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899B1 - 자가진단이 가능한 물탱크 - Google Patents

자가진단이 가능한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899B1
KR102411899B1 KR1020210139142A KR20210139142A KR102411899B1 KR 102411899 B1 KR102411899 B1 KR 102411899B1 KR 1020210139142 A KR1020210139142 A KR 1020210139142A KR 20210139142 A KR20210139142 A KR 20210139142A KR 102411899 B1 KR102411899 B1 KR 102411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water tank
flat
convex
convex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석환
Original Assignee
(주)대명에스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명에스이에스 filed Critical (주)대명에스이에스
Priority to KR1020210139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04H7/18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가진단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물탱크는 물탱크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결합되어 상기 물탱크의 내부를 형성하기 위한 측벽; 상기 측벽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부재; 상기 물탱크에 배치되는 수질감지센서; 상기 수질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계측값을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수질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계측값이 수신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가진단이 가능한 물탱크{Water tank with self-diagnosis}
본 발명은 자가진단이 가능한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탱크의 변형 및 저장된 물의 수질을 감지하여 자가진단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물탱크 또는 콘크리트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 또는 공업용수 등을 보관하기 위한 소,중,대형 물탱크의 경우 용량에 따라 약 5m에서 30m이상의 직경을 가지고 그 재질로는 두꺼운 철판이나 FRP 등의 합성수지재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중 철판의 경우 녹이 발생하여 수질을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고 FRP는 외부 충격에 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재질을 이용하여 각종 용량의 물탱크를 제작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1은 스테인레스 패널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기존의 사각 물탱크(10)를 도시한 것으로, 사각형 패널(12)이 이웃하는 패널(12)과 결합되어 물탱크(10)의 바닥과 측벽 및 지붕을 이룬다. 이웃하는 두 패널(12)은 용접으로 결합되어 수밀처리된다. 그리고, 상기 사각형 패널(12)은 수압을 지탱하기 위해 물탱크(10) 내부에 설치된 앵글(16)(17) 즉, 내부 보강재에 의해서 지지된다. 앵글(16)(17)은 서로 마주보는 패널(12)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데, 수직으로 설치된 앵글(16)(17)은 바닥과 천정을 지지하고 수평으로 설치된 앵글(16)(17)은 측벽을 지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사각 물탱크의 경우 물탱크 내부에 복잡하게 설치된 앵글(16)(17)로 인해서 물탱크 내부가 복잡해지고 청소시 배수가 불량해지며 유지 관리시 많은 문제점이 생기고, 또한 앵글(16)(17)은 패널(12)의 접합부(13)에 용접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앵글(16)(17)의 개수에 비례하여 용접부위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용접부식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웨이브형 사각 물탱크(등록특허 제10-0440433호, 2004.07.19. 공고)가 제안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사각 물탱크는 배관부재(140)가 매설된 받침대(131)위에 설치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바닥판(130)과, 그의 상면에 수직하게 세워져 있으며 다수의 제 1라운드패널(110)을 가로방향으로 용접하여 연속적인 라운드 곡면의 측벽을 갖는 제 1연속적 라운드 사각구조(100)와, 이런 사각구조의 측벽 상부에 고정되는 제 1상판(1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사각 물탱크는 라운드된 곡면을 갖는 제 1라운드패널(110)을 길이방향으로 용접시공하여 제 1연속적 라운드사각구조(100)의 측벽을 형성한 후, 이 측벽에 바닥면(130)과 허니콤 재질의 제 1상판(120)을 고정시킨다. 또한, 제 1라운드패널(110)로 이루어진 측벽의 주위에는 보온을 위해 단열재와 박판의 알루미늄 외장재와 고정대(183, 185)가 마감처리 될 수 있다. 제 1상판(120)은 제 1연속적 라운드사각구조(100)의 측벽 상부에 올려진 후 용접되며, 다수의 후크 형상의 고정구(121, 122)들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제 1상판(120)은 힌지 개폐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맨홀 커버(123)를 구비하고 두 개의 공기 배출관(124)이 각각 측벽 양측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상기 사각 물탱크의 경우 스테인레스 판재를 소정 면적을 갖도록 직사각형으로 절단한 후, 네 개의 모서리 부위를 절개시키고, 이후, 성형장치에서 절곡 및 벤딩하여 제 1라운드패널(110)의 형상을 갖게 한 다음 각각 폭방향으로 용접하는 등 절곡작업과 용접작업이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고, 도2의 물탱크의 경우 일부 부위에 변형이 많고 누수가 종종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물탱크 내부로 공급되는 물에 녹수 등 기타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공급되는 경우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여 그대로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시공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장점으로 인해 콘크리트 물탱크가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 콘크리트 물탱크의 경우 콘크리트의 강 알칼리성 및 방수를 위해 내벽에 에폭시 도장이 수행되는데 장기간 사용시 벽체 부식에 의한 파손과 에폭시 박리현상으로 수질저하 및 누수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콘크리트 물탱크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물탱크의 내측면을 스테인레스 재질의 패널로 라이닝하는 시공이 행해지고 있다. 도3에 도시된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탱크는 콘크리트 벽체(1)의 내부면에 스테인리스 패널(2)을 부착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패널(2)은 평면구조를 갖기 때문에 수압이 부분적으로 집중되는 곳에는 변형 또는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탱크의 변형을 감지하고 저장된 물의 수질을 감지하여 물탱크의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고 양호한 수질을 유지할 수 있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물탱크 또는 콘크리트 물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물탱크는
물탱크의 바닥판(260); 상기 바닥판(260)에 결합되어 상기 물탱크의 내부를 형성하기 위한 측벽(270); 상기 측벽(27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부재; 상기 물탱크에 배치되는 수질감지센서(310); 상기 수질감지센서(310)에 의해 감지된 계측값을 송신하는 송신부(550); 및 상기 송신부(550)를 통해 상기 수질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계측값이 수신되는 관리서버(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지지형강(250); 및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수직지지형강(250) 사이에 결합되는 라운드 패널(27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로의 급수를 위한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41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질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계측값(수질오염도)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급수밸브(410)를 차단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질감지센서는 상기 급수관에 배치되는 제1수질감지센서; 및 상기 물탱크 내부에 배치되는 제2수질감지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배수관; 및 상기 배수관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관을 개폐하는 배수밸브(4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수질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계측값(수질오염도)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배수밸브(420)를 차단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에 설치되는 변위감지센서(350, 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위감지센서(350, 360)에 의해 감지된 변위값이 상기 송신부(550)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관리서버에 수신된다.
