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331B1 -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331B1
KR101783331B1 KR1020160072726A KR20160072726A KR101783331B1 KR 101783331 B1 KR101783331 B1 KR 101783331B1 KR 1020160072726 A KR1020160072726 A KR 1020160072726A KR 20160072726 A KR20160072726 A KR 20160072726A KR 101783331 B1 KR101783331 B1 KR 101783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stone powder
concrete
water tank
concret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
Original Assignee
(주)재인비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인비엔피 filed Critical (주)재인비엔피
Priority to KR1020160072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 B05B12/087Flow or presssure regulators, i.e. non-electric unitary devices comprising a sensing element, e.g. a piston or a membrane, and a controlling element, e.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04H7/18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물탱크 내부의 콘크리트 벽체에 방수층이 밀착하며 도포되도록 하기 위해 개선된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도용 2액형 페인트와 상도용 2액형 페인트가 순차적으로 도포되어,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에 방수가 이루어지게 하는 방수페인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도용 2액형 페인트는, (A) 하도용 에폭시 페인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정 크기 및 형태로 이루어진 제1돌가루 20~3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하도용 페인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B) 준비된 상기 하도용 페인트, 경화제 및 희석제를 5 : 1~1.5 : 0~0.25의 부피비로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되, 상기 제1돌가루는 4개의 삼각면을 가진 삼각뿔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돌가루의 상기 삼각뿔의 높이는 30~40㎛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 및 그 제조방법{PAINTING METHOD FOR WATERPROOF PAINT ON CONCRETE WALL FOR CONCRETE WATER TANK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WATERPROOF PAINT FOR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물탱크 내부의 콘크리트 벽체에 방수층이 밀착하며 도포되도록 하기 위해 개선된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이 다량의 용수를 소비하는 집단시설물에 설비되는 대형 물탱크는 주로 콘크리트를 소재로 하여 견고하게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물탱크의 콘크리트 내벽 부분 단면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벽체(10)에는 콘크리트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로부터 콘크리트 벽체(10)를 보호하고, 상기 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라이닝 또는 마감재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30)과 PE 패널(40)이 순차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30)과 PE 패널(40)은 통상 일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콘크리트 벽체(10)에 소정의 체결수단(미도시) 예컨대, 앵커볼트가 이용되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30)과 PE 패널(40)이 콘크리트 벽체(10)에 체결되기 전에 콘크리트 벽체(10) 내부면에는 방수용 페인트가 도포된 방수층(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방수용 페인트는 에폭시 페인트가 주로 사용되며, 이 에폭시 페인트는 통상 에폭시 수지에 변성수지(아크릴, 에스텔, 석유, 지방산)를 합성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콘크리트 물탱크는 방수, 내수압성 및 내부식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콘크리트 물탱크의 구조의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1212987호(2012. 12. 11. 등록)의 PE 수지가 융착된 스테인리스 물탱크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방수용 페인트는 페인트 내의 조성물간 결합력이 떨어져 콘크리트 벽체(10)에 밀착되며 도포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방수층(20)이 콘크리트 물탱크 내부의 높은 수압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면, 콘크리트 벽체(10)로부터 방수층(20)이 쉽게 이탈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방수층(20) 위에 밀착 고정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30)도 방수층(20)에 밀착되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상기 방수층(20)의 페인트 조성물간 결합력이 떨어져 수축되거나, 방수층(20)과 콘크리트 벽체(10)와의 밀착력이 떨어져 콘크리트 벽체(10)로부터 탈락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30)이 방수층(20) 위에 밀착되지 못하여,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30)에 들뜸 현상이 생기고, 결국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30)과 방수층 사이에 틈새가 생긴다.
상기한 틈새에 의해 방수층(20) 표면에 응축수가 발생되며, 이 응축수가 부패되어 콘크리트 물탱크 내에 저장된 물을 오염시킨다.
