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127A -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방법 - Google Patents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127A
KR20210048127A KR1020190132020A KR20190132020A KR20210048127A KR 20210048127 A KR20210048127 A KR 20210048127A KR 1020190132020 A KR1020190132020 A KR 1020190132020A KR 20190132020 A KR20190132020 A KR 20190132020A KR 20210048127 A KR20210048127 A KR 20210048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lyethylene sheet
collecting well
underground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재
윤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진화학
김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진화학, 김민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진화학
Priority to KR1020190132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8127A/ko
Publication of KR20210048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지하저수조의 바닥 누수 부분 및 고이는 부분을 탐지하는 누수 탐지 단계; 상기 지하저수조 바닥 누수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 소정의 넓이와 깊이로 파내어 누수되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 공간 형성 단계; 상기 수용공간에 망사형으로 형성된 집수정을 설치하고, 상기 집수정에 배관을 상기 지하저수조 외부로 연결하는 집수정 및 배관 연결 단계; 상기 수용공간 상부를 마감하고 상기 지하저수조 내부에 폴리에틸렌시트로 라이닝 하는 방수 시공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공법을 제공하여 지하저수조와 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 고이는 물을 외부로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방법{Method of constructing leakage water guide using mesh type stainless steel landfill sump and polyethylene sheet}
지하저수조의 내부를 폴리에틸렌시트로 라이닝 시공 시 기존 설치된 집수정의 구배가 좋지 않고 지하저수조의 벽체 및 바닥의 결로 및 누출수가 잘 배출되지 않아 지하저수조 바닥에 설치된 폴리에틸렌시트 아래에 물이 많이 고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지하저수조 바닥이 얕아 물이 많이 고이는 곳에 바닥 매립형 집수정을 설치하고 이 집수정에 고이는 물을 지하저수조 내부에 설치하는 배관 및 지하저수조 외부에 설치된 펌프를 통하여 외부로 유도하여 콘크리트와 폴리에틸렌시트 사이에 고이는 물을 지속적으로 제거하여 콘크리트 지하저수조의 수명증대와 폴리에틸렌시트를 시공하고서도 바닥이 쿨렁거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저수조는 수돗물을 다량으로 비축하는 탱크이다. 저수 위치에 따라 옥상저수조 또는 지하저수조로 나뉘게 되며, 아파트나 상업시설에 많이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수조는 재질에 따라 스테인레스, FRP 및 각종 합성수지로 수조로 제작하거나, 콘크리트로 제작하기도 한다.
한편, 콘크리트로 수조를 제작시에는 내벽면에 방수를 위한 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을 하게 된다.
특히 지하저수조 내부 습윤형에폭시(뉴-아쿠아) 코팅 또는 방수시트(PE, PP,PVC) 공사를 진행할 때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가 파손되어 물이 나오면 코팅작업을 할 수 없고, 비록 방수시트를 시공해도 지하저수조 모체인 바닥 콘크리트의 수명이 단축되고 방수시트 시공을 하고서도 바닥이 쿨렁거리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이물을 지하저수조 바깥으로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는 종래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9707호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을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저수조(10)의 모서리에 집수정(50)이 형성되게 되고, 집수정(50)의 근접한 위치에 제2집수정(60)이 형성되어 저수조의 내벽면(12)과 폴리에틸렌 시트(14) 사이에 고인물을 집수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한다. 여기서 집수정(50)은 각 가정 등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저수조(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부분이며, 제2집수정(60)에 의해 폴리에틸렌 시트의 누수, 결혼 현상에 다른 응축수, 성토로부터의 누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여기서, 상기 제2집수정(60)에는 물구배가 좋을 경우 지하저수조 바닥에 고이는 물이 집수정으로 모일 수 있지만, 일반적인 지하저수조의 경우에 제2집수정으로의 물구배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아 지하저수조의 바닥수가 집수정으로 모이지 않고, 집수정이 없는 곳으로 모이게 되어 폴리에틸렌 시트(14)와 내벽면(12) 사이의 물이 지하저수조 밖으로 배출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지하저수조 모체인 콘크리트의 수명이 단축되고 폴리에틸렌 시트가 쿨렁거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그리고, 제2집수정(60)에 토출관(70)을 통해 물이 고였는지 확인하고, 연결배관(90)을 통해 밸브 조작에 의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므로 수작업으로 배출해야 하므로 관리가 어렵다.
