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778B1 -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 또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 또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778B1
KR102444778B1 KR1020210116836A KR20210116836A KR102444778B1 KR 102444778 B1 KR102444778 B1 KR 102444778B1 KR 1020210116836 A KR1020210116836 A KR 1020210116836A KR 20210116836 A KR20210116836 A KR 20210116836A KR 102444778 B1 KR102444778 B1 KR 102444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horizontal
convex
disposed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석환
Original Assignee
(주)대명에스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명에스이에스 filed Critical (주)대명에스이에스
Priority to KR1020210116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04H7/04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23K9/29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04H7/18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은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바닥 가장자리에 상기 물탱크의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수직지지형강을 설치하는 단계;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수직지지형강 사이에 라운드 패널을 각각 배치하는 단계;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수직지지형강의 하부에 제1수평가이드부재의 양단을 고정하는 단계;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수직지지형강의 상부에 제2수평가이드부재의 양단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에 주행레일부재의 하단을 결합하고, 상기 제2수평가이드부재에 상기 주행레일부재의 상단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레일부재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용접장치가 상기 주행레일부재상에 이동하면서 두 개의 상기 라운드패널의 측면에 형성되는 수평날개부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 또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tainless water tank with improved precision and anti-vibration}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물탱크 또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 또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 또는 공업용수 등을 보관하기 위한 소,중,대형 물탱크의 경우 용량에 따라 약 5m에서 30m이상의 직경을 가지고 그 재질로는 두꺼운 철판이나 FRP 등의 합성수지재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중 철판의 경우 녹이 발생하여 수질을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고 FRP는 외부 충격에 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재질을 이용하여 각종 용량의 물탱크를 제작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1은 스테인레스 패널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기존의 사각 물탱크(10)를 도시한 것으로, 사각형 패널(12)이 이웃하는 패널(12)과 결합되어 물탱크(10)의 바닥과 측벽 및 지붕을 이룬다. 이웃하는 두 패널(12)은 용접으로 결합되어 수밀처리된다. 그리고, 상기 사각형 패널(12)은 수압을 지탱하기 위해 물탱크(10) 내부에 설치된 앵글(16)(17) 즉, 내부 보강재에 의해서 지지된다. 앵글(16)(17)은 서로 마주보는 패널(12)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데, 수직으로 설치된 앵글(16)(17)은 바닥과 천정을 지지하고 수평으로 설치된 앵글(16)(17)은 측벽을 지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사각 물탱크의 경우 물탱크 내부에 복잡하게 설치된 앵글(16)(17)로 인해서 물탱크 내부가 복잡해지고 청소시 배수가 불량해지며 유지 관리시 많은 문제점이 생기고, 또한 앵글(16)(17)은 패널(12)의 접합부(13)에 용접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앵글(16)(17)의 개수에 비례하여 용접부위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용접부식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웨이브형 사각 물탱크(등록특허 제10-0440433호, 2004.07.19. 공고)가 제안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사각 물탱크는 배관부재(140)가 매설된 받침대(131)위에 설치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바닥판(130)과, 그의 상면에 수직하게 세워져 있으며 다수의 제 1라운드패널(110)을 가로방향으로 용접하여 연속적인 라운드 곡면의 측벽을 갖는 제 1연속적 라운드 사각구조(100)와, 이런 사각구조의 측벽 상부에 고정되는 제 1상판(1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사각 물탱크는 라운드된 곡면을 갖는 제 1라운드패널(110)을 길이방향으로 용접시공하여 제 1연속적 라운드사각구조(100)의 측벽을 형성한 후, 이 측벽에 바닥면(130)과 허니콤 재질의 제 1상판(120)을 고정시킨다. 또한, 제 1라운드패널(110)로 이루어진 측벽의 주위에는 보온을 위해 단열재와 박판의 알루미늄 외장재와 고정대(183, 185)가 마감처리 될 수 있다. 제 1상판(120)은 제 1연속적 라운드사각구조(100)의 측벽 상부에 올려진 후 용접되며, 다수의 후크 형상의 고정구(121, 122)들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제 1상판(120)은 힌지 개폐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맨홀 커버(123)를 구비하고 두 개의 공기 배출관(124)이 각각 측벽 양측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상기 사각 물탱크의 경우 스테인레스 판재를 소정 면적을 갖도록 직사각형으로 절단한 후, 네 개의 모서리 부위를 절개시키고, 이후, 성형장치에서 절곡 및 벤딩하여 제 1라운드패널(110)의 형상을 갖게 한 다음 각각 폭방향으로 용접하는 등 절곡작업과 용접작업이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고, 도2의 물탱크의 경우 일부 부위에 변형이 많고 누수가 종종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시공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장점으로 인해 콘크리트 물탱크가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 콘크리트 물탱크의 경우 콘크리트의 강 알칼리성 및 방수를 위해 내벽에 에폭시 도장이 수행되는데 장기간 사용시 벽체 부식에 의한 파손과 에폭시 박리현상으로 수질저하 및 누수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콘크리트 물탱크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물탱크의 내측면을 스테인레스 재질의 패널로 라이닝하는 시공이 행해지고 있다. 도3에 도시된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탱크는 콘크리트 벽체(1)의 내부면에 스테인리스 패널(2)을 부착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패널(2)은 평면구조를 갖기 때문에 수압이 부분적으로 집중되는 곳에는 변형 또는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콘크리트 벽체와 스테인리스 패널의 온도차로 인해 그 사이에 수분이 발생하여 장시간 방치시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조정밀도를 향상시켜 변형 및 균열을 방지하며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은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바닥 가장자리에 상기 물탱크의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수직지지형강(250)을 설치하는 단계;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수직지지형강(250) 사이에 라운드 패널(271)을 각각 배치하는 단계;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수직지지형강(250)의 하부에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양단을 고정하는 단계;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수직지지형강(250)의 상부에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양단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에 주행레일부재(330)의 하단을 결합하고, 상기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의 상단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에 이동가능하게 용접장치(350)가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상에서 이동하면서 두 개의 상기 라운드패널(271)의 측면에 형성되는 수평날개부(273)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라운드 패널(271)은 곡면부(272)와, 상기 곡면부(272)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날개부(2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양단에는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를 상기 수직지지형강(250)의 하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311, 312)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11, 312)는 자성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양단에는 상기 제2수평가이드부재(320)를 상기 수직지지형강(250)의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걸이부재(321, 322)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321, 322)는 상기 물탱크의 양측면에서 마주보는 두 개의 수직지지형강(250)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28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321, 322)는 상기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결합되는 수직부(321a)와, 상기 수직부(321a)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평연장부(321b)와, 상기 수평연장부(321b)의 일단에서 하향절곡되는 절곡부(321c)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연장부(321b)가 상기 상부 프레임(280)의 상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의 하단에는 상기 주행레일부재(330)를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에 결합시키는 제1결합부재(313)가 배치되고,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의 상단에는 상기 주행레일부재(330)를 상기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재(323)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재(313)는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부재(323)는 상기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접장치(350)는 상기 용접장치(350)를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상에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52)와, 상기 라운드 패널(271)의 수평날개부(273)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토치부(3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접장치(350)는 금속 와이어가 권출되는 와이어 권취휠(353)과, 