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707B1 -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707B1
KR100779707B1 KR1020060090285A KR20060090285A KR100779707B1 KR 100779707 B1 KR100779707 B1 KR 100779707B1 KR 1020060090285 A KR1020060090285 A KR 1020060090285A KR 20060090285 A KR20060090285 A KR 20060090285A KR 100779707 B1 KR100779707 B1 KR 100779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water
reservoir
polyethylene sheet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창호
Original Assignee
(주) 창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창우텍 filed Critical (주) 창우텍
Priority to KR1020060090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8Arrangement of draining devices, e.g. manual shut-of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 시트의 누수, 결로 현상에 따른 응축수, 성토로부터의 외부수 침투 등으로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 고인 물을 확인하고, 이를 외부로 빼내어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부식 등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로 사용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예방하도록 한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저수조의 저면 일측에 일정크기로 형성된 집수정과; 상기 집수정과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되, 상부는 차폐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 2집수정과;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 고인 물을 제 2집수정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형성되는 수로홈과; 상기 제 2집수정으로부터 저수조의 상부에 걸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제 2집수정에 위치하는 하단부위에는 일정간격마다 통수공이 형성된 토출관과; 상기 토출관에 물이 고인 경우, 이를 외부로 빼내기 위한 배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크리트, 저수조, 배수지, 폴리에틸렌 시트

Description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Apparatus for discharge of concrete drainfiel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크리트 저수조 12 : 외벽
14 : 폴리에틸렌 시트 50 : 집수정
60 : 제 2집수정 70 : 토출관
72 : 통수공 80 : 오버플로어관
90 : 연결밸브 92 : 체크밸브
100 : 퇴수관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되, 방수를 위하여 그 내벽면에 폴리에틸렌 시트가 라이닝 공사된 콘크리트 저수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 발생하는 물을 보다 쉽게 외부로 빼낼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조는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여 주거용 아파트나 업무용 빌딩 등과 같이 생활용수의 사용이 많은 건축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저수조는 재질에 따라 스테인레스패널수조, SMC수조, FRP수조, 콘크리트수조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저수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는, 일정 모양으로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 패널을 형성하고, 이 거푸집 패널의 일측에 슬리브를 결합한 후, 상기 거푸집 패널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양생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저수조는, 외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도 있으나, 지하에 매립형태로 공사되는 것이 많으며, 특히 매립되는 콘크리트 저수조 중에서도 일면이 개방되도록 매립설치되는 것이 있으며, 성토를 파내고 사면(四面)이 모두 폐쇄되도록 매립설치되는 것도 있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는 일반 합성수지재나 스틸재질에 비하여 그 방수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그 내벽면에 방수를 위한 폴리에틸렌 시트를 열융착에 의해 라이닝 공사를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에 방수를 위하여 폴리에틸렌 시트를 라이닝 공사 하더라도,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 자체의 일부 손상으로 콘크리트 저수조 내부의 물이 새서,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와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 사이로 스며드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편차로 인하여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 응축수가 생기기도 하며, 성토로부터 외부의 물이 콘크리트 저수조의 외벽면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 고이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 물이 고이게 되면, 콘크리트 저수조 자체가 쉽게 부식되어 그 내구성이 현저하게 저하됨으로써, 결국 그 사용수명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 시트의 누수, 결로 현상에 따른 응축수, 성토로부터의 외부수 침투 등으로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 고인 물을 확인하고, 이를 외부로 빼내어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부식 등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로 사용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예방하도록 한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벽면에 방수를 위한 폴리에틸렌 시트가 라이닝 공사된 콘크리트 저수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저면 일측에 일정크기로 형성된 집수정과; 상기 집수정과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되, 상부는 차폐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 2집수정과;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 고인 물을 제 2집수정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형성되는 수로홈과; 상기 제 2집수정으로부터 저수조의 상부에 걸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제 2집수정에 위치하는 하단부위에는 일정간격마다 통수공이 형성된 토출관과; 상기 집수정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오버플로어관과; 상기 오버플로어관과 상기 토출관을 연결하되, 개폐밸브 및 체크밸브 그리고 확인용 개폐밸브가 설치된 연결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오버플로어관은 저수조의 물을 밖으로 빼내기 위한 퇴수관과 연결되고, 상기 퇴수관과 토출관 사이에 드레인 밸브 및 체크밸브 그리고 확인용 밸브가 설치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2집수정의 상면과 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는 일정크기의 통공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 2집수정에는 자갈 및 배수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저수조(10)는 성토에 사면(四面)이 매립되고, 중앙벽을 기점으로 양분되어 두 개의 저수조를 갖고 있다.
