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986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986B1
KR101536986B1 KR1020150044508A KR20150044508A KR101536986B1 KR 101536986 B1 KR101536986 B1 KR 101536986B1 KR 1020150044508 A KR1020150044508 A KR 1020150044508A KR 20150044508 A KR20150044508 A KR 20150044508A KR 101536986 B1 KR101536986 B1 KR 101536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epoxy resin
concrete structure
rubber member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화
Original Assignee
수원시
(주)재인비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원시, (주)재인비엔피 filed Critical 수원시
Priority to KR1020150044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1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04H7/18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개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면에 접착 및 체결 고정된 라이닝 패널 조립체와; 상기 내부면에 다수 형성된 원형시공홈 내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삽입홈에 설치된 쐐기앵커와; 중앙에는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공의 주위에 다수의 제2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시공홈의 내벽면에 삽입 설치된 체결고무부재와; 상기 체결고무부재의 상면 바깥 가장자리를 가압하도록 형성된 가장자리 가압부와, 상기 제1체결공의 바깥 주위를 가압하도록 형성된 중앙 가압부와, 상기 가장자리부 가압부 및 상기 중앙 가압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라이닝 패널 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체결브라켓과; 상기 중앙 가압부의 중앙에는 상기 제1체결공 및 상기 쐐기앵커에 체결되는 스크루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제2체결공 및 상기 원형시공홈 내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체결되도록 상기 라이닝 패널 조립체의 배면에 스폿 용접된 다수의 콘크리트 못이 삽입되되, 무작위로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2삽입공이 형성된 체결브라켓과; 상기 내부면에 50㎛ 두께로 에폭시 수지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형성된 프라이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3~5mm 두께로 에폭시수지 페인트가 도포되어 형성된 에폭시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에폭시 도장층;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STRUCTURE OF WATERPROOF LINING FOR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OF BUILD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시공이 쉽고 내구성이 개선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용량의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는 대부분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각 측면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이 소정 크기의 물 수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면은 물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데, 콘크리트의 경우 내수성과 내부식성이 약해 장기간 사용할 경우 쉽게 침식 및 부식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밀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면에 예컨대, 에폭시를 도장하여 내수성과 내부식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밀성을 강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에폭시 도장의 경우 자주 벗겨지게 되어 주기적인 재도장 작업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물탱크의 유지보수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하며, 에폭시 도장을 훼손된 상태로 그대로 둘 경우에는 물탱크 내부면에 이끼나 슬러지가 부착됨에 따라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질이 저하된다.
도 1 및 도 2에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면 라이닝 시공방법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인 기초부재(10)의 표면에 보강부재인 부직포(20)를 대고 못(60a)과 와셔(60b)를 이용하여 부직포(20)가 기초부재(10)에 고정되도록 체결하고, 고정된 부직포(20) 위에 폴리우레아(50)를 분사한다.
그리고 상기 폴리우레아(50)를 상온에서 20~30초 자연 건조하여 고착되게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인 기초부재(10)의 표면에 원뿔대 형상의 플라스틱콘(30)을 못(60a)과 와셔(60b)를 이용하여 고정 체결하고, 상기 플라스틱콘(30) 위에 플라스틱 필름(40)을 부착하고, 상기 플라스틱 필름(40) 위에 폴리우레아(50)를 분사한다.
이와 같이 부직포(20) 또는 플라스틱콘(30)을 보강한 폴리우레아 방수공법은, 부직포(20) 또는 플라스틱콘(30)을 기초부재(10)에 밀착 고정시키고, 여기에 폴리우레아(50)를 분사 코팅하는 방수공법은, 이음새 없는 일체형의 방수막을 제공한다.
따라서, 내구성 증대와 보수, 보강을 위한 유지관리비의 절감효과, 또한 공기의 단축을 가져와 공사비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부직포 및 플라스틱콘을 보강한 폴리우레아 방수공법은 등록특허 제10-0408010호(2003. 11. 20.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위 등록특허의 부직포 및 플라스틱콘(30)을 보강한 폴리우레아 방수공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부직포(20)를 기초부재(10) 표면에 놓고 일정 간격마다 못(60a)으로 고정은 하나, 상기 못(60a) 사이의 부직포(20)는 기초부재(10)의 표면에 밀착하기 어려워 들뜨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폴리우레아(50)의 부착력이 떨어져 폴리우레아(50)가 기초부재(10)로부터 이탈된다.
