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483B1 - 배수형 유류저장탱크 - Google Patents

배수형 유류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483B1
KR102566483B1 KR1020200167925A KR20200167925A KR102566483B1 KR 102566483 B1 KR102566483 B1 KR 102566483B1 KR 1020200167925 A KR1020200167925 A KR 1020200167925A KR 20200167925 A KR20200167925 A KR 20200167925A KR 102566483 B1 KR102566483 B1 KR 102566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body
storage tank
oil storage
groundwater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8416A (ko
Inventor
조용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우
조용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우, 조용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우
Priority to KR1020200167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48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8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7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dehumidifying, dewatering or dra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6Large containers for use under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어 설치되는 유류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하의 주변에서 유입되는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한 수분이 유류저장탱크의 측벽 강판 외측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된 후 상기 유류저장탱크의 하부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하부로 이동된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한 수분이 원활하게 테두리집수홀에 포집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한 수분에 의해 지하에 매설된 유류저장탱크의 강판과 콘크리트가 분리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형 유류저장탱크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배수형 유류저장탱크{Drainage type oil storage tank}
본 발명은 지하 또는 지상에 설치되는 유류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하의 주변에서 유입되는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한 수분이 유류저장탱크의 측벽 강판 외측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된 후 상기 유류저장탱크의 하부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하부로 이동된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한 수분이 원활하게 테두리집수홀에 포집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한 수분에 의해 지하 또는 지상에 설치된 유류저장탱크의 강판과 콘크리트가 분리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형 유류저장탱크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유류저장탱크는 대량의 유류를 저장하기 위한 밀폐된 공간을 가지는 구조물이고, 안전한 관리를 위하여 지하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지하 도는 지상에 설치되는 유류저장탱크는 통상적으로 유류저장탱크의 내측면이 강판으로 형성되어 유밀성을 유지하고 강판 외측면에 콘크리트 외벽부를 구비하여 상기 강판에 가해지는 외부의 토압이나 빗물, 지하수 등에 의한 수압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 외벽부는 수밀한 구조가 아니므로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강판과 콘크리트 외벽부 사이로 지하수, 빗물 등의 물이 스며들게 된다.
그런데 유류저장탱크는 유류를 수시로 반입 또는 반출하게 되어 유량이 지속적으로 변화되므로 탱크 내 유류의 높낮이가 반복적으로 변동하게 된다. 유류 높낮이의 변동에 의한 강판 내부에 가해지는 압력과, 강판과 콘크리트 외벽부 사이에 스며든 지하수, 빗물 등에 의한 강판 외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불균형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불균형한 압력에 의한 반복하중이 강판 내외부에 지속되고, 강판은 지속되는 반복하중에 의하여 피로해지면서 손상 및 부식된다. 또한 강판과 콘크리트 외벽부 사이에 스며든 지하수, 빗물 등이 동결과 해동을 반복하는 부피의 변화에 의해 강판이 손상되게 된다.
지하수 등에 의한 유류저장탱크의 손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 중의 하나로 공개번호 제10-2013-0043044호의 '저장탱크의 방식방법'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탱크 본체의 외측 표면과 상기 탱크 본체가 놓여지는 받침대 사이의 틈에 부식억제제를 장입하는 방법으로 저장탱크의 부식을 방지한다. 그런데 상기 부식억제제는 수분에 의한 녹 발생 방지의 효과를 발휘할 뿐 저장탱크 내외부 압력의 불균형한 반복하중이나 지하수 등의 동결에 의한 저장탱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없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번호 제20-0283721호의 '지하 매설용 유류 저장탱크'는 저장탱크를 내부탱크, 외부탱크 및 상기 내부탱크와 외부탱크 사이의 완충부로 구성하고 완충부에 단열재를 채움으로써 지하수 등의 동결에 의한 저장탱크의 손상을 방지하고자 한다. 그러나 단열재로는 저장탱크 내외부 압력의 불균형한 반복하중에 의한 저장탱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없다.