더욱이 상기한 틈새와 콘크리트 물탱크 내에 저장된 물의 지속적인 수압에 의해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30)이 콘크리트 벽체(10)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따라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30)을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종래의 방수층(20)은 강도가 떨어지고, 방수층(20)의 방수 페인트는 페인트 조성물간 결합력이 떨어져,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이탈되거나 부스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상기 방수층(20)의 문제가 생긴 콘크리트 물탱크의 사진이고, 도 3은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에 도포된 방수층이 들뜬 상태를 나타내 보인 실제 사진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방수층의 밀착력이 향상되도록 하고, 페인트 조성물간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한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은,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콘크리트 물탱크 내부의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표면처리하는 단계와;
(b) 하도용 에폭시 페인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정 크기 및 형태로 이루어진 제1돌가루 20~3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하도용 페인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c) 준비된 상기 하도용 페인트, 경화제 및 희석제를 5 : 1~1.5 : 0~0.25의 부피비로 균일하게 혼합한 하도용 2액형 페인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d) 상기 표면처리된 콘크리트 벽체 표면에 상기 하도용 2액형 페인트를 도포하여 소정 두께의 하도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e) 상도용 에폭시 페인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정 크기 및 형태로 이루어진 제2돌가루 30~4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상도용 페인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f) 준비된 상기 상도용 페인트, 경화제 및 희석제를 3 : 1~1.15 : 0.25~0.5의 부피비로 균일하게 혼합한 상도용 2액형 페인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g) 상기 하도 방수층 상면에 상기 상도용 2액형 페인트를 도포하여 소정 두께의 상도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도 방수층의 두께는 50~60㎛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상도 방수층의 두께는 2.0~2.5mm 두께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2돌가루는 4개의 삼각면을 가진 삼각뿔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돌가루의 상기 삼각뿔의 높이는 30~40㎛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돌가루의 상기 삼각뿔의 높이는 100~200㎛ 크기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돌가루는, 화강암을 포함하여 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제조방법은,
하도용 2액형 페인트와 상도용 2액형 페인트가 순차적으로 도포되어,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에 방수가 이루어지게 하는 방수페인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도용 2액형 페인트는,
(A) 하도용 에폭시 페인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정 크기 및 형태로 이루어진 제1돌가루 20~3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하도용 페인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B) 준비된 상기 하도용 페인트, 경화제 및 희석제를 5 : 1~1.5 : 0~0.25의 부피비로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되,
상기 제1돌가루는 4개의 삼각면을 가진 삼각뿔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돌가루의 상기 삼각뿔의 높이는 30~40㎛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페인트에 돌가루를 함유시키되, 일정 크기 및 형태로 형성시키고, 하도 방수층과 상도 방수층으로 구분하여 방수페인트를 제조하고, 이를 도포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도포 형성된 방수층이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라이닝부재가 방수층에 밀착되어 체결 고정될 수 있어, 라이닝부재가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물탱크 내의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방수층에 문제가 생긴 콘크리트 물탱크의 실제 사진.
도 3은 콘크리트 벽체에 도포된 방수층이 들뜬 상태를 나타내 보인 실제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에 의해 도장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 내부의 요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에 의해 도장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 내부의 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하도용 2액형 페인트와 상도용 2액형 페인트가 순차적으로 도포되어,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10)에 방수가 이루어지게 하는 방수페인트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이 중 하도용 2액형 페인트 제조방법을 우선 설명한다.
하도용 에폭시 페인트(예컨대, 모델명: 에폭시하도, 제조회사: 노루페인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정 크기 및 형태로 이루어진 제1돌가루(100a) 20~3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하도용 페인트를 준비한다.(단계 210)
이어서, 상기 단계 210에 의해 준비된 상기 하도용 페인트, 경화제(예컨대, 아민(Amine)계 경화제) 및 희석제(thinner)를 5 : 1~1.5 : 0~0.25의 부피비로 균일하게 혼합한 하도용 2액형 페인트를 제조한다.(단계 220)