그리고, 토출관이 내부공간에서 지하저수조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야 하는 공간상의 문제점과 토출관이 폴리에틸렌 시트(14)를 관통해야 하므로 관통하는 부분에 누수 문제가 있고, 또한 제2집수정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고 밸브를 열어 배출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다.
KR 10-0779707 B1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하저수조 시공 시 누수 또는 물이 고이는 부분을 미리 파악하고 간단한 시공에 의해 집수정을 설치하고, 고이는 물을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 후 폴리에틸렌시트의 내구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은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공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지하저수조의 바닥 누수 부분 및 물이 고이는 부분을 탐지하는 누수 탐지 단계; 상기 지하저수조 바닥 누수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 소정의 넓이와 깊이로 파내어 누수되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공간 형성 단계; 상기 수용공간에 망사형으로 형성된 집수정을 설치하고, 상기 집수정에 배관을 상기 지하저수조 외부로 연결하는 집수정 및 배관 연결 단계; 상기 배관에 펌프를 설치하는 펌프 설치 단계; 및 상기 수용공간 상부를 마감하고 상기 지하저수조 내부에 폴리에틸렌시트로 라이닝 하는 방수 시공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공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지하저수조 바닥에 구배진 곳 또는 물이 고이는 곳에 집수정을 설치하고 펌프에 의해 지속적으로 배출하므로 지하저수조와 폴리에틸렌시트 사이에 결로, 누출수가 생기더라도 지속적으로 배출이 이루어져 콘크리트 지하저수조의 내구수명을 향상시키고 또한, 폴리에틸렌시트가 고이는 물에 의해 쿨렁거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내부에 집수정을 설치하는 시공과정이 간단하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의 구성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공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의 구상도이다.
도 4는 수용 공간 형성 단계(S1,S2)의 예시 단면도이다.
도 5는 집수정 및 배관 연결 단계(S3)의 예시 단면도이다.
도 6은 방수 시공 단계(S4)의 예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 나타난 바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공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누수 탐지 단계(S1), 수용 공간 형성 단계(S2), 집수정 및 배관 연결 단계(S3) 및 방수 시공 단계(S4)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의 구상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하저수조(100)의 바닥 부분에 집수정(300)이 설치되어 바닥 부분의 누수된 물을 배관(320)과 펌프(500)를 통해 지하저수조(100) 외부로 배출하여 폴리에틸렌시트 시공을 하여 콘크리트 지하저수조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바닥 폴리에틸렌 시트가 바닥에 고인물 때문에 쿨렁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실시하기 위해 도 3,4,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수용 공간 형성 단계(S1,S2)의 예시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누수 탐지 단계(S1)는 상기 지하저수조의 바닥 누수 부분을 탐지하는 단계이다.
바닥 누수 부분의 탐지는 콘크리트층(140)에서 누수가 일어나서 지하저수조(100)에 구배진 곳을 중점으로 물이 고이는 부분을 확인하여 집수정을 설치한 곳을 마킹하도록 한다.
상기 수용 공간 형성 단계(S2)는 상기 지하저수조(100) 바닥 누수 부분에 대응되는 소정의 넓이와 소정의 깊이로 파내어 누수되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2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가로 600mm 세로 400mm의 넓이로 깊이 300mm로 파내도록 한다. 바닥의 구배가 좋지 않아 물이 고이는 곳이 여러군데이면 물이 고이는 곳마다 동일한 형태로 파낸다. 이렇게 여러군데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이유는 지하저수조는 구배가 잘 맞지 않게 시공된 곳이 많아서 내부 집수정이 있는 곳으로 물이 잘 모이지 않고 지하저수조 안쪽으로 물이 고이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상기 수용공간 형성 단계(S2)에서는, 상기 수용공간(200)에서 상기 지하저수조(100) 측면을 향하여 상기 배관을 매립하기 위한 홈(22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집수정 및 배관 연결 단계(S3)의 예시 단면도이다.
상기 집수정 및 배관 연결 단계(S3)는 상기 수용공간(200)에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망사형으로 형성된 집수정(300)을 설치하고, 상기 집수정(300)에 배관(320)을 상기 지하저수조(100) 외부로 연결하는 단계이다.
상기의 집수정(300)은 2mm 두께의 스텐판에 5mm의 원형 구멍을 내서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한다.
그리고, 배관(320)은 20mm 직경의 배관을 상기 홈(220)에 위치시킨 후 일측은 상기 집수정(300)에 용접하고 타측은 상기 지하저수조 벽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위치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배관(320)에 상기 체크밸브(340)를 연결하여 집수정(300)에 모여진 물이 배관(320)을 통해 지하저수조 외부로 흐르도록 유도하고 상기 체크밸브(340)에 의해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관(320)의 타측에는 펌프(500)를 설치하여 일정량의 물이 차면 자동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배관(320)에 수위감지기(520)가 설치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설치가 필요하다. 상기 펌프(500)에서 배출은 기계실의 집수정까지 연결되도록 한다.