그리고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플라스틱콘(30)의 구조상 플라스틱 필름(40)과 폴리우레아(50)가 플라스틱콘(30)에 밀착되기 어려워, 결국 플라스틱 필름(40) 및 폴리우레아(50)의 부착력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방수 라이닝 구조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방수 라이닝 구조가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면에 접착 및 체결 고정된 라이닝 패널 조립체와; 상기 내부면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 형성된 원형시공홈 내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삽입홈에 설치된 쐐기앵커와; 중앙에는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공의 주위에 다수의 제2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시공홈의 내벽면에 삽입 설치된 체결고무부재와; 상기체결고무부재 위로 상기 원형시공홈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체결고무부재의 상면 바깥 가장자리를 가압하도록 형성된 가장자리 가압부와, 상기 제1체결공의 바깥 주위를 가압하도록 형성된 중앙 가압부와, 상기 가장자리부 가압부 및 상기 중앙 가압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라이닝 패널 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체결브라켓과; 상기 중앙 가압부의 중앙에는 상기 제1체결공 및 상기 쐐기앵커에 체결되는 스크루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제2체결공 및 상기 원형시공홈 내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체결되도록 상기 라이닝 패널 조립체의 배면에 스폿 용접된 다수의 콘크리트 못이 삽입되되, 무작위로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2삽입공이 형성된 체결브라켓과; 상기 내부면에 50㎛ 두께로 에폭시 수지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형성된 프라이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3~5mm 두께로 에폭시수지 페인트가 도포되어 형성된 에폭시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에폭시 도장층;을 포함하되,
상기 라이닝 패널 조립체는, 0.2~0.6mm 두께로 이루어지고, 배면이 상기 에폭시 도장층과 일체로 접착되고, 전체면에 다수의 엠보싱이 전면으로 돌출되며 반복 형성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과;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의 배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스폿 용접되어 상기 제2삽입공 및 상기 제2체결공에 삽입 체결된 후, 상기 원형시공홈 내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상기 라이닝 패널 조립체를 체결 고정시키는 콘크리트 못과; 3~5mm 두께로 이루어진 투명체이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의 전면에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과 일체로 접착된 PE 패널;을 포함하여 되며,
그리고, 상기 에폭시 수지 프라이머는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가 5:1 무게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에폭시 수지 페인트는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가 3:1 무게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에 있어서, (a)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면에 체결고무부재와 체결브라켓이 순차적으로 삽입 및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원형시공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원형시공홈의 중앙에 쐐기앵커가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깊이로 원형삽입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원형삽입홈에 상기 쐐기앵커가 상기 원형삽입홈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원형삽입홈에 삽입 설치하는 단계와; (d) 상기 원형시공홈의 내벽면에 미리 제조한 체결고무부재를 밀착 삽입하는 단계와; (e) 상기 원형시공홈에 삽입된 상기 체결고무부재의 가장자리부 및 중앙부를 상기 체결브라켓의 가장자리 가압부와 상기 중앙 가압부로 가압하면서 상기 체결고무부재 위에 상기 체결브라켓을 상기 원형시공홈에 삽입하는 단계와; (f) 와셔를 끼운 스크루를 상기 체결브라켓의 제1삽입공, 상기 체결고무부재의 제1체결공 및 상기 쐐기앵커에 순차적으로 삽입 체결하여, 상기 원형시공홈 내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상기 체결고무부재 및 상기 체결브라켓을 고정시키는 단계와; (g) 상기 원형시공홈을 제외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면(101b)을 표면처리하는 단계와; (h) 표면처리된 상기 내부면에 에폭시수지 페인트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에폭시 도장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i) 상기 단계 (h)를 실시하고, 30~40분(min)이 경과하면, 미리 제조하여 준비한 라이닝 패널 조립체의 배면에 스폿 용접된 다수의 콘크리트 못을 상기 체결브라켓의 제2삽입공 및 상기 체결고무부재의 제2체결공에 삽입 체결한 후, 상기 원형시공홈 내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박아 고정시키고, 이와 함께 상기 라이닝 패널 조립체의 배면을 상기 에폭시 도장층에 밀착하며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h)는, (h1) 표면처리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면에 에폭시 수지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50㎛ 두께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h2)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상기 에폭시 수지 페인트를 도포하여, 3~5mm 두께의 에폭시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되며,
그리고, 상기 단계 (h1)에서, 상기 에폭시 수지 프라이머는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를 5:1 무게비로 혼합한 도료이고, 상기 단계 (h2)에서, 상기 에폭시 수지 페인트는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를 3:1 무게비로 혼합한 도료인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의 전면에 PE 패널이 접착되고, 배면에 콘크리트 못이 스폿 용접되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전체면에 걸쳐 전면으로 돌출된 엠보싱이 형성된 라이닝 패널 조립체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면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면의 도포된 에폭시 도장층에 일체로 접착되며,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못이 상기 체결고무부재 및 체결브라켓에 체결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라이닝 패널 조립체가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어 방수 라이닝 기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방수 라이닝 구조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시공 또한 쉽다.
