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6302A -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6302A
KR20110116302A KR1020100035647A KR20100035647A KR20110116302A KR 20110116302 A KR20110116302 A KR 20110116302A KR 1020100035647 A KR1020100035647 A KR 1020100035647A KR 20100035647 A KR20100035647 A KR 20100035647A KR 20110116302 A KR20110116302 A KR 20110116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one plate
reinforcing
plate
pane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4208B1 (ko
Inventor
장강
Original Assignee
장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강 filed Critical 장강
Priority to KR1020100035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208B1/ko
Publication of KR20110116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는,
벽체 장착 고정되는 석재판을 이용한 벽체마감패널에 있어서;
석재판의 밑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석재판을 받쳐 지지하는 보강프레임틀과;
상기 보강프레임틀의 전면에 일체로 접착 고정되는 석재판;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는,
석재판의 밑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석재판을 받쳐 지지하는 보강프레임틀과;
상기 보강프레임틀과 석재판과의 사이에 일체로 접착 고정되는 중간보강판과;
상기 중간보강판의 전면에 일체로 접착 고정되는 석재판;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강프레임틀의 상면에 석재판을 접착하여 일체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고, 더불어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사각금속관을 이용하여 장방형(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 설치 장소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된 보강프레임틀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보강프레임틀의 전면에 접착 고정되는 중간보강판도 설치 장소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프레임틀 또는 중간보강판의 전면에 접척 고정되는 석재판도 설치 장소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석재판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의 전체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환경파괴를 줄이면서 친환경적으로 제조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보강프레임틀의 외면에서 대향 면에 결속수단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줌으로서 용이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고, 보강프레임틀의 전면 또는 배면에 보강철심을 매설하여 보강프레임틀의 강도를 강화시키고 보강프레임틀이 뒤틀리거나 하는 것과 같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강도가 강화되고 변형이 방지되는 보강프레임틀의 외면에 석재판을 접착하여 형성하여 줌으로서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의 미감과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더욱 다양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A Wall Panel Assembly}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에 부착 설치하여 벽체를 장식 마감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벽체마감패널은, 장방형(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프레임틀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틀의 전면에 중간보강판을 고정시키며, 상기 중간보강판의 외면(전면)에 마감패널을 부착 고정하여서 된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보강프레임틀의 외면에서 대향 면에 결속수단을 형성하여 줌으로서 용이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고, 보강프레임틀의 전면 또는 배면에 보강철심을 매설하여 보강프레임틀의 강도를 강화시키고 보강프레임틀이 뒤틀리거나 하는 것과 같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와 같이 강도가 강화되고 변형이 방지되는 보강프레임틀의 외면에 석재판을 접착하여 형성하여 줌으로서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의 미감과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더욱 다양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있어 외부 노출되는 벽체(외벽 및 내벽)의 경우 그 벽체를 미려하게 장식하기 위하여 벽체(외벽 및 내벽)의 표면에 마감 공사를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벽체 마감 공사에 있어 다양한 방식이 알려져 실시되고 있다.
근자에는 천연석재 또는 인조석, 금속판재, 합성수지판재, 나무판 등과 같이 일정한 크기(사각 패널)의 형태로 형성된 마감용 패널을 건축물의 벽체에 연속적으로 부착하는 벽체 마감 방식이 시공의 간편성과 능률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널리 행해지고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건축용 마감 패널의 부착 시공에 있어서, 기존에는 콘크리트와 같은 벽체 표면에 시멘트 모르타르 등을 도포한 후 마감 패널을 압착(혹은 마감 패널 후면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도포한 후 벽체 표면에 압착)하여 부착시키는 습식 시공방법을 주로 행하였으나, 근자에는 벽체에 먼저 금속제 각 파이프 등의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지지프레임의 외면에 마감패널들을 스크루에 의해 고정시키는 건식 시공방식의 활용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식시공방식에 있어 사용되는 종래의 마감 패널은 스크류를 박을 수 있도록 패널 본체의 네 측면에 띠모양의 평철을 외부측으로 돌출되게 부착하여 연결철물을 마련하고, 이와 같이 장착된 연결철물의 나사구멍을 통하여 스크류로 지지프레임에 부착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연결철물을 마감 패널 본체에 고정 설치함에 있어 평철의 형태를 갖는 연결철물이 패널 본체의 배면에서 일 측면에 접하여 부착되어 있는데(통상 에폭시 등의 접착제를 사용), 이러한 종래의 설치 방식에 따르면, 마감 패널이 설치된 이후 패널의 무게에 의한 하중이 패널 본체와 연결철물을 연결하는 접착제의 전단 저항에 의해서만 지지 되므로 패널의 자중이 무거울 경우 패널 본체가 연결철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패널을 안전하게 설치 유지하기가 어렵게 된다.