특히, 하도용 2액형 페인트의 경우, 상기 희석제는 반드시 함유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경화제의 경우에는 페인트(또는 주제)의 종류에 따라 약간 다를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210의 제1돌가루(100a)는 4개의 삼각면을 가진 삼각뿔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돌가루(100a)의 삼각뿔의 높이(h1)는 30~4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도용 에폭시 페인트(예컨대, 모델명: 에폭시 상도, 제조회사: 노루페인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정 크기 및 형태로 이루어진 제2돌가루(100b) 30~4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상도 페인트를 준비한다.(단계 310)
이어서, 상기 단계 310에 의해 준비된 상기 상도 페인트, 경화제 및 희석제를 3 : 1~1.15 : 0.25~0.5의 부피비로 균일하게 혼합한 상도용 2액형 페인트를 제조한다.(단계 320)
상기 단계 310에서, 상기 제2돌가루(100b)는 4개의 삼각면을 가진 삼각뿔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돌가루(100b)의 삼각뿔의 높이(h2)는 100~2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2돌가루(100a,100b)는, 모든 종류의 자연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잘 쪼개지고 부스러지지 않아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이 가능한 화강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강함을 제1,2돌가루(100a,100b)로 가공하는 기계장비는 예컨대, 돌 분쇄기(stone crusher)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가공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하도용 및 상도용 2액형 페인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을 설명한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우선, 콘크리트 물탱크 내부의 콘크리트 벽체(10)를 표면처리한다.(단계 410)
상기 단계 410의 표면처리는, 콘크리트 벽체(10)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콘크리트 벽체(10) 시공시 돌출된 부분을 그라인더로 평탄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도용 에폭시 페인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정 크기 및 형태로 이루어진 제1돌가루(100a) 20~3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하도용 페인트를 준비한다.(단계 420)
이렇게 준비된 하도용 페인트, 경화제 및 희석제를 5 : 1~1.5 : 0~0.25의 부피비로 균일하게 혼합한 하도용 2액형 페인트를 준비한다.(단계 430)
상기 단계 420 및 430에 대해서는 이미 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 상술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단계 410에서 표면처리된 콘크리트 벽체(10) 표면에 상기 단계 430에서 준비한 하도용 2액형 페인트를 도포하여 소정 두께의 하도 방수층(110)을 형성한다.(단계 440)
상기 단계 440에서, 상기 하도 방수층(110)의 두께는 50~60㎛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도 방수층(110)이 도포된 후, 하도 방수층(110)이 적절하게 경화가 되었다고 판단이 되면, 상도용 에폭시 페인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정 크기 및 형태로 이루어진 제2돌가루(100b) 30~4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상도용 페인트를 준비한다.(단계 450)
이렇게 준비된 상기 상도용 페인트, 경화제 및 희석제를 3 : 1~1.15 : 0.25~0.5의 부피비로 균일하게 혼합한 상도용 2액형 페인트를 준비한다.(단계 460)
이어서, 경화가 된 하도 방수층(110) 상면에 상기 단계 460에서 준비한 상도용 2액형 페인트를 도포하여 소정 두께의 상도 방수층(120)을 형성한다.(단계 470)
상기 단계 470에서, 상기 상도 방수층(120)의 두께는 2.0~2.5mm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돌가루(100a,100b)는 4개의 삼각면을 가진 삼각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돌가루(100a)의 삼각뿔의 높이(h1)는 30~40㎛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돌가루(100b)의 삼각뿔의 높이(h2)는 100~200㎛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2돌가루(100a,100b)는 화강암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도용 및 상도용 2액형 페인트의 도포 작업은, 에어리스 스프레이건을 통해 이루어지되, 이 에어리스 스프레이건은 도장면과의 간격을 25~35cm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한 간격이, 25cm 이하이면 상기 하도용 및 상도용 2액형 페인트가 작업자에게 되튀길 수 있고, 35cm 이상이면 상기 하도용 및 상도용 2액형 페인트의 도포면에 밀착하여 도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에어리스 스프레이건의 이송속도는 40~50cm/sec이며, 분사압력은 160~200kg/㎠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한 이송속도가, 40cm/sec 이하이면 작업성이 떨어지고, 50cm/sec 이상이면 상기 하도용 및 상도용 2액형 페인트가 일정한 도포 두께로 도포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한 분사압력이 160kg/㎠ 이하이거나 200kg/㎠ 이상이면, 하도용 및 상도용 2액형 페인트가 도포면에 제대로 밀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하도용 및 상도용 2액형 페인트에 제1,2돌가루(100a,100b)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일정 거리와 시간, 그리고 고압으로 상기 하도용 및 상도용 2액형 페인트를 분사하여야만 작업성이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도포면에 밀착하여 도포 또는 적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붓이나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하도용 및 상도용 2액형 페인트를 도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10)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 및 그 제조방법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10) 내부에 하도 방수층(110) 및 상도 방수층(120)으로 구분하여 형성하되, 상기 하도 방수층(110) 및 상도 방수층(120)을 형성하는 하도용 2액형 페인트에는 및 상도용 2액형 페인트에 각각 제1,2돌가루(100a,100b)를 함유시켜 하도 방수층(110) 및 상도 방수층(120)을 형성하였다.