또한, 상기 변위감지센서(350, 360)는 상기 물탱크의 바닥판(260)에 배치되는 제1변위감지센서(350)와, 상기 물탱크의 측벽 외측에 배치되는 제2변위감지센서(3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로의 급수를 위한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410); 및 상기 변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변위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급수밸브(410)를 차단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은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잔넬(211)과,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잔넬(221)을 포함하는 바닥틀; 상기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잔넬(211)에 배치되는 가로 평철(21,22); 상기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잔넬(221)에 배치되는 세로 평철(23,24); 상기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교차 평철(30); 및 상기 가로 평철(21, 22), 세로 평철(23, 24) 및 교차 평철(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결합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교차 평철(30)은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전체 두께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 대각선 볼록부(32)와,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전체 두께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 대각선 볼록부(3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3)의 하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4)의 상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3)의 하단부에서 좌측부(23b)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에 평행하고 상기 좌상부(32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3)의 하단부에서 우측부(23c)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에 평행하고 상기 우상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교차 평철(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4)의 상단부에서 좌측부(24b)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a)에 평행하고 상기 좌하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4)의 상단부에서 우측부(24c)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에 평행하고 상기 우하부(32b)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교차 평철(30)의 좌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1)의 우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우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2)의 좌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교차 평철(30)의 좌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1)의 우측단에서 상측부(21b)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에 평행하고 상기 좌상부(32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로 평철(21)의 우측단에서 하측부(21c)는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에 평행하고 상기 좌하부(33b)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교차 평철(30)의 우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2)의 좌측단에서 상측부(22b)는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에 평행하고 상기 우상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로 평철(22)의 좌측단에서 하측부(22c)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에 평행하고 상기 우하부(32b)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이 가능한 콘크리트 물탱크는 콘크리트 물탱크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1)의 내부면에 격자 형태로 결합되는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 상기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서 상기 콘크리트 벽체(1)에 결합되는 교차 평철(30); 콘크리트 물탱크의 라이닝을 위해 상기 가로 평철(21, 22), 세로 평철(23, 24) 및 교차 평철(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배치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 상기 물탱크에 배치되는 수질감지센서(310); 상기 수질감지센서(310)에 의해 감지된 계측값을 송신하는 송신부(550); 및 상기 송신부(550)를 통해 상기 수질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계측값이 수신되는 관리서버(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탱크의 변형을 감지하고 저장된 물의 수질을 감지하여 물탱크의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고 양호한 수질을 유지할 수 있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물탱크 또는 콘크리트 물탱크가 제공된다.
도1은 종래 사각 패널형 물탱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또 다른 종래 사각 물탱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3은 종래 콘크리트 물탱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공정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도4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원부분의 상세도이며,
도6은 도5에서 가로 평철 및 세로 평철의 교차 평철과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사시도이며,
도9는 본 발명에서 수질감지센서 및 변위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급수밸브(410) 및 배수밸브(420)가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에서 수질감지센서 및 변위감지센서의 감지결과가 관리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공정에서 콘크리트 벽체에 평철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12는 도11에서 가로, 세로평철이 교차하는 A부분의 상세도이며,
도13는 도11에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가진단이 가능한 물탱크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공정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도4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원부분의 상세도이며, 도6은 도5에서 가로 평철 및 세로 평철의 교차 평철과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사시도이며, 도9는 본 발명에서 수질감지센서 및 변위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급수밸브(410) 및 배수밸브(420)가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에서 수질감지센서 및 변위감지센서의 감지결과가 관리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물탱크(200)는 바닥판(260); 바닥판(260)에 결합되어 상기 물탱크의 내부를 형성하기 위한 측벽(270); 상기 측벽(270)의 상부를 덮는 상판부재; 상기 물탱크에 배치되는 수질감지센서(310); 상기 물탱크에 설치되는 변위감지센서(350, 360); 상기 수질감지센서(310) 및 변위감지센서(350, 360)에 의해 감지된 계측값을 송신하는 송신부(550); 및 상기 송신부(550)를 통해 상기 수질감지센서 및 변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계측값이 수신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과정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물탱크(200)는 먼저, 물탱크가 설치되는 바닥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를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대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길쭉한 직육면체 형태의 콘크리트 기초패드(201)가 이격되어 바닥에 배치된다(도4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대로서 콘크리트 기초패드(201)가 도시되었으나, 금속재질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건식패드가 배치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 위에 사각틀 형상의 바닥틀을 형성한다. 바닥틀은 외부틀과 내부틀로 나누어지고, 내부틀을 각 기초패드(201) 위에 설치한다. 내부틀은 격자 모양을 이루도록 잔넬(211, 221)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배치하는데, 먼저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잔넬(211)을 가장 왼쪽에 배치되는 기초패드(201)와 가장 오른쪽에 배치되는 기초패드(201)를 제외한 기초패드(201) 위에 기초패드(20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하고 서로 용접으로 접합 연결한다.
