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819B1 -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물탱크 - Google Patents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819B1
KR102210819B1 KR1020200094638A KR20200094638A KR102210819B1 KR 102210819 B1 KR102210819 B1 KR 102210819B1 KR 1020200094638 A KR1020200094638 A KR 1020200094638A KR 20200094638 A KR20200094638 A KR 20200094638A KR 102210819 B1 KR102210819 B1 KR 102210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quake
water tank
pulley
lev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석환
Original Assignee
(주)대명에스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명에스이에스 filed Critical (주)대명에스이에스
Priority to KR1020200094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24Spillage-retaining means, e.g. recovery p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545Discharge 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66Operat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22Safety features
    • B65D2590/24Spillage-retaining means
    • B65D2590/245Spillage-retaining means using self-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물탱크는 일측에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21)가 형성되는 바닥판(20)과, 상기 바닥판(20)에 결합되어 물탱크의 내부를 형성하기 위한 측벽부재(30)와, 상기 측벽부재(30)의 상부를 덮는 지붕부재(40)와, 상기 배수구(21)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하이동되는 블록(65)과, 상기 블록(65)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향 연장되는 케이블(62)과, 상기 케이블(62)이 외주면에 감겨지고 상기 케이블(62)의 일단이 고정되며 가장자리 일측에 레버(61)가 구비되는 도르래(60)와, 지진발생시 지진을 감지하는 지진감지기(51)와, 상기 도르래(60)의 레버(61)를 지지 및 해제하기 위한 구동부재(53)와, 상기 지진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도르래(60)의 레버(61) 지지를 해제하도록 상기 구동부재(53)를 작동시키는 제어부(5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지진발생시 상기 구동부재(53)에서 레버(61) 지지가 해제되면서 상기 도르래(60)가 회전하여 상기 블록(65)이 하강하면서 상기 배수구(21)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물탱크{Wave water tank for preventing damage from earthquake}
본 발명은 생활용수, 공업용수 및 상수도 등을 보관하기 위한 소,중,대형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 또는 공업용수 등을 보관하기 위한 소,중,대형 물탱크의 경우 용량에 따라 약 5m에서 30m이상의 직경(넓이)을 가지고 그 재질로는 두꺼운 철판이나 FRP 등의 합성수지재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중 철판의 경우 녹이 발생하여 수질을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고 FRP는 외부 충격에 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재질을 이용하여 각종 용량의 물탱크를 제작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1은 스테인레스 패널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기존의 물탱크(10)를 도시한 것으로, 사각형 패널(12)이 이웃하는 패널(12)과 결합되어 물탱크(10)의 바닥과 측벽 및 지붕을 이룬다. 이웃하는 두 패널(12)은 용접으로 결합되어 수밀처리된다. 그리고, 상기 사각형 패널(12)은 수압을 지탱하기 위해 물탱크(10) 내부에 설치된 앵글(16)(17) 즉, 내부 보강재에 의해서 지지된다. 앵글(16)(17)은 서로 마주보는 패널(12)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데, 수직으로 설치된 앵글(16)(17)은 바닥과 천정을 지지하고 수평으로 설치된 앵글(16)(17)은 측벽을 지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물탱크의 경우 물탱크 내부에 복잡하게 설치된 앵글(16)(17)로 인해서 물탱크 내부가 복잡해지고 청소시 배수가 불량해지며 유지 관리시 많은 문제점이 생기고, 또한 앵글(16)(17)은 패널(12)의 접합부(13)에 용접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앵글(16)(17)의 개수에 비례하여 용접부위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용접부식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국내 일부 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하는 등 우리나라 또한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될 수 없음이 확인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물탱크가 설치된 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할 경우 물탱크에 연결되는 배수관이 파열될 경우 파열된 부분을 통해 물이 유출되어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사각형 패널을 지지하기 위해 탱크 내부에 설치되었던 앵글(내부 보강재)이 필요하지 않고 이에 따라 내부가 깔끔하고 청소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면서도 지진 발생시 물탱크로부터 물배출을 방지하여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물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물탱크는 일측에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21)가 형성되는 바닥판(20)과, 상기 바닥판(20)에 결합되어 물탱크의 내부를 형성하기 위한 측벽부재(30)와, 