한편, 이미 지하에 설치되어 있는 유류저장탱크가 지하수 등에 의해 손상된 경우 유류저장탱크를 보수하기 위한 종래기술인 등록번호 제10-0425950호의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에는 금속재질의 스트립을 유류저장탱크의 내측면에 덧댄 후 용접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는 유류저장탱크에 새로운 내피를 형성할 수 있을 뿐 유류저장탱크의 강판과 콘크리트 외벽부 사이에 스며든 지하수 등의 반복하중에 의한 강판의 손상을 해소할 수 없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번호 제10-1805610호의 '지하 매설 배수형 유류저장탱크와 그 시공방법, 그리고 기존 지하 매설 유류저장탱크를 배수형 유류저장탱크로 보수하는 시공방법'에는 유류저장탱크의 탱크본체부의 하부에 테두리집수홀과 테두리집수홀을 형성하여 빗물 또는 지하수 등을 외부로 배수시키고 있으나 테두리집수홀으로 빗물 또는 지하수가 원활하게 이동되지 못하여 탱크본체부 하부의 들뜸 현상 등의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를 완벽하게 해소할 수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43044호(2013.04.2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3721호(2002.07.1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5950호(2004.03.23.)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유류저장탱크는 부식억제제 또는 단열재 또는 보수방법을 통해 탱크본체의 파손을 방지 또는 보수하고 있으나 탱크본체를 이루는 강판의 손상을 실질적으로 해소할 수 없고, 테두리집수홀을 형성하여 콘크리트와 강판사이의 빗물 또는 지하수 등을 포집하여 외부로 배수시키고 있으나 완벽한 포집이 이루어지지 않아 강판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완벽하게 해소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여;
지하 또는 지상에 설치되는 유류저장탱크에서 빗물,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한 수분이 콘크리트부와 탱크본체부를 이루는 강판의 사이를 따라 하부로 이동되되, 상기 탱크본체부의 하부 외측에 포집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한 수분이 원활하게 포집됨과 동시에 상기 탱크본체부의 하부로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지하에 매설된 유류저장탱크의 강판과 콘크리트가 분리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형 유류저장탱크의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측벽, 바닥면 및 상면이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탱크본체부(10);와 상기 탱크본체부(10)의 측벽과 상면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부콘크리트부(20); 상기 탱크본체부(10)의 바닥면 하부에 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부(30); 상기 기초콘크리트부(30)의 상부면에는 탱크본체부(10) 측벽의 내측방향에 형성되는 U자형 테두리집수홀(40);과 상기 기초콘크리트(30)의 상부면에는 중앙으로부터 테두리집수홀(40)까지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U자형 방사집수홀(32); 상기 U자형 테두리집수홀(40) 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배수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형 유류저장탱크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탱크본체부(10)의 바닥면은 중앙이 테두리보다 높아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부(30)의 상부면은 상기 탱크본체부(10)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U자형 방사집수홀(32)과 테두리집수홀(40) 및 배수관(50)은 금속재 채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수관(50)은 U자형 방사집수홀(40)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배수형 유류저장탱크는 설치된 배수관을
통해 지하에 매설되어 설치된 유류저장탱크의 강판 재질 탱크본체부와 외부 콘크리트부 사이에 스며든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한 수분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유류저장탱크가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한 수분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두리집수홀이 탱크본체부의 하부 내측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탱크본체부의 하부로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한 수분 등이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탱크본체부의 하부면의 들뜸 현상 등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탱크본체부의 하부면의 중앙과 기초콘크리트의 상부면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탱크본체부의 하부면에 유입될 수 있는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한 수분이 상기 탱크본체부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어 테두리집수홀으로 포집되도록 함으로써, 탱크본체부의 하부면의 변형 및 파손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된 유류가 유류저장탱크의 강판 재질 탱크본체부의 손상에 의해 유출되는 경우에도 배수관을 통해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한 수분 등과 함께 유출될 수 있도록 하고, 유출된 유류를 신속하게 수집하여 확인함으로써, 유류저장탱크 주변의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수집된 유류는 유수분리조에서 물과 분리시켜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유류저장탱크가 지하에 매설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유류저장탱크 주변의 지하수 등이 유류저장탱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유류저장탱크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유류저장탱크를 나타낸 투영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유류저장탱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기초콘크리트를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은 지하 또는 지상에 설치되는 