탱크 하단부에 소화용수가 항상 잔류되도록 함으로써 유사시 소화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피디에프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디에프 물탱크{Polyethylene Double Frame water tank}
본 발명은, 피디에프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절곡된 수평지지부재를 수직지지부재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결합하여 보강함으로 수직지지부재의 휨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평지지부재 사이에 보온부재를 장착하여 결로의 발생을 차단하여 오염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닥판재보다 하향으로 단차진 배수유도로를 형성하여 물탱크 내부의 침전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어 청소작업을 단축시키고, 급수관 하부의 물탱크 하단부에 소화용수가 항상 잔류되도록 함으로써 유사시 소화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피디에프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탱크는,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여 주거용 아파트 및 업무용 빌딩 등과 같이 생활용수의 사용이 많은 건축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용기로서, 이는 재질에 따라 스테인레스 패널수조, 합성수지(SMC) 패널수조, 콘크리트 수조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 스테인레스 패널수조는,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있고, 합성수지 패널수조는,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콘크리트 수조는 수압이나 휨하중에 대응하는 구조적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이점은 있으나, 이는 콘크리트 수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한 상태에서 거푸집을 철거해야 하는 등 작업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52387호로 합성수지제 대형 물탱크가 등록된 바 있다.
선 등록된 특허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수직지지부재의 홈에 수평지지부재를 삽입하여 수평 및 300~500mm 간격으로 이격시킨 후, 수평지지부재와 수직지지부재의 접촉면을 부분적으로 용접하여 고정시킨다.
그러나 수평지지부재의 용접상태와 수평상태 및 상,하 간격이 불균일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상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지진 및 외부 충격으로 용접주위에 크랙 및 부식이 발생함은 물론 용접부위가 파손된 수평지지부재가 측압을 견디지 못하고 수직지지부재로부터 이탈하면서 중공수지패널이 파손되어 수조된 담수된 물이 외부로 유출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직지지부재의 지지편 체결공에 보강봉을 강하게 체결하는 과정에서 수직지지부재의 지지편이 변형되는 물론 보강봉의 무게가 지지편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수조에 담수된 물이 완전히 배수될 경우, 보강봉의 하중이 수직지지부재로 직접 크게 전달되어 수직지지부재가 내측으로 휘어지는 휨 변형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별도의 보온구조를 갖추지 않음으로 수조에 저장된 물과 외부와의 온도차가 발생하면, 중공수지패널과 마감재의 내측면 사이에 결로가 발생함과 아울러 수조 바닥으로 흘려보내 주위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수직지지부재와 수평지지부재를 부식시켜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드레인패널이 바닥판재와 동일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수시, 물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방향성이 일정하지 않아 물탱크 내부에 침적된 침전물의 처리가 어려움은 물론 작업능률이 향상되지 않아 청소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맨홀을 개폐하는 맨홀뚜껑의 중량이 무거워 취급 및 개방면적의 조절이 어려워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맨홀뚜껑이 정확하게 닫히지 않을 경우,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맨홀로 유입되어 물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통상적으로 물탱크에 담수된 물을 소화용수로 사용하는 급수관 하부 즉, 급수관과 물탱크 하단부에 형성된 소화관 사이의 공간에 일정량의 소화용수가 항상 잔류하여 물탱크 바닥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단으로 절곡된 수평지지부재를 수직지지부재 사이에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수평지지부재와 수직지지부재의 접합면적을 확대함은 물론 수직보강부재에 연결된 보강봉지지부재가 보강봉을 지지하여 수직지지부재의 휨변형을 방지하면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에프 물탱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지지부재 및 수직지지부재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수평지지부재에 보온부재를 장착시켜 물탱크를 보온함으로써, 결로의 발생을 차단함은 물론 결로에 의한 부식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피디에프 물탱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탱크의 바닥판재보다 하향으로 단차진 배수유도로를 형성하여 물탱크 내부의 침적물이 원활하게 유도되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침전물을 처리하는 청소작업이 용이하여 청소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피디에프 물탱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탱크 바닥면과 급수관 사이에 형성되는 소화관 하부에서 급수가 시작되도록 하여 순환시킴으로 물탱크 바닥의 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급수관 하부의 물탱크 하단부에 소화용수가 항상 잔류되도록 하여 유사시 소화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피디에프 물탱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맨홀뚜껑을 들지 않고서 미는 동작에 의해 맨홀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맨홀뚜껑이 맨홀을 정확하게 폐쇄시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물탱크에 담수된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피디에프 물탱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피디에프 물탱크는,