상기 구동모터(352)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행레일부재(33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가 치합되는 랙기어(3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잔넬(211)과,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잔넬(221)을 포함하는 바닥틀을 상기 물탱크의 바닥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잔넬(211)에 가로 평철(21,22)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잔넬(221)에 세로 평철(23,24)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교차 평철(30)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가로 평철(21, 22), 세로 평철(23, 24) 및 교차 평철(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차 평철(30)은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전체 두께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 대각선 볼록부(32)와,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전체 두께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 대각선 볼록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3)의 하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4)의 상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3)의 하단부에서 좌측부(23b)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에 평행하고 상기 좌상부(32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3)의 하단부에서 우측부(23c)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에 평행하고 상기 우상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차 평철(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4)의 상단부에서 좌측부(24b)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a)에 평행하고 상기 좌하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4)의 상단부에서 우측부(24c)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에 평행하고 상기 우하부(32b)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차 평철(30)의 좌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1)의 우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우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2)의 좌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차 평철(30)의 좌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1)의 우측단에서 상측부(21b)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에 평행하고 상기 좌상부(32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로 평철(21)의 우측단에서 하측부(21c)는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에 평행하고 상기 좌하부(33b)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차 평철(30)의 우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2)의 좌측단에서 상측부(22b)는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에 평행하고 상기 우상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로 평철(22)의 좌측단에서 하측부(22c)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에 평행하고 상기 우하부(32b)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은 S1) 콘크리트 물탱크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10)의 내부면에 격자 형태로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을 결합시키는 단계; S2) 상기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별도의 교차 평철(30)을 상기 콘크리트 벽체(10)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S3) 콘크리트 물탱크의 라이닝을 위해 상기 가로 평철(21, 22), 세로 평철(23, 24) 및 교차 평철(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3)단계에서는 상기 세로 평철(23, 24)의 하부에 제1수평가이드부재(310)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세로 평철(23, 24)의 상부에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양단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에 주행레일부재(330)의 하단을 결합하고, 상기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의 상단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용접장치(350)가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상에서 이동하면서 두 개의 인접한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양단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상기 세로 평철(23, 24)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양단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상기 세로 평철(23, 24)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양단에는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를 상기 세로 평철(23,24)의 하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311, 312)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정밀도를 향상시켜 변형 및 균열을 방지하며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 또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1은 종래 사각 패널형 물탱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또 다른 종래 사각 물탱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3은 종래 콘크리트 물탱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이 적용된 물탱크의 제조공정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도4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원부분의 상세도이며,
도6은 도5에서 가로 평철 및 세로 평철의 교차 평철과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공정에서 물탱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공정에서 측면 라운드패널 용접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9는 도8에서 상부의 상세도이고,
도10은 도8에서 하부의 상세도이며,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공정에서 바닥 패널 용접공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12는 본 발명에서 바닥 패널 용접공정에 적용되는 용접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공정에서 콘크리트 벽체에 평철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14는 도13에서 가로, 세로평철이 교차하는 A부분의 상세도이며,
도15는 도13에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이 적용된 물탱크의 제조공정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도4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원부분의 상세도이며, 도6은 도5에서 가로 평철 및 세로 평철의 교차 평철과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공정에서 물탱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공정에서 측면 라운드패널 용접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9는 도8에서 상부의 상세도이고, 도10은 도8에서 하부의 상세도이며,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공정에서 바닥 패널 용접공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12는 본 발명에서 바닥 패널 용접공정에 적용되는 용접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은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바닥 가장자리에 상기 물탱크의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수직지지형강(250)을 설치하는 단계;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수직지지형강(250) 사이에 라운드 패널(271)을 각각 배치하는 단계;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수직지지형강(250)의 하부에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양단을 고정하는 단계;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수직지지형강(250)의 상부에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양단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에 주행레일부재(330)의 하단을 결합하고, 상기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의 상단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용접장치(350)가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상에서 이동하면서 두 개의 상기 라운드패널(271)의 측면에 형성되는 수평날개부(273)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잔넬(211)과,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잔넬(221)을 포함하는 바닥틀을 상기 물탱크의 바닥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잔넬(211)에 가로 평철(21,22)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잔넬(221)에 세로 평철(23,24)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교차 평철(30)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가로 평철(21, 22), 세로 평철(23, 24) 및 교차 평철(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공정에서는 먼저, 물탱크가 설치되는 바닥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를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대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길쭉한 직육면체 형태의 콘크리트 기초패드(201)가 이격되어 바닥에 배치된다(도4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대로서 콘크리트 기초패드(201)가 도시되었으나, 철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건식패드가 배치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 위에 사각틀 형상의 바닥틀을 형성한다. 바닥틀은 외부틀과 내부틀로 나누어지고, 내부틀을 각 기초패드(201) 위에 설치한다. 내부틀은 격자 모양을 이루도록 잔넬(211, 221)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배치하는데, 먼저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잔넬(211)을 가장 왼쪽에 배치되는 기초패드(201)와 가장 오른쪽에 배치되는 기초패드(201)를 제외한 기초패드(201) 위에 기초패드(20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하고 서로 용접으로 접합 연결한다.