그 다음,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잔넬(211)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잔넬(221)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잔넬(221)의 양단을 가로방향의 잔넬(211)과 용접으로 접합한다. 또한, 왼쪽에 배치된 가로방향의 잔넬(211)의 좌측면에 추가적으로 세로방향의 잔넬(221)을 용접으로 결합시키고 마찬가지로 오른쪽에 배치된 가로방향의 잔넬(211)의 우측면에도 세로방향의 잔넬(221)을 용접으로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내부틀을 형성하고, 외곽에 배치된 잔넬(211, 221)의 단부에 수직지지형강(250)을 기초패드(201)에 세워서 배치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에 배치된 세로방향의 잔넬(211)의 단부에 수직지지형강(250)을 배치하고 잔넬(211)과 결합시키며, 아울러 외곽에 배치된 세로방향의 잔넬(221)의 단부에 수직지지형강(250)을 배치하고 잔넬(221)과 결합시킨다.
그리고,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지지형강(250) 사이에 사각 파이프(231)를 결합하여 외부틀을 형성한다.
수직지지형강(250)은 도4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패널(271)의 수평날개부(273)에 결합되는 내측지지판(251)과 이 내측지지판(251)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외측지지판(252)과 내,외측지지판(251,252)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253)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내측지지판(251)에 두 개의 인접한 라운드 패널(271)의 수평날개부(273)가 함께 결합된다.
그 다음,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틀 중 내부틀에서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잔넬(211) 상에 가로 평철(21,22)을 결합시키고,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잔넬(221) 상에 세로 평철(23,24)을 결합시킨다.
본 발명에서의 세로 평철(23, 24)은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평철(23, 24)의 좌, 우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굴곡부(23a, 24a)가 형성되고, 가로 평철(21, 22)에는 상,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굴곡부(21a, 22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에 형성되는 가로굴곡부(21a, 22a) 및 세로굴곡부(23a, 24a)는 길쭉한 바의 프레스로 프레싱하여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두께가 가로 평철(21, 22), 세로 평철(23, 24)의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된다.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이 결합되는데, 물탱크 내부의 수압 집중에 따른 패널(40)의 변형이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에도 영향을 미쳐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의 변형이나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의 고정력 약화를 가져 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한 쌍의 가로굴곡부(21a, 22a) 및 세로굴곡부(23a, 24a)를 형성함으로써 텐션이 부여되어 수압의 집중에 따른 변형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고정력 약화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세로 평철(23, 24)과 가로 평철(21, 22)이 교차하여 만나는 지점에 교차 평철(30)이 구비된다.
이 교차 평철(30)에 세로 평철(23, 24) 및 가로 평철(21, 22)의 일단이 결합되는데, 교차 평철(30)에 결합되는 세로 평철(23, 24)의 일단은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교차 평철(30)의 상하부 상면에 결합되고, 교차 평철(30)에 결합되는 가로 평철(21, 22)의 일단 또한 세로 평철(23, 24)과 마찬가지로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교차 평철(30)의 좌우 상면에 결합된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교차 평철(30)은 가로 평철(21, 22), 세로 평철(23, 24)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잔넬(211,221)에 결합되는 것으로, 교차 평철(30)에는 직사각형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제1 대각선 볼록부(32) 및 제2 대각선 볼록부(33)가 형성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대각선 볼록부(32)는 교차 평철(30)에서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까지 전방으로 볼록하게 역 U자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대각선 볼록부(33)는 교차 평철(30)에서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까지 전방으로 볼록하게 역 U자 형태로 형성된다(도면번호 25는 제1 대각선 볼록부(32) 및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교차지점의 중앙점).