다수의 콘크리트 기초 상면에 격자형으로 안착된 프레임에 바닥판재가 안착되어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판재보다 낮게 단차지도록 바닥판재에 장착되어 물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부와;
상기 바닥부의 각 모서리 및 바닥부 측면에 밀착되도록 콘크리트 기초에 수직지지부재가 안착되고, 상기 수직지지부재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고정된 수평지지부재에 측부판재가 밀착되어 형성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내,외부에서 수평지지부재 및 적층된 수평지지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보온하는 보온부와;
상기 바닥부의 바닥판재와 배수부 및 측벽부의 측부판재에 시트부재가 부착되어 물이 담수되도록 하는 라이닝부와;
상기 시트부재와 측부판재를 관통한 수평보강봉 양측을 수직지지부재에 고정되면서 상기 바닥부에 수직보강봉을 설치하여 상판부를 지지하도록 하는 내부보강부와;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소화관 하부수위에서 급수가 시작되도록 하고, 물이 급수되어 급수관 하부와 급수관 하부의 소화용수의 수위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면, 급수시, 상기 급수관 상부의 내부 공기가 에어홀로 이동되어 소화용수가 급수되지 않도록 하는 사수방지부와;
상기 수직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함체형상으로 형성된 물탱크의 상부를 폐쇄시킨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에 형성된 맨홀에 맨홀뚜껑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맨홀을 개폐하는 맨홀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단으로 절곡된 수평지지부재를 수직지지부재 사이에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수평지지부재와 수직지지부재의 접합면적을 확대함은 물론 수직보강부재에 연결된 보강봉지지부재가 보강봉을 지지하여 수직지지부재의 휨변형을 방지하면서 내구성을 향상시켜 물탱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지지부재 및 수직지지부재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수평지지부재에 보온부재를 장착시켜 물탱크를 보온함으로써, 결로의 발생을 차단함은 물론 결로에 의한 부식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물탱크의 바닥판재보다 하향으로 단차진 배수유도로를 형성하여 물탱크 내부의 침적물이 원활하게 유도되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침전물을 처리하는 청소작업이 용이하여 청소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탱크 바닥면과 급수관 사이에 형성되는 소화관 하부에서 급수가 시작되도록 하여 물탱크에 담수된 물이 순환되면서 물탱크 바닥의 오염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급수관 하부의 물탱크 하단부에 소화용수가 항상 잔류되도록 하여 유사시 소화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맨홀뚜껑을 들지 않고서 미는 동작에 의해 맨홀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맨홀뚜껑이 맨홀을 정확하게 폐쇄시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물탱크에 담수된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물탱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배수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측벽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칸막이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내부보강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물탱크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물탱크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맨홀개폐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맨홀개폐부의 작동상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 사수방지부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물탱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배수부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측벽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칸막이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내부보강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물탱크의 정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물탱크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맨홀개폐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피디에프 물탱크(100)는, 다수의 콘크리트 기초(10) 상면에 격자형으로 안착된 프레임(111)에 바닥판재(112)가 안착되어 형성되는 바닥부(110)가 구성되고, 상기 바닥판재(112)보다 낮게 단차지도록 바닥판재(112)에 장착되어 물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부(120)가 