상기 측벽부재(30)의 상부를 덮는 지붕부재(40)와, 상기 배수구(21)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하이동되는 블록(65)과, 상기 블록(65)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향 연장되는 케이블(62)과, 상기 케이블(62)이 외주면에 감겨지고 상기 케이블(62)의 일단이 고정되며 가장자리 일측에 레버(61)가 구비되는 도르래(60)와, 지진발생시 지진을 감지하는 지진감지기(51)와, 상기 도르래(60)의 레버(61)를 지지 및 해제하기 위한 구동부재(53)와, 상기 지진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도르래(60)의 레버(61) 지지를 해제하도록 상기 구동부재(53)를 작동시키는 제어부(5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지진발생시 상기 구동부재(53)에서 레버(61) 지지가 해제되어 상기 도르래(60)가 회전하고 상기 블록(65)이 하강하여 상기 배수구(21)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53)는 실린더와, 실린더 내부에 결합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어 외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레버를 지지하는 로드(53a)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지진발생시 상기 피스톤 및 로드가 구동부재(53) 내부로 인입되어 로드(53a)의 레버(61) 지지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53)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52)가 작동하면 상기 실린더 내부에 채워진 공기가 실린더에 형성된 배출밸브가 개방되어 배출밸브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피스톤과 로드(53a)가 구동부재(53)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진감지기(51)와, 상기 제어부(52)와, 상기 구동부재(53)는 물탱크의 지붕(4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20)의 배수구(21) 주위에는 다수의 수직 플레이트부재(75)가 결합되고, 상기 수직 플레이트부재(75)의 상부에는 수평 플레이트부재(70)가 결합되어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수평 플레이트부재(70)와 수직 플레이트부재(75) 사이로 안내되어 상기 배수구(21)로 배출되며,
상기 수평 플레이트부재(70)의 중앙에는 상기 블록(65)이 삽입되어 상하이동되는 삽입공(7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플레이트부재(75)는 4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플레이트부재(70)의 삽입공(71)은 상기 배수구(2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사각형 패널을 지지하기 위해 탱크 내부에 설치되었던 앵글(내부 보강재)이 필요하지 않고 이에 따라 내부가 깔끔하고 청소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면서도 지진 발생시 물탱크로부터 물배출을 방지하여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물탱크가 제공된다.
도1은 종래 사각 패널형 물탱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의 종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에서 측벽부재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물탱크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물탱크의 종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에서 측벽부재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물탱크는 일측에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21)가 형성되는 바닥판(20)과, 상기 바닥판(20)에 결합되어 물탱크의 내부를 형성하기 위한 측벽부재(30)와, 상기 측벽부재(30)의 상부를 덮는 지붕부재(40)와, 상기 배수구(21)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하이동되는 블록(65)과, 상기 블록(65)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향 연장되는 케이블(62)과, 상기 케이블(62)이 외주면에 감겨지고 상기 케이블(62)의 일단이 고정되며 가장자리 일측에 레버(61)가 구비되는 도르래(60)와, 지진발생시 지진을 감지하는 지진감지기(51)와, 상기 도르래(60)의 레버(61)를 지지 및 해제하기 위한 구동부재(53)와, 상기 지진감지기(51)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도르래(60)의 레버(61) 지지를 해제하도록 상기 구동부재(53)를 작동시키는 제어부(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물탱크는 사각 물탱크를 실시예로 도시하여 설명하나 원형 물탱크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바닥판(20)에 결합되는 사각형상의 측벽부재(30)는 물탱크의 외주면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물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측판패널을 형성하는 다수의 사각 패널(31)이 상하좌우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각각의 사각 패널(31)은 스테인레스 스틸과 보온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각 사각 패널(31)은 물탱크의 외측으로 만곡져서 형성되는 곡면부(32)와, 곡면부(32)의 양측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날개부(3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각 패널(31)의 상, 하방향으로 인접한 각 곡면부(32)가 서로 적층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측면방향으로는 인접한 수평날개부(33)가 서로 용접으로 결합되어 측벽부재(30)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측벽부재(30)에서 측면에 위치하는 사각 패널(31)의 곡면부(32)는 곡면부(32)의 곡률반경이 작을수록 더 큰 강성을 가지고, 본 실시예에서 곡면부(32)의 양단의 곡률반지름이 이루는 각도는 약 60도 내외가 바람직하다. 측벽부재(30)의 네 모서리에 위치하는 사각 패널(31)의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위치하는 사각 패널(31)에 비해 더 작은 곡률반경을 가진다.