그 다음,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잔넬(211)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잔넬(221)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잔넬(221)의 양단을 가로방향의 잔넬(211)과 용접으로 접합한다. 또한, 왼쪽에 배치된 가로방향의 잔넬(211)의 좌측면에 추가적으로 세로방향의 잔넬(221)을 용접으로 결합시키고 마찬가지로 오른쪽에 배치된 가로방향의 잔넬(211)의 우측면에도 세로방향의 잔넬(221)을 용접으로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내부틀을 형성하고, 외곽에 배치된 잔넬(211, 221)의 단부에 수직지지형강(250)을 기초패드(201)에 세워서 배치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에 배치된 세로방향의 잔넬(211)의 단부에 수직지지형강(250)을 배치하고 잔넬(211)과 결합시키며, 아울러 외곽에 배치된 세로방향의 잔넬(221)의 단부에 수직지지형강(250)을 배치하고 잔넬(221)과 결합시킨다.
그리고,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지지형강(250) 사이에 사각 파이프(231)를 결합하여 외부틀을 형성한다.
수직지지형강(250)은 도4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패널(271)의 수평날개부(273)에 결합되는 내측지지판(251)과 이 내측지지판(251)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외측지지판(252)과 내,외측지지판(251,252)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253)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내측지지판(251)에 두 개의 인접한 라운드 패널(271)의 수평날개부(273)가 함께 결합된다.
그 다음,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틀 중 내부틀에서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잔넬(211) 상에 가로 평철(21,22)을 결합시키고,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잔넬(221) 상에 세로 평철(23,24)을 결합시킨다.
본 발명에서의 세로 평철(23, 24)은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평철(23, 24)의 좌, 우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굴곡부(23a, 24a)가 형성되고, 가로 평철(21, 22)에는 상,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굴곡부(21a, 22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에 형성되는 가로굴곡부(21a, 22a) 및 세로굴곡부(23a, 24a)는 길쭉한 바의 프레스로 프레싱하여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두께가 가로 평철(21, 22), 세로 평철(23, 24)의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된다.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이 결합되는데, 물탱크 내부의 수압 집중에 따른 패널(40)의 변형이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에도 영향을 미쳐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의 변형이나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의 고정력 약화를 가져 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한 쌍의 가로굴곡부(21a, 22a) 및 세로굴곡부(23a, 24a)를 형성함으로써 텐션이 부여되어 수압의 집중에 따른 변형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고정력 약화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세로 평철(23, 24)과 가로 평철(21, 22)이 교차하여 만나는 지점에 교차 평철(30)이 구비된다.
이 교차 평철(30)에 세로 평철(23, 24) 및 가로 평철(21, 22)의 일단이 결합되는데, 교차 평철(30)에 결합되는 세로 평철(23, 24)의 일단은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교차 평철(30)의 상하부 상면에 결합되고, 교차 평철(30)에 결합되는 가로 평철(21, 22)의 일단 또한 세로 평철(23, 24)과 마찬가지로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교차 평철(30)의 좌우 상면에 결합된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교차 평철(30)은 가로 평철(21, 22), 세로 평철(23, 24)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잔넬(211,221)에 결합되는 것으로, 교차 평철(30)에는 직사각형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제1 대각선 볼록부(32) 및 제2 대각선 볼록부(33)가 형성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대각선 볼록부(32)는 교차 평철(30)에서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까지 전방으로 볼록하게 역 U자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대각선 볼록부(33)는 교차 평철(30)에서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까지 전방으로 볼록하게 역 U자 형태로 형성된다(도면번호 25는 제1 대각선 볼록부(32) 및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교차지점의 중앙점).
이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이 결합되는데, 교차 평철(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세로 평철(23)의 하단부가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와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 사이에서 교차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고, 교차 평철(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세로 평철(24)의 상단부가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와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 사이에서 교차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평철(30)을 기준으로 위쪽에 결합되는 세로 평철(23)의 하단에서 좌측부(23b)는 교차 평철(30)의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에 평행하고 그리고 좌상부(32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세로 평철(23)의 일단에서 우측부(23c)는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에 평행하고 그리고 우상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교차 평철(30)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결합되는 세로 평철(24)의 상단에서 좌측부(24b)는 교차 평철(30)의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a)에 평행하고 그리고 좌하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세로 평철(24)의 상단에서 우측부(24c)는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에 평행하고 그리고 우하부(32b)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가로 평철(21, 22)의 경우 교차 평철(30)의 좌측에 배치되는 가로 평철(21)의 우단부가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와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 사이에서 교차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고, 교차 평철(30)의 우측에 배치되는 가로 평철(22)의 좌단부가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와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 사이에서 교차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평철(30)을 기준으로 왼쪽에 결합되는 가로 평철(21)의 우측단에서 상측부(21b)는 교차 평철(30)의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에 평행하고 좌상부(32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가로 평철(21)의 우측단에서 하측부(21c)는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에 평행하고 그리고 좌하부(33b)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교차 평철(30)의 오른쪽에 결합되는 가로 평철(22)의 좌측단에서 상측부(22b)는 교차 평철(30)의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에 평행하고 우상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가로 평철(22)의 좌측단에서 하측부(22c)는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에 평행하고 우하부(32b)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결합된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의 상면의 높이는 잔넬(211,221)을 기준으로 제1 대각선 볼록부(32)와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최상부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이 교차하여 만나는 지점에 교차 평철(30)이 구비되고, 교차 평철(30)의 제1 대각선 볼록부(32) 및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사이에 각각 세로, 가로 평철(23, 24, 21, 22)의 일측 단부가 안착되어 결합됨으로써 물탱크 내부의 수압 등에 의해 평철(21, 22, 23, 24)이 변형될 경우, 평철(21, 22, 23, 24)의 길이방향의 변형을 흡수하여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지진 발생시에도 이로 인한 진동을 일부 흡수하여 구조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고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내진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1 대각선 볼록부(32) 및 제2 대각선 볼록부(33)가 평철(21, 22, 23, 24)의 변형을 일부 흡수함과 동시에 교차 평철(30)의 제1 대각선 볼록부(32) 및 제2 대각선 볼록부(33)에 가해지는 수압 집중에 따른 응력을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로 분산시켜 교차 평철(30)의 변형을 감소시킨다. 교차 평철(30)에서 제1 대각선 볼록부(32) 및 제2 대각선 볼록부(33)는 모두 프레스로 프레싱하여 전체 두께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잔넬(211,221)과 제1 대각선 볼록부(32) 및 제2 대각선 볼록부(33)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로, 세로 평철(21, 22, 23, 24) 및 교차 평철(30)을 잔넬(211,221)에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시킨 다음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세로 평철(21, 22, 23, 24) 및 교차 평철(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사각형의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결합시킨다. 각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중앙에는 사각형 형태로 전체 두께가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중앙 굴곡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은 인접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가장자리와 맞댄 상태에서 스테인레스 스틸패널(40)의 테두리를 용접하여 단위 격자형태의 가로, 세로 평철(21, 22, 23, 24) 및 교차 평철(30)에 함께 결합시킨다.