구성되며, 상기 바닥부(110)의 각 모서리 및 바닥부(110) 측면에 밀착되도록 콘크리트 기초(10)에 수직지지부재(131)가 안착되고, 상기 수직지지부재(131)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고정된 수평지지부재(132)에 측부판재(133)가 밀착되어 형성되는 측벽부(130)가 구성되며, 상기 측벽부(130)의 내,외부에서 수평지지부재(132) 및 적층된 수평지지부재(132) 사이에 장착되어 보온하는 보온부(140)가 구성되고, 상기 바닥부(110)의 바닥판재(112)와 배수부(120) 및 측벽부(130)의 측부판재(133)에 시트부재(151)가 부착되어 물이 담수되도록 하는 라이닝부(150)가 구성되며, 상기 시트부재(151)와 측부판재(133)를 관통한 수평보강봉(161) 양측을 수직지지부재(131)에 고정되면서 상기 바닥부(110)에 수직보강봉(163)을 설치하여 상판부(180)를 지지하도록 하는 내부보강부(160)가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130)의 하단부에 형성된 소화관(171') 하부수위에서 급수가 시작되도록 하고, 물이 급수되어 급수관(171) 하부와 급수관(171) 하부의 소화용수의 수위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면, 급수시, 상기 급수관(171) 상부의 내부 공기가 에어홀(173)로 이동되어 소화용수가 급수되지 않도록 하는 사수방지부(170)가 구성되며, 상기 수직지지부재(131)에 의해 지지되어 함체형상으로 형성된 물탱크의 상부를 폐쇄시킨 상판부(180)가 구성되고, 상기 상판부(180)에 형성된 맨홀(191)에 맨홀뚜껑(192)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맨홀(191)을 개폐하는 맨홀개폐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바닥부(110)는, 상기 다수의 콘크리트 기초(10) 상면에 격자형으로 안착되는 프레임(111)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111) 상면에 안착되는 중공의 바닥판재(112)가 구비되며, 상기 콘크리트 기초(10) 상면에 격자형으로 안착된 프레임(111)을 연결 및 고정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11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배수부(120)는, 상기 바닥판재(112)에 관통된 판재결합홀(121)이 구비되고, 상기 판재결합홀(121)에 장착되면서 바닥판재(112)에 안착되어 바닥판재(112)보다 하향으로 단차진 배수유도로(122')를 형성하는 배수판재(122)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판재(122)에 설치되어 물의 배수를 안내하는 드레인관(12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보온부(140)는, 상기 수직지지부재(131)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적층된 수평지지부재(132) 사이에 결합되어 폐쇄시키면서 보온하는 사이보온부재(141)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지지부재(132)의 내,외측에 형성된 내,외측홈(132')(132")에 삽입되어 보온하는 내,외측보온부재(142)(143)를 포함하며, 상기 각 보온부재(141)(142)(143)는 수직지지부재(131)의 지지편(131')과 동일 선상으로 형성되어 측벽부(130)의 측부판재(133)와 수직지지부재(131)의 외부 둘레를 마감하는 마감부재(134) 사이의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보강부(160)는, 상기 시트부재(151)와 측부판재(133)를 관통하여 수직지지부재(131)의 결합홀(131")에 결합하는 수평보강봉(161)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보강봉(161)에 체결되면서 결합홀(13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62)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110)에 다수 설치되어 상판부(180)를 지지하는 수직보강봉(163)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보강봉(163)에 고정되어 수평보강봉(161)을 지지하는 지지보강봉(164)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수평보강봉(161)에 결합되어 물과의 접촉을 차단하는 수지파이프(161')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사수방지부(170)는, 상기 측벽부(13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급수관(171)이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171)에 절곡되어 연결되면서 단부가 소화관(171')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사수방지관(172)이 구비되며, 상기 급수관(171)의 하단부와 동일 선상의 사수방지관(172)에 관통된 에어홀(17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맨홀개폐부(190)는, 상기 맨홀(191)을 개폐하는 맨홀뚜껑(192)이 구비되고, 상기 맨홀(191)과 맨홀뚜껑(192)을 연결하여 맨홀(191)로부터 맨홀뚜껑(192)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안내부재(193)가 구비되며, 상기 맨홀(191)과 맨홀뚜껑(192)을 연결하여 회전안내부재(193)를 중심으로 맨홀(191)로부터 맨홀뚜껑(192)이 회전하여 맨홀(191)을 개폐하는 실린더(19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맨홀(191)에 관통되어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공기이동홀(191')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작 및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물탱크(100)가 설치될 현장에 콘크리트 기초(10)를 형성하는데, 상기 콘크리트 기초(10)는 가로와 세로가 300×500mm 이면서 1m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며, 상기 콘크리트 기초(10)는 물탱크(100)의 저장용량에 따라 크기가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10)가 다수 형성되면, 상기 콘크리트 기초(10) 상면에 바닥부(110)의 프레임(111)을 격자형으로 안착시키면서 사각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111)은 사각파이프나 'ㄷ'자 형상의 찬넬을 이용한다.