그리고, 측면으로 서로 결합되는 사각 패널(31)의 인접한 수평날개부(33)의 외측에는 수직방향의 H빔(80)이 서로 인접한 수평날개부(33)에 함께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수직 H빔(8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날개부(33)에 결합되는 내측지지판(81)과 이 내측지지판(81)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외측지지판(83)과 내,외측지지판(81,83)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82)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내측지지판(81)에 두 개의 인접한 사각패널의 수평날개부(33)가 함께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물탱크의 외벽을 형성하는 측벽부재(30)의 외측에 세로로 수직방향의 H빔(80)이 결합되어 물탱크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수압지지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직 H빔(80)의 하단부에는 지지부재(90)가 결합된다. 지지부재(90)는 지진이나 진동발생시 H빔(80)의 변위를 방지하여 물탱크의 내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H빔(80)의 하단에서 H빔(90)의 외측지지판(83)을 지지하는 수직 지지부(91)와 수직 지지부(91)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물탱크가 설치되는 기초에 결합되는 기초결합부(92)로 이루어진다. 지지부재(90)의 기초결합부(92)는 물탱크가 설치되는 기초에 앵커볼트(93) 등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수직 H빔(80)의 하단에 지지부재(90)가 결합되어 물탱크의 측면 지지력이 향상됨과 동시에 내진성이 향상된다.
물탱크의 바닥판(20)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패드상에 설치되고, 바닥판(20)의 중앙에는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21)가 형성되며, 이 배수구(21)에 배수관(25)이 연결된다.
또한, 배수구(21)가 형성되는 바닥판(20) 중앙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21) 주위로 4개의 수직 플레이트부재(75)가 방사상으로 90도 간격으로 설치되고, 4개의 수직플레이트부재(75) 상부에 원형의 수평 플레이트부재(70)가 결합된다.
종래 물탱크 바닥판의 배수구를 통해 저장된 물이 배수되는 경우 물이 선회하면서 배수구로 배출되는데, 대형 물탱크의 경우에는 물이 선회하면서 물탱크 측벽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물탱크에 진동을 발생시켜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구(21) 주위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 플레이트부재(75)와, 그 상부에 수평 플레이트부재(70)가 결합되어 이루어짐으로써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바로 배수구(21)로 배출되지 않고 수평 플레이트부재(70)에 의해 수직 플레이트부재(75) 사이로 안내되어 배수구(21)로 배출되고 이에 의해 물이 선회하면서 배출되어 물탱크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직 플레이트부재(75)는 수평 플레이트부재(70)를 지지함과 동시에 배출되는 물이 선회하지 않고 배수구(21)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또한, 수평 플레이트부재(70)의 중앙에는 원형의 삽입공(71)이 형성된다. 수평 플레이트부재(70)의 중앙에 형성되는 원형 삽입공(71)은 배수구(21)보다 큰 직경을 가져 배수구(21)의 상측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원통형 블록(65)이 삽입공(71) 내에 삽입되어 블록(65)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게 되며, 배수구(21) 폐쇄시 블록(65)이 삽입공(71)에서 하강하여 4개의 수직 플레이트부재(75)의 중앙에 형성되는 공간을 지나 배수구(21)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 지붕부재(40)는 측벽부재(30)의 상단에 결합되어 측벽부재(30)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 사각 형상의 판상으로 이루어져서 측벽부재(30)의 상단에 결합된다. 지붕부재(4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재질이 사용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온 효과를 위해 재질 내에 다수 개의 사각단면의 긴 공간부가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지붕부재(40)에는 물탱크 내부 청소 등 유지관리를 위해 맨홀 뚜껑(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지진감지기(51)는 물탱크의 지붕(40)에 설치되어 지진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진발생시 지진감지기(51)에 의해 검출된 감지신호가 제어부(52)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52)는 물탱크의 지붕(40)에 설치되어 지진감지기(51)로부터 지진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구동부재(53)를 작동시켜 도르래(6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 크기 이상의 지진 감지신호가 지진감지기(51)로부터 수신되면 구동부(53)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부재(53)는 물탱크의 지붕(40)에 설치되어 제어부(52)로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고 도르래(6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실린더와 실린더 내부에 결합되는 피스톤과 피스톤에 결합되어 외부로 연장형성되는 로드(53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평상시에는 실린더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서 피스톤과 이에 결합된 로드(53a)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도르래(60)의 레버(61)를 지지함으로써 도르래(60)에 감긴 케이블(62)에 결합된 블록(65)이 배수구(21)로부터 일정 높이 만큼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지진발생시에는 제어부(52)에 의해 구동부재(53)가 작동하면 실린더 내부에 채워진 공기가 실린더에 형성된 배출밸브가 개방되어 이를 통해 배출되게 되고 피스톤과 이에 결합된 로드가 구동부재(53) 내부로 인입되어 로드(53a)의 레버(61) 지지가 해제되면서 도르래(60)가 회전하여 블록(65)이 배수구(21)를 폐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지진감지기(51), 제어부(52), 구동부재(53)는 별도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수 있고, 물탱크의 지붕(40)에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어 이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도르래(60)는 물탱크의 지붕(40)에서 구동부재(53)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도르래(60)의 가장자리 일측에는 레버(61)가 형성되며 도르래(60)의 외주면에는 케이블(62)이 감겨지게 된다. 