특히, 종래의 마감 패널로서는, 국내의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0-18482호(석재에 합판이 부착된 건축 내장재)ㆍ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3-90146호(천연대리석이 부착된 건축용 타일)ㆍ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6-19824호(대리석 타일의 제조방법)ㆍ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6-98544호(천연석을 이용한 타일)ㆍ특허등록 제10-782788호(대리석을 이용한 마감패널)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종래의 마감 패널은 일정한 크기로 재단된 합판 또는 타일의 표면에 천연석(대리석) 또는 백바디패널을 접착제에 의해 일체로 접착하여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타일(또는 합판)과 천연석(대리석)을 접착한 것이므로 이를 벽체에 시공하기 위해서는 타일(또는 합판)의 배면 또는 외면에 브래킷을 부착 고정(설치)하여야 하지만 타일(또는 합판)의 배면 또는 외면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브래킷을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없고, 브래킷을 부착시킬 때에 클랙이 발생하거나 하는 등 타일의 조직이 변형될 염려가 있으며, 타일의 조직이 변형(클랙 등)되면 타일의 기능이 약화되고 천연석(대리석)과의 접착력도 떨어지게 된다.
특히, 특허등록 제10-782788호의 대리석을 이용한 마감패널은 대리석의 배면에 접착되는 백바디패널의 외면에서 나란 하는 양면에 홈부와 돌출부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마감패널을 설치할 때에 인접하는 마감패널의 홈부와 돌출부를 결합시키면서 설치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홈부와 돌출부가 대리석과 접착되는 면과 일치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출부가 균일하지 않고 홈부에 삽입(결합)되어 대리석을 자극하게 되면 대리석의 접착력이 떨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대리석이 불안정하여 탈락할 염려가 있다.
또 상기와 같은 마감패널과 고정구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국내의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8-17772호의 "벽체마감용 패널"이 알려져 있다.
이는 건물의 내부 또는 외부 벽체에 연이어 부착되어 벽면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용 패널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사각 패널의 형태를 가지며 그 테두리 면에 소정 깊이의 고정홈이 파여져 있는 마감패널본체; 및, 상기 마감패널본체의 배면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고정용 부재로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단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 연장된 배면수직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배면수직부의 반대방향으로 직각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공이 관통 형성된 수직플랜지와 상기 수평부의 타단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 연장된 삽입고정부를 포함하는 패널고정편;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마감패널본체를 형성하는 압축시멘트보드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고정홈이 테두리의 중앙선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중앙선상의 고정홈에 결합되는 패널고정편에 의해서는 마감본체패널의 전면에 부착(고정)되는 석재몰탈에 의해 마감패널본체의 무게중심이 고정홈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고정홈에 결합되는 패널고정편에 의해서는 마감패널본체를 효과적으로 받쳐 지지해 줄 수 없게 되고, 인접하여 설치되는 마감패널본체 끼리의 사이에는 실리콘을 주입하여 일체형으로 유지시키지만 석재몰탈을 온전하게 지지해 줄 수 없게 된다.
특히, 종래의 마감패널들은 단지 고정구를 이용하여 마감패널 하나씩을 벽체에 직접 설치하므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작업 능률)이 떨어지고, 마감패널을 벽체에 고정시킬 때에 마감패널이나 고정구의 낙하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배제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은, 벽체 장착 고정되는 석재판을 이용한 벽체마감패널에 있어서;
석재판의 밑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석재판을 받쳐 지지하는 보강프레임틀과;
상기 보강프레임틀의 전면에 일체로 접착 고정되는 석재판;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벽체 장착 고정되는 석재판을 이용한 벽체마감패널에 있어서;
석재판의 밑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석재판을 받쳐 지지하는 보강프레임틀과;
상기 보강프레임틀과 석재판과의 사이에 일체로 접착 고정되는 중간보강판과
상기 중간보강판의 전면에 일체로 접착 고정되는 석재판;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방형(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 설치 장소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된 보강프레임틀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보강프레임틀의 전면에 접착 고정되는 중간보강판도 설치 장소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프레임틀 또는 중간보강판의 전면에 접착 고정되는 석재판도 설치 장소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형성할 수 있도록 된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석재판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의 전체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환경파괴를 줄이면서 친환경적으로 제조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된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강프레임틀의 외면에서 대향 면에 결속수단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줌으로서 용이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고, 보강프레임틀의 전면 또는 배면에 보강철심을 매설하여 보강프레임틀의 강도를 강화시키고 보강프레임틀이 뒤틀리거나 하는 것과 같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와 같이 강도가 강화되고 변형이 방지되는 보강프레임틀의 외면에 석재판을 접착하여 형성하여 줌으로서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의 미감과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더욱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벽체 장착 고정되는 석재판을 이용한 벽체마감패널에 있어서;
