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257B1 -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 Google Patents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257B1
KR101849257B1 KR1020170148499A KR20170148499A KR101849257B1 KR 101849257 B1 KR101849257 B1 KR 101849257B1 KR 1020170148499 A KR1020170148499 A KR 1020170148499A KR 20170148499 A KR20170148499 A KR 20170148499A KR 101849257 B1 KR101849257 B1 KR 101849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iron
horizontal
flat
concrete
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석환
Original Assignee
송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석환 filed Critical 송석환
Priority to KR1020170148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3Modula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04H7/18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10)의 내부면에 격자 형태로 가로 평철(21) 및 세로 평철(22)이 결합되고, 상기 가로 평철(21) 및 세로 평철(22)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교차 평철(30)이 콘크리트 벽체(10)에 결합되며, 상기 가로, 세로 평철(21,22) 및 교차 평철(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을 위한 각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이 결합되고,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사각형상의 테두리가 상기 가로, 세로 평철(21,22) 및 교차 평철(30)에 결합되며,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 하측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인접한 세로 평철(22)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안착굴곡부(31a)가 형성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좌,우측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인접한 가로 평철(21)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안착굴곡부(31b)가 형성되어, 상기 세로 평철(22)의 일단부가 상기 교차 평철(30)의 안착굴곡부(31a)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가로 평철(21)의 일단부가 상기 교차 평철(30)의 안착굴곡부(31b)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Structure of panel for lining of concrete water tank with improved water pressure resistance and anti-vibration, and lin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정수장 그리고 콘크리트 물탱크 등의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라이닝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내부 벽체에 결합시키는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되는 과정과 상수도 또는 공업용수 등을 보관하기 위한 철근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경우 시공이 용이하고 경제적인 장점을 인해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 그런데, 이러한 콘크리트로 된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은 건조 수축에 의한 균열 발생의 우려가 크며, 콘크리트의 강 알칼리성 때문에 음용수를 직접 저장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 내벽에 에폭시 도장이 수행되지만 장기간 사용시 벽체 부식에 의한 파손과 에폭시 박리현상으로 수질저하 및 누수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내측면을 스테인레스 재질의 패널로 라이닝하는 시공이 행해지고 있다. 도1에 도시된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탱크는 콘크리트 벽체(12)의 내부면에 스테인리스 패널(10)을 부착한 것이다. 이러한 콘크리트 물탱크는 특허등록 제10-1164215호(2012.7.10. 공고)에 그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패널(10)은 평면구조를 갖기 때문에 수압이 부분적으로 집중되는 곳에는 변형 또는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콘크리트 벽체와 스테인리스 패널의 온도차로 인해 그 사이에 수분이 발생하여 장시간 방치시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2에 스테인레스 재질로 라이닝된 콘크리트 물 저장시설의 세부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라이닝시공된 콘크리트 물 저장시설은 앵커볼트(1)를 이용하여 평철(2)을 격자형으로 콘크리트 벽체(3)에 설치한 후, 라이닝 패널(4)을 평철(2)에 용접으로 결합시키고 인접한 라이닝 패널(4)들을 용접으로 결합시킨다. 그런데, 앵커볼트(1)를 이용하여 평철(2)을 콘크리트 벽체(3)에 설치한 후에는 앵커볼트(1)의 돌출부(평철보다 위로 돌출된 부분)을 연마하여 제거해야 하는데, 이러한 연마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압의 집중으로 인한 변형 및 균열을 방지하며 장기간 사용시에도 부식을 방지하고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라이닝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앵커볼트의 연마작업으로 인한 공정지연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라이닝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10)의 내부면에 격자 형태로 가로 평철(21) 및 세로 평철(22)이 결합되고, 상기 가로 평철(21) 및 세로 평철(22)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교차 평철(30)이 콘크리트 벽체(10)에 결합되며, 상기 가로, 세로 평철(21,22) 및 교차 평철(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을 위한 각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이 결합되고,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사각형상의 테두리가 상기 가로, 세로 평철(21,22) 및 교차 평철(30)에 결합되며,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 하측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인접한 세로 평철(22)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안착굴곡부(31a)가 형성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좌,우측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인접한 가로 평철(21)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좌우 안착굴곡부(31b)가 형성되어, 상기 세로 평철(22)의 일단부가 상기 교차 평철(30)의 안착굴곡부(31a)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가로 