또한, 케이블(62)은 그 일단이 도르래(60)에 고정되고 도르래(60)에 감겨진 후 물탱크 내부로 하향 연장되어 케이블(62) 타단부에 블록(65)의 상부가 결합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물탱크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평상시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재(53)에서 실린더에서 피스톤의 왼쪽 챔버에 공기가 채워져서 로드(53a)가 인출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인출된 로드(53a)의 단부에 도르래(60)의 레버(61)가 지지되어 도르래(60)가 정지된 상태가 유지되고, 아울러 도르래(60)에 감긴 케이블(62)의 단부에 결합된 블록(65)은 배수구(21)로부터 일정 높이 만큼 이격되어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지진이 발생하여 지진감지기(51)에서 지진을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에서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구동부재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어부(52)에 의해 구동부재(53)가 작동하면 실린더에 형성된 배출밸브가 개방되고 이 배출밸브를 통해 실린더 내부에 채워진 공기가 배출된다.
실린더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면 블록(65)의 무게에 의해 레버(61)가 로드(53a)를 가압하면서 피스톤과 이에 결합된 로드(53a)가 구동부재(53) 내부로 후퇴되고 이에 따라 로드(53a)의 레버(61) 지지가 해제되면서 케이블(62)에 결합된 블록(65)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케이블(62)이 감겨져 있던 도르래(60)가 회전하면서 케이블(62)이 도르래(60)로부터 풀리게 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62)이 도르래(60)로부터 풀리면서 블록(65)이 아래로 이동하여 배수구(21)를 폐쇄하게 된다.
지진의 종료 후에는 다시 구동부재(53)의 실린더에 밸브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여 로드(53a)가 인출되도록 하여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지진발생시에 배수구가 폐쇄되어 배수관의 파열로 인해 물이 유출되어 지진으로 인한 2차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20 : 바닥판 30 : 측벽부재
31 : 사각 패널 32 : 곡면부
40 : 지붕부재 51 : 지진감지기
52 : 제어부 53 : 구동부재
60 : 도르래 61 : 레버
62 : 케이블 65 : 블록

Claims (7)

  1. 일측에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21)가 형성되는 바닥판(20)과,
    상기 바닥판(20)에 결합되어 물탱크의 내부를 형성하기 위한 측벽부재(30)와,
    상기 측벽부재(30)의 상부를 덮는 지붕부재(40)와,
    상기 배수구(21)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하이동되는 블록(65)과,
    상기 블록(65)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향 연장되는 케이블(62)과,
    상기 케이블(62)이 외주면에 감겨지고 상기 케이블(62)의 일단이 고정되며 가장자리 일측에 레버(61)가 구비되는 도르래(60)와,
    지진발생시 지진을 감지하는 지진감지기(51)와,
    상기 도르래(60)의 레버(61)를 지지 및 해제하기 위한 구동부재(53)와,
    상기 지진감지기(51)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도르래(60)의 레버(61) 지지를 해제하도록 상기 구동부재(53)를 작동시키는 제어부(5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지진발생시 상기 구동부재(53)에서 레버(61) 지지가 해제되어 상기 도르래(60)가 회전하고 상기 도르래(60)에 감겨져 있던 상기 케이블(62)이 풀리면서 상기 블록(65)이 하강하여 상기 배수구(21)를 폐쇄하고,
    상기 구동부재(53)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결합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어 외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레버(61)를 지지하는 로드(53a)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지진발생시 상기 피스톤 및 로드(53a)가 구동부재(53)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로드(53a)의 레버(61) 지지가 해제되며,
    상기 바닥판(20)의 배수구(21) 주위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수직 플레이트부재(75)가 결합되고, 상기 수직 플레이트부재(75)의 상부에는 수평 플레이트부재(70)가 결합되어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수평 플레이트부재(70)와 수직 플레이트부재(75) 사이로 안내되어 상기 배수구(21)로 배출되며,
    상기 수평 플레이트부재(70)의 중앙에는 상기 블록(65)이 삽입되어 상하이동되는 삽입공(71)이 형성되고,
    평상시 상기 블록(65)의 일부가 상기 삽입공(71)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진발생시 상기 블록(65)이 다수의 상기 수직 플레이트부재(75) 사이의 공간을 이동하여 상기 배수구(21)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물탱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53)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53)가 작동하면 상기 실린더 내부에 채워진 공기가 실린더에 형성된 배출밸브가 개방되어 배출밸브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피스톤과 로드(53a)가 구동부재(53)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물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진감지기(51)와, 상기 제어부(52)와, 상기 구동부재(53)는 물탱크의 지붕(4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물탱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부재(75)는 4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물탱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플레이트부재(70)의 삽입공(71)은 상기 배수구(2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물탱크.