유류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유류저장탱크의 탱크본체부(10)의 하부면 중앙과 기초콘크리트(20)의 상부면 중앙을 볼록하게 형성하고, 상기 탱크본체부(10)의 내측방향에 위치되도록 테두리집수홀(40)을 형성함으로써, 지하의 주변에서 유입되는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한 수분이 유류저장탱크의 탱크본체부(10)의 측벽 강판 외측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된 후 상기 탱크본체부(10)의 하부면으로 유입되어 테두리집수홀(40)에 포집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탱크본체부(10)의 하부면에 유입되거나 발생된 결로에 의한 수분이 상기 테두리집수홀(40)에 포집되도록 함으로써, 강판과 콘크리트 특히, 탱크본체부(10)의 하부면과 기초콘크리트부(30)가 분리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형 유류저장탱크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 탱크본체부(10)의 바닥면 하부에 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부(30); 상기 기초콘크리트부(30)의 상부면에는 탱크본체부(10) 측벽의 내측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U자형 테두리집수홀(40);과 탱크본체부(10) 바닥면의 중앙으로부터 테두리집수홀(40)까지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U자형 방사집수홀(32); 상기 테두리집수홀(40) 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배수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탱크본체부(10)의 바닥면은 중앙이 테두리보다 높게되어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부(30)의 상부면은 상기 탱크본체부(10)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방사집수홀(32)과 테두리집수홀(40) 및 배수관(50)은 금속재 채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수관(50)은 방사집수홀(40)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탱크본체부(10)는
측벽, 바닥면 및 상면이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측벽 및 상기 측벽 위에 형성되는 상면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유류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바닥면, 측벽 및 상면이 강판으로 이루어져 내부 공간의 밀폐성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탱크본체부(10)는 바닥면의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탱크본체부(10)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기초콘크리트(30)의 상부면도 중앙이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외부콘크리트부(20)와 측벽 강판의 사이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한 수분이 상기 측벽 강판을 따라 하부로 이동된 후 상기 바닥면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상기 바닥면과 기초콘크리트부(30)의 사이에 생성되는 결로에 의한 수분이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탱크본체부(10)의 바닥면 즉, 강판과 기초콘크리트부(30)가 분리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탱크본체부(10)는 바닥면의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중앙보다 큰 하중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기초콘크리트부(30)와 더욱더 밀접되도록 하여 상기 측벽 강판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는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한 수분이 상기 바닥면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탱크본체부(10)의 바닥면과 기초콘크리트부(30)가 밀접되면 상기 바닥면과 기초콘크리트부(30)에서 사이에서 발생되는 결로에 의한 수분이 외측으로 이동되어 배출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탱크본체부(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기 기초콘크리트부(30)의 상부면의 형상은 본 발명의 탱크본체부(10)의 바닥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기초콘크리트부(30)의 테두리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부면을 따라 수분이 자연스럽게 이동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테두리집수홀(40)으로 포집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탱크본체부(1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바닥면의 중앙이 높게 형성됨에 따라 기초콘크리트(30)의 상부면 또한 중앙이 높게 형성됨으로써, 평면으로 설치되는 것보다 지진 또는 충격에 의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외부콘크리트부(20)는
상기 탱크본체부(10)의 측벽 외측과 상기 탱크본체부(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탱크본체부(10)의 측벽 외측에 밀접되는 콘크리트 외벽부와 상기 탱크본체부(10)의 상면에 밀접되는 콘크리트 상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외벽부는 상기 탱크본체부(10)의 측벽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콘크리트 재질의 구조체이고, 탱크본체부(10)의 측벽에 토압이나 지하수, 빗물 등에 의한 수압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콘크리트 상면부는 상기 탱크본체부(10)의 상면 위에 배치되는 콘크리트 재질의 구조체이고, 지상의 하중이 탱크본체부(10)의 상면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기초콘크리트부(30)는
상기 탱크본체부(10)의 바닥면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탱크본체부(10)의 바닥면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탱크본체부(10)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상기 콘크리트 외벽부 및 콘크리트 상면부 즉, 외부콘크리트부(20)와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재질의 구조체이며, 탱크본체부(10)의 바닥면에 토압이나 수압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탱크본체부(10)와 그 내부에 채워지는 유류에 의한 하중을 지지한다.