그리고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전체면에 엠보싱이 반복 형성되어 있으므로 라이닝 패널 조립체의 강도가 향상되고, 박판의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을 사용할 수 있어 제조도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면이 매우 미려해진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폴리우레아 시공방법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콘크리트 벽체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폴리우레아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콘크리트 벽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라이닝 패널 조립체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9는 도 6의 라이닝 패널 조립체의 일부 제조공정을 나타내 보인 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의 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서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도 4의 요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4의 라이닝 패널 조립체의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부재들이 보다 명료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부재들을 축척(scale)대로 도시하지 않았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대용량의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등의 벽체(wall)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에 적용되는 것으로, 쐐기앵커(161), 체결고무부재(140), 체결브라켓(150), 와셔(163)와 스크루(162), 에폭시 도장층(110) 및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상기 쐐기앵커(16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 형성된 원형시공홈(101a) 내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삽입홈(102)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쐐기앵커(161)는, 체결고무부재(140)가 원형시공홈(101a)의 내벽면에 밀착되며 체결될 수 있도록 원형삽입홈(102)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고무부재(140)는, 원형 판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앙에는 제1체결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공(141)의 주위에 다수의 제2체결공(142)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시공홈(101a)의 내벽면에 삽입 설치된다.
특히, 상기 체결고무부재(140)의 제1체결공(141) 및 제2체결공(142)은 스크루(162) 및 후술하는 콘크리트 못(121)과 억지끼워맞춤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브라켓(150)은, 체결고무부재(140) 위로 체결고무부재(140)의 바깥 가장자리부 및 제1체결공(141)의 바깥 주위, 즉 체결고무부재(140)의 중앙부를 가압하면서 원형시공홈(101a)에 삽입 설치된다.
이러한 체결브라켓(150)은, 전체적으로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고무부재(140)의 상면 바깥 가장자리를 가압하도록 형성된 가장자리 가압부(151a)와, 체결고무부재(140)의 제1체결공(141)의 바깥 주위를 가압하도록 형성된 중앙 가압부(151b)와, 상기 가장자리부 및 중앙 가압부(151a,151b)로부터 일정 높이에 형성되어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를 지지하는 지지부(151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중앙 가압부(151b)의 중앙에는 체결고무부재(140)의 제1체결공(141) 및 쐐기앵커(161)에 체결되는 스크루(162)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15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51c)에는 체결고무부재(140)의 제2체결공(142) 및 원형시공홈(101a) 내의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체결되도록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의 배면에 스폿 용접(w)된 다수의 콘크리트 못(121)이 삽입되되, 무작위로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2삽입공(153)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브라켓(150)은 적절한 강도 또는 내구성이 유지되고,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0.8~1.2mm 두께의 스틸(Fe) 플레이트를 프레스 성형하여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원형시공홈(101a), 체결브라켓(150) 및 체결고무부재(140)가 원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시공이 쉽고, 강도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체결력 향상을 위해 와셔(163)가 끼워지는 스크루(162)는, 체결브라켓(150)의 제1삽입공(152)과 체결고무부재(140)의 제1체결공(141)에 삽입된 후, 쐐기앵커(161)에 고정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에폭시 도장층(110)은, 상기 원형시공홈(101a)을 제외한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에 후술하는 에폭시수지 페인트(110a)가 그 위에 적절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표면처리된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에 50㎛ 두께로 에폭시 수지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형성된 프라이머층(111)과, 이 프라이머층(111) 위에 3~5mm 두께로 에폭시수지 페인트(110a)가 도포되어 형성된 에폭시 수지층(1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폭시 수지 프라이머는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를 5:1 무게비로 예컨대, 동력교반기에 의해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에폭시 수지 페인트(110a)는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를 3:1 무게비로 동력교반기에 의해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는,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과, 다수개의 콘크리트 못(121)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이하 PE라 함) 패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은, 0.2~0.6mm 두께로 이루어지고, 배면이 에폭시 도장층(110)과 일체로 접착되고, 전체면에 다수의 엠보싱(122,123)이 전면(前面)으로 돌출되며 반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엠보싱(122,12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모양이며, 세로 및 가로로 교호적으로 형성되되, 상하좌우로 반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엠보싱(122,12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eh)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ew)이 좁은 'S'자 형태로 이루어지되, 3~5개의 세로 엠보싱(122)과, 3~5개의 가로 엠보싱(123)이 교호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 및 배치로 엠보싱(122,123)을 형성함으로써,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의 강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에폭시 도장층(110)과 일체로 접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의 전체면에 상기와 같은 형태 및 배치로 엠보싱(122,12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을 0.2mm 두께로 하여도,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은 엠보싱(122,123)이 형성되지 않은 기존의 0.8mm 두께의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과 유사한 강도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의 두께를 0.2mm 이하로 하는 경우, 경제성은 있을 수 있으나, 원하는 강도를 구현하기 어렵고, 취급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의 두께를 0.6mm 이상으로 하는 경우, 강도는 향상시킬 수 있으나, 경제성이 떨어지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속 공정으로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를 제조하기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못(121)은,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의 배면(背面)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스폿 용접(w)되어 체결브라켓(150)의 제2삽입공(153) 및 체결고무부재(140)의 제2체결공(142)에 삽입 체결된 후, 원형시공홈(101a) 내의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를 체결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PE 패널(130)은,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의 전면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체이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의 전면에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과 일체로 접착된다.