평철(21)의 일단부가 상기 교차 평철의 안착굴곡부(31b)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차 평철(30)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X자 굴곡부(32)가 형성되고, 상기 X자 굴곡부(32)의 후면이 콘크리트 벽체(10)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차 평철(30)은 앵커볼트(50)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0)에 결합되며, 상기 앵커볼트(50)에서 너트부(52)가 결합되는 앵커볼트(50)의 헤드부(51)가 상기 교차 평철(30)의 X자 굴곡부(32)의 중앙부에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로 평철(22)의 좌, 우측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굴곡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 평철(21)의 상, 하측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굴곡부(2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 세로 평철(21,22)의 가로굴곡부 및 세로굴곡부는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콘크리트 벽체(10) 사이에는 공간부(60)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60)가 결로수의 배수통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 세로 평철(21,22)에는 원형의 오목굴곡부(25)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 세로 평철(21,22)은 앵커볼트(50)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0)에 결합되며, 상기 앵커볼트(50)에서 너트부(52)가 결합되는 앵커볼트(50)의 헤드부(51)가 상기 원형의 오목굴곡부(25)에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목굴곡부(25)는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충진재로 충진되어 오목굴곡부(25)를 충진시킴과 동시에 상부에 결합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과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차 평철(30)에서 상기 세로 평철(22)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안착굴곡부(31a)는 일직선으로 연통되어 하나의 연통된 안착굴곡부(31c)가 형성되어 상기 세로 평철(22)의 일측이 연통된 안착굴곡부(31c)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 공법은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10)의 내부면에 격자 형태로 가로 평철(21) 및 세로 평철(22)을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가로 평철(21) 및 세로 평철(22)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별도의 교차 평철(30)을 콘크리트 벽체(10)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을 위해 상기 가로, 세로 평철(21,22) 및 교차 평철(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사각 테두리를 상기 평철(21,22,30)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 하측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인접한 세로 평철(22)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안착굴곡부(31a)가 형성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좌,우측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인접한 가로 평철(21)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좌우 안착굴곡부(31b)가 형성되어, 상기 세로 평철(22)의 일단부가 상기 교차 평철(30)의 안착굴곡부(31a)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가로 평철(21)의 일단부가 상기 교차 평철의 안착굴곡부(31b)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압의 집중으로 인한 변형 및 균열을 방지하고 장기간 사용시에도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라이닝 공법이 제공된다.
또한, 앵커볼트의 연마작업으로 인한 공정지연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라이닝 공법이 제공된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이닝용 패널 구조의 상세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에서 콘크리트 벽체에 평철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에서 가로, 세로평철이 교차하는 A부분의 상세도이며,
도5는 도3에서 라이닝용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6은 도5에서 A-A'부분의 단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닝용 패널 구조에서 가로, 세로평철이 교차하는 부분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에 시공되는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라이닝 공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에서 콘크리트 벽체에 평철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에서 가로, 세로평철이 교차하는 A부분의 상세도이며, 도5는 도3에서 라이닝용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6은 도5에서 A-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내측면 및 바닥면을 포함하는 내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10)의 내부면에 격자 형태로 가로 평철(21) 및 세로 평철(22)이 결합되고, 가로 및 세로 평철(21, 22)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교차 평철(30)이 콘크리트 벽체(10)에 결합되며, 상기 가로 및 세로 평철(21,22)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을 위한 각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이 단위 격자를 이루는 평철(21,22)에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 공법을 통해 라이닝용 패널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내부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10)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태로 가로 평철(21) 및 세로 평철(22)을 앵커볼트(50)로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로방향으로 기다란 다수의 세로 평철(22)을 일정 간격 이격되게 콘크리트 벽체(10)에 앵커볼트(50)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세로 평철(22)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가로 평철(21)을 일정 간격으로 콘크리트 벽체(10)에 앵커볼트(50)로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10)에 격자 형태로 가로, 세로 평철(21,22)을 결합시키게 된다.
