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266B1 - 원통형 파형 물탱크 - Google Patents

원통형 파형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266B1
KR101662266B1 KR1020160002591A KR20160002591A KR101662266B1 KR 101662266 B1 KR101662266 B1 KR 101662266B1 KR 1020160002591 A KR1020160002591 A KR 1020160002591A KR 20160002591 A KR20160002591 A KR 20160002591A KR 101662266 B1 KR101662266 B1 KR 101662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water tank
plate
wate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영배
Original Assignee
우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영배 filed Critical 우영배
Priority to KR1020160002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7Corrugated or zig-zag structures; Folded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원통형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벽을 파형으로 성형한 강판을 제작하여 수압을 받는 측벽에 라운딩 구조를 적용하여 강도가 증가되고, 상판에 트러스형 지지구조를 적용하여 염소가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한 원통형 파형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통형 파형 물탱크{Cylindrical Wave type Water Tank}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원통형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벽을 파형으로 성형한 강판을 제작하여 수압을 받는 측벽에 라운딩 구조를 적용하여 강도가 증가하고, 상판에 트러스 형 지지구조를 적용하여 염소가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한 원통형 파형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통형 물탱크는 평판강판만으로 보강하여 제작하는 기술이 대부분으로 이러한 기존의 제작기술은 물탱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압과 물탱크를 지하에 매설 시 발생하는 외부토압에 취약하고, 이러한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많은 자재를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야외나 건물 옥상 등에 설치되는 대형 물탱크는 금속재로 되며 내부에 저수실이 구비되며, 상부와 하부에는 상판과 하판이 구비되고 상판과 하판 사이에는 원통 형태의 측벽이 구비된다.
또한, 지상에 설치되는 물탱크보다 공간과 설치장소의 제약이 적은 지하 매설용 물탱크는 토압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콘크리트 외벽과 내구성이 보장되고 물에 쉽게 녹슬지 않아 위생적인 스테인리스 재질의 내벽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지하매설용 물탱크는 콘크리트로 기초 작업을 한 후 스테인리스 재질 물탱크를 매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물탱크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갖는 함체 상으로 이루어지며, 염소 투입장치를 구비한 급수관을 배관하고, 송수펌프와 관통한 배수관을 하부에 배관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물탱크는 수백 톤, 수천 톤 또는 수만 톤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으로서 급수와 배수가 동시에 일어나며, 이에 따라 염소 투입 장치에 의해 투입된 염소가 물에 희석되어 저장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물탱크(T)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일반적인 물탱크(T)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T)는 상판(10)과 하판(20) 및 상기 상판(10)과 하판(20)에 용접되고 원통 형태로 되는 측벽(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상에는 측벽(30)이 원통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각통의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판(10)은 측벽(30)의 상부에 용접되며, 다수 개의 상판플레이트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판플레이트는 선형(扇形)으로 이루어진다.
하판(20)은 측벽(30)의 하부에 용접되고, 선형으로 되는 다수개의 판을 용접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하판(20)은 측벽(30)과 용접되도록 하는 외측에 플랜지가 구비된다.
측벽(30)은 내부에 물을 수용되며, 측벽(30)의 강도 보강을 위해 격자형으로 보강 파이프가 용접 결합된다. 측벽(30)은 필요에 따라 스테인리스 재질의 내벽과 수지, 강철 또는 콘크리트 재질의 외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상에 설치되는 물탱크는 외벽이 강철 또는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지하에 매설되는 물탱크는 외벽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종래의 물탱크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물탱크가 지하에 매설될 경우 외부의 토압으로부터 물탱크 벽체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측벽의 두께가 두꺼워지며, 콘크리트와 같은 강도가 있는 물질을 타설하여 시공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지상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내부에 저장되는 수압으로부터 물탱크 벽체의 강도 특히 측벽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두께가 두꺼워지고, 필요에 따라 외부와 내부에 많은 강도 보강을 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자재의 소요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물탱크에서는 염소가 물 전체로 퍼져 섞이는 시간이 30분 이내로 설계되어 있어서, 염소가 물에 충분히 희석되기 전에 바로 출수구로 배출되거나, 충분한 살균 시간을 갖지 않은 생활용수가 공급될 수 있다.