특히, 상기 제1돌가루(100a)의 경우, 30~40㎛의 크기의 돌가루를 사용하고, 제2돌가루(100b)는 100~200㎛의 크기의 돌가루를 사용하되, 상기 제1,2돌가루(100a,100b)가 4개의 삼각면을 가진 삼각뿔 형태로 이루어진 돌가루를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2돌가루(100a,100b)는 하도 방수층(110) 및 상도 방수층(120) 내에서 하도용 2액형 페인트 및 상도용 2액형 페인트의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더욱이, 상기 하도 방수층(110)에서 제1돌가루(100a)의 일부는 제1돌가루(100a)의 삼각뿔의 각 모서리가 콘크리트 벽체(10)의 콘크리트에 침투하여 콘크리트 벽체(10)와 일체가 된다.
그리고 제1돌가루(100a)의 다른 일부는 하도용 2액형 페인트와 혼합된 상태로 콘크리트 벽체(10) 면에 밀착 부착된다. 이때, 상기 제1돌가루(100a)에 형성된 각 삼각면이 콘크리트 벽체(10)에 밀착되면서 부착되므로, 하도 방수층(110)은 콘크리트 벽체(10)와 일체가 되면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도 방수층(120)의 제2돌가루(100b)의 일부는, 제1돌가루(100a)와 마찬가지로, 상도용 2액형 페인트와 혼합된 상태로 상기 하도 방수층(110) 상면에 밀착 부착된다. 이때, 상기 제2돌가루(100b)에 형성된 각 삼각면이 하도 방수층(110) 상면에 밀착되면서 부착되므로, 상도 방수층(120)은 하도 방수층(110)과 일체가 되면서 형성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도 방수층(120)의 상면에는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30)과 PE 패널(40)이 통상 일체로 이루어진 라이닝부재가 밀착하며 앵커볼트(200)가 이용되어 콘크리트 벽체(10)에 체결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 체결된 라이닝부재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높은 수압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0)에서 이탈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에 따라 라이닝부재의 재시공이 발생하고, 콘크리트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오염을 시킨다.
그런데, 본 발명과 같이 상도 방수층(120)에 함유된 제2돌가루(100b)가 도 1과 같은 기존의 방수층(20, 참조)과는 달리, 라이닝부재가 콘크리트 벽체(10) 쪽으로 밀리면 제2돌가루(100b)에 의해 상도 방수층(120)은 콘크리트 벽체(10) 쪽으로 밀리지 않고 반대로 라이닝부재를 바깥으로 밀어 올린다.
더욱이, 상기 상도 방수층(120)은 제2돌가루(100b)에 의해 라이닝부재가 체결되면 와셔의 역할(또는 기능)을 한다. 즉,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30)이 상도 방수층(120)에 밀착되면, 제2돌가루(100b)가 함유된 상도 방수층(120)은 스크루에 끼워지거나 볼트와 너트 사이에 끼워져 스크루나 볼트 또는 너트가 풀리지 않는 역할을 하는 와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도 방수층(120)의 상면에서 앵커볼트(200)에 의해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30)이 콘크리트 벽체(10)에 체결 고정되면, 제2돌가루(100b)는 상도 방수층(120) 전체면에 걸쳐 미세한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30)의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상도 방수층(120)은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30)에 대해 와셔 역할을 하여, 콘크리트 물탱크 내부의 높은 수압을 고르게 분산시키고, 콘크리트 물탱크 내부의 저장된 물에 의해 라이닝부재에 작용하는 진동을 흡수한다.
따라서 상기 하도 방수층(110) 및 상도 방수층(120)이 형성된 후 콘크리트 벽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방수에 유리하고,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벽체(10)의 내구성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고,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30)을 포함한 라이닝부재가 콘크리트 물탱크 내의 높은 수압에 견딜 수 있어 콘크리트 벽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콘크리트 물탱크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도 방수층(110) 및 상도 방수층(120) 내에 함유된 제1,2돌가루(100a,100b)로 인해 하도 방수층(110) 및 상도 방수층(120)의 강도가 증가되어 앵커볼트(200)의 체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
다음의 표 1과 같이 하도용 2액형 페인트를 준비하여, 도포하고, 하도 방수층을 형성하였다.