이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이 결합되는데, 교차 평철(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세로 평철(23)의 하단부가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와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 사이에서 교차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고, 교차 평철(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세로 평철(24)의 상단부가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와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 사이에서 교차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평철(30)을 기준으로 위쪽에 결합되는 세로 평철(23)의 하단에서 좌측부(23b)는 교차 평철(30)의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에 평행하고 그리고 좌상부(32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세로 평철(23)의 일단에서 우측부(23c)는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에 평행하고 그리고 우상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교차 평철(30)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결합되는 세로 평철(24)의 상단에서 좌측부(24b)는 교차 평철(30)의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a)에 평행하고 그리고 좌하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세로 평철(24)의 상단에서 우측부(24c)는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에 평행하고 그리고 우하부(32b)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가로 평철(21, 22)의 경우 교차 평철(30)의 좌측에 배치되는 가로 평철(21)의 우단부가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와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 사이에서 교차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고, 교차 평철(30)의 우측에 배치되는 가로 평철(22)의 좌단부가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와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 사이에서 교차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평철(30)을 기준으로 왼쪽에 결합되는 가로 평철(21)의 우측단에서 상측부(21b)는 교차 평철(30)의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에 평행하고 좌상부(32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가로 평철(21)의 우측단에서 하측부(21c)는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에 평행하고 그리고 좌하부(33b)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교차 평철(30)의 오른쪽에 결합되는 가로 평철(22)의 좌측단에서 상측부(22b)는 교차 평철(30)의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에 평행하고 우상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가로 평철(22)의 좌측단에서 하측부(22c)는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에 평행하고 우하부(32b)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결합된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의 상면의 높이는 잔넬(211,221)을 기준으로 제1 대각선 볼록부(32)와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최상부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이 교차하여 만나는 지점에 교차 평철(30)이 구비되고, 교차 평철(30)의 제1 대각선 볼록부(32) 및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사이에 각각 세로, 가로 평철(23, 24, 21, 22)의 일측 단부가 안착되어 결합됨으로써 물탱크 내부의 수압 등에 의해 평철(21, 22, 23, 24)이 변형될 경우, 평철(21, 22, 23, 24)의 길이방향의 변형을 흡수하여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지진 발생시에도 이로 인한 진동을 일부 흡수하여 구조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고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내진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1 대각선 볼록부(32) 및 제2 대각선 볼록부(33)가 평철(21, 22, 23, 24)의 변형을 일부 흡수함과 동시에 교차 평철(30)의 제1 대각선 볼록부(32) 및 제2 대각선 볼록부(33)에 가해지는 수압 집중에 따른 응력을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로 분산시켜 교차 평철(30)의 변형을 감소시킨다. 교차 평철(30)에서 제1 대각선 볼록부(32) 및 제2 대각선 볼록부(33)는 모두 프레스로 프레싱하여 전체 두께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잔넬(211,221)과 제1 대각선 볼록부(32) 및 제2 대각선 볼록부(33)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로, 세로 평철(21, 22, 23, 24) 및 교차 평철(30)을 잔넬(211,221)에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시킨 다음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세로 평철(21, 22, 23, 24) 및 교차 평철(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사각형의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결합시킨다. 각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중앙에는 사각형 형태로 전체 두께가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중앙 굴곡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은 인접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가장자리와 맞댄 상태에서 스테인레스 스틸패널(40)의 테두리를 용접하여 단위 격자형태의 가로, 세로 평철(21, 22, 23, 24) 및 교차 평철(30)에 함께 결합시켜 바닥판(260)을 형성한다.
기존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경우 가로방향의 잔넬(211)과 세로방향의 잔넬(221)에 스테인레스 강판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바닥판을 형성하는데, 스테인레스 강판이 직접 잔넬(211, 221)에 접합되어 특정 부위의 수압 집중으로 인한 바닥판의 변형 또는 균열이 발생하거나 진동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닥틀의 가로 방향의 잔넬(211) 및 세로 방향의 잔넬(221)에 전술한 바와 같이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이 결합되고, 이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에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이 결합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테인레스 물탱크(200)의 바닥판(260)을 형성한 다음,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형강(250) 사이에 라운드 패널(271)을 접합하여 물탱크의 측벽(270)을 형성한다.
라운드 패널(271)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고, 물탱크의 외측으로 만곡져서 형성되는 곡면부(272)와, 곡면부(272)의 양측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날개부(273)로 구성되는데, 라운드 패널(271)이 수직지지형강(250)과 결합하여 물탱크의 측벽(270)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수직지지형강(250)의 내측지지판(251)에 한 쌍의 세로굴곡부(23a, 24a)가 형성된 세로 평철(23,24)이 결합되고, 이 세로 평철(23,24)에 좌우측에 배치되는 라운드 패널(271)의 수평날개부(273)가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이 수직지지형강(250)의 내측지지판(251)에 세로 평철(23,24)이 결합되고, 세로 평철(23,24)에 라운드 패널(271)의 수평날개부(273)가 결합됨으로써 측벽에 수압이 가해질 경우 텐션이 부여되어 수압의 집중에 따른 변형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측벽의 수압 지지력이 강화되게 된다.
측벽(270)의 상부에는 물탱크의 지붕으로 상판부재(미도시)가 결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물탱크(200)에는 수질감지센서(310) 및 변위감지센서(350, 360)가 배치된다.
수질감지센서는 물탱크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수질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수의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COD(Chemical Oxygen Demand), pH, 탁도, 잔류염소량 등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수질감지센서는 일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수질 오염도를 측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수질감지센서(310)는 급수관(미도시)에 배치되는 제1수질감지센서(미도시)와, 물탱크(200) 내부에 배치되는 제2수질감지센서(31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물탱크(200)에는 외부에서 물탱크 내부로 급수를 위한 급수관(미도시)이 배치되고, 이 급수관에는 급수 조절을 위한 급수밸브(410)가 배치되며, 물탱크의 외측에 배치되는 급수관 부분에 제1수질감지센서(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변위감지센서(350, 360)는 수압 등으로 인한 물탱크의 변형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물탱크의 바닥판(260)에 배치되는 제1변위감지센서(350)와, 물탱크의 측벽(270) 외측에 배치되는 제2변위감지센서(360)를 포함한다.