KR1020200094638A 2020-07-29 2020-07-29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물탱크 KR102210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638A KR102210819B1 (ko) 2020-07-29 2020-07-29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638A KR102210819B1 (ko) 2020-07-29 2020-07-29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819B1 true KR102210819B1 (ko) 2021-02-02

Family

ID=7455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638A KR102210819B1 (ko) 2020-07-29 2020-07-29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532B1 (ko) 2022-10-17 2023-02-21 (주)솔방이엔지 물탱크용 지진저감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8390A (ja) * 1995-10-24 1997-05-06 Sekisui Plant Syst Kk 貯液槽の緊急遮断装置
JPH09273649A (ja) * 1996-04-04 1997-10-21 Sekisui Plant Syst Kk 貯液槽の緊急遮断装置
JPH1179287A (ja) * 1997-09-04 1999-03-23 Hitachi Higashi Service Eng:Kk 大量貯蔵装置
JP2001080698A (ja) * 1999-09-14 2001-03-27 Hitachi Service & Engineering (East) Ltd 液体貯蔵装置
JP2007145343A (ja) * 2005-11-25 2007-06-14 Inoac Corp 液体収容タン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8390A (ja) * 1995-10-24 1997-05-06 Sekisui Plant Syst Kk 貯液槽の緊急遮断装置
JPH09273649A (ja) * 1996-04-04 1997-10-21 Sekisui Plant Syst Kk 貯液槽の緊急遮断装置
JPH1179287A (ja) * 1997-09-04 1999-03-23 Hitachi Higashi Service Eng:Kk 大量貯蔵装置
JP2001080698A (ja) * 1999-09-14 2001-03-27 Hitachi Service & Engineering (East) Ltd 液体貯蔵装置
JP2007145343A (ja) * 2005-11-25 2007-06-14 Inoac Corp 液体収容タン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532B1 (ko) 2022-10-17 2023-02-21 (주)솔방이엔지 물탱크용 지진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819B1 (ko)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물탱크
US8020721B2 (en) Tank for storing cryogenic fluid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luid tight tank
KR102120457B1 (ko) 내부 무보강 내진용 pdf 물탱크
US2333315A (en) Construction of underground tanks for storing liquid fuels and other fluids
JP6008267B2 (ja) 鋼製タンクのプレハブコンクリート防液堤
US2304354A (en) Method of increasing the height of storage tanks
JP6266821B2 (ja) 締切構造物及び締切方法
CA2888882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ylindrical tank
JP5885099B2 (ja) 柱状物周囲の仮締切装置及び同仮締切方法
JP5935203B2 (ja) 防液堤一体型鋼板ライニング常圧コンクリートタンク
KR101269437B1 (ko) 피디에프 물탱크
KR102120458B1 (ko) 볼트조립식 내진용 pdf 물탱크
US2684173A (en) Storage tank support
KR101889320B1 (ko) 향상된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을 가지는 사각 웨이브 물탱크
NO136375B (ko)
US2947439A (en) Flat bottom pressure container
JP2006008248A (ja) 防油堤一体型タンク
KR102411899B1 (ko) 자가진단이 가능한 물탱크
RU177009U1 (ru) Фундамент здания для наземного понтонного подъёма здания при наводнениях
JPH08121695A (ja) 低温二重殻タンク
RU217434U1 (ru) Сборный полимержелезобетонный резервуар
EP0008567B1 (en) Method for the construction and anchorage of a building structure to a foundation
KR102566483B1 (ko) 배수형 유류저장탱크
WO2021241612A1 (ja) 造波装置、及び造波装置の築造方法
KR101662266B1 (ko) 원통형 파형 물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