상기 콘크리트 기초(10)에 사각형상으로 프레임(111)이 안착되면, 상기 프레임(111)의 각 모서리 및 측면에 밀착되도록 콘크리트 기초(10)에 'H'형상의 측벽부(130)의 수직지지부재(131)를 안착시킨다.
이때, 물탱크(100) 내부를 구획하도록 프레임(111) 사이에 칸막이부(13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칸막이부(130')는 구획된 프레임(111)이 안착된 콘크리트 기초(10)에 수직지지부재(131)를 일정간격 이격되게 안착시킨다.
상기의 과정으로 측벽부(130) 및 칸막이부(130')의 수직지지부재(131)가 콘콘크리트 기초(10)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안착된 상태에서 앵커볼트(미도시)에 의해 고정되면, 상기 수직지지부재(131)의 지지편(131') 사이에 내,외측홈(132')(132")이 형성되도록 다단으로 절곡된 수평지지부재(132)를 결합하여 수평지지부재(132)의 단부와 지지편(131')이 면접촉되도록 하는데, 상기 수평지지부재(132)는 수직지지부재(131)의 지지편(131')에 콘크리트 기초(10) 상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적층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면접촉된 수평지지부재(132)의 단부와 수직지지부재(131)의 지지편(131')을 용접으로 고정한다.
상기 수평지지부재(132)가 수직지지부재(131)에 고정되면, 측벽부(130)의 수평지지부재(132) 내,외측홈(132')(132")에 보온부(140)의 내,외측보온부재(142)(143)를 삽입하고, 상기 수직지지부재(131)에 적층된 수평지지부재(132) 사이에 사이보온부재(141)를 결합하여 폐쇄시키는데, 상기 각 보온부재(141)(142)(143)는, 수직지지부재(131)의 지지편(131')과 동일 선상으로 형성되어 측벽부(130)의 측부판재(133)와 수직지지부재(131)의 외부 둘레를 감싸는 마감부재(134)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결로의 생성을 차단함과 아울러 측벽부(13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부(110)의 프레임(111) 상면에 중공의 바닥판재(112)를 다수 안착시켜 측면이 밀착되도록 한 후, 콘크리트 기초(10) 사이의 바닥판재(112)에 관통된 배수부(120)의 판재결합홀(121)에 배수유도로(122')가 형성된 배수판재(122)를 결합하여 바닥판재(112)에 안착되며, 상기 배수유도로(122')는 바닥판재(112)보다 낮게 위치하게 되며, 상기 배수유도로(122')의 저면은 콘크리트 기초(10) 상면에 안착될 수도 있다.