이때, 본 발명의 기초콘크리트부(3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본체부(10)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부면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에 의해 유입되는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한 수분이 자연스럽게 상기 탱크본체부(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테두리집수홀(40)으로 포집되어 배수관(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기초콘크리트부(30)의 상부면의 기울기는 일예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1/20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기울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탱크본체부(10) 내부에 유류를 저장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류를 반입 및 반출하기 어렵고, 상기 기울기 미만인 경우에는 유입되는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한 수분이 자연스럽게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초콘크리트부(30)는 상부면 중앙으로부터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집수홀(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방사집수홀(32)에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테두리집수홀(40)과 마찬가지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한 수분이 자연스럽게 포집되어 외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내측에 배수관(50)이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탱크본체부(10), 외부콘크리트부(20), 기초콘크리트부(30)로 이루어진 유류저장탱크는 탱크본체부(10) 내에서 상면 구조체를 지지하는 내부 기둥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테두리집수홀(40)은
상기 기초콘크리트부(30)의 상부면에 형성되되, 상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탱크본체부(10) 측벽의 내측방향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탱크본체부(10)와 기초콘크리트(30)의 사이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해 생성된 수분이 상기 기초콘크리트(30)의 상부면을 따라 상기 탱크본체부(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되어 포집되도록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테두리집수홀(40)은 상기 기초콘크리트부(30)의 상부면에 U자형 채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수관(50)은 U자 형상 또는 파이프 형태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배수형 유류저장탱크는 집수된 빗물, 지하수 등은 상기 배수관(50)을 통해 집수정으로 포집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U자형 방사집수홀(32), U자형 테두리집수홀(40) 및 배수관(50)은금속재 채널로 이루어지되,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아연도금강판 등 녹슬지 않는 금속재를 사용하여 수분에 의한 부식 등을 방지하고, 기초콘크리트부(30)를 타설할 때 U자형 금속재 채널을 기설치하여 거푸집 겸용 U자형 방사집수홀(32)과 U자형 테두리집수홀(40)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초콘크리트부(30)의 상부면은 앞서 설명된 탱크본체부(10)의 바닥면과 대응되도록 즉,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되므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앞서 설명된 외부콘크리트부(20)와 탱크본체부(10)의 측벽 강판의 사이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해 생성된 수분이 상기 탱크본체부(10)의 측벽 강판을 따라 하부로 이동된 후 상기 탱크본체부(10)의 하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원활하게 집수정으로 포집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탱크본체부(10) 주변에서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해 생성된 수분이 제거되지 못하는 유류저장탱크의 경우, 외부콘크리트부(20)가 수밀한 구조가 아니므로 시간이 결과함에 따라 도 2의 (a) 내지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탱크본체부(10)의 강판과 외부콘크리트부(20) 사이로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해 생성된 수분이 스며들어 일정한 지하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유류저장탱크는 유류를 수시로 반입 또는 반출하게 되어 유량이 지속적으로 변화되므로 탱크본체부(10) 내 유류의 높낮이가 반복적으로 변동하게되고, 유류 높낮이의 변동에 의한 탱크본체부(10) 내부에 가해지는 압력과 탱크본체부(10)와 외부콘크리트부(20) 사이에 스며든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해 생성된 수분의 일정한 지하수위에 의해 탱크본체부(10) 내 외부에 지속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며, 탱크본체부(10)는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반복하중에 의하여 피로해지면서 결국에는 도 2의 (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탱크본체부(10)가 손상 및 부식될 수 있다.