제1변위감지센서(350)는 물탱크의 바닥판(260)에 배치되어 바닥판(260)의 변형을 감지하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의 내부측 바닥판(260)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물탱크의 외부측인 바닥판(260)의 하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변위감지센서(360)는 물탱크의 측벽(270)에 배치되어 측벽(270)의 변형을 감지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물탱크의 측벽(270)에서 4개의 측면 각각의 라운드 패널(271) 또는 라운드 패널(271) 사이 연결부분에 배치된다. 두 개의 인접한 라운드 패널(271)은 용접으로 접합되어 라운드 패널(271)의 연결부분은 수압 집중에 더 취약할 수 있다. 제2변위감지센서(360)가 라운드 패널(271)의 연결부분에 배치됨으로써 변형을 더욱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2변위감지센서(360)는 라운드 패널(271)에 배치되었으나 다른 예로서 수직지지형강(25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9는 수질감지센서(310) 및 변위감지센서(350, 360)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제어부(500)에 의해 급수밸브(410) 및 배수밸브(420)가 제어되는 구성도로서, 수질감지센서(310)에서 감지된 수질 오염도 계측값이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500)는 물탱크의 급수관에 배치되는 급수밸브(410)를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수질감지센서에서 제1수질감지센서 또는 제2수질감지센서(310)의 계측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500)가 급수밸브(410)를 차단하도록 할 수 있고, 여기서 제1수질감지센서가 급수관에 배치되어 있어 제1수질감지센서의 계측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급수밸브(410)를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오염수가 물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물탱크(200)에는 외부로의 배수를 위한 배수관(미도시)이 설치되고, 이 배수관에는 배수 조절을 위한 배수밸브(420)가 배치되는데, 제1수질감지센서 또는 제2수질감지센서(310)의 계측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500)가 배수밸브(420)를 차단함으로써 오염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변위감지센서(350, 360)로서 제1변위감지센서(350) 또는 제2변위감지센서(360)에 의해 감지된 변위값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500)는 물탱크의 급수관에 배치되는 급수밸브(410)를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변위감지센서(350, 360)에 의해 감지된 변위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500)를 통해 급수밸브(410)를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물탱크 내 과도한 수압으로 인한 변형 및 균열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수질감지센서를 통해 물탱크의 수질을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도10은 본 발명에서 수질감지센서(310) 및 변위감지센서(350, 360)의 감지결과가 관리서버(600) 및 휴대가능한 관리자 단말기(610)로 송신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 수질감지센서(310) 및 변위감지센서(350, 360)의 감지결과는 물탱크의 송신부(550)를 통해 무선통신망으로 관리서버(600)로 전송되고, 아울러 관리자 단말기(61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610)에서는 수질감지센서 및 변위감지센서의 감지결과를 보고 관리자 단말기(610)에서 직접 급수밸브(410) 및/또는 배수밸브(420)를 제어하도록 조작할 수 있고 이 경우 송신부(550)는 수신부의 기능을 겸하여 관리자 단말기(610)에서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신부(송수신부)를 거쳐 급수밸브(410) 및/또는 배수밸브(420)가 제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질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질오염도 계측값 및 변위감지센서(350, 360)에 의해 감지된 변위값이 관리서버(600)로 전송되고 관리서버(6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됨으로써 실시간으로 물탱크의 수질 및 변위를 모니터링하게 되고 자가진단하며 이를 통해 물탱크의 수질 및 변위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관리서버(600)에 전송된 계측값은 관리서버(600)에서 다시 관리자 단말기(610)로 전송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이 가능한 콘크리트 물탱크에 대해 설명한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공정에서 콘크리트 벽체에 평철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12는 도11에서 가로, 세로평철이 교차하는 A부분의 상세도이며, 도13은 도11에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진단이 가능한 콘크리트 물탱크는 먼저,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내부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10)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태로 가로 평철(21,22) 및 세로 평철(23,24)을 앵커볼트로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로방향으로 기다란 다수의 세로 평철(23,24)을 일정 간격 이격되게 콘크리트 벽체(1)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세로 평철(23,24)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가로 평철(21,22)을 일정 간격으로 콘크리트 벽체(1)에 앵커볼트로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1)에 격자 형태로 가로 평철(21,22) 및 세로 평철(23,24)을 결합시키게 된다.
콘크리트 벽체(1)에 결합되는 본 발명에서의 세로 평철(22)은 도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평철(23,24)의 좌, 우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굴곡부(23a,24a)가 형성되고, 가로 평철(21,22)에는 상,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굴곡부(21a,22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로 평철(21,22), 세로 평철(23,24)에 형성되는 가로, 세로굴곡부(21a, 22a, 23a, 24a)는 길쭉한 바의 프레스로 프레싱하여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두께가 평철(21, 22, 23, 24)의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된다.