예컨대, 과도한 잔류염소 농도를 갖는 식수가 공급될 경우, 냄새로 인해 음용수로 적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발암물질인 트리할로메탄(THM)의 생성가능성이 커질 수 있거나, 각종 눈에 보이지 않는 세균 등이 함유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는, 염소와 물이 충분히 교류하여 잔류염소 농도가 적정선으로 유지되면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물의 원활한 흐름이 유지되면서도, 염소와 물이 충분한 시간 접촉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최선이다. 또한, 급수관과 배수관에서 이격된 물탱크 내부 공간이나, 모서리부에서는 물의 순환 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져 정체수 발생으로 인한 물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97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탱크의 측벽을 파형강판으로 제작하여 측벽의 강도를 보강하고, 물탱크 매설 시 콘크리트의 타설이 필요치 않고, 얇은 두께로도 충분한 내구성을 가져 재료 감축이 가능한 원통형 파형 물탱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기초 바닥 및 물탱크의 바닥을 인발 하중 값이 우수한 케미컬 앵커를 제작하여 고정하고, 물탱크 내부 순환 구조를 이용해 물과 염소가 충분히 교류할 수 있는 수로를 길게 형성하고, 정체수를 방지하는, 원통형 파형 물탱크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물탱크의 상판과 측벽 사이에 트러스 지지구조를 적용하여, 적설 시설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물탱크 상부에 염소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하도록 하는 원통형 파형 물탱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원통형 파형 물탱크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도록, 상하부가 개방된 측벽과, 상기 측벽의 상부를 밀폐하는 상판과, 상기 측벽의 하부를 밀폐하는 하판으로 구성된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마감재; 상기 마감재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 배치며 파형 강판으로 되는 내판; 및 상기 마감재와 내판 사이에 삽입 제1 보온재; 를 포함하며, 상기 내판에는 둘레를 따라 폐곡선을 이루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복수 개가 상하 이격 배치되는 제1 라운딩부; 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판은, 상측과 하측이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하 이웃하는 내판과 내측 및 외측이 용접 결합된다.
또한, 상기 내판은, 상기 상측과 하측의 내측에 강도 보강을 위한 플랜지가 덧대어 결합된다.
추가 실시 예로, 상기 측벽은, 상기 마감재와 내판 사이에 구비된 각파이프; 및 상기 마감재와 상기 각파이프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보온재; 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재에는 둘레를 따라 폐곡선을 이루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복수 개가 상하 이격 배치되는 제2 라운딩부; 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는, 내부에 급수관에서 급수되는 물이 저장되고, 상기 탱크 몸체의 중앙에 배치되는 급수측벽; 상기 급수측벽이 수용되도록 상기 급수측벽과 상기 측벽 사이에 형성되며, 각각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단수 또는 복수의 순환측벽; 및 상기 순환측벽과, 상기 측벽을 연통하도록 상기 순환측벽 상에 형성되는 유동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동홀은, 상기 급수측벽에 형성되는 제1 유동홀; 및 상기 순환측벽에 형성되는 제2 유동홀; 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는, 상기 급수측벽과, 상기 순환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수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급수측벽과 상기 순환측벽을 연결하는 단수의 제1 격벽; 상기 순환측벽과, 상기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수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순환측벽과, 상기 측벽을 연결하는 단수의 제2 격벽; 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판은, 상기 상판과 상기 측벽 사이에 염소가스가 수용되는 염소가스 공간이 형성되도록 내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되, 상기 염소가스 공간은 상기 제1 및 제2 수로와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염소가스 공간상에는 상기 상판과 상기 측벽 및 상기 상판과 상기 순환측벽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상판지지대; 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의 하판은, 지상 또는 지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기초; 상기 기초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타공에 삽입되는 케미컬 앵커;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상기 케미컬 앵커에 용접 고정되는 평철; 및 상기 평철의 상측에 용접 고정되는 바닥판;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의 하판은, 지상 또는 지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기초; 상기 기초 타설 시 상기 기초의 상측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앵글; 및 상기 앵글의 상측에 용접 고정되는 바닥판; 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바닥판은 복수개가 서로 겹침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원통형 파형 물탱크는, 측벽의 강도가 충분히 보장되기 