또한, 유류저장탱크는 탱크본체부(10)와 외부콘크리트부(20) 사이에 스며든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해 생성된 수분이 동결과 해동을 반복하여 부피가 변화될 때 탱크본체부(10)의 강판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수형 유류저장탱크는 탱크본체부(10)의 내측방향에 위치되도록 기초콘크리트(30)의 상부면에 테두리집수홀(40)을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집수홀(40)으로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해 생성된 수분이 포집되되, 탱크본체부(10)의 바닥면의 하부로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해 생성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유류저장탱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배수형 유류저장탱크는 탱크본체부(10)에서 유류가 유출되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유류가 토양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류에 의한 토양오염을 방지하고 유류저장탱크에 대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배수관(50)은
상기 테두리집수홀(40) 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기초콘크리트(30)의 상부면이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집수홀(40)에 포집된 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가 배출된 유체를 확인하여 유류가 유출되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유지보수 및 유류에 의한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관(50)은 상기 테두리집수홀(40)과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테두리집수홀(40)에 포집된 유체가 즉각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해 생성된 수분이 머무르거나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콘크리트와 강판의 분리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배수형 유류저장탱크는 상기 배수관(50)의 타단에 연결되는 유수분리조(7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유수분리조(70)는 탱크본체부(10)에서 유류가 유출된 경우 유출된 유류와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해 생성된 수분이 함께 유입되도록 하여 비중차에 의한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분리된 유류는 재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배수형 유류저장탱크는 상기 탱크본체부(10)의 측방에 위치되되, 상기 외부콘크리트부(20)의 콘크리트 외벽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수분리조(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유수분리조(70)는 상부가 개폐 가능하여 상기 배수관(50)을 통해 배출된 수분에 유류가 유츌되었는지 확인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폐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배수관(50)은 타단에 설치되는 유류감지센서(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유류감지센서는 배수관(50)을 통해 배출되는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해 생성된 수분에 유류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감지하여 탱크본체부(10)의 손상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본 발명의 배수형 유류저장탱크는 탱크본체부(10) 주변의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해 생성된 수분이 테두리집수홀(40)을 거쳐 배수관(50)으로 배출되므로 어느 부분에서 유류가 누출되는지에 관계없이 유류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유류의 유출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점검 및 보수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하는 것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탱크본체부(10)는 다른 실시예로, 측벽 하부말단 가장자리 또는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외부집수정 방향으로 즉,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하부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외측말단이 상기 외부집수정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판은 외부콘크리트부(20)와 탱크본체부(10)의 측벽 강판 사이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해 생성된 수분이 상기 탱크본체부(10)의 측벽 강판을 따라 하부로 이동된 후 상기 탱크본체부(10)의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더 완벽하게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해 생성된 수분이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배수형 유류저장탱크는 앞서 설명된 탱크본체(10)의 바닥면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기술적 특징에 의해 종래의 유류저장태크 보다 향상된 배수성능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존할 수 있는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해 생성된 수분을 최소화함으로써, 빗물이나 지하수 또는 결로에 의해 생성된 수분이 잔존함에 따른 콘크리트와 강판의 분리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탱크본체부
20 : 외부콘크리트부
30 : 기초콘크리트부
32 : 방사형집수홀
40 : 테두리집수홀
50 : 배수관

Claims (4)

  1. 지하 또는 지상에 설치되는 유류저장탱크에 있어서, 측벽, 바닥면 및 상면이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탱크본체부(10);와
    상기 탱크본체부(10)의 측벽과 상면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부콘크리트부(20);
    상기 탱크본체부(10)의 바닥면 하부에 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부(30);
    상기 기초콘크리트부(30)의 상부면에는 탱크본체부(10) 측벽의 내측방향에 형성되는 U자형 테두리집수홀(40);과
    상기 기초콘크리트부(30)의 상부면에는 중앙으로부터 테두리집수홀(40)까지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U자형 방사집수홀(32);
    상기 U자형 테두리집수홀(40) 내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배수관(50);을 포함하고,
    상기 탱크본체부(10)의 바닥면은 중앙이 테두리보다 높아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부(30)의 상부면은 상기 탱크본체부(10)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50)은 방사집수홀(32)과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부(30)의 기울기는 외측방향으로 1/20의 기울기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50)은 타단에 설치되는 유류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형 유류저장탱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방사집수홀(32), U자형 테두리집수홀(40) 및 배수관(50)은 금속재 채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형 유류저장탱크.