기존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경우 가로방향의 잔넬(211)과 세로방향의 잔넬(221)에 스테인레스 강판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바닥판을 형성하는데, 스테인레스 강판이 직접 잔넬(211, 221)에 접합되어 특정 부위의 수압 집중으로 인한 바닥판의 변형 또는 균열이 발생하거나 진동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닥틀의 가로 방향의 잔넬(211) 및 세로 방향의 잔넬(221)에 전술한 바와 같이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이 결합되고, 이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에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이 결합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바닥을 형성한 다음,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형강(250) 사이에 라운드 패널(271)을 접합하여 물탱크의 측벽을 형성한다.
라운드 패널(271)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고, 물탱크의 외측으로 만곡져서 형성되는 곡면부(272)와, 곡면부(272)의 양측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날개부(273)로 구성되는데, 라운드 패널(271)이 수직지지형강(250)과 결합하여 물탱크의 측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수직지지형강(250)의 내측지지판(251)에 한 쌍의 세로굴곡부(23a, 24a)가 형성된 세로 평철(23,24)이 결합되고, 이 세로 평철(23,24)에 좌우측에 배치되는 라운드 패널(271)의 수평날개부(273)가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이 수직지지형강(250)의 내측지지판(251)에 세로 평철(23,24)이 결합되고, 세로 평철(23,24)에 라운드 패널(271)의 수평날개부(273)가 결합됨으로써 측벽에 수압이 가해질 경우 텐션이 부여되어 수압의 집중에 따른 변형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측벽의 수압 지지력이 강화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물탱크의 측벽을 형성하는 라운드 패널(271)의 접합은 별도의 접합장치(300)를 이용하여 접합한다.
도8은 본 발명에서 라운드 패널(271)의 접합에 사용되는 접합장치(300)를 도시한 것으로, 접합장치(300)는 물탱크의 측벽 하단에 고정되는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와, 물탱크의 측벽 상단에 고정되는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와, 제1수평가이드부재(310) 및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양단이 결합되는 주행레일부재(330)와, 주행레일부재(330)상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용접장치(350)를 포함한다.
제1수평가이드부재(310)는 물탱크의 측벽 하단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일단은 하나의 수직지지형강(250) 하단에 결합되고,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타단은 인접한 수직지지형강(250) 하단에 결합된다.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고정은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양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11, 312)에 의해 이루어진다.
고정부재(311, 312)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양단에 결합되어 제1수평가이드부재(310)를 수직 수직지지형강(250)에 고정하는 것으로, 고정부재(311, 312)에 형성된 홈(311a)에 결합된 결합부재(311b)에 의해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에 결합된다.
또한, 고정부재(311, 312)는 전자석을 포함하고, 전자석의 자성을 on/off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된다.
따라서, 고정부재(311, 312)는 스위치에 의해 전자석의 자성을 on시켜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양단을 수직지지형강(250)의 하단에 고정하고, 전자것의 자성을 off시켜 제1수평가이드부재(310)를 수직지지형강(250)의 하단에서 분리시킨다.
제2수평가이드부재(320)는 물탱크의 측벽 상단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평가이드부재(320)는 제1수평가이드부재(310)가 결합된 물탱크 측벽의 상단에 결합되며,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일단은 제1수평가이드부재(310)가 결합된 수직지지형강(250)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280)에 결합되고,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타단은 인접한 상부 프레임(280)에 결합된다.
상부 프레임(280)은 양단이 물탱크의 양측벽에 배치되는 수직지지형강(250)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 프레임(280)의 일단은 일측벽에 배치되는 수직지지형강(25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부 프레임(280)의 타단은 대향되는 측벽에 배치되는 수직지지형강(250)의 상단에 결합되어 대향되는 두 개의 수직지지형강(250)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2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고정은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양단에 결합되는 걸이부재(321, 322)에 의해 이루어진다.
걸이부재(321, 322)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양단에 결합되어 제2수평가이드부재(320)를 물탱크 측벽 상단에 고정하는 것으로, 각각의 걸이부재(321, 322)는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결합되는 수직부(321a)와, 수직부(321a)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수평연장되는 수평연장부(321b)와, 수평연장부(321b)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하향연장되는 절곡부(32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걸이부재(321, 322)의 수직부(321a)가 상부 프레임(280)의 일측면에 접촉되고, 걸이부재(321, 322)의 수평연장부(321b)가 상부 프레임(280)의 상면에 지지되며, 걸이부재(321, 322)의 절곡부(321c)가 상부 프레임의 타측면에 접촉하여 걸이부재(321, 322)가 상부 프레임(280)에 결합되고, 이에 의해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양단이 고정된다. 또한, 절곡부(321c)에는 나사형태로 이루어지는 조임부재(321d)가 구비된다. 조임부재(321d)는 걸이부재(321, 322)를 상부 프레임(28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조임부재(321d)를 회전시켜 추가적으로 절곡부(321c)를 상부 프레임(280)에 고정시킴으로써 이탈을 방지하고, 조임부재(321d)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을 해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걸이부재(321, 322)를 이용하여 제2수평가이드부재(320)를 물탱크의 측벽 상단 즉 수직지지형강(25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280)에 고정하였으나, 제1수평가이드부재(31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311, 312)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주행레일부재(330)는 제1수평가이드부재(310) 및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양단이 결합되어 용접장치(35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주행레일부재(330)의 하단은 제1결합부재(313)에 의해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에 결합되고, 주행레일부재(330)의 상단은 제2결합부재(323)에 의해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결합된다.