때문에 측벽에 사용되는 판재의 두께를 줄이고, 콘크리트와 같은 강도 보강 부재의 타설이 필요하지 않고, 지상에 노출하여 설치 시 측벽의 두께를 얇게 하여도 내구성에 문제가 없기 때문에 자재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탱크 내부의 유로가 연장되어, 물과 염소의 접촉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가져갈 수 있어 물탱크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염소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탱크 내부의 정체수를 방지하여 정체수 발생으로 인한 수질 악화 및 염소 희석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물탱크 상단에 트러스 지지구조를 적용하여 적설 시에도 상부의 눈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며, 염소가스의 수용공간이 확보하고, 이를 신속히 배출하게 되어 염소가스의 정체로 인한 내부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물탱크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물탱크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측벽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측벽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측벽 단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측벽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물탱크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물탱크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물탱크 바닥면 부분확대 종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바닥면 평면도 (프레임 작업 시)
도 10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바닥면 평면도 (바닥판 작업 시)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바닥면 작업 공정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바닥면 부분확대 종단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 제1 실시 예 (일반형)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벽(100)의 단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벽(1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벽(100)은 내벽와 외벽의 구분이 없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측벽(100)은 마감재(110)와 마감재(110)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 형성된 내판(120)과 마감재(110)와 내판(120) 사이에 삽입되는 제1 보온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마감재(110) 내판(120) 및 제1 보온재(150) 만으로 측벽(100)의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구성을 갖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측벽(100)의 내판(120)에는 제1 라운딩부(125)가 형성된다. 제1 라운딩부(125)는 내판(120)에서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다. 제1 라운딩부(125)는 측벽(100)의 둘레를 따라 폐곡선을 이루며 형성된다. 제1 라운딩부(125)는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라운딩부(125)는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제1 라운딩부(125) 형상이 내판(120)에 형성됨에 따라 측벽(100)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측벽(100)은 일정 높이를 갖는 단위체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측벽(100)은 용접(W)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보온재(150)는 단열 및 보온 재질의 보온재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내판(120)은 평판강판을 파형으로 성형하여 구조적 강도를 강화한 것으로서, 종래의 평판강판에 비해 그 두께가 두껍지 않으면서 강도가 강화되어 재료감축이 가능하고, 파형강판은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형태를 가지므로 결합 시 위치설정이 용이하여 조립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파형강판은 강판에 파형을 성형한 것으로 파형에 의해 하중 및 반력이 강판 전체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내하력이 큰 특징이 있다. 즉 파형강판은 물탱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력과 외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모두 견고하다.
측벽(100)은 물탱크의 용량에 따라 가로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측벽(100)을 접합하여 구성되며, 측벽(100)의 가로방향 접합은 파형강판의 골이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겹침 용접하고, 세로방향의 접합은 측벽(100)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ㄱ','ㄴ','ㄷ','ㅁ' 또는 'H'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절곡하여 물탱크의 내측과 외측을 모두 용접(W)하여 접합함으로서 수밀성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파형강판은 평판강판으로 제작된 스테인리스 물탱크보다 외부와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견고하며 평판강판을 용접할 때 발생되는 휨이나 비틀림이 없어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고, 파형강판의 두께가 얇아도 압력에 대한 강도가 높기 때문에 재료의 감축이 가능하고 강판과 강판의 결합이 용이하여 조립이 간편한 특징이 있다.