콘크리트 벽체(10)에 결합되는 본 발명에서의 세로 평철(22)은 도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평철(22)의 좌, 우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굴곡부(22a)가 형성되고, 가로 평철(21)에는 상,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굴곡부(21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로, 세로 평철(21,22)에 형성되는 가로, 세로굴곡부(21a, 22a)는 길쭉한 바의 프레스로 프레싱하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두께가 평철(21,22)의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된다.
가로, 세로 평철(21, 22)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이 결합되는데, 물 저장시설 내부의 수압 집중에 따른 패널(40)의 변형이 평철(21, 22)에도 영향을 미쳐 평철(21, 22)의 변형이나 평철(21, 22)을 고정하는 앵커볼트(50)의 고정력 약화를 가져 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로, 세로 평철(21,22)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한 쌍의 가로굴곡부(21a) 및 세로굴곡부(22a)를 형성함으로써 텐션이 부여되어 수압의 집중에 따른 변형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앵커볼트의 고정력 약화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세로 평철(22)과 가로 평철(21)이 교차하여 만나는 지점에 교차 평철(30)이 구비된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교차 평철(30)은 가로, 세로 평철(21,22)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콘크리트 벽체(10)에 앵커 볼트(50)로 결합되는 것으로, 교차 평철(30)의 상, 하측에는 세로 평철(22)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상하 안착굴곡부(31a)가 형성되고, 좌,우측에는 가로 평철(21)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좌우 안착굴곡부(31b)가 형성된다. 따라서, 교차 평철(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세로 평철(22)의 하단부가 상측 안착굴곡부(31a)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하측에 배치되는 세로 평철(22)의 상단부가 하측 안착굴곡부(31a)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또한, 교차 평철(30)의 좌측에 배치되는 가로 평철(21)의 우측 단부가 좌측 안착굴곡부(31b)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우측에 배치되는 가로 평철(21)의 좌측 단부가 우측 안착굴곡부(31b)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안착굴곡부(31a, 31b)에 안착되어 결합된 가로, 세로 평철(21,22)의 상면은 교차 평철(30)에서 X자 굴곡부(32)를 제외한 상면과 평면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가로, 세로 평철(21, 22)이 교차하여 만나는 지점에 교차 평철(30)이 구비되고, 교차 평철(30)의 상하, 좌우 안착굴곡부(31a, 31b)에 각각 세로, 가로 평철(22, 21)의 일측 단부가 안착되어 결합됨으로써 물 저장시설의 수압 등에 의해 평철(21, 22)이 변형될 경우, 평철(21,22)의 길이방향의 변형을 흡수하여 패널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지진 발생시에도 이로 인한 진동을 일부 흡수하여 패널 구조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고 패널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내진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교차 평철(30)에는 추가적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X자 굴곡부(32)가 형성된다. X자 굴곡부(32)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평철(30)에서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까지, 그리고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까지 X자 형태의 굴곡부(32)가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된 것으로 X자 굴곡부(32)의 후면이 콘크리트 벽체(10)에 지지되며, X자 굴곡부(32)는 안착굴곡부(31a, 31b)와 함께 평철(21,22)의 변형을 일부 흡수함과 동시에 교차 패널(30) 자체에 가해지는 수압 집중에 따른 응력을 분산시켜 교차 패널(30)의 변형을 감소시킨다. 