하도용 에폭시 페인트 100중량부에 대한 제1돌가루 혼합량(중량부) 하도용 페인트:경화제:희석제 혼합비(부피비) 하도방수층 두께(㎛) 하도방수층의 도포 상태
(양호 여부 판단)
15 5 : 1 : 0.2 0.5 x
25 o
35 x
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하도용 에폭시 페인트에 제1돌가루 함량을 다르게 하여 하도용 2액형 페인트를 제조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도포하였다.
그리고 하도 방수층이 경화된 후, 도포 상태를 각각 비교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제1돌가루의 함량 비율에 따른 하도 방수층의 콘크리트 벽체로의 밀착력 및 침투력을 비교해 보았다.
제1돌가루가 15중량부와 35중량부 함량의 경우에는 25중량부 함량에 비해 밀착력 및 침투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졌다.
상기한 밀착력과 침투력 시험은 경화된 하도 방수층을 금속재 갈고리를 이용하여 긁힘 상태를 확인한 것으로 즉, 콘크리트 벽체에 하도용 2액형 페인트가 밀착 및 침투한 정도를 확인한 것이다.
그리고 다음의 표 2와 같이 상도용 2액형 페인트를 준비하여, 도포하고, 상도 방수층을 형성하였다.
상도용 에폭시 페인트 100중량부에 대한 제2돌가루 혼합량(중량부) 상도용 페인트:경화제:희석제 혼합비(부피비) 상도방수층 두께(㎛) 상도방수층의 도포 상태
(양호 여부 판단)
25 3 : 1 : 0.5 2.5 x
35 o
45 x
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도용 에폭시 페인트에 제2돌가루 함량을 다르게 하여 상도용 2액형 페인트를 제조하여, 하도 방수층 위에 도포하였다.
그리고 상도 방수층이 경화된 후, 도포 상태를 각각 비교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제2돌가루의 함량 비율에 따른 상도 방수층의 하도 방수층과의 밀착력 및 침투력을 비교해 보았다.
제2돌가루가 25중량부와 45중량부 함량의 경우에는 35중량부 함량에 비해 밀착력 및 침투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졌다.
즉, 상기한 밀착력과 침투력 시험은 경화된 상도 방수층을 금속재 갈고리를 이용하여 긁힘 시험을 하여, 상도 방수층이 긁히는 상태로 상도 방수층이 하도 방수층에 밀착 및 침투된 정도를 확인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콘크리트 벽체
30. 스테인리스 스틸 패널
40. PE 패널
100a. 제1돌가루
100b. 제2돌가루
110. 하도 방수층
120. 상도 방수층

Claims (7)

  1.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콘크리트 물탱크 내부의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표면처리하는 단계와;
    (b) 하도용 에폭시 페인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정 크기 및 형태로 이루어진 제1돌가루 20~3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하도용 페인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c) 준비된 상기 하도용 페인트, 경화제 및 희석제를 5 : 1~1.5 : 0~0.25의 부피비로 균일하게 혼합한 하도용 2액형 페인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d) 상기 표면처리된 콘크리트 벽체 표면에 상기 하도용 2액형 페인트를 도포하여 소정 두께의 하도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e) 상도용 에폭시 페인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정 크기 및 형태로 이루어진 제2돌가루 30~4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상도용 페인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f) 준비된 상기 상도용 페인트, 경화제 및 희석제를 3 : 1~1.15 : 0.25~0.5의 부피비로 균일하게 혼합한 상도용 2액형 페인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g) 상기 하도 방수층 상면에 상기 상도용 2액형 페인트를 도포하여 소정 두께의 상도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도 방수층의 두께는 50~60㎛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상도 방수층의 두께는 2.0~2.5mm 두께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2돌가루는 4개의 삼각면을 가진 삼각뿔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돌가루의 상기 삼각뿔의 높이는 30~40㎛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돌가루의 상기 삼각뿔의 높이는 100~200㎛ 크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돌가루는, 화강암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용 및 상도용 2액형 페인트의 도포 작업은,
    에어리스 스프레이건을 통해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리스 스프레이건은 도장면과의 간격을 25~35cm를 균일하게 유지하며, 상기 에어리스 스프레이건의 이송속도는 40~50cm/sec이며, 상기 에어리스 스프레이건의 분사압력은 160~200kg/㎠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
  4. 하도용 2액형 페인트와 상도용 2액형 페인트가 순차적으로 도포되어,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에 방수가 이루어지게 하는 방수페인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도용 2액형 페인트는,
    (A) 하도용 에폭시 페인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정 크기 및 형태로 이루어진 제1돌가루 20~3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하도용 페인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B) 준비된 상기 하도용 페인트, 경화제 및 희석제를 5 : 1~1.5 : 0~0.25의 부피비로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되,
    상기 제1돌가루는 4개의 삼각면을 가진 삼각뿔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돌가루의 상기 삼각뿔의 높이는 30~40㎛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상도용 2액형 페인트는,
    (C) 상도용 에폭시 페인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정 크기 및 형태로 이루어진 제2돌가루 30~4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상도용 페인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D) 준비된 상기 상도용 페인트, 경화제 및 희석제를 3 : 1~1.15 : 0.25~0.5의 부피비로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되,
    상기 제2돌가루는 4개의 삼각면을 가진 삼각뿔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돌가루의 상기 삼각뿔의 높이는 100~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가루는, 화강암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제조방법.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가루는, 화강암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제조방법.