제1결합부재(313)는 주행레일부재(330)의 하단에 결합되고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조임부재(313a)가 구비된다. 이 조임부재(313a)를 회전시켜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상에서 제1결합부재(313)의 위치를 고정하고, 조임부재(313a)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제1결합부재(313)가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상에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제2결합부재(323)는 주행레일부재(330)의 상단에 결합되고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마찬가지로 조임부재(323a)가 구비된다. 이 조임부재(323a)를 회전시켜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상에서 제2결합부재(323)의 위치를 고정하고, 조임부재(323a)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제2결합부재(323)가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상에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제2결합부재(323)는 나사에 의해 주행레일부재(330)에 결합되고, 추가적으로 핀부재(323b)에 의해 제2결합부재(323)와 주행레일부재(330)가 결합된다. 핀부재(323b)는 제2결합부재(323)의 삽입공(미도시)과 주행레일부재(330) 후면에 형성되는 삽입공(미도시)에 함께 삽입되어 용접작업 중 주행레일부재(330)를 제2결합부재(323)에 결합시키는 나사가 풀리더라도 주행레일부재(330)가 제2결합부재(323)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핀부재(323b)는 제1결합부재(313)와 주행레일부재(330)사이에도 구비될 수 있다.
주행레일부재(330)는 용접장치(35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면에 랙기어(331)가 주행레일부재(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용접장치(350)에 배치되는 피니언기어(미도시)가 랙기어(331)에 맞물려서 회전함에 따라 용접장치(350)가 주행레일부재(330)상에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주행레일부재(330)는 몸체부분이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접장치(350)는 주행레일부재(330)상에서 이동하면서 두 개의 라운드 패널(271)의 수평날개부(273)를 용접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351)와, 구동모터(352)와, 구동모터(352)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미도시)와, 와이어 권취휠(353)과, 용접토치부(354)를 포함한다.
본체(351)는 주행레일부재(330)상에 이동가능하게 탑재되고, 본체(351)에 배치된 구동모터(352)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기어가 회전하여 용접장치(350)가 주행레일부재(330)상을 이동하게 된다.
와이어 권취휠(353)은 금속 와이어가 권취되고, 용접시 권취휠(353)로부터 와이어가 권출되어 라운드 패널(271)의 수평날개부(273)와 함께 용접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51)로부터 연장되는 탑재플레이트상에 탑재된다.
용접토치부(354)는 아크(arc)에 의해 라운드 패널(271)의 수평날개부(273)를 용접하기 위한 것으로, 용접장치(350)의 본체(351)로부터 거리, 높낮이,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주행레일부재(330)에 탑재된 용접장치(350)가 주행레일부재(330)의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라운드 패널(271)의 수평날개부(273)를 자동 용접함으로써 정밀한 용접이 가능하게 되어 용접 품질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제조정밀도가 향상되고 내진성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도11은 본 발명에서 접합장치(300)를 이용하여 물탱크의 바닥판을 형성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용접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의 바닥판을 형성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배치한 다음 제1수평가이드부재(310) 및 제2수평가이드부재(320)를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주행레일부재(330)의 양단을 제1수평가이드부재(310) 및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결합시킨 후 인접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가장자리를 맞댄 상태에서 주행레일부재(330)상에서 용접장치(350)가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스테인레스 스틸패널(40)의 테두리를 용접하게 된다.
도11에 도시된 접합장치(300)가 전술한 측벽 라운드 패널 용접시 사용되는 접합장치(300)와 다른 점은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고정에 제1수평가이드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311, 312)와 동일한 고정부재(311, 312)가 적용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일단은 고정부재(311)에 의해 바닥판에 고정되고,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타단은 고정부재(312)에 의해 바닥판에 고정된다.
그 외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여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12는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장치(400)를 이용하여 물탱크의 바닥판을 형성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용접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2에 도시된 접합장치(400)가 전술한 접합장치(300)와 다른 점은 전술한 접합장치(300)에서는 주행레일부재(330)의 양단을 제1수평가이드부재(310) 및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결합시켜 고정하였으나, 도12에 도시된 접합장치(400)에서는 진공흡착패드(500)를 이용하여 주행레일부재(330)를 바닥판에 고정시킨다는 점이다.
본 접합장치(400)에서 진공흡착패드(500)는 주행레일부재(330)를 물탱크의 바닥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진공흡착패드(500)가 주행레일부재(330)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된다.
각 진공흡착패드(500)에는 공기유동호스(미도시)가 연결되고 공기유동호스에 의해 진공펌프(미도시)와 연결된다.
따라서,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진공흡착패드(500)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진공흡착패드(500)가 바닥판에 흡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도12에 도시된 용접장치(450)는 와이어 권취휠(353)이 분리된 형태로 용접시 금속 와이어의 공급 없이 바닥판을 형성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용접할 수 있다.
그 외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여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공정에서 콘크리트 벽체에 평철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14는 도13에서 가로, 세로평철이 교차하는 A부분의 상세도이며, 도15는 도13에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은 먼저,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내부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10)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태로 가로 평철(21,22) 및 세로 평철(23,24)을 앵커볼트로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로방향으로 기다란 다수의 세로 평철(23,24)을 일정 간격 이격되게 콘크리트 벽체(1)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세로 평철(23,24)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가로 평철(21,22)을 일정 간격으로 콘크리트 벽체(1)에 앵커볼트로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1)에 격자 형태로 가로 평철(21,22) 및 세로 평철(23,24)을 결합시키게 된다.