- 제2 실시 예 (매립형)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측벽(200)의 단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측벽(2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측벽(200)은 내벽와 외벽의 구분이 없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측벽(200)은 각파이프(230)와, 각파이프(230)의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 형성된 마감재(220)와 각파이프(230)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 형성된 내판(210)과 각파이프(230)와 내판(210) 사이에 삽입되는 제1 보온재(251) 및 각파이프(230)와 마감재(220)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보온재(2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각파이프(230), 마감재(220) 내판(210) 및 제1, 2 보온재(251, 252) 만으로 측벽(200)의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구성을 갖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측벽(200)의 내판(210)에는 제1 라운딩부(215)가 형성된다. 제1 라운딩부(215)는 내판(210)에서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다. 제1 라운딩부(215)는 측벽(200)의 둘레를 따라 폐곡선을 이루며 형성된다. 제1 라운딩부(215)는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라운딩부(215)는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제1 라운딩부(215) 형상이 내판(210)에 형성됨에 따라 측벽(200)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측벽(200)은 일정 높이를 갖는 단위체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측벽(200)은 용접(W)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측벽(200)의 마감재(220)에는 제2 라운딩부(225)가 형성된다. 제2 라운딩부(225)는 마감재(220)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다. 제2 라운딩부(225)는 측벽(200)의 둘레를 따라 폐곡선을 이루며 형성된다. 제2 라운딩부(225)는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라운딩부(225)는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제2 라운딩부(225) 형상이 마감재(220)에 형성됨에 따라 측벽(200)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보온재(251, 252)는 단열 및 보온 재질의 보온재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측벽(200)은 내판(210)이 내부파형강판으로되고, 마감재(220)가 외부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지며, 내부파형강판과 외부파형강판 사이의 공간에 세로방향으로 'ㄱ','ㄴ','ㄷ','ㅁ' 또는 'H' 형 각재(230)를 설치하고, 각파이프(230)의 상단과 하단에 보강용 파형강판(260)을 덧대어 토압과 수압에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부파형강판과 외부파형강판 사이에 보온재(250)를 삽입하여 겨울철 물탱크의 동파 및 여름철 물탱크의 온도상승을 예방할 수 있다.
측벽(200)은 물탱크의 용량에 따라 가로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측벽(200)을 접합하여 구성되며, 측벽(200)의 가로방향 접합은 측벽(200)의 양단에 세로방향 보강파이프를 형성하여 양단을 용접하고, 세로방향의 접합은 측벽(200)의 상하 방향에 가로방향 보강파이프를 형성하여 양단을 용접(W)하여 접합함으로써 수밀성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탱크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는 측벽(100), 급수측벽(101), 순환측벽(102), 격벽(104, 105), 급수관(600) 및 배수관(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급수측벽(101)은 측벽(100)에 수용되며, 내부에 급수저장공간이 형성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급수저장공간에는 급수관(600)을 통해 급수되는 물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급수측벽(101)에 저장되는 물은 측벽(100)의 내부와 격리되도록 구성된다.
순환측벽(102)은 도면상에 1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일예로 측벽(100)의 크기에 따라 가감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순환측벽(102)은 측벽(100)에 수용되며, 내부에 급수측벽(101)이 수용되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순환측벽(102)의 직경은 급수측벽(101)의 직경보다 크고 측벽(1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급수측벽(101)과 순환측벽(210) 사이에는 제1 수로가 형성되며, 제1 수로는 측벽(100) 내부 및 상기 급수저장공간과는 격리되도록 구성된다. 측벽(100) 내부에 순환 측벽(102)이 수용되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측벽(100)의 직경은 순환 측벽(10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순환 측벽(102)과 측벽(100) 사이에는 제2 수로가 형성되며, 제2 수로는 제1 수로와 격리되도록 구성된다. 제2 수로 상에는 배수관(700)이 연결될 수 있다.
급수측벽(101)에는 제1 유동홀(101a)이 형성되고, 순환측벽(102)에는 제2 유동홀(102a)이 형성된다. 제1 유동홀(101a)을 통해 급수측벽(101) 내부와 제1 수로(R1)가 연통되며, 제2 유동홀(102a)을 통해 제1 수로와 제2 수로(R2)가 연통된다.