가로 평철(21,22) 및 세로 평철(23,24)에는 사각 형상의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이 결합되는데, 물탱크 내부의 수압 집중에 따른 패널(40)의 변형이 평철(21, 22, 23, 24)에도 영향을 미쳐 평철(21, 22, 23, 24)의 변형이나 평철(21, 22, 23, 24)을 고정하는 앵커볼트의 고정력 약화를 가져 오게 된다. 가로 평철(21,22) 및 세로 평철(23,24)에는 상기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한 쌍의 가로굴곡부(21a, 22a) 및 세로굴곡부(23a, 24a)를 형성함으로써 텐션이 부여되어 수압의 집중에 따른 변형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앵커볼트의 고정력 약화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가로 평철(21,22) 및 세로 평철(23,24)이 교차하여 만나는 지점에 교차 평철(50)이 배치된다.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교차 평철(50)은 가로 평철(21,22) 및 세로 평철(23,24)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콘크리트 벽체(1)에 앵커 볼트로 결합되는 것으로, 교차 평철(50)의 상, 하측에는 세로 평철(23,24)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상하 안착굴곡부(51a)가 형성되고, 좌,우측에는 가로 평철(21,22)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좌우 안착굴곡부(51b)가 형성된다. 따라서, 교차 평철(50)의 상측에 배치되는 세로 평철(23)의 하단부가 상측 안착굴곡부(51a)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하측에 배치되는 세로 평철(24)의 상단부가 하측 안착굴곡부(51a)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또한, 교차 평철(50)의 좌측에 배치되는 가로 평철(21)의 우측 단부가 좌측 안착굴곡부(51b)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우측에 배치되는 가로 평철(22)의 좌측 단부가 우측 안착굴곡부(51b)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안착굴곡부(51a, 51b)에 안착되어 결합된 가로 평철(21,22), 세로 평철(23,24)의 상면은 교차 평철(50)에서 X자 굴곡부(52)를 제외한 상면과 평면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교차 평철(50)에는 추가적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X자 굴곡부(52)가 형성된다. X자 굴곡부(52)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평철(50)에서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까지, 그리고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까지 X자 형태의 굴곡부(52)가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된 것으로 X자 굴곡부(52)의 후면이 콘크리트 벽체(1)에 지지되며, X자 굴곡부(52)는 안착굴곡부(51a, 51b)와 함께 평철(21,22,23,24)의 변형을 일부 흡수함과 동시에 교차 패널(50) 자체에 가해지는 수압 집중에 따른 응력을 분산시켜 교차 패널(50)의 변형을 감소시킨다. 교차 평철(50)에서 안착굴곡부(51a, 51b) 및 X자 굴곡부(52)는 모두 프레스로 프레싱하여 전체 두께가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가로 평철(21,22), 세로 평철(23,24) 및 교차 평철(50)은 모두 앵커볼트로 콘크리트 벽체(1)에 결합되는데, 교차 평철(50)의 경우 X자 굴곡부(52)의 중앙부에 앵커볼트 결합공(55)이 형성되고 이 앵커볼트 결합공(55)에 앵커볼트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가로 평철(21,22), 세로 평철(23,24) 및 교차 평철(50)을 콘크리트 벽체(1)에 결합시킨 다음 가로 평철(21,22), 세로 평철(23,24) 및 교차 평철(5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각 사각형의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결합시킨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중앙에는 수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사각형 형태로 전체 두께가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중앙 굴곡부(41)가 형성된다. 이 중앙 굴곡부(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이 콘크리트 벽체(1)에 접하게 된다.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에는 이와 같이 중앙 굴곡부(41)가 형성되어 물 저장시설 내부의 수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이에 의해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에 텐션이 부여됨으로써 물 저장시설 내부 수압 집중 및 이에 따른 피로도에 의한 변형과 찢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은 인접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가장자리와 맞댄 상태에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테두리를 용접하여 단위 격자형태의 가로 평철(21,22), 세로 평철(23,24) 및 교차 평철(50)에 함께 결합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에도 수질감지센서(310) 및 변위감지센서(350, 36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질감지센서(310)는 급수관(미도시)에 배치되는 제1수질감지센서와, 물탱크 내부에 배치되는 제2수질감지센서(310)로 구성된다.
제2수질감지센서(310)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교차 평철(50)의 상부에 위치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 부분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변위감지센서(350, 360)는 물탱크의 바닥판(미도시)에 배치되는 제1변위감지센서(미도시)와, 물탱크의 측벽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에 배치되는 제2변위감지센서(360)를 포함한다.
제1변위감지센서는 물탱크의 바닥판을 구성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에 배치되어 바닥판의 변형을 감지하고, 제2변위감지센서(360)는 물탱크의 측벽을 형성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에 배치되어 측벽의 변형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수질감지센서 또는 제2수질감지센서(310)의 계측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500)가 급수밸브(410)를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탱크에는 외부로의 배수를 위한 배수관이 설치되고, 이 배수관에는 배수 조절을 위한 배수밸브(420)가 배치되는데, 제1수질감지센서 또는 제2수질감지센서(310)의 계측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500)가 배수밸브(420)를 차단함으로써 오염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제1변위감지센서 또는 제2변위감지센서(360)에 의해 감지된 변위값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500)는 물탱크의 급수관에 배치되는 급수밸브(410)를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도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질감지센서 및 변위감지센서의 감지결과는 물탱크의 송신부(550)를 통해 무선통신망으로 관리서버(600)로 전송되고, 아울러 관리자 단말기(610)로 전송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는 일예로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그 외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여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이 가능한 콘크리트 물탱크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이 가능한 콘크리트 물탱크는 콘크리트 물탱크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1)의 내부면에 격자 형태로 결합되는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 상기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서 상기 콘크리트 벽체(1)에 결합되는 교차 평철(30); 콘크리트 물탱크의 라이닝을 위해 상기 가로 평철(21, 22), 세로 평철(23, 24) 및 교차 평철(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배치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 상기 물탱크에 배치되는 수질감지센서(310); 상기 수질감지센서(310)에 의해 감지된 계측값을 송신하는 송신부(550); 및 상기 송신부(550)를 통해 상기 수질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계측값이 수신되는 관리서버(6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이 이전 실시예와 다른 점은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가로 평철(21,22), 세로 평철(23,24) 및 교차 평철(50) 대신에 도6에 도시된 가로 평철(21, 22), 세로 평철(23, 24) 및 교차 평철(30)이 콘크리트 벽체(1)에 결합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세로방향으로 다수의 세로 평철(23,24)을 일정 간격 이격되게 콘크리트 벽체(1)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세로 평철(23,24)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가로 평철(21, 22)을 일정 간격으로 콘크리트 벽체(1)에 앵커볼트로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10)에 격자 형태로 가로 평철(21,22) 및 세로 평철(23,24)을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세로 평철(23,24)과 가로 평철(21,22)이 교차하여 만나는 지점에 교차 평철(30)이 배치된다. 교차 평철(30)은 가로, 세로 평철(21,22)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콘크리트 벽체(1)에 앵커 볼트로 결합된다.