이러한 PE 패널(130)은 3~5mm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경제성이나, 방수 라이닝 기능 및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과의 접착력을 위해 바람직하다.
즉, 상기 PE 패널(130)의 두께를 3mm 이하로 하면, 경제성은 있으나, 내구성이나 떨어져 방수 라이닝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
그리고 상기 PE 패널(130)의 두께를 5mm 이상으로 하면, 내구성은 좋아지나, 경제성이 떨어지고, 더욱이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과의 접착력을 떨어뜨린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에 대한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고무부재(140)와 체결브라켓(150)이 순차적으로 삽입 및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원형시공홈(101a)을 일정 간격 및 깊이로 형성한다.(단계 510)
상기 원형시공홈(101a)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길이(ℓ)는 300mm 간격마다, 세로 길이(h)는 400mm 간격마다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의 총 가로 길이(L)는 약 900mm이고, 총 세로 길이(H)는 약 1,200mm이기 때문이며, 이러한 면적을 갖는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를 상기한 간격으로 체결 고정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며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한 면적을 갖는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를 가장 경제적이며 효과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시공홈(101a)의 직경(d)은 100~11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고무부재(140)의 직경도 100~110mm로 형성되고, 체결브라켓(150)의 직경은 95~105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원형시공홈(101a)의 중앙에 쐐기앵커(161)를 삽입하기 위한 원형삽입홈(102)을 형성하되, 쐐기앵커(161)가 삽입되어 원형삽입홈(102)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깊이로 원형삽입홈(102)을 형성한다.(단계 520)
상기 원형시공홈(101a)과 원형삽입홈(102)은 예컨대, 드릴 작업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원형삽입홈(102)에 쐐기앵커(161)를 삽입하되, 체결고무부재(140)가 원형시공홈(101a)의 내벽면에 밀착되며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쐐기앵커(161)가 원형삽입홈(102)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원형삽입홈(102)에 삽입 설치한다.(단계 530)
또한 상기 원형시공홈(101a)의 내벽면에 미리 제조한 체결고무부재(140)를 밀착 삽입한다.(단계 540)
이어서, 상기 원형시공홈(101a)에 삽입된 체결고무부재(140)의 가장자리부 및 중앙부를 체결브라켓(150)의 가장자리 가압부(151a)와 중앙 가압부(151b)로 가압하면서 체결고무부재(140) 위에 체결브라켓(150)을 원형시공홈(101a)에 삽입한다.(단계 550)
이러한 체결브라켓(150)은 프레스 금형에 0.8~1.2mm 두께의 스틸 플레이트를 공급하고, 상기 프레스 금형에 의해 블랭킹, 벤딩 및 펀칭의 연속 가공을 통해 제조된다.
또한 와셔(163)를 끼운 스크루(162)를 체결브라켓(150)의 제1삽입공(152), 체결고무부재(140)의 제1체결공(141) 및 쐐기앵커(161)에 순차적으로 삽입 체결하여, 원형시공홈(101a) 내의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체결고무부재(140) 및 체결브라켓(150)을 고정시킨다.(단계 560)
상기 단계 560에서, 상기 체결고무부재(140)의 제1체결공(141) 및 제2체결공(142)이 스크루(162) 및 콘크리트 못(121)과 억지끼워맞춤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고무로 이루어진 체결고무부재(140)의 소재 특성상 스크루(162) 및 콘크리트 못(121)이 체결고무부재(140)에 체결된 이후에는 강제로 빼지 않는 이상 절대 빠지지 않는다.