격벽(104, 105)은 제1 격벽(104) 및 제2 격벽(105)으로 구성되며, 제1 격벽(104)은 제1 수로(101a)의 시작점과 끝점을 구획하도록 급수측벽(101)과 순환측벽(102)을 연결한다. 제2 격벽(105)은 제2 수로(102a)의 시작점과 끝점을 구획하도록 순환 측벽(102)과 측벽(100)을 연결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물탱크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300)은, 상판(300)과 측벽(100, 200) 사이에 염소가스가 수용되는 염소가스 공간(310)이 형성되도록 중심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때 염소가스 공간(310)은 급수측벽(101) 내부, 제1 수로 및 제2 수로와 모두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염소가스 공간(310)이 형성됨에 따라 상판(300)과 측벽(100, 200) 사이에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염소가스 공간(310) 상에는 상판지지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판지지대(320)는 상판(300)과 급수측벽(101)의 상단을 연결하고, 상판(300)과 순환측벽(102)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일예로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측벽(100, 200) 내부에서 생성된 염소가스가 염소가스 공간(310)으로 신속히 수용되고 염소가스 공간(310)에 수용된 염소가스는 환풍구(350)를 통해 신속히 배출되어 염소가스로 인한 물탱크 내부 부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제1 실시 예 (앵커형 바닥)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물탱크 바닥면(400) 부분확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a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바닥면(400)의 프레임 작업 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b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바닥면(400)의 바닥판 작업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바닥면(400)의 작업 공정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설된 콘크리트 기초(410)에 타공을 하여 케미컬 앵커(A)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타공부에 케미컬 앵커(A)를 삽입 후 케미컬액을 주입하여 케미컬 앵커(A)를 콘크리트 기초(410)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앵커(A) 삽입부에 평철(425)을 올리고, 앵커(A)와 평철(425)을 용접 고정시킨다. 이때 평철(425)은 기초(410)와 수평이 되도록 용접 고정될 수 있다. 고정된 평철(425) 위에 스테인리스 바닥판(430)을 겹침 용접하여 바닥판(430)이 콘크리트 기초(410)와 밀착되도록 고정시킨다.
도 11을 참조하면, 바닥판(430) 시공 시 바닥판(430)의 고정 순서를 다음과 같이 제1 고정판(430a)부터 제4 고정판(430d) 순으로 순차적으로 고정하도록 하여 고정판(430)의 겹침 부위가 최소화되도록 시공할 수 있다. 즉 바닥판(430)은 서로 겹침 용접하여 수밀성을 극대화하고 바닥을 견고하게 시공한다. 이때 바닥판(430)은 "之" 자형으로 배열하여 패널끼리의 겹침을 2단 이하로 줄여 겹침부로 인해 바닥판(430)이 튀어나오지 않도록 함으로써 바닥면(400)의 미려한 시공이 가능하고 물의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바닥면(400)은 토상의 셋트 앵커보다 인발하중 값이 우수한 케미컬 앵커를 통해 견고하게 시공되기 때문에 지진이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물탱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케미컬 앵커 시공으로 인해 공정을 줄이고 시공성을 극대화한 효과가 있다.