상기 배수부(120)가 바닥판재(112)에 안착되어 고정되면, 측벽부(130)의 수직지지부재(131)에 중공의 측부판재(133)를 밀착시키면서 바닥판재(112) 단부에 안착시킨 후, 상기 측벽부(130)의 일측 하단부에 사수방지부(170)의 급수관(171)과 소화관(171')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110)의 바닥판재(112)와 보온부(120) 및 측벽부(130)의 측부판재(133)에 라이닝부(150)의 시트부재(151)를 부착하는데, 상기 시트부재(151)는, 측부판재(133), 바닥판재(112) 및 각 관(171)(171') 순으로 열융착으로 부착한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부재(131)에 관통된 결합홀(131")과 동일 선상으로 상기 시트부재(151)와 측부판재(133)를 내부보강부(160)의 수평보강봉(161)으로 관통하여 결합홀(131")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결합홀(131")로 돌출된 수평보강봉(161)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고정부재(162)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수평보강봉(161)에는 수지파이프(161')가 결합되어 물과의 접촉을 차단함으로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파이프(161') 및 수평보강봉(161)과 시트부재(151)를 융착하여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수평보강봉(161)과 직교되는 위치의 바닥부(110) 소정위치에 대향하게 수직보강봉(163)을 다수 설치한 후, 대향하는 수직보강봉(163)을 수평보강봉(161) 하부에 위치하도록 지지보강봉(164)으로 고정시켜 연결하면서 상기 지지보강봉(164)이 수평보강봉(161)을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내부보강부(160)가 설치되면, 상기 수직지지부재(131)를 수용하면서 수직보강봉(163)에 안착되도록 상판부(180)를 덮어 폐쇄시킨 후, 상기 상판부(180)에 형성된 맨홀개폐부(190)의 맨홀(191)에 맨홀뚜껑(192)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맨홀(191)과 맨홀뚜껑(192)을 경첩인 회전안내부재(193)로 연결하여 맨홀뚜껑(192)이 회전안내부재(193)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여 맨홀(191)을 개방시킴과 아울러 하향으로 회전하여 맨홀(191)을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안내부재(193)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되는 맨홀뚜껑(192)의 원활한 회전을 안내하거나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맨홀뚜껑(192)과 맨홀(191)을 실린더(194)로 연결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맨홀(191)의 폐쇄시, 맨홀뚜껑(192)을 하향으로 회전시키면 맨홀뚜껑(192)의 가압력에 의해 실린더(194)는 복원력이 압축되면서 맨홀뚜껑(192)이 맨홀(191)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맨홀뚜껑(192) 및 맨홀(191)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걸림고리(195)가 상기 맨홀(191) 및 맨홀뚜껑(19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걸림돌기(196)에 걸려 맨홀뚜껑(192)이 맨홀(191)을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부재(131)의 외부 둘레를 마감부재(134)로 마감한 후, 측벽부(130)에 부속품 즉, 사다리와 오버플로우어관 및 수위감지센서, 급수관(171)에 연결관(미도시)을 장착하면서 함체상의 물탱크(100) 제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제작이 완료된 물탱크(100)에 수도전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담수하는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수되는 물의 수위를 수위감지센서(미도시)에서 감지하여 수도전으로부 물 공급 및 공급되는 물을 중단시킬 수 있으며, 담수된 물은 급수관(171)으로 배수되어 각 세대 및 화장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급수관(171)에 연결된 사수방지관(172) 단부가 소환관(171')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물탱크(100) 하단부의 물부터 배수하여 순환시킴으로 물탱크(100) 내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물탱크(100)에 담수된 물을 사용하던 중,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중단된 상태에서 물탱크(100)에 담수된 물을 사용하여 담수된 물의 수위가 낮아져 급수관(171)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수방지관(172)의 에어홀(173)로 물탱크(100) 내부의 공기가 이동되어 급수관(171) 하부의 물탱크(100)에 담수된 물의 배수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급수관(171) 하부의 물탱크(100)에 담수된 물의 배수를 방지하는 이유는, 화재발생과 같은 유사시에 소화용수로 사용하기 위함이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관(171) 하부에 위치한 소화관(171')에 소화호스(미도시)를 연결하면 급수관(171) 하부의 물탱크(100)에 담수된 물을 소화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탱크(100) 내부 청소시, 라이닝부(150)의 시트부재(151)에 쌓인 침전물을 바닥부(110)의 바닥판재(111)보다 낮게 단차진 배수판재(122)의 배수유도로(122')를 통해 드레인관(123)으로 완전히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청소가 용이함은 물론 침전물이 잔류하지 않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물탱크 110: 바닥부