콘크리트 벽체(1)에 결합되는 본 발명에서의 세로 평철(22)은 도13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평철(23,24)의 좌, 우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굴곡부(23a,24a)가 형성되고, 가로 평철(21,22)에는 상,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굴곡부(21a,22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로 평철(21,22), 세로 평철(23,24)에 형성되는 가로, 세로굴곡부(21a, 22a, 23a, 24a)는 길쭉한 바의 프레스로 프레싱하여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두께가 평철(21, 22, 23, 24)의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된다.
가로 평철(21,22) 및 세로 평철(23,24)에는 사각 형상의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이 결합되는데, 물탱크 내부의 수압 집중에 따른 패널(40)의 변형이 평철(21, 22, 23, 24)에도 영향을 미쳐 평철(21, 22, 23, 24)의 변형이나 평철(21, 22, 23, 24)을 고정하는 앵커볼트의 고정력 약화를 가져 오게 된다. 가로 평철(21,22) 및 세로 평철(23,24)에는 상기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한 쌍의 가로굴곡부(21a, 22a) 및 세로굴곡부(23a, 24a)를 형성함으로써 텐션이 부여되어 수압의 집중에 따른 변형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앵커볼트의 고정력 약화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가로 평철(21,22) 및 세로 평철(23,24)이 교차하여 만나는 지점에 교차 평철(50)이 배치된다.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교차 평철(50)은 가로 평철(21,22) 및 세로 평철(23,24)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콘크리트 벽체(1)에 앵커 볼트로 결합되는 것으로, 교차 평철(50)의 상, 하측에는 세로 평철(23,24)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상하 안착굴곡부(51a)가 형성되고, 좌,우측에는 가로 평철(21,22)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좌우 안착굴곡부(51b)가 형성된다. 따라서, 교차 평철(50)의 상측에 배치되는 세로 평철(23)의 하단부가 상측 안착굴곡부(51a)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하측에 배치되는 세로 평철(24)의 상단부가 하측 안착굴곡부(51a)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또한, 교차 평철(50)의 좌측에 배치되는 가로 평철(21)의 우측 단부가 좌측 안착굴곡부(51b)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우측에 배치되는 가로 평철(22)의 좌측 단부가 우측 안착굴곡부(51b)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안착굴곡부(51a, 51b)에 안착되어 결합된 가로 평철(21,22), 세로 평철(23,24)의 상면은 교차 평철(50)에서 X자 굴곡부(52)를 제외한 상면과 평면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교차 평철(50)에는 추가적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X자 굴곡부(52)가 형성된다. X자 굴곡부(52)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평철(50)에서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까지, 그리고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까지 X자 형태의 굴곡부(52)가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된 것으로 X자 굴곡부(52)의 후면이 콘크리트 벽체(1)에 지지되며, X자 굴곡부(52)는 안착굴곡부(51a, 51b)와 함께 평철(21,22,23,24)의 변형을 일부 흡수함과 동시에 교차 패널(50) 자체에 가해지는 수압 집중에 따른 응력을 분산시켜 교차 패널(50)의 변형을 감소시킨다. 교차 평철(50)에서 안착굴곡부(51a, 51b) 및 X자 굴곡부(52)는 모두 프레스로 프레싱하여 전체 두께가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가로 평철(21,22), 세로 평철(23,24) 및 교차 평철(50)은 모두 앵커볼트로 콘크리트 벽체(1)에 결합되는데, 교차 평철(50)의 경우 X자 굴곡부(52)의 중앙부에 앵커볼트 결합공(55)이 형성되고 이 앵커볼트 결합공(55)에 앵커볼트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가로 평철(21,22), 세로 평철(23,24) 및 교차 평철(50)을 콘크리트 벽체(1)에 결합시킨 다음 가로 평철(21,22), 세로 평철(23,24) 및 교차 평철(5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각 사각형의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결합시킨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중앙에는 수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사각형 형태로 전체 두께가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중앙 굴곡부(41)가 형성된다. 이 중앙 굴곡부(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이 콘크리트 벽체(1)에 접하게 된다.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에는 이와 같이 중앙 굴곡부(41)가 형성되어 물 저장시설 내부의 수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이에 의해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에 텐션이 부여됨으로써 물 저장시설 내부 수압 집중 및 이에 따른 피로도에 의한 변형과 찢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은 인접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가장자리와 맞댄 상태에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테두리를 용접하여 단위 격자형태의 가로 평철(21,22), 세로 평철(23,24) 및 교차 평철(50)에 함께 결합시킨다.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용접은 도11에 도시된 접합장치(300)를 이용하여 접합한다.
세로 평철(23,24)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접합시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양단을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세로 평철(23,24)에 각각 결합한다.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고정은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양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11, 312)에 의해 세로 평철(23,24)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2수평가이드부재(320)는 제1수평가이드부재(31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와 평행하게 배치하고,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양단을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세로 평철(23,24)에 각각 결합한다.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고정은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양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11, 312)에 의해 세로 평철(23,24)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주행레일부재(330)의 양단을 제1수평가이드부재(310) 및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결합시킨 후 인접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가장자리를 세로 평철(23,24) 상에 맞댄 상태에서 주행레일부재(330)상에서 용접장치(350)가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테두리를 서로 용접하게 된다.
그리고, 가로 평철(21,22)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위치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접합시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양단을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가로 평철(21,22)에 각각 결합한다.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고정은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양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11, 312)에 의해 가로 평철(21,22)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2수평가이드부재(320)는 제1수평가이드부재(310)로부터 측면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와 평행하게 배치하고,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양단을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가로 평철(21,22)에 각각 결합한다.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고정은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양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11, 312)에 의해 가로 평철(21,22)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주행레일부재(330)의 양단을 제1수평가이드부재(310) 및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결합시킨 후 인접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가장자리를 가로 평철(21,22) 상에 맞댄 상태에서 주행레일부재(330)상에서 용접장치(350)가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테두리를 서로 용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 평철(21,22), 세로 평철(23,24) 및 교차 평철(50)과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물 저장시설 내부의 수압 집중에 따른 변형 및 패널이 찢어지는 문제점이 방지할 수 있고, 주행레일부재(330)에 탑재된 용접장치(350)가 주행레일부재(330)상에서 이동하면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자동 용접함으로써 정밀한 접합과 함께 제조정밀도가 향상되고 내진성이 향상되게 된다.