- 제2 실시 예 (앵글형 바닥)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물탱크 바닥면(400) 부분확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기초(410) 타설 시 바닥판(430)을 고정할 수 있는 "ㄷ" 또는 "ㄱ" 자형 앵글(420)을 기초(410)와 수평이 되도록 시공하고, 기초(410)와 수평을 이루는 앵글(420) 위에 바닥판(430)을 겹침 용접하여 지진이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물탱크를 견고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공되는 물탱크는 콘크리트 기초(410)와 물탱크 바닥판의 체결력이 부족하여 지진이나 외부충격에 물탱크가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지만 본 발명은 기초(410)에 앵글(420)을 일체형으로 고정한 후 앵글(420)에 바닥판(430)을 용접하여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 바닥판(430)의 고저방법은 상술된 1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T : 물탱크
100 : 측벽 110 : 마감재
120 : 내벽 125 : 제1 라운드부
150 : 제1 보온재
200 : 측벽 210 : 각파이프
220 : 마감재 221 : 제1 라운드부
230 : 내벽 231 : 제2 라운드부
251 : 제1 보온재 252 : 제2 보온재
101 : 급수측벽 102 : 순환측벽
104 : 제1 격벽 105 : 제2 격벽
300 : 상판 310 : 염소가스 공간
320 : 상판지지대 350 : 환풍구
400 : 바닥면 410 : 콘크리트 기초
420 : 앵글 430 : 바닥판
A : 케미컬 앵커

Claims (11)

  1. 내부에 물이 저장되도록, 상하부가 개방된 측벽(200)과, 상기 측벽(200)의 상부를 밀폐하는 상판(300)과, 상기 측벽(200)의 하부를 밀폐하는 하판(400)으로 구성된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측벽(200)은,
    마감재(220);
    상기 마감재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 배치며 파형 강판으로 되는 내판(210);
    상기 마감재(220)와 내판(210) 사이에 구비된 각파이프(230);
    상기 마감재(220)와 내판(210) 사이에 삽입 제1 보온재(251);
    상기 마감재(220)와 상기 각파이프(230)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보온재(252); 를 포함하며,
    상기 내판(210)에는 둘레를 따라 폐곡선을 이루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복수 개가 상하 이격 배치되는 제1 라운딩부(215); 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재(220)에는 둘레를 따라 폐곡선을 이루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복수 개가 상하 이격 배치되는 제2 라운딩부(225); 가 형성되되,
    상기 제1 라운딩부(215)와 제2 라운딩부(225)는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원통형 파형 물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판(210)은,
    상측과 하측이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하 이웃하는 내판과 내측 및 외측이 용접 결합되는, 원통형 파형 물탱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판(210)은, 상기 상측과 하측의 내측에 강도 보강을 위한 플랜지가 덧대어 결합되는, 원통형 파형 물탱크.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내부에 급수관에서 급수되는 물이 저장되고, 상기 물탱크 의 중앙에 배치되는 급수측벽(101);
    상기 급수측벽(101)이 수용되도록 상기 급수측벽(101)과 상기 측벽(200) 사이에 형성되며, 각각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단수 또는 복수의 순환측벽(102); 및
    상기 순환측벽(102)과, 상기 측벽(200)을 연통하도록 상기 순환측벽(102) 상에 형성되는 유동홀(101a, 102a);
    를 포함하는, 원통형 파형 물탱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홀(101a, 102a)은,
    상기 급수측벽(101)에 형성되는 제1 유동홀(101a); 및
    상기 순환측벽(102)에 형성되는 제2 유동홀(102a);
    로 구성되는, 원통형 파형 물탱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급수측벽(101)과, 상기 순환측벽(102)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수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급수측벽(101)과 상기 순환측벽(102)을 연결하는 단수의 제1 격벽(104);
    상기 순환측벽(102)과, 상기 측벽(20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수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순환측벽(102)과, 상기 측벽(200)을 연결하는 단수의 제2 격벽(105);
    을 더 포함하는, 원통형 파형 물탱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300)은,
    상기 상판(300)과 상기 측벽(200) 사이에 염소가스가 수용되는 염소가스 공간(310)이 형성되도록 내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되,
    상기 염소가스 공간(310)은 상기 제1 및 제2 수로와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염소가스 공간(310) 상에는 상기 상판(300)과 상기 측벽(200) 및 상기 상판(300)과 상기 순환측벽(102)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상판지지대(320); 가 형성된, 원통형 파형 물탱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하판(400)은,
    지상 또는 지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기초(410);
    상기 기초(41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타공에 삽입되는 케미컬 앵커(A);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상기 케미컬 앵커(A)에 용접 고정되는 평철(425); 및
    상기 평철(425)의 상측에 용접 고정되는 바닥판(430);
    을 포함하는, 원통형 파형 물탱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하판(400)은,
    지상 또는 지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기초(410);
    상기 기초 타설 시 상기 기초의 상측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앵글(420); 및
    상기 앵글(420)의 상측에 용접 고정되는 바닥판(430);
    을 포함하는, 원통형 파형 물탱크.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430)은 복수개가 서로 겹침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파형 물탱크.