KR1020160072726A 2016-06-10 2016-06-10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 및 그 제조방법 KR101783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726A KR101783331B1 (ko) 2016-06-10 2016-06-10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726A KR101783331B1 (ko) 2016-06-10 2016-06-10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331B1 true KR101783331B1 (ko) 2017-09-29

Family

ID=60035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726A KR101783331B1 (ko) 2016-06-10 2016-06-10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3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458B1 (ko) 2013-09-12 2014-02-28 (주)에코트래픽 차선 폭을 일정하게 도색 할 수 있는 차선 도색 장치 및 방법
KR101393616B1 (ko) 2013-12-02 2014-05-12 대보페인트 주식회사 건축물 외장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방법
KR101536986B1 (ko) 2015-03-30 2015-07-15 수원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55902B1 (ko) * 2015-05-04 2015-10-13 주식회사 로하스기술 폴리우레아 하이코트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 코팅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458B1 (ko) 2013-09-12 2014-02-28 (주)에코트래픽 차선 폭을 일정하게 도색 할 수 있는 차선 도색 장치 및 방법
KR101393616B1 (ko) 2013-12-02 2014-05-12 대보페인트 주식회사 건축물 외장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방법
KR101536986B1 (ko) 2015-03-30 2015-07-15 수원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라이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55902B1 (ko) * 2015-05-04 2015-10-13 주식회사 로하스기술 폴리우레아 하이코트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 코팅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524693A5 (ko)
KR101566859B1 (ko) 자가치유 성능을 가진 중방식 도장재 및 이를 이용한 도포방법
EP3368620B1 (en) Polyurethane coating composition
CN101434806A (zh) 钢铁支撑架防腐粉末涂料
CN110899071A (zh) 一种甲板表面耐碾压涂层的施工方法
KR101783331B1 (ko) 콘크리트 물탱크의 콘크리트 벽체의 방수페인트 도장방법 및 그 제조방법
KR101927280B1 (ko) 금속 용사 방법
US9481012B2 (en) Method of filling voids around countersunk fastener heads
CN102294860A (zh) 一种无溶剂液体环氧耐磨涂料
CN207959291U (zh) 地下室桩头防水密封结构
CN105710011A (zh) 一种隧道构件表面防腐处理工艺
CN205676407U (zh) 防盐雾的舰载无人飞行器回收装置
KR101703947B1 (ko) 무기질 바닥 강화재 조성물을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EP1033440B1 (de) Flüssigkeitsdichter Bodenbela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JPH06330460A (ja) 合成樹脂を主剤とした混合組成物溶液による不透過膜シート及びその成型工法
CA2994348C (en) Coated concrete body
JP2002239452A (ja) 塗床層の形成方法
KR102383644B1 (ko)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
KR102654588B1 (ko) 두꺼운 금속 제품에 대한 분체 도장 방법
DE3014164C2 (de) Verfahren zum Auftragen einer strukturintegrierten Metall- oder Keramikschicht auf einen nichtmetallischen oder andersmetallischen Gegenstand
EP1033353B1 (de) Elektrisch leitfähiger Bodenbela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JP2960623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対する成形された仕上げ材の設置工法
CN110484068A (zh) 一种在塑料与五金混合件上的涂料及其喷涂方法
WO2008070540A3 (en) Sprayable thixotropic polymer decorative coating material
JP2979776B2 (ja) セメント硬化体の表面塗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