그리고 후술하는 에폭시 도장층(110)이 적절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시공홈(101a)을 제외한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을 표면처리한다.(단계 570)
상기 단계 570의 표면처리는,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에 부착된 유분이나 오물 등을 세척하여 제거하거나,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이 평탄하게 이루어지도록 돌출부를 예컨대, 그라인더로 제거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의 표면구배를 최소화하는 하며,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수분을 예컨대, 온풍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공정이다.
이렇게 표면처리된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에 에폭시수지 페인트(110a)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에폭시 도장층(110)을 형성한다.(단계 580)
상기 단계 58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처리된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에 에폭시 수지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50㎛ 두께의 프라이머층(111)을 형성한다.(단계 581)
상기 단계 581에서, 에폭시 수지 프라이머는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를 5:1 무게비로 예컨대, 동력교반기에 투입한 후 혼합한 도료로, 스프레이 또는 롤러 방식으로 도포한다.
그리고 상기 프라이머층(111)의 두께가 50㎛ 이하이면,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의 내부로 에폭시 수지 프라이머가 침투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111)의 두께가 50㎛ 이상이면, 후속하는 에폭시 수지 페인트(110a)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경제성이 떨어진다.
이어서, 일정 시간(약 4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프라이머층(111) 위에 에폭시 수지 페인트(110a)를 도포하여, 3~5mm 두께의 에폭시 수지층(112)을 형성한다.(단계 583)
상기 단계 583에서, 상기 에폭시 수지 페인트(110a)는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를 3:1 무게비로 예컨대, 동력교반기에 투입한 후 혼합한 도료로, 주걱이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을 표면처리한다고 해도, 현실적으로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평탄 수직면으로 작업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표면처리 후에도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에 돌출 부위가 남아 있기 때문에, 상기 에폭시 수지층(112)을 3mm 이하의 두께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와의 접착력을 떨어뜨리게 된다.
반면, 상기 에폭시 수지층(112)을 5mm 이상의 두께로 두껍게 형성하는 경우, 비용이 상승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상기 에폭시 수지층(112)을 3~5mm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하고,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과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와의 접착이 매우 양호하게 된다.
다른 한편, 상기 에폭시 수지 페인트(110a)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하는 경우에는, 에어리스 스프레이 건(201)으로 실시하고, 상기 에어리스 스프레이 건(201)을 50~60㎝/sec로 이송하며 도포 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에어리스 스프레이 건(201)에는 공기저장탱크 압력이 항상 8㎏/㎠ 이상을 유지할 수 있는 에어 컴프레서(미도시)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에어리스 스프레이 건(201)의 분사압력은 15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스프레이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583에서, 에폭시 수지 페인트(110a)가 처음 혼합한 상태의 점도가 유지되고, 작업 중 적정시간에 경화되기 위해서는 대기온도는 10~35℃, 상대습도는 80% 이하로 유지되는 것이 도포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단계 583을 실시하고, 30~40분(min)이 경과한 후 바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제조하여 준비한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의 배면에 스폿 용접된 다수의 콘크리트 못(121)을 상기 체결브라켓(150)의 제2삽입공(153) 및 체결고무부재(140)의 제2체결공(142)에 삽입 체결한 후, 원형시공홈(101a) 내의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박아 고정시키고, 이와 함께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의 배면을 에폭시 도장층(110)에 밀착하며 접착시킨다.(단계 590)
상기 단계 59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상기 580 단계대로 실시하여 에폭시 도장층(110)을 형성하고, 약 30~40분(min)이 경과하면, 에폭시 도장층(110)은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과,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의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과의 접착력이 가장 우수한 상태로 경화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못(121)이 고정된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의 전면을 고무망치로 콘크리트 못(121)이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체결 고정될 수 있는 정도의 힘으로 타격한다.
즉, 상기 콘크리트 못(121)을 체결브라켓(150)의 제2삽입공(153) 및 체결고무부재(140)의 제2체결공(142)에 삽입한 후 콘크리트 못(121)의 전방 위치의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의 전면을 고무망치로 타격하여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를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에 고정시킨다.
이와 함께 콘크리트 못(121)의 전방을 제외한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 전체면을 고르게 고무망치로 타격하여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의 배면이 에폭시 도장층(110)에 접착되도록 한다.
이때에는 도 4의 부분 상세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엠보싱(122,123)에 의해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의 배면에 형성된 엠보싱 홈으로도 에폭시 도장층(110)이 삽입되어 완전 경화됨으로써,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가 에폭시 도장층(110)이 일체가 되며 접착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 590단계의 실시로,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를 콘크리트 못(121)으로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에 체결 고정할 수 있고, 동시에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를 에폭시 도장층(110)에 접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는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미리 제조된다.