KR1020160002591A 2016-01-08 2016-01-08 원통형 파형 물탱크 KR101662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591A KR101662266B1 (ko) 2016-01-08 2016-01-08 원통형 파형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591A KR101662266B1 (ko) 2016-01-08 2016-01-08 원통형 파형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266B1 true KR101662266B1 (ko) 2016-10-07

Family

ID=57145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591A KR101662266B1 (ko) 2016-01-08 2016-01-08 원통형 파형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2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307Y1 (ko) * 2005-05-27 2005-08-19 우영배 도류벽이 구비된 저장탱크
KR20060079529A (ko) * 2004-12-31 2006-07-06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파형 스테인레스의 원형 물탱크 제조방법 및 구조
KR100756267B1 (ko) * 2006-04-24 2007-09-06 권성룡 파형단면 스테인레스 스틸 원통유니트 조립형 원형 물탱크
KR20100042061A (ko) * 2008-10-15 2010-04-23 (주)케이티중공업 고하중의 탱크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설치방법
KR20110089740A (ko) 2010-02-01 2011-08-09 최희선 정수 처리용 물탱크의 도류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9529A (ko) * 2004-12-31 2006-07-06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파형 스테인레스의 원형 물탱크 제조방법 및 구조
KR200392307Y1 (ko) * 2005-05-27 2005-08-19 우영배 도류벽이 구비된 저장탱크
KR100756267B1 (ko) * 2006-04-24 2007-09-06 권성룡 파형단면 스테인레스 스틸 원통유니트 조립형 원형 물탱크
KR20100042061A (ko) * 2008-10-15 2010-04-23 (주)케이티중공업 고하중의 탱크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설치방법
KR20110089740A (ko) 2010-02-01 2011-08-09 최희선 정수 처리용 물탱크의 도류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398B1 (ko) 콘크리트벽체용 스테인리스 벽체패널 물탱크 및 벽체패널 물탱크 시공방법
KR101164495B1 (ko) 콘크리트 벽체 패널을 갖는 물탱크 제작 방법
US20130029410A1 (en) Digester tank for a biogas plant
KR102120457B1 (ko) 내부 무보강 내진용 pdf 물탱크
US20050210795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plastic lined concrete structure and structure built thereby
KR102133096B1 (ko) 우수한 조립성과 향상된 구조적 강도를 가지는 웨이브형 물탱크
JP5136130B2 (ja) 防護シェルター
KR101362746B1 (ko) 내, 외부보강 및 이중바닥으로 시공되는 구조보강용 원통형 저장탱크
KR101662266B1 (ko) 원통형 파형 물탱크
KR101833440B1 (ko) 향상된 저장성 및 수압지지력을 가지는 사각 물탱크
KR101012828B1 (ko) 저수탱크
KR100953395B1 (ko) 조립식 물탱크용 조립부
KR101134148B1 (ko) 정수 및 폐수처리용 저류조의 스테인레스 벽체 패널
US20230167654A1 (en) Demountable tank
KR20180047720A (ko) 조립이 용이하고 내진성능이 향상된 물탱크구조
KR100486852B1 (ko) 저장탱크를 이용한 배수지
KR102019912B1 (ko) 조립식 피디에프 물탱크의 방파구조
BG66565B1 (bg) Метод за антикорозионна защита на стоманенирезервоариистоманен резервоар с антикорозионна защита
KR100569728B1 (ko) 조립식 원형 물탱크
KR101468718B1 (ko) 물탱크 조립체
KR101029748B1 (ko) 이중바닥 구조를 갖는 저수조
KR20180131947A (ko) 향상된 저장성 및 수압지지력을 가지는 사각 물탱크
KR100394435B1 (ko) 대형수조의 설치구조
KR100569726B1 (ko) 조립식 원형 탱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원형 물탱크
KR100618595B1 (ko) 파형 스테인레스의 원형 물탱크 제조방법 및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