그 외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여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은 S1) 콘크리트 물탱크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10)의 내부면에 격자 형태로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을 결합시키는 단계; S2) 상기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별도의 교차 평철(30)을 상기 콘크리트 벽체(10)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S3) 콘크리트 물탱크의 라이닝을 위해 상기 가로 평철(21, 22), 세로 평철(23, 24) 및 교차 평철(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3)단계에서는 상기 세로 평철(23, 24)의 하부에 제1수평가이드부재(310)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세로 평철(23, 24)의 상부에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양단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에 주행레일부재(330)의 하단을 결합하고, 상기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의 상단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용접장치(350)가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상에서 이동하면서 두 개의 인접한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이 이전 실시예와 다른 점은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가로 평철(21,22), 세로 평철(23,24) 및 교차 평철(50) 대신에 도6에 도시된 가로 평철(21, 22), 세로 평철(23, 24) 및 교차 평철(30)이 콘크리트 벽체(1)에 결합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세로방향으로 다수의 세로 평철(23,24)을 일정 간격 이격되게 콘크리트 벽체(1)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세로 평철(23,24)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가로 평철(21, 22)을 일정 간격으로 콘크리트 벽체(1)에 앵커볼트로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10)에 격자 형태로 가로 평철(21,22) 및 세로 평철(23,24)을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세로 평철(23,24)과 가로 평철(21,22)이 교차하여 만나는 지점에 교차 평철(30)이 배치된다. 교차 평철(30)은 가로, 세로 평철(21,22)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콘크리트 벽체(1)에 앵커 볼트로 결합된다.
가로 평철(21,22) 및 세로 평철(23,24)의 교차 평철(30)과의 결합은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교차 평철(30)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세로 평철(23,24)이 결합되고, 교차 평철(30)의 좌우측에 가로 평철(21,22)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가로, 세로 평철(21,22) 및 교차 평철(30)을 콘크리트 벽체(1)에 결합시킨 다음 가로, 세로 평철(21,22) 및 교차 평철(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각 사각형의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결합시킨다. 각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중앙에는 수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사각형 형태로 전체 두께가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중앙 굴곡부(41)가 형성되고, 중앙 굴곡부(41)는 후면이 콘크리트 벽체(1)에 접하게 된다.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은 인접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가장자리와 맞댄 상태에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테두리를 용접하여 단위 격자형태의 가로 평철(21,22), 세로 평철(23,34) 및 교차 평철(30)에 함께 결합시킨다.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용접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도11에 도시된 접합장치(300)를 이용하여 접합한다.
그 외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여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21, 22 : 가로 평철 21a, 22a : 가로굴곡부
23, 24 : 세로 평철 23a, 24a : 세로굴곡부
30 : 교차 평철 32 : 제1 대각선 볼록부
33 : 제2 대각선 볼록부 40 :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
300, 400 : 접합장치 350, 450 : 용접장치

Claims (34)

  1.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바닥 가장자리에 상기 물탱크의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수직지지형강(250)을 설치하는 단계;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수직지지형강(250) 사이에 라운드 패널(271)을 각각 배치하는 단계;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수직지지형강(250)의 하부에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양단을 고정하는 단계;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수직지지형강(250)의 상부에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양단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에 주행레일부재(330)의 하단을 결합하고, 상기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의 상단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용접장치(350)가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상에서 이동하면서 두 개의 상기 라운드패널(271)의 측면에 형성되는 수평날개부(273)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잔넬(211)과,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잔넬(221)을 포함하는 바닥틀을 상기 물탱크의 바닥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잔넬(211)에 가로 평철(21,22)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잔넬(221)에 세로 평철(23,24)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교차 평철(30)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가로 평철(21, 22), 세로 평철(23, 24) 및 교차 평철(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차 평철(30)은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전체 두께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 대각선 볼록부(32)와,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전체 두께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 대각선 볼록부(33)를 포함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3)의 하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4)의 상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3)의 하단부에서 좌측부(23b)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에 평행하고 상기 좌상부(32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3)의 하단부에서 우측부(23c)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에 평행하고 상기 우상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패널(271)은 곡면부(272)와, 상기 곡면부(272)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날개부(273)를 포함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양단에는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를 상기 수직지지형강(250)의 하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311, 312)가 각각 배치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11, 312)는 자성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양단에는 상기 제2수평가이드부재(320)를 상기 수직지지형강(250)의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걸이부재(321, 322)가 각각 배치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321, 322)는 상기 물탱크의 양측면에서 마주보는 두 개의 수직지지형강(250)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280)에 결합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321, 322)는 상기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결합되는 수직부(321a)와, 상기 수직부(321a)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평연장부(321b)와, 상기 수평연장부(321b)의 일단에서 하향절곡되는 절곡부(321c)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연장부(321b)가 상기 상부 프레임(280)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의 하단에는 상기 주행레일부재(330)를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에 결합시키는 제1결합부재(313)가 배치되고,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의 상단에는 상기 주행레일부재(330)를 상기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재(323)가 배치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313)는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부재(323)는 상기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장치(350)는 상기 용접장치(350)를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상에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52)와, 상기 라운드 패널(271)의 수평날개부(273)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토치부(354)를 포함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장치(350)는 금속 와이어가 권출되는 와이어 권취휠(353)과, 상기 구동모터(352)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행레일부재(33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가 치합되는 랙기어(331)를 더 포함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4)의 상단부에서 좌측부(24b)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a)에 평행하고 상기 좌하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4)의 상단부에서 우측부(24c)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에 평행하고 상기 우하부(32b)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좌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1)의 우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우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2)의 좌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좌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1)의 우측단에서 상측부(21b)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에 평행하고 상기 좌상부(32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로 평철(21)의 우측단에서 하측부(21c)는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에 평행하고 상기 좌하부(33b)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우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2)의 좌측단에서 상측부(22b)는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에 평행하고 상기 우상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로 평철(22)의 좌측단에서 하측부(22c)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에 평행하고 상기 우하부(32b)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제조방법.