도 9에는 도 6의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의 일부 제조공정을 나타내 보인 공정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제1인출롤러(301)에 권취된 0.2~0.6mm 두께의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120a)를 인출하고, 인출된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120a)를 히터(401) 내로 통과시켜 약 120℃로 가열한다.(단계 610)
상기 단계 610에서, 0.2mm 이하 두께의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를 사용하면 원하는 강도를 구현할 수 없고, 0.6mm 이상 두께의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를 사용하면 경제성이 없고 롤러 공정에 의한 제조가 용이하지 않다.
이어서, 제2인출롤러(302)에 권취된 3~5mm 두께의 PE 시트(130a)를 인출하고, 가열된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120a)와 함께 가압롤러(304)에 통과시켜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120a)의 전면(前面)에 PE 시트(130a)를 접착시킨다.(단계 620)
상기 단계 620에서, 3mm 이하의 PE 시트를 사용하면, 내구성이 떨어져 방수 라이닝 기능을 구현하기 어렵다.
그리고 5mm 이상의 PE 시트를 사용하면, 내구성은 양호하나, 경제성이 떨어지고,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120a)와의 접착력을 떨어뜨린다.
이어서,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120a)의 전면에 접착된 PE 시트(130a)를 엠보싱 성형기(402)에 투입시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120a)의 전면 쪽으로 돌출되게 엠보싱(122,123)을 형성시킨다.(단계 630)
또한 상기 PE 시트(130a)가 접착된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120a)를 커팅기(403)를 이용하여 전술한 크기로 커팅하여, 일체로 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과 PE 패널(130)을 형성한다.(단계 640)
그리고 일정 크기로 커팅된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의 배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콘크리트 못(121)을 스폿 용접(w)하여 고정시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를 제조한다.(단계 650)
상기한 바와 같은 시공방법을 실시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가 구현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예컨대, 대용량의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의 벽체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에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가 접착 및 체결 고정되고, 특히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의 전면을 투명체의 PE 패널(130)이 접착되어 있으므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의 전면이 보여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이 미려하다.
그리고 상기 엠보싱(122,123) 성형에 의해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의 강도가 증대되고, 두께가 얇은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120a)를 사용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비용도 절감시 킬 수 있으며,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의 전체면에 엠보싱(122,123)이 성형되어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이 더욱 더 미려하다.
또한 상기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의 안쪽에 에폭시 도장층(110)이 적절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어, 에폭시 도장층(110)에 의해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를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에 접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폭시 도장층(110)에 접착된 상태에서도 다수개의 콘크리트 못(121)으로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를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고정하기 때문에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의 고정력이 매우 우수하다.
특히, 상기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를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고정시, 체결고무부재(140)를 이용하기 때문에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의 체결 고정력이 향상된다.
즉,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 체결시 스크루(162) 및 콘크리트 못(121)이 체결고무부재(140)의 제1,2체결공(141,142)에 쉽게 삽입이 되나, 체결고무부재(140)가 고무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삽입된 스크루(162) 및 콘크리트 못(121)을 강제로 빼지 않는 한, 체결고무부재(140)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의 체결력이 더욱 증대되어,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가 콘크리트 구조물(101)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다.