  4. 삭제
KR1020200167925A 2020-12-03 2020-12-03 배수형 유류저장탱크 KR102566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925A KR102566483B1 (ko) 2020-12-03 2020-12-03 배수형 유류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925A KR102566483B1 (ko) 2020-12-03 2020-12-03 배수형 유류저장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416A KR20220078416A (ko) 2022-06-10
KR102566483B1 true KR102566483B1 (ko) 2023-08-16

Family

ID=8198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925A KR102566483B1 (ko) 2020-12-03 2020-12-03 배수형 유류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4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909Y1 (ko) 2003-07-16 2003-10-01 (주)진성이엔지 스테인레스 소형 물탱크
JP2005289404A (ja) 2004-03-31 2005-10-20 Osaka Gas Co Ltd タンク底部構造
KR100564697B1 (ko) * 2004-09-23 2006-03-30 주식회사 삼양테크 콘크리트 물탱크의 배수시스템
KR101805610B1 (ko) * 2017-07-27 2017-12-06 주식회사 가립 지하 매설 배수형 유류저장탱크와 그 시공방법, 그리고 기존 지하 매설 유류저장탱크를 배수형 유류저장탱크로 보수하는 시공방법
JP2020041357A (ja) * 2018-09-12 2020-03-19 株式会社石井鐵工所 地上式円筒形タンク及びその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721Y1 (ko) 2002-05-11 2002-07-27 최수만 지하 매설용 유류 저장탱크
KR100425950B1 (ko) 2002-11-19 2004-04-01 전정하 유류저장탱크의 보수방법
KR20130043044A (ko) 2011-10-19 2013-04-29 양성환 저장탱크의 방식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909Y1 (ko) 2003-07-16 2003-10-01 (주)진성이엔지 스테인레스 소형 물탱크
JP2005289404A (ja) 2004-03-31 2005-10-20 Osaka Gas Co Ltd タンク底部構造
KR100564697B1 (ko) * 2004-09-23 2006-03-30 주식회사 삼양테크 콘크리트 물탱크의 배수시스템
KR101805610B1 (ko) * 2017-07-27 2017-12-06 주식회사 가립 지하 매설 배수형 유류저장탱크와 그 시공방법, 그리고 기존 지하 매설 유류저장탱크를 배수형 유류저장탱크로 보수하는 시공방법
JP2020041357A (ja) * 2018-09-12 2020-03-19 株式会社石井鐵工所 地上式円筒形タンク及びそ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416A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1293A (en)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secondary containment vault
US8858119B2 (en) Liquid run-off disposal system
JP2008031645A (ja) 雨水貯留槽
KR101805610B1 (ko) 지하 매설 배수형 유류저장탱크와 그 시공방법, 그리고 기존 지하 매설 유류저장탱크를 배수형 유류저장탱크로 보수하는 시공방법
KR102566483B1 (ko) 배수형 유류저장탱크
JP5022947B2 (ja) 仮締切作業函およびその設置方法
US4973195A (en) Storage facility for hazardous waste and the like
KR100564697B1 (ko) 콘크리트 물탱크의 배수시스템
KR101604535B1 (ko) 하수관로 물막이 구조
CN215669957U (zh) 一种地下室汽车坡道防渗漏结构
KR101827943B1 (ko) T형바를 이용하는 지하 매설 배수형 유류저장탱크와 그 시공방법
CN209777303U (zh) 一种硫酸卸车缓冲罐
JP4809728B2 (ja) マンホール
JPH11209998A (ja) 自立型二重遮水壁による地下構造物の遮水工法
EP2941517B1 (en) Method and device for drainage and detection of leakage
US8439648B2 (en) Process water lift station apparatus
KR20210048127A (ko)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방법
JP4956512B2 (ja) マンホールの突き出し及び浮上の防止構造
JPS597266Y2 (ja) 大型地下式コンクリ−トタンク
US20130051916A1 (en) Seamless, double walled sump
JPS6030229Y2 (ja) 地中タンクの排水設備
KR101310384B1 (ko) 맨홀블럭과 이를 이용한 맨홀유닛
CN212956621U (zh) 一种严寒、高地下水位区的自来水管道一体检查井
JP2018066208A (ja) 仮設堰
CN110528537B (zh) 用于微型顶管基坑支护的活动挡泥板及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