가로 평철(21,22) 및 세로 평철(23,24)의 교차 평철(30)과의 결합은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교차 평철(30)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세로 평철(23,24)이 결합되고, 교차 평철(30)의 좌우측에 가로 평철(21,22)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가로, 세로 평철(21,22) 및 교차 평철(30)을 콘크리트 벽체(1)에 결합시킨 다음 가로, 세로 평철(21,22) 및 교차 평철(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각 사각형의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결합시킨다. 각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중앙에는 수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사각형 형태로 전체 두께가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중앙 굴곡부(41)가 형성되고, 중앙 굴곡부(41)는 후면이 콘크리트 벽체(1)에 접하게 된다.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은 인접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가장자리와 맞댄 상태에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테두리를 용접하여 단위 격자형태의 가로 평철(21,22), 세로 평철(23,34) 및 교차 평철(30)에 함께 결합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에도 수질감지센서(310) 및 변위감지센서(360)가 배치되고, 수질감지센서(310) 및 변위감지센서(350, 360)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제어부(500)에 의해 급수밸브(410) 및 배수밸브(420)가 제어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질감지센서 및 변위감지센서의 감지결과는 물탱크의 송신부(550)를 통해 무선통신망으로 관리서버(600)로 전송되고, 아울러 관리자 단말기(610)로 전송될 수 있다.
그 외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여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21, 22 : 가로 평철 21a, 22a : 가로굴곡부
23, 24 : 세로 평철 23a, 24a : 세로굴곡부
30 : 교차 평철 32 : 제1 대각선 볼록부
33 : 제2 대각선 볼록부 40 :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
250 : 수직지지형강 271 : 라운드 패널
310 : 수질감지센서 350, 360 : 변위감지센서

Claims (32)

  1. 물탱크의 바닥판(260);
    상기 바닥판(260)에 결합되어 상기 물탱크의 내부를 형성하기 위한 측벽(270);
    상기 측벽(27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부재;
    상기 물탱크에 배치되는 수질감지센서(310);
    상기 수질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계측값을 송신하는 송신부(550); 및
    상기 송신부(550)를 통해 상기 수질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계측값이 수신되는 관리서버(60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260)은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잔넬(211)과,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잔넬(221)을 포함하는 바닥틀;
    상기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잔넬(211)에 배치되는 가로 평철(21,22);
    상기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잔넬(221)에 배치되는 세로 평철(23,24);
    상기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교차 평철(30); 및
    상기 가로 평철(21, 22), 세로 평철(23, 24) 및 교차 평철(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결합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포함하고,
    상기 교차 평철(30)은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전체 두께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 대각선 볼록부(32)와,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전체 두께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 대각선 볼록부(33)를 포함하며,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3)의 하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4)의 상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교차 평철(30)의 좌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1)의 우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우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2)의 좌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3)의 하단부에서 좌측부(23b)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에 평행하고 상기 좌상부(32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3)의 하단부에서 우측부(23c)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에 평행하고 상기 우상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4)의 상단부에서 좌측부(24b)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a)에 평행하고 상기 좌하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4)의 상단부에서 우측부(24c)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에 평행하고 상기 우하부(32b)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교차 평철(30)의 좌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1)의 우측단에서 상측부(21b)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에 평행하고 상기 좌상부(32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로 평철(21)의 우측단에서 하측부(21c)는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에 평행하고 상기 좌하부(33b)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우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2)의 좌측단에서 상측부(22b)는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에 평행하고 상기 우상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로 평철(22)의 좌측단에서 하측부(22c)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에 평행하고 상기 우하부(32b)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물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270)은
    상기 바닥판(260)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지지형강(250); 및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수직지지형강(250) 사이에 결합되는 라운드 패널(271)을 포함하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물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로의 급수를 위한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410);를 더 포함하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물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계측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급수밸브(410)를 차단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물탱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감지센서는 상기 급수관에 배치되는 제1수질감지센서; 및
    상기 물탱크 내부에 배치되는 제2수질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물탱크.