그리고 상기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는 물론이고, 체결고무부재(140) 및 체결브라켓(150)을 미리 제조하여 시공에 투입하기 때문에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라이닝 패널 조립체
101. 콘크리트 구조물
101a. 원형시공홈
110. 에폭시 도장층
120.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121. 콘크리트 못
130. PE 패널
140. 체결고무부재
150. 체결브라켓
161. 쐐기앵커
162. 스크루

Claims (7)

  1.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에 접착 및 체결 고정된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와;
    상기 내부면(101b)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 형성된 원형시공홈(101a) 내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삽입홈(102)에 설치된 쐐기앵커(161)와;
    중앙에는 제1체결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공(141)의 주위에 다수의 제2체결공(142)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시공홈(101a)의 내벽면에 삽입 설치된 체결고무부재(140)와;
    상기체결고무부재(140) 위로 상기 원형시공홈(101a)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체결고무부재(140)의 상면 바깥 가장자리를 가압하도록 형성된 가장자리 가압부(151a)와, 상기 제1체결공(141)의 바깥 주위를 가압하도록 형성된 중앙 가압부(151b)와, 상기 가장자리부 가압부(151a) 및 상기 중앙 가압부(151b)로부터 일정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를 지지하는 지지부(151c)로 이루어진 체결브라켓(150)과;
    상기 중앙 가압부(151b)의 중앙에는 상기 제1체결공(141) 및 상기 쐐기앵커(161)에 체결되는 스크루(162)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15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51c)에는 상기 제2체결공(142) 및 상기 원형시공홈(101a) 내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체결되도록 상기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의 배면에 스폿 용접(w)된 다수의 콘크리트 못(121)이 삽입되되, 무작위로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2삽입공(153)이 형성된 체결브라켓(150)과;
    상기 내부면(101b)에 50㎛ 두께로 에폭시 수지 프라이머가 도포되어 형성된 프라이머층(111)과, 상기 프라이머층(111) 위에 3~5mm 두께로 에폭시수지 페인트(110a)가 도포되어 형성된 에폭시 수지층(112)으로 이루어진 에폭시 도장층(110);을 포함하되,
    상기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는,
    0.2~0.6mm 두께로 이루어지고, 배면이 상기 에폭시 도장층(110)과 일체로 접착되고, 전체면에 다수의 엠보싱(122,123)이 전면으로 돌출되며 반복 형성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과;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의 배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스폿 용접(w)되어 상기 제2삽입공(153) 및 상기 제2체결공(142)에 삽입 체결된 후, 상기 원형시공홈(101a) 내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상기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를 체결 고정시키는 콘크리트 못(121)과;
    3~5mm 두께로 이루어진 투명체이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의 전면에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120)과 일체로 접착된 PE 패널(130);을 포함하여 되며,
    그리고, 상기 에폭시 수지 프라이머는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가 5:1 무게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에폭시 수지 페인트(110a)는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가 3:1 무게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122,123)은, 높이(eh)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ew)이 좁은 'S'자 형태로 이루어지되, 3~5개의 세로 엠보싱(122)과, 3~5개의 가로 엠보싱(123)이 교호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공(141) 및 상기 제2체결공(142)은 상기 스크루 및 상기 콘크리트 못과 억지끼워맞춤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
  4.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에 있어서,
    (a)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에 체결고무부재(140)와 체결브라켓(150)이 순차적으로 삽입 및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원형시공홈(101a)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원형시공홈(101a)의 중앙에 쐐기앵커(161)가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깊이로 원형삽입홈(102)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원형삽입홈(102)에 상기 쐐기앵커(161)가 상기 원형삽입홈(102)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원형삽입홈(102)에 삽입 설치하는 단계와;
    (d) 상기 원형시공홈(101a)의 내벽면에 미리 제조한 체결고무부재(140)를 밀착 삽입하는 단계와;
    (e) 상기 원형시공홈(101a)에 삽입된 상기 체결고무부재(140)의 가장자리부 및 중앙부를 상기 체결브라켓(150)의 가장자리 가압부(151a)와 상기 중앙 가압부(151b)로 가압하면서 상기 체결고무부재(140) 위에 상기 체결브라켓(150)을 상기 원형시공홈(101a)에 삽입하는 단계와;
    (f) 와셔(163)를 끼운 스크루(162)를 상기 체결브라켓(150)의 제1삽입공(152), 상기 체결고무부재(140)의 제1체결공(141) 및 상기 쐐기앵커(161)에 순차적으로 삽입 체결하여, 상기 원형시공홈(101a) 내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상기 체결고무부재(140) 및 상기 체결브라켓(150)을 고정시키는 단계와;
    (g) 상기 원형시공홈(101a)을 제외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을 표면처리하는 단계와;
    (h) 표면처리된 상기 내부면(101b)에 에폭시수지 페인트(110a)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에폭시 도장층(110)을 형성하는 단계와;
    (i) 상기 단계 (h)를 실시하고, 30~40분(min)이 경과하면, 미리 제조하여 준비한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의 배면에 스폿 용접된 다수의 콘크리트 못(121)을 상기 체결브라켓(150)의 제2삽입공(153) 및 상기 체결고무부재(140)의 제2체결공(142)에 삽입 체결한 후, 상기 원형시공홈(101a) 내의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박아 고정시키고, 이와 함께 상기 라이닝 패널 조립체(100)의 배면을 상기 에폭시 도장층(110)에 밀착하며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h)는,
    (h1) 표면처리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내부면(101b)에 에폭시 수지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50㎛ 두께의 프라이머층(111)을 형성하는 단계와;
    (h2)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프라이머층(111) 위에 상기 에폭시 수지 페인트(110a)를 도포하여, 3~5mm 두께의 에폭시 수지층(112)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되며,
    그리고, 상기 단계 (h1)에서, 상기 에폭시 수지 프라이머는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를 5:1 무게비로 혼합한 도료이고,
    상기 단계 (h2)에서, 상기 에폭시 수지 페인트(110a)는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를 3:1 무게비로 혼합한 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h2)에서, 상기 에폭시 수지 페인트(110a)는 에어리스 스프레이 건(201)으로 도포하고,
    상기 에어리스 스프레이 건(201)을 50~60㎝/sec로 이송하며 도포 작업을 실시하며,
    상기 에어리스 스프레이 건(201)의 분사압력은 150㎏/㎠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시공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시공홈(101a)은 가로 길이(ℓ)는 300mm 간격마다, 세로 길이(h)는 400mm 간격마다 형성하고,
    상기 원형시공홈(101a)의 직경(d)은 100~110mm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시공방법.