도 6은 방수 시공 단계(S4)의 예시 단면도이다.
상기 방수 시공 단계(S4)는 상기 수용공간(200) 상부를 그릴형태로 마감하여 폴리에틸렌 시트와 콘크리트 지하저수조 사이에 물이 집수정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마감하고, 지하저수조 내부에 폴리에틸렌시트를 시공한다.
상기 방수 시공 단계에서는, 상기 수용공간(200) 상부에 철판(400)을 덮어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릴형태의 상기 철판(400)은 5mm 두께로 집수정(300)보다 조금 더 크게 만들어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수용공간(200)의 상부를 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철판(400)의 상부에는 폴리에틸렌시트(120)로 라이닝 공사를 한다.
또한, 지하저수조(100)의 측면에는 배관(320)이 통과한 부분도 방수공사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공법의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지하저수조
120: 폴리에틸렌시트
140: 콘크리트층
200: 수용공간
300: 집수정
320: 배관
340: 체크밸브
400: 철판

Claims (5)

  1. 상기 지하저수조의 바닥 누수 부분 및 고이는 부분을 탐지하는 누수 탐지 단계;
    상기 지하저수조 바닥 누수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 소정의 넓이와 깊이로 파내어 누수되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 공간 형성 단계;
    상기 수용공간에 망사형으로 형성된 집수정을 설치하고, 상기 집수정에 배관을 상기 지하저수조 외부로 연결하는 집수정 및 배관 연결 단계;
    상기 수용공간 상부를 마감하고 상기 지하저수조 내부에 폴리에틸렌시트로 라이닝 하는 방수 시공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형성 단계에서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지하저수조 측면을 향하여 상기 배관을 매립하기 위한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시공 단계에서는,
    상기 수용공간 상부에 그릴형태의 철판을 덮어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 및 배관 연결 단계에서는,
    상기 배관에 펌프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설치 단계에서는,
    상기 배관에 수위감지기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공법.
KR1020190132020A 2019-10-23 2019-10-23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방법 KR20210048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020A KR20210048127A (ko) 2019-10-23 2019-10-23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020A KR20210048127A (ko) 2019-10-23 2019-10-23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127A true KR20210048127A (ko) 2021-05-03

Family

ID=75910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020A KR20210048127A (ko) 2019-10-23 2019-10-23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81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9867A (zh) * 2021-07-16 2021-10-22 宁波磐固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混凝土水池安全检修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707B1 (ko) 2006-09-18 2007-11-26 (주) 창우텍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707B1 (ko) 2006-09-18 2007-11-26 (주) 창우텍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9867A (zh) * 2021-07-16 2021-10-22 宁波磐固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混凝土水池安全检修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9636B1 (ko) 건물 누수 유도배출장치
KR20210048127A (ko)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방법
KR100564697B1 (ko) 콘크리트 물탱크의 배수시스템
KR100779707B1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KR101805610B1 (ko) 지하 매설 배수형 유류저장탱크와 그 시공방법, 그리고 기존 지하 매설 유류저장탱크를 배수형 유류저장탱크로 보수하는 시공방법
KR20210048126A (ko)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을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누수 물 유도 시공방법
CN207268010U (zh) 排水管防渗漏装置
KR200435698Y1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KR20100042441A (ko) 지하연속벽의 유도방수구조
KR100315080B1 (ko) 지하매설용 유류저장탱크
JP4571613B2 (ja) 雨水浸透施設
JP3648663B2 (ja) 廃棄物処分施設
KR200435699Y1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KR102013751B1 (ko) 앵커 고정식 라이닝이 시공된 콘크리트 저류조
KR200387581Y1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RU27934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ведения воды из деформационного шва (варианты)
US8607373B2 (en) Pool fluid control system
KR102566483B1 (ko) 배수형 유류저장탱크
KR100779721B1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KR101371151B1 (ko) 밸브실
KR20110043131A (ko) 우수저장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우수저장시설
US20120018017A1 (en) Process water lift station apparatus
KR200307709Y1 (ko) 지하 매설용 유류저장 탱크
CN214273730U (zh) 隧道反坡开挖排水系统
KR100711607B1 (ko) 건축지붕 누수방지 시설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