120: 배수부 130: 벽체부
140: 보온부 150: 라이닝부
160: 내부보강부 170: 사수방지부
180: 상판부 190: 맨홀개폐부

Claims (9)

  1. 다수의 콘크리트 기초 상면에 격자형으로 안착된 프레임에 바닥판재가 안착되어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판재보다 낮게 단차지도록 바닥판재에 장착되어 물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부와;
    상기 바닥부의 각 모서리 및 바닥부 측면에 밀착되도록 콘크리트 기초에 수직지지부재가 안착되고, 상기 수직지지부재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고정된 수평지지부재에 측부판재가 밀착되어 형성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내,외부에서 수평지지부재 및 적층된 수평지지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보온하는 보온부와;
    상기 바닥부의 바닥판재와 배수부 및 측벽부의 측부판재에 시트부재가 부착되어 물이 담수되도록 하는 라이닝부와;
    상기 시트부재와 측부판재를 관통한 수평보강봉 양측을 수직지지부재에 고정되면서 상기 바닥부에 수직보강봉을 설치하여 상판부를 지지하도록 하는 내부보강부와;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소화관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측벽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급수관이 구비되고, 상기 급수관에 절곡되어 연결되면서 단부가 소화관 하부에 위치하여 급수가 시작되도록 하는 사수방지관이 구비되며, 상기 급수관으로 물이 급수되어 급수관 하부와 급수관 하부의 소화용수의 수위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면, 소화용수가 급수되지 않도록 급수관의 하단부와 동일선상의 사수방지관에 관통된 에어홀이 구비된 사수방지부와;
    상기 수직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함체형상으로 형성된 물탱크의 상부를 폐쇄시킨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에 형성된 맨홀에 맨홀뚜껑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맨홀을 개폐하는 맨홀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프 물탱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다수의 콘크리트 기초 상면에 격자형으로 안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면에 안착되는 중공의 바닥판재와;
    상기 콘크리트 기초 상면에 격자형으로 안착된 프레임을 연결 및 고정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프 물탱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바닥판재에 관통된 판재결합홀과;
    상기 판재결합홀에 장착되면서 바닥판재에 안착되어 바닥판재보다 하향으로 단차진 배수유도로를 형성하는 배수판재와;
    상기 배수판재에 설치되어 물의 배수를 안내하는 드레인관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프 물탱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온부는,
    상기 수직지지부재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적층된 수평지지부재 사이에 결합되어 폐쇄시키면서 보온하는 사이보온부재와;
    상기 수평지지부재의 내,외측에 형성된 내,외측홈에 삽입되어 보온하는 내,외측보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각 보온부재는 수직지지부재의 지지편과 동일 선상으로 형성되어 측벽부의 측부판재와 수직지지부재의 외부 둘레를 마감하는 마감부재 사이의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프 물탱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보강부는,
    상기 시트부재와 측부판재를 관통하여 수직지지부재의 결합홀에 결합하는 수평보강봉과;
    상기 수평보강봉에 체결되면서 결합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바닥부에 다수 설치되어 상판부를 지지하는 수직보강봉과;
    상기 수직보강봉에 고정되어 수평보강봉을 지지하는 지지보강봉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프 물탱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강봉에 결합되어 물과의 접촉을 차단하는 수지파이프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프 물탱크.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맨홀개폐부는,
    상기 맨홀을 개폐하는 맨홀뚜껑과;
    상기 맨홀과 맨홀뚜껑을 연결하여 맨홀로부터 맨홀뚜껑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안내부재와;
    상기 맨홀과 맨홀뚜껑을 연결하여 회전안내부재를 중심으로 맨홀로부터 맨홀뚜껑이 회전하여 맨홀을 개폐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프 물탱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맨홀에 관통되어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공기이동홀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프 물탱크.