  7. 삭제
KR1020150044508A 2015-03-30 2015-03-30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36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508A KR101536986B1 (ko) 2015-03-30 2015-03-30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508A KR101536986B1 (ko) 2015-03-30 2015-03-30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986B1 true KR101536986B1 (ko) 2015-07-15

Family

ID=53793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508A KR101536986B1 (ko) 2015-03-30 2015-03-30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9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331B1 (ko) 2016-06-10 2017-09-29 (주)재인비엔피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16832A (ko) * 2016-08-08 2018-02-20 이월남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849257B1 (ko) * 2017-11-09 2018-04-16 송석환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CN109305488A (zh) * 2017-08-09 2019-02-0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单层埋地油罐改造用间隙层及双层埋地油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515A (ko) * 2007-07-30 2009-02-04 이남서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구조
KR100927316B1 (ko) * 2009-07-23 2009-11-18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저수조 설치용 항균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저수조 방수공법
KR101366801B1 (ko) * 2013-12-06 2014-02-26 서영석 폴리에틸렌 수지가 접착된 금속 패널 제조장치
KR20150014090A (ko) * 2013-07-29 2015-02-06 (주)한성피.엔.씨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515A (ko) * 2007-07-30 2009-02-04 이남서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구조
KR100927316B1 (ko) * 2009-07-23 2009-11-18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저수조 설치용 항균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저수조 방수공법
KR20150014090A (ko) * 2013-07-29 2015-02-06 (주)한성피.엔.씨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연결구
KR101366801B1 (ko) * 2013-12-06 2014-02-26 서영석 폴리에틸렌 수지가 접착된 금속 패널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331B1 (ko) 2016-06-10 2017-09-29 (주)재인비엔피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16832A (ko) * 2016-08-08 2018-02-20 이월남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 패널 및 그 시공방법
CN109305488A (zh) * 2017-08-09 2019-02-0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单层埋地油罐改造用间隙层及双层埋地油罐
KR101849257B1 (ko) * 2017-11-09 2018-04-16 송석환 수압지지력 및 내진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정수장 및 물 저장시설의 라이닝용 패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986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39383B1 (ko) 외단열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시공방법
CN112352084B (zh) 型框单元及混凝土结构物施工方法
JP3333625B2 (ja) 床面施工法
JP2002364095A (ja) 外断熱工法
KR20050078841A (ko) 섬유메시 유공박막강판 일방향섬유 복합패널 및 상기 복합패널의 제조법과 시공법
AU671591B2 (en) A shuttering panel, contact lay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shuttering panels
KR102247690B1 (ko)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공법 및 이의 방수구조
KR102380382B1 (ko) 탄소섬유패널을 이용한 수영장 수조와 그 시공방법
US5419656A (en) Pool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JP2002220886A (ja) タイル張り外断熱工法
JPH0313443B2 (ko)
WO2015089509A1 (en) Drywall patch systems, structures, and methods
JP2024000158A (ja) 取付用金具の固定方法
KR101672303B1 (ko) 전단균열이 발생되기 전 보강재를 상기 구조물에 설치하는 보강재를 이용한 구조물
JPH0781409B2 (ja) 剥落防止用ネットを用いた外壁補修工法
KR101048104B1 (ko)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 코팅 라이닝 시공방법
JP2772919B2 (ja) コンクリート造躯体による水槽等の耐蝕施工方法及び耐蝕パネル並びに型枠装置
KR20110116302A (ko)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JP2004239036A (ja) 発泡合成樹脂板による塀構築法
KR200334329Y1 (ko) 마감재와 받침보드와 단열재가 부착된 복합 샌드위치패널
JP6092807B2 (ja) 防水施工用防水シートの貼付け方法
JP3017445B2 (ja) 土木建築用押え板
JP3215689B2 (ja) モルタル施工方法及びモルタル層構造
JP2022053003A (ja) 型枠ユニット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