  6. 제4항에 있어서,
    배수관; 및
    상기 배수관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관을 개폐하는 배수밸브(4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수질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계측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배수밸브(420)를 차단하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물탱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에 설치되는 변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변위값이 상기 송신부(550)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관리서버(600)에 수신되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물탱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감지센서는 상기 물탱크의 바닥판(260)에 배치되는 제1변위감지센서(350)와, 상기 물탱크의 측벽(270) 외측에 배치되는 제2변위감지센서(360)를 포함하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물탱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로의 급수를 위한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410);
    상기 변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변위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급수밸브(410)를 차단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물탱크.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콘크리트 물탱크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1)의 내부면에 격자 형태로 결합되는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
    상기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서 상기 콘크리트 벽체(1)에 결합되는 교차 평철(30);
    콘크리트 물탱크의 라이닝을 위해 상기 가로 평철(21, 22), 세로 평철(23, 24) 및 교차 평철(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배치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
    상기 물탱크에 배치되는 수질감지센서(310);
    상기 수질감지센서(310)에 의해 감지된 계측값을 송신하는 송신부(550); 및
    상기 송신부(550)를 통해 상기 수질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계측값이 수신되는 관리서버(600);를 포함하고,
    상기 교차 평철(30)은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전체 두께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 대각선 볼록부(32)와,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전체 두께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 대각선 볼록부(33)를 포함하며,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3)의 하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4)의 상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교차 평철(30)의 좌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1)의 우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우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2)의 좌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3)의 하단부에서 좌측부(23b)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에 평행하고 상기 좌상부(32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3)의 하단부에서 우측부(23c)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에 평행하고 상기 우상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4)의 상단부에서 좌측부(24b)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a)에 평행하고 상기 좌하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4)의 상단부에서 우측부(24c)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에 평행하고 상기 우하부(32b)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교차 평철(30)의 좌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1)의 우측단에서 상측부(21b)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에 평행하고 상기 좌상부(32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로 평철(21)의 우측단에서 하측부(21c)는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에 평행하고 상기 좌하부(33b)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우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2)의 좌측단에서 상측부(22b)는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에 평행하고 상기 우상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로 평철(22)의 좌측단에서 하측부(22c)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에 평행하고 상기 우하부(32b)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콘크리트 물탱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로의 급수를 위한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410);를 더 포함하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콘크리트 물탱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계측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급수밸브(410)를 차단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콘크리트 물탱크.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감지센서는 상기 급수관에 배치되는 제1수질감지센서; 및
    상기 물탱크 내부에 배치되는 제2수질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콘크리트 물탱크.
  22. 제20항에 있어서,
    배수관; 및
    상기 배수관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관을 개폐하는 배수밸브(4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수질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계측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배수밸브(420)를 차단하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콘크리트 물탱크.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에 설치되는 변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변위값이 상기 송신부(550)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관리서버(600)에 수신되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콘크리트 물탱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감지센서는 상기 물탱크의 바닥판에 배치되는 제1변위감지센서와, 상기 물탱크 측벽의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에 배치되는 제2변위감지센서(360)를 포함하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콘크리트 물탱크.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로의 급수를 위한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410);
    상기 변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변위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급수밸브(410)를 차단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콘크리트 물탱크.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210139142A 2021-10-19 2021-10-19 자가진단이 가능한 물탱크 KR102411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142A KR102411899B1 (ko) 2021-10-19 2021-10-19 자가진단이 가능한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142A KR102411899B1 (ko) 2021-10-19 2021-10-19 자가진단이 가능한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899B1 true KR102411899B1 (ko) 2022-06-23

Family

ID=8222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142A KR102411899B1 (ko) 2021-10-19 2021-10-19 자가진단이 가능한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8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911B1 (ko) * 2017-09-18 2018-03-12 성일기계공업 (주) 내진 기능을 갖는 스마트형 물탱크
KR101849257B1 (ko) * 2017-11-09 2018-04-16 송석환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KR20200051113A (ko) * 2018-11-03 2020-05-13 (주)대명에스이에스 우수한 조립성과 향상된 구조적 강도를 가지는 웨이브형 물탱크
KR102101310B1 (ko) * 2020-01-03 2020-05-15 주식회사 문창 배수지 내부 순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911B1 (ko) * 2017-09-18 2018-03-12 성일기계공업 (주) 내진 기능을 갖는 스마트형 물탱크
KR101849257B1 (ko) * 2017-11-09 2018-04-16 송석환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KR20200051113A (ko) * 2018-11-03 2020-05-13 (주)대명에스이에스 우수한 조립성과 향상된 구조적 강도를 가지는 웨이브형 물탱크
KR102101310B1 (ko) * 2020-01-03 2020-05-15 주식회사 문창 배수지 내부 순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457B1 (ko) 내부 무보강 내진용 pdf 물탱크
KR102133096B1 (ko) 우수한 조립성과 향상된 구조적 강도를 가지는 웨이브형 물탱크
KR101849257B1 (ko)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KR101498236B1 (ko) 조립식 피디에프 물탱크
CN112681568A (zh) 一种全预制排钢管混凝土剪力墙及建筑结构体系
KR102037005B1 (ko) 콘크리트 물탱크용 스테인레스 라이닝 패널
KR102411899B1 (ko) 자가진단이 가능한 물탱크
KR101269437B1 (ko) 피디에프 물탱크
KR101833440B1 (ko) 향상된 저장성 및 수압지지력을 가지는 사각 물탱크
KR200379165Y1 (ko) 조립식 패널수조
KR102210819B1 (ko) 지진발생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는 물탱크
KR100643638B1 (ko) 철망을 이용한 탑다운 공법용 역타 주입관
KR101804115B1 (ko)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
KR100856631B1 (ko) 데크플레이트
KR100644794B1 (ko) 조립식 패널수조
KR102444778B1 (ko)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 또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KR102421902B1 (ko) 향상된 내진성 및 수압지지력을 가지는 콘크리트 물탱크용 라이닝 패널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KR102130048B1 (ko) 조립식 sts 라이닝 물탱크
CN110206307B (zh) 一种钢筋混凝土化粪池施工方法
KR101851536B1 (ko) 웨이브형 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48478B1 (ko)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 또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용 라이닝 패널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KR20180131947A (ko) 향상된 저장성 및 수압지지력을 가지는 사각 물탱크
KR100394435B1 (ko) 대형수조의 설치구조
KR100570303B1 (ko) 대용량 물탱크
CN209799462U (zh) 一种便于排水的装配箱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