교차 평철(30)에서 안착굴곡부(31a, 31b) 및 X자 굴곡부(32)는 모두 프레스로 프레싱하여 전체 두께가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가로, 세로 평철(21,22) 및 교차 평철(30)은 모두 앵커볼트(50)로 콘크리트 벽체(10)에 결합되는데, 가로, 세로 평철(21,22)의 경우 원형의 오목굴곡부(25)가 형성되어 이 원형의 오목굴곡부(25)에 결합공(미도시)을 통해 앵커볼트(50)가 콘크리트 벽체(10)에 결합되고, 가로, 세로 평철(21,22)에서는 이 원형의 오목굴곡부(25) 및 가로, 세로굴곡부(21a, 22a)의 후면이 콘크리트 벽체(10)에 접하여 지지되고, 원형의 오목굴곡부(25)가 형성된 부분을 통해 앵커볼트(50)로 평철(21,22)을 콘크리트 벽체(10)에 고정하게 되고, 앵커볼트(50)의 수나사부가 형성된 헤드부(51)는 원형의 오목굴곡부(25) 내에서 너트부(52)와 나사결합되어 고정하게 된다(도6 참조). 그 다음 원형의 오목굴곡부(25) 내에 에폭시 충진재를 충진하여 평철(21,22)의 표면에서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을 메우게 된다. 그러면 앵커볼트(50)의 헤드부(51)와 결합된 너트부(52)가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굴곡부(25) 내에 완전히 매입되게 된다. 교차 평철(30)의 경우 X자 굴곡부(32)의 중앙부에 앵커볼트 결합공(35)이 형성되고 이 앵커볼트 결합공(35)에 앵커볼트(50)가 결합되며, 마찬가지로 앵커볼트(50)의 헤드부(51)는 X자 굴곡부(32)의 대각선이 교차하는 중앙부 내에서 너트부(52)와 나사결합되어 고정하게 되며, 에폭시 충진재는 앵커볼트(50)의 주위 또는 X자 굴곡부(32) 전체에 충진된다. 마찬가지로 앵커볼트(50)의 헤드부(51)는 X자 굴곡부(32)의 중앙부에서 완전히 매입되어 그 상측에서 교차 평철(30)에 결합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과 간섭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평철(21,22)의 오목굴곡부(25)를 통해 앵커볼트(50)로 결합시키고, 오목굴곡부(25)에서 앵커볼트(50) 사이에 남는 빈 공간 내에 에폭시 수지로 된 충진재를 충진함으로써 앵커볼트(50)의 헤드부(51)와 평철(21,22)의 결합을 보다 강화시키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과의 접합 또한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철(2)보다 돌출된 앵커볼트(1)의 돌출부를 연마하여 제거함으로써 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평철(21, 22, 30)에 오목굴곡부(25)(또는 X자 굴곡부(32))를 형성하고 이 오목굴곡부(25)에 앵커볼트(50)의 헤드부(51)가 완전히 매입되도록 함으로써 공정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가로, 세로 평철(21,22) 및 교차 평철(30)을 콘크리트 벽체(10)에 결합시킨 다음 가로, 세로 평철(21,22) 및 교차 평철(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각 사각형의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결합시킨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중앙에는 수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사각형 형태로 전체 두께가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중앙 굴곡부(41)가 형성된다. 이 중앙 굴곡부(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이 콘크리트 벽체(10)에 접하게 된다.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에는 이와 같이 중앙 굴곡부(41)가 형성되어 물 저장시설 내부의 수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이에 의해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에 텐션이 부여됨으로써 물 저장시설 내부 수압 집중 및 이에 따른 피로도에 의한 변형과 찢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한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세로 평철(21,22)과 콘크리트 벽체(10) 사이에는 공간부(60)가 형성되는데, 이 공간부(60)가 결로수의 배수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이나 평철(21,22)에서 표리측 온도차로 인해 결로가 발생하더라도 공간부(60)가 결로수의 배수통로 역할을 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은 인접한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가장자리와 맞댄 상태에서 스테인레스 스틸패널(50)의 테두리를 용접하여 단위 격자형태의 가로, 세로 평철(21,22) 및 교차 평철(30)에 함께 결합시킨다.