각각의 저수조에는 복수의 도류벽(16)이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 모서리에는 일정크기 및 일정깊이로 집수정(5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수조의 일측에는 저수조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정(50)은 각 가정 등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출관과 물을 외부로 빼내기 위한 퇴수관(100)으로 밸브박스(미도시됨)와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밸브박스에는 상기 유출관과 퇴수관의 개폐를 조정하기 위한 각 밸브들이 설치되어지며, 상기 밸브들의 조작에 따라 유출관을 통해 저수조내의 물을 각 가정 등으로 공급하거나 퇴수관을 통해 외부로 물을 빼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집수정(50)과 근접한 위치에는 소형 크기의 제 2집수정(6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제 2집수정(60)은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12)과 폴리에틸렌 시트(14) 사이에 고인 물을 집수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부는 폐쇄되어 바닥면과 동일면을 이루면서 그 내부에 공간부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때, 콘크리트 저수조의 바닥면에는 일정깊이의 수로홈(미도시됨)을 형성하여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흐른 폴리에틸렌 시트(14)와 내벽면(12) 사이에 고인 물이 상기 수로홈을 따라 제 2집수정(60)으로 모이도록 하면 된다.
즉, 상기 제 2집수정(60)의 상부면과 폴리에틸렌 시트(14)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통공(6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바, 저수조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 (14)사이에서 발생되는 물은 수로홈을 타고 제 2집수정(60) 쪽으로 흐르면서 상기 통공(62)을 통해 제 2집수정(60)에 모이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집수정(60)으로부터 저수조의 상부에 걸쳐 일정직경을 갖는 토출관(70)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토출관(70)에서 제 2집수정(60)에 위치하는 하부의 일정길이만큼에는 일정간격마다 통수공(7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2집수정(60)에는 배수판 및 자갈이 적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콘크리트 저수조(10)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14) 사이에 고이게 되는 물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흐르면서 수로홈을 타고 제 2집수정(60)을 향해 흐르게 되면, 상기 제 2집수정(60)에 모인 물은 통수공(72)을 통해 토출관(70)에 모이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토출관(70)의 상부는 저수조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토출관(70)의 상부를 통해 물이 고였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집수정(50)에는 일정직경을 갖는 오버플로어관(80)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관(70)과 오버플로어관(80)은 별도의 연결배관(90)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배관(90)에는 토출관(70)에 고인 물이 오버플로어관(80)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체크밸브(92) 및 개폐밸브(94)가 설치되어 있으며, 저수조 청소시 필요에 따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확인용 개폐밸브(94-1)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연결배관(90)에는 확인용 밸브(94-1)를 더 설치함으로써, 저수조 청소시에 제2집수정(60)으로 물이 고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 2집수정(60)에 설치된 토출관(70)에 물이 고여 일정높이만큼 찬 상태에서 상기 개폐밸브(94)가 열려져 있으면, 이 물은 연결배관(90)을 통해 오버플로어관(80)으로 흐르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밸브(94)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저수조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14) 사이에 물이 많이 새서 제 2집수정(60)으로 물이 많이 고이게 되면, 상기 토출관(70)에 일정높이만큼 물이 차게 되는 바, 이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누수원인을 검토하여 조치하면 된다.
상기 오버플로어관(80)은 퇴수관(100)과 연결되고, 상기 퇴수관에는 드레인 밸브 및 체크밸브 그리고 확인용 밸브(미도시됨)가 설치된다.
토출관의 물이 고였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게 되면, 콘크리트 저수조(10) 내벽면(12)과 폴리에틸렌 시트(14) 사이에 물이 고여서 제 2집수정(60)에 집수된 것인 바, 이는 폴리에틸렌 시트(14)의 손상 또는 결로수 발생 또는 외부유입수 발생일 수 있으므로, 이를 파악하여 보수작업을 시행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토출관(70)에 바로 배수펌프(미도시됨)를 설치하여 제 2집수정(60)에 모인 물을 직접 외부로 빼낼 수도 있다.