KR1020130006645A 2013-01-21 2013-01-21 피디에프 물탱크 KR101269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645A KR101269437B1 (ko) 2013-01-21 2013-01-21 피디에프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645A KR101269437B1 (ko) 2013-01-21 2013-01-21 피디에프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437B1 true KR101269437B1 (ko) 2013-05-30

Family

ID=4866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645A KR101269437B1 (ko) 2013-01-21 2013-01-21 피디에프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43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333B1 (ko) * 2015-06-22 2015-10-19 주식회사 시스턴 조립식 피디에프 물탱크
KR102176818B1 (ko) 2020-07-23 2020-11-10 (주)베셀 내진성능이 향상된 조립식 피디에프 물탱크
KR102312188B1 (ko) 2021-06-09 2021-10-14 주식회사 성지기공 동항균 pe시트 및 이를 이용한 건식패드 일체형 무용접, 무보강 pdf 내진물탱크
KR102312189B1 (ko) 2021-06-09 2021-10-14 주식회사 성지기공 건식패드 일체형 무용접, 무보강 pdf 내진물탱크
KR102603473B1 (ko) * 2023-01-04 2023-11-17 (주)베네테크 조립식pdf 내진 물탱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978B1 (ko) * 2007-04-10 2007-10-02 주식회사 청산기업 수조(水槽)
KR100784262B1 (ko) * 2006-11-28 2007-12-11 주식회사서흥산업기계 대형 빗물 저장탱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262B1 (ko) * 2006-11-28 2007-12-11 주식회사서흥산업기계 대형 빗물 저장탱크
KR100762978B1 (ko) * 2007-04-10 2007-10-02 주식회사 청산기업 수조(水槽)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333B1 (ko) * 2015-06-22 2015-10-19 주식회사 시스턴 조립식 피디에프 물탱크
KR102176818B1 (ko) 2020-07-23 2020-11-10 (주)베셀 내진성능이 향상된 조립식 피디에프 물탱크
KR102312188B1 (ko) 2021-06-09 2021-10-14 주식회사 성지기공 동항균 pe시트 및 이를 이용한 건식패드 일체형 무용접, 무보강 pdf 내진물탱크
KR102312189B1 (ko) 2021-06-09 2021-10-14 주식회사 성지기공 건식패드 일체형 무용접, 무보강 pdf 내진물탱크
KR102603473B1 (ko) * 2023-01-04 2023-11-17 (주)베네테크 조립식pdf 내진 물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437B1 (ko) 피디에프 물탱크
KR101686795B1 (ko) 보강와이어와 외부보강지주를 이용한 외부 보강 물탱크
KR102120457B1 (ko) 내부 무보강 내진용 pdf 물탱크
KR101893097B1 (ko) 결로수 배출이 용이한 물탱크
KR100625125B1 (ko) 조립식 원형 물탱크
KR100776387B1 (ko) 단위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물탱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70103B1 (ko) 조립식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렌치 구조
KR102210819B1 (ko)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물탱크
KR10106461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0762978B1 (ko) 수조(水槽)
JP5508566B2 (ja) コンクリート・コンテナハウスの建築施工方法
KR101052339B1 (ko) 조립식 물탱크의 바닥판 배수장치
JP4562563B2 (ja) 浴室構造および浴室の工法
KR101597155B1 (ko) 강재단위패널이 일체형으로 만들어진 보온 물탱크 및 그 시공 방법
KR200180693Y1 (ko) 청소가 용이한 물저장 탱크
JP2007056609A (ja) 地下収納庫
KR101746706B1 (ko) 통패드 바닥구조체가 구비된 조립식 패널수조
KR100725607B1 (ko) Pdf-plus 판재 및 이를 이용한 물탱크 제조방법
KR102411899B1 (ko) 자가진단이 가능한 물탱크
KR100618595B1 (ko) 파형 스테인레스의 원형 물탱크 제조방법 및 구조
KR100768274B1 (ko) 단위중공판재를 이용한 수조
CN212506605U (zh) 一种卫生间蹲厕
KR20100116067A (ko) 콘크리트 저수조 내부 폴리에틸렌시트 방수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폴리에틸렌시트
KR200382063Y1 (ko) 파형 스테인레스의 원형 물탱크 구조
KR102600424B1 (ko) 지열 집열 기능을 가지는 기초 바닥 구조물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