그리고,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결합은 가로, 세로 평철(21,22)의 오목굴곡부(25)에 충진되는 에폭시 충진재가 경화되기 전에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테두리부분이 가로, 세로 평철(21,22)의 오목홈(25) 위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로, 세로 평철(21,22)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에폭시 충진재가 경화되기 전에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을 평철(21,22)에 결합시킴으로써 에폭시 충진재가 전술한 기능이외에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과의 접합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로, 세로 평철(21,22) 및 교차 평철(30)과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물 저장시설 내부의 수압 집중에 따른 변형 및 패널이 찢어지는 문제점이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평철(21,22)의 이면측에 공간부(60)가 결로수의 배수통로 역할을 하여 부식을 방지하고 따라서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닝용 패널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전술한 이전 실시예와 다른 점은 세로 평철(22)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상하 안착굴곡부(31a)가 일직선으로 연통되어 하나의 연통된 안착굴곡부(31c)가 형성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세로 평철(22)의 일측이 연통된 안착굴곡부(31c) 전체 길이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여러 개의 세로 평철(22)을 세로로 연결할 필요가 없이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에서 콘크리트 벽체(10)의 전체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세로 평철(22)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세로 평철(22)의 콘크리트 벽체(10)와의 결합은 세로 평철(22)에 이전 실시예와 같은 오목굴곡부(25)를 형성하고 앵커볼트(50)가 이 오목굴곡부(25) 및 교차 평철(30)에 형성된 결합공(35)을 통해 콘크리트 벽체(10)에 결합되어 하나의 앵커볼트(50)로 세로 평철(22) 및 교차 평철(3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콘크리트 벽체 21 : 가로 평철
21a : 가로굴곡부 22 : 세로 평철
22a : 세로굴곡부 30 : 교차 평철
31a : 상하측 안착굴곡부 31b : 좌우측 안착굴곡부
40 :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 50 : 앵커볼트

Claims (17)

  1.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10)의 내부면에 격자 형태로 가로 평철(21) 및 세로 평철(22)이 결합되고,
    상기 가로 평철(21) 및 세로 평철(22)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교차 평철(30)이 콘크리트 벽체(10)에 결합되며,
    상기 가로, 세로 평철(21,22) 및 교차 평철(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을 위한 각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이 결합되고,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사각형상의 테두리가 상기 가로, 세로 평철(21,22) 및 교차 평철(30)에 결합되며,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 하측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인접한 세로 평철(22)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안착굴곡부(31a)가 형성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좌,우측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인접한 가로 평철(21)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안착굴곡부(31b)가 형성되어, 상기 세로 평철(22)의 일단부가 상기 교차 평철(30)의 안착굴곡부(31a)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가로 평철(21)의 일단부가 상기 교차 평철(30)의 안착굴곡부(31b)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평철(30)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X자 굴곡부(32)가 형성되고, 상기 X자 굴곡부(32)의 후면이 콘크리트 벽체(10)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평철(30)은 앵커볼트(50)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0)에 결합되며, 상기 앵커볼트(50)에서 너트부(52)가 결합되는 앵커볼트(50)의 헤드부(51)가 상기 교차 평철(30)의 X자 굴곡부(32)의 중앙부에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평철(22)의 좌, 우측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굴곡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 평철(21)의 상, 하측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굴곡부(2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세로 평철(21,22)의 가로굴곡부(21a) 및 세로굴곡부(22a)는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콘크리트 벽체(10) 사이에는 공간부(60)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60)가 결로수의 배수통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세로 평철(21,22)에는 원형의 오목굴곡부(25)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 세로 평철(21,22)은 앵커볼트(50)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0)에 결합되며, 상기 앵커볼트(50)에서 너트부(52)가 결합되는 앵커볼트(50)의 헤드부(51)가 상기 원형의 오목굴곡부(25)에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굴곡부(25)는 충진재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져서 오목굴곡부(25)를 충진시킴과 동시에 상부에 결합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과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평철(30)에서 상기 세로 평철(22)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안착굴곡부(31a)는 일직선으로 연통됨으로써 하나의 연통된 안착굴곡부(31c)가 형성되어 상기 세로 평철(22)의 일측이 연통된 안착굴곡부(31c)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10.