  20. S1) 콘크리트 물탱크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1)의 내부면에 격자 형태로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을 결합시키는 단계;
    S2) 상기 가로 평철(21, 22) 및 세로 평철(23, 24)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별도의 교차 평철(30)을 상기 콘크리트 벽체(1)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S3) 콘크리트 물탱크의 라이닝을 위해 상기 가로 평철(21, 22), 세로 평철(23, 24) 및 교차 평철(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3)단계는
    상기 세로 평철(23, 24)의 하부에 제1수평가이드부재(310)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세로 평철(23, 24)의 상부에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양단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에 주행레일부재(330)의 하단을 결합하고, 상기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의 상단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용접장치(350)가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상에서 이동하면서 두 개의 인접한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교차 평철(30)은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전체 두께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 대각선 볼록부(32)와,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전체 두께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 대각선 볼록부(33)를 포함하며,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3)의 하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4)의 상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3)의 하단부에서 좌측부(23b)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에 평행하고 상기 좌상부(32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3)의 하단부에서 우측부(23c)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에 평행하고 상기 우상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양단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상기 세로 평철(23, 24)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의 양단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상기 세로 평철(23, 24)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의 양단에는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를 상기 세로 평철(23,24)의 하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311, 312)가 각각 배치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11, 312)는 자성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의 하단에는 상기 주행레일부재(330)를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에 결합시키는 제1결합부재(313)가 배치되고,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의 상단에는 상기 주행레일부재(330)를 상기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결합시키는 제2결합부재(323)가 배치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313)는 상기 제1수평가이드부재(3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부재(323)는 상기 제2수평가이드부재(3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장치(350)는 상기 용접장치(350)를 상기 주행레일부재(330)상에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52)와,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토치부(354)를 포함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장치(350)는 금속 와이어가 권출되는 와이어 권취휠(353)과, 상기 구동모터(352)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행레일부재(33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가 치합되는 랙기어(331)를 더 포함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4)의 상단부에서 좌측부(24b)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a)에 평행하고 상기 좌하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세로 평철(24)의 상단부에서 우측부(24c)는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에 평행하고 상기 우하부(32b)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3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좌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1)의 우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우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2)의 좌단부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와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 사이에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좌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1)의 우측단에서 상측부(21b)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좌상부(32a)에 평행하고 상기 좌상부(32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로 평철(21)의 우측단에서 하측부(21c)는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좌하부(33b)에 평행하고 상기 좌하부(33b)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평철(30)의 우측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 평철(22)의 좌측단에서 상측부(22b)는 상기 제2 대각선 볼록부(33)의 우상부(33a)에 평행하고 상기 우상부(33a)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로 평철(22)의 좌측단에서 하측부(22c)는 상기 제1 대각선 볼록부(32)의 우하부(32b)에 평행하고 상기 우하부(32b)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KR1020210116836A 2021-09-02 2021-09-02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 또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KR102444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836A KR102444778B1 (ko) 2021-09-02 2021-09-02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 또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836A KR102444778B1 (ko) 2021-09-02 2021-09-02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 또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778B1 true KR102444778B1 (ko) 2022-09-19

Family

ID=83460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836A KR102444778B1 (ko) 2021-09-02 2021-09-02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 또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7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257B1 (ko) * 2017-11-09 2018-04-16 송석환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CN108262585A (zh) * 2018-02-13 2018-07-10 哈尔滨光锡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焊接设备及方法
KR20200051113A (ko) * 2018-11-03 2020-05-13 (주)대명에스이에스 우수한 조립성과 향상된 구조적 강도를 가지는 웨이브형 물탱크
KR200492604Y1 (ko) * 2019-09-20 2020-11-10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비철금속 자동용접용 주행레일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257B1 (ko) * 2017-11-09 2018-04-16 송석환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CN108262585A (zh) * 2018-02-13 2018-07-10 哈尔滨光锡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焊接设备及方法
KR20200051113A (ko) * 2018-11-03 2020-05-13 (주)대명에스이에스 우수한 조립성과 향상된 구조적 강도를 가지는 웨이브형 물탱크
KR200492604Y1 (ko) * 2019-09-20 2020-11-10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비철금속 자동용접용 주행레일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096B1 (ko) 우수한 조립성과 향상된 구조적 강도를 가지는 웨이브형 물탱크
CN101280560B (zh) 格构柱组件及其安装方法
KR102444778B1 (ko)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 또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KR100945593B1 (ko) 라이닝 처리된 구조물의 간벽장치
KR101833440B1 (ko) 향상된 저장성 및 수압지지력을 가지는 사각 물탱크
JP7235581B2 (ja) 建物ユニット
KR102421902B1 (ko) 향상된 내진성 및 수압지지력을 가지는 콘크리트 물탱크용 라이닝 패널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KR102648478B1 (ko)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 또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용 라이닝 패널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KR101671725B1 (ko) 강선연결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피디에프 물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04901B1 (ko) 강판 보강 전단벽
JP5124438B2 (ja) タンクの補強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2411899B1 (ko) 자가진단이 가능한 물탱크
KR100762978B1 (ko) 수조(水槽)
KR101133016B1 (ko) 거푸집 연결용 파워 클램프
KR101851536B1 (ko) 웨이브형 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JPH08133384A (ja) 円筒型液体貯溜タンク
KR20180131947A (ko) 향상된 저장성 및 수압지지력을 가지는 사각 물탱크
KR102641291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스테인리스 원통형 물탱크의 하부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
KR200268833Y1 (ko) 콘크리트 타설용 기초구조재의 철근고정부재
CN213448905U (zh) 一种多方位装配式安装加强型钢结构
CN219033566U (zh) 一种幕墙与钢结构的连接节点构造
KR100244887B1 (ko) 조립식 탱크구조물
KR102130048B1 (ko) 조립식 sts 라이닝 물탱크
CN210684996U (zh) 一种装配式叠合板板托
KR101117961B1 (ko) 지지대 고정부재를 갖는 플라스틱 패널 물탱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