즉, 작업자가 토출관(70)의 상부를 통하여 육안으로 물이 고여있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토출관(70)의 배수펌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물을 빼낼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펌프는 토출관(70) 내에 설치되는 수중펌프일 수도 있으며, 상기 토출관 밖에 설치되는 외부펌프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에 의하면, 내벽면에 폴리에틸렌 시트가 라이닝 공사되어 방수기능을 갖도록 하는 콘크리트 저수조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의 손상에 의한 누수나,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 내부와 외부의 온도편차에 의한 응축수나,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가 매립된 상태에서 성토를 통한 외부수가 침투하여,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와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 사이에 물이 생성된 것을 어느 한 쪽으로 모이도록 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됨으로써, 결국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 물이 고이지 않아 이로 인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이 예방되는 바, 결국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구성 증대에 따른 사용수명이 증대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 물이 고일 경우, 그 누수되는 부분을 보수하여 차후에 다시 물이 새어 콘크리트 구조물이 부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내벽면에 방수를 위한 폴리에틸렌 시트(14)가 라이닝 공사된 콘크리트 저수조(10)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10)의 저면 일측에 일정크기로 형성된 집수정(50)과;
    상기 집수정(50)과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되, 상부는 차폐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 2집수정(60)과;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10)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14) 사이에 고인 물을 제 2집수정(60)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형성되는 수로홈과;
    상기 제 2집수정(60)으로부터 저수조(10)의 상부에 걸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제 2집수정(60)에 위치하는 하단부위에는 일정간격마다 통수공(72)이 형성된 토출관(70)과;
    상기 집수정(5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오버플로어관(80)과;
    상기 오버플로어관(80)과 상기 토출관(70)을 연결하고, 개폐밸브(94) 및 체크밸브(92) 그리고 확인용 개폐밸브(94-1)가 설치된 연결배관(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오버플로어관(80)은 저수조(10)의 물을 밖으로 빼내기 위한 퇴수관(100)과 연결되고, 상기 퇴수관(100)에는 드레인 밸브 및 체크밸브 그리고 확인용 개폐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060090285A 2006-09-18 2006-09-18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KR100779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285A KR100779707B1 (ko) 2006-09-18 2006-09-18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285A KR100779707B1 (ko) 2006-09-18 2006-09-18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143U Division KR200435699Y1 (ko) 2006-09-19 2006-09-19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707B1 true KR100779707B1 (ko) 2007-11-26

Family

ID=39080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285A KR100779707B1 (ko) 2006-09-18 2006-09-18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7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934B1 (ko) 2009-01-30 2010-11-08 (주)금강 물탱크 제작용 판넬과 이를 채용한 물탱크
KR20210048126A (ko) 2019-10-23 2021-05-03 주식회사 명진화학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을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누수 물 유도 시공방법
KR20210048127A (ko) 2019-10-23 2021-05-03 주식회사 명진화학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방법
CN114772090A (zh) * 2022-05-05 2022-07-22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一种混凝土泵管清洗水容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693Y1 (ko) 1999-11-18 2000-05-15 성일기계공업주식회사 청소가 용이한 물저장 탱크
KR20020028950A (ko) * 2002-02-21 2002-04-17 주식회사 씨엔엔 콘크리트 수조의 내부 방수장치
KR20040076764A (ko) * 2003-02-26 2004-09-03 송교문 원형 저장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20040076763A (ko) * 2003-02-26 2004-09-03 송교문 사각형 외부보강식 저장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200387581Y1 (ko) 2005-03-30 2005-06-20 (주) 창우텍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693Y1 (ko) 1999-11-18 2000-05-15 성일기계공업주식회사 청소가 용이한 물저장 탱크
KR20020028950A (ko) * 2002-02-21 2002-04-17 주식회사 씨엔엔 콘크리트 수조의 내부 방수장치
KR20040076764A (ko) * 2003-02-26 2004-09-03 송교문 원형 저장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20040076763A (ko) * 2003-02-26 2004-09-03 송교문 사각형 외부보강식 저장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200387581Y1 (ko) 2005-03-30 2005-06-20 (주) 창우텍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934B1 (ko) 2009-01-30 2010-11-08 (주)금강 물탱크 제작용 판넬과 이를 채용한 물탱크
KR20210048126A (ko) 2019-10-23 2021-05-03 주식회사 명진화학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을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누수 물 유도 시공방법
KR20210048127A (ko) 2019-10-23 2021-05-03 주식회사 명진화학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방법
CN114772090A (zh) * 2022-05-05 2022-07-22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一种混凝土泵管清洗水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675B1 (ko) 이중 삽입 지열관을 이용한 폐쇄형 지중열교환기 장치 및구성 방법
JP5982027B1 (ja) ナトム工法で施工されたトンネルの漏水対策工法
WO2017034633A1 (en) Free-flowing waterproofing system
CN102482871B (zh) 液体泄流处理系统
CN207829026U (zh) 一种地下室防水结构
KR100779707B1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JP5172948B2 (ja) 床スラブ貫通構造および床スラブ貫通孔の補修方法
CN215329049U (zh) 一种整体道床内设排水泵站的轨道结构
KR100665984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트랜치형 자연 배수로시공방법
KR101805610B1 (ko) 지하 매설 배수형 유류저장탱크와 그 시공방법, 그리고 기존 지하 매설 유류저장탱크를 배수형 유류저장탱크로 보수하는 시공방법
KR200435699Y1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KR200435698Y1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JP5480587B2 (ja) 側溝ブロックとこれに用いる集水桝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779721B1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KR100481148B1 (ko) 헥사튜브코넥터 배수공법
KR20210048127A (ko) 망사형 스텐 매립형 집수정과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지하저수조 바닥 방수방법
KR20100042441A (ko) 지하연속벽의 유도방수구조
JP3648663B2 (ja) 廃棄物処分施設
KR100694193B1 (ko) 방수밀폐형맨홀
KR200387581Y1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JP7385506B2 (ja) ますの補修方法
KR100665985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자연 배수로 시공방법
KR100736631B1 (ko) 기초바닥 영구배수 구조 및 영구배수 공법
KR20110043131A (ko) 우수저장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우수저장시설
CN217652776U (zh) 一种运营隧道漏水整治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