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10)의 내부면에 격자 형태로 가로 평철(21) 및 세로 평철(22)을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가로 평철(21) 및 세로 평철(22)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별도의 교차 평철(30)을 콘크리트 벽체(10)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을 위해 상기 가로, 세로 평철(21,22) 및 교차 평철(3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에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의 사각 테두리를 상기 평철(21,22,30)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상, 하측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인접한 세로 평철(22)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안착굴곡부(31a)가 형성되고, 상기 교차 평철(30)의 좌,우측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인접한 가로 평철(21)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안착굴곡부(31b)가 형성되어, 상기 세로 평철(22)의 일단부가 상기 교차 평철(30)의 안착굴곡부(31a)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가로 평철(21)의 일단부가 상기 교차 평철(30)의 안착굴곡부(31b)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 공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평철(30)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X자 굴곡부(32)가 형성되고, 상기 X자 굴곡부(32)의 후면이 콘크리트 벽체(10)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 공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평철(30)은 앵커볼트(50)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0)에 결합되며, 상기 앵커볼트(50)에서 너트부(52)가 결합되는 앵커볼트(50)의 헤드부(51)가 상기 교차 평철(30)의 X자 굴곡부(32)의 중앙부에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 공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평철(22)의 좌, 우측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굴곡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 평철(21)의 상, 하측에는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굴곡부(2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 공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세로 평철(21,22)의 가로굴곡부(21a) 및 세로굴곡부(22a)는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콘크리트 벽체(10) 사이에는 공간부(60)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60)가 결로수의 배수통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 공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세로 평철(21,22)에는 원형의 오목굴곡부(25)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 세로 평철(21,22)은 앵커볼트(50)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0)에 결합되며, 상기 앵커볼트(50)에서 너트부(52)가 결합되는 앵커볼트(50)의 헤드부(51)가 상기 원형의 오목굴곡부(25)에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 공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굴곡부(25)는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충진재로 충진되어 오목굴곡부(25)를 충진시킴과 동시에 상부에 결합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40)과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 공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평철(30)에서 상기 세로 평철(22)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안착굴곡부(31a)는 일직선으로 연통하여 하나의 연통된 안착굴곡부(31c)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세로 평철(22)의 일측이 연통된 안착굴곡부(31c)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 공법.
KR1020170148499A 2017-11-09 2017-11-09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KR101849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499A KR101849257B1 (ko) 2017-11-09 2017-11-09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499A KR101849257B1 (ko) 2017-11-09 2017-11-09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257B1 true KR101849257B1 (ko) 2018-04-16

Family

ID=6208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499A KR101849257B1 (ko) 2017-11-09 2017-11-09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25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005B1 (ko) * 2018-11-05 2019-10-25 금하기계 주식회사 콘크리트 물탱크용 스테인레스 라이닝 패널
US20210257117A1 (en) * 2018-04-25 2021-08-19 Mitsubisi Hravy Indstries, Ltd. Lining method and lining
KR102411899B1 (ko) * 2021-10-19 2022-06-23 (주)대명에스이에스 자가진단이 가능한 물탱크
KR102421902B1 (ko) * 2022-01-05 2022-07-19 (주)대명에스이에스 향상된 내진성 및 수압지지력을 가지는 콘크리트 물탱크용 라이닝 패널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KR102444778B1 (ko) * 2021-09-02 2022-09-19 (주)대명에스이에스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 또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KR20230017671A (ko) * 2021-07-28 2023-02-06 송석환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 또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용 라이닝 패널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KR102578577B1 (ko) 2023-06-19 2023-09-14 (주)대명에스이에스 변형 흡수용 굴곡형 노드를 가지는 물 저장시설 라이닝 패널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2895A (ja) * 1998-08-18 2000-02-29 Morimatsu Sogo Kenkyusho:Kk タンクおよびタンクの製造方法
KR100758851B1 (ko) * 2006-06-21 2007-09-19 이화자 수처리조의 라이닝 장치
KR100949071B1 (ko) * 2010-01-25 2010-03-19 주식회사 복주 라이닝용 패널유닛 및 이를 사용한 저수조
KR101134148B1 (ko) * 2011-11-02 2012-04-06 주식회사 문창 정수 및 폐수처리용 저류조의 스테인레스 벽체 패널
KR101536986B1 (ko) * 2015-03-30 2015-07-15 수원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2895A (ja) * 1998-08-18 2000-02-29 Morimatsu Sogo Kenkyusho:Kk タンクおよびタンクの製造方法
KR100758851B1 (ko) * 2006-06-21 2007-09-19 이화자 수처리조의 라이닝 장치
KR100949071B1 (ko) * 2010-01-25 2010-03-19 주식회사 복주 라이닝용 패널유닛 및 이를 사용한 저수조
KR101134148B1 (ko) * 2011-11-02 2012-04-06 주식회사 문창 정수 및 폐수처리용 저류조의 스테인레스 벽체 패널
KR101536986B1 (ko) * 2015-03-30 2015-07-15 수원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57117A1 (en) * 2018-04-25 2021-08-19 Mitsubisi Hravy Indstries, Ltd. Lining method and lining
US11834839B2 (en) * 2018-04-25 2023-12-05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Lining method and lining
KR102037005B1 (ko) * 2018-11-05 2019-10-25 금하기계 주식회사 콘크리트 물탱크용 스테인레스 라이닝 패널
KR20230017671A (ko) * 2021-07-28 2023-02-06 송석환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 또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용 라이닝 패널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KR102648478B1 (ko) * 2021-07-28 2024-03-15 송석환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 또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용 라이닝 패널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KR102444778B1 (ko) * 2021-09-02 2022-09-19 (주)대명에스이에스 제조정밀도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스테인레스 물탱크 또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제조방법
KR102411899B1 (ko) * 2021-10-19 2022-06-23 (주)대명에스이에스 자가진단이 가능한 물탱크
KR102421902B1 (ko) * 2022-01-05 2022-07-19 (주)대명에스이에스 향상된 내진성 및 수압지지력을 가지는 콘크리트 물탱크용 라이닝 패널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KR102578577B1 (ko) 2023-06-19 2023-09-14 (주)대명에스이에스 변형 흡수용 굴곡형 노드를 가지는 물 저장시설 라이닝 패널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257B1 (ko)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KR100882464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102037005B1 (ko) 콘크리트 물탱크용 스테인레스 라이닝 패널
KR101238031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외부 보강프레임 조립체
KR100854603B1 (ko) 외부보강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물탱크
KR100903211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101238030B1 (ko) 외부 보강프레임 조립체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US10301833B1 (en) Highly durable textile reinforcing panel used as concrete form, and method of construc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0978244B1 (ko) 패널 결합형 저수조
KR1016421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100894808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KR100878184B1 (ko) 물탱크용 기초 프레임
KR102648478B1 (ko)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물탱크 또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용 라이닝 패널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KR102578577B1 (ko) 변형 흡수용 굴곡형 노드를 가지는 물 저장시설 라이닝 패널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90032238A (ko) 합성수지재 물탱크의 방수시트 구조
KR101035728B1 (ko) 저장탱크
KR101139014B1 (ko) 가변형 기둥폼
KR20230106056A (ko) 향상된 내진성 및 수압지지력을 가지는 스테인레스 물탱크용 라이닝 패널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JP6102614B2 (ja) 建物の基礎構造
KR100820925B1 (ko) 대용량 물탱크의 턴버클 결합구조
KR102120382B1 (ko) 시공이 간편한 합성목재 데크 시스템
JP4037338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耐震補強構造
KR101951404B1 (ko) 단면증설형 내진보강구조체
KR20150118896A (ko) 합성pc보, 이와 합성pc기둥과의 연결구조
KR20160001762A (ko) Pc거더와 pc빔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