석재판의 밑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석재판을 받쳐 지지하는 보강프레임틀과;
상기 보강프레임틀의 전면에 일체로 접착 고정되는 석재판;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벽체 장착 고정되는 석재판을 이용한 벽체마감패널에 있어서;
석재판의 밑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석재판을 받쳐 지지하는 보강프레임틀과;
상기 보강프레임틀과 석재판과의 사이에 일체로 접착 고정되는 중간보강판과
상기 중간보강판의 전면에 일체로 접착 고정되는 석재판;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에 이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는,
벽체 장착 고정되는 석재판을 이용한 벽체마감패널에 있어서;
석재판의 밑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석재판을 받쳐 지지하는 보강프레임틀과;
상기 보강프레임틀의 전면에 일체로 접착 고정되는 석재판;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는,
석재판의 밑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석재판을 받쳐 지지하는 보강프레임틀과;
상기 보강프레임틀과 석재판과의 사이에 일체로 접착 고정되는 중간보강판과;
상기 중간보강판의 전면에 일체로 접착 고정되는 석재판;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강프레임틀의 상면에 석재판을 접착하여 일체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고, 더불어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장방형(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 설치 장소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된 보강프레임틀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보강프레임틀의 전면에 접착 고정되는 중간보강판도 설치 장소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프레임틀 또는 중간보강판의 전면에 접척 고정되는 석재판도 설치 장소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석재판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의 전체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환경파괴를 줄이면서 친환경적으로 제조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보강프레임틀의 외면에서 대향 면에 결속수단을 형성하여 줌으로서 용이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고, 보강프레임틀의 전면 또는 배면에 보강철심을 매설하여 보강프레임틀의 강도를 강화시키고 보강프레임틀이 뒤틀리거나 하는 것과 같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와 같이 강도가 강화되고 변형이 방지되는 보강프레임틀의 외면에 석재판을 접착하여 형성하여 줌으로서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의 미감과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더욱 다양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는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실시 예를 변형시킨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 예시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1-1, 1-2, 1-3, 1-4)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1)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1)를 약간 변형시킨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2)를 보인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3)(1-4)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1-1, 1-2, 1-3, 1-4)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1)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석재판(10)의 밑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상기 석재판(10)을 받쳐 지지하도록 보강프레임틀(30)을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보강프레임틀(30)은 가로대(31)로서 상단바(31-1)와 하단바(31-2)를 상하로 이격시키고, 좌우의 세로대(32)로서 좌측세로대(32-1)와 우측세로대(32-2)를 좌우로 이격시켜 단부를 서로 일체로 연결하여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하였고, 그 내부에 가로대(31)로서 하나 이상의 중간지지대(33)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형성하였다.
상기 보강프레임틀(30)은 가로가 600 ~ 1000mm 이고 세로가 2500 ~ 3500mm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합성수지(PVC), 알루미늄(A/L), 스틸(S/T), 목재(자작나무, 합판 등)중에서 어느 하나로 형성하였다.
상기 보강프레임틀(30)을 형성하는 각 가로대(31)와 세로대(32)는 단면으로 보아 가로 세로 15 ~ 50T(mm)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또 상기 보강프레임틀(30)의 상하 좌우의 대향 면에는 결속수단으로서, 요부(35)를 형성하여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1)을 연속적으로 접속하여 설치할 때에 인접하는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1)끼리의 요부(35) 사이에 결합수단을 개입시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보강프레임틀(30)의 전면에 요홈을 형성하고 그 요홈에 보강철심(36)을 매입 설치하거나, 또는 보강프레임틀(30)의 전면에 보강철심(36)을 강제로 매설하여, 보강프레임틀(30)의 강도를 강화시키고 뒤틀리거나 하는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보강철심(36)은 직선형 또는 파형으로 형성한 것을 들 수 있으며, 철판/알루미늄판/플라스틱판/목재판 중에서 어느 하나로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보강프레임틀(30)의 전면에는 석재판(10)을 에폭시와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일체로 접착하여 고정하였다.
상기 석재판(10)은 강화대리석/인조대리석/원석/타일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였다.
상기 석재판(10)이 강화대리석, 인조대리석, 원석 중에서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두께를 2T(2mm)이상으로 유지시키고, 자기타일인 경우에는 4T(4mm)이상으로 유지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1)는 보강프레임틀(30)의 전면에 매설되었던 보강철심(36)을 보강프레임틀(30)의 배면에 매설하였으며, 이것 외에는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1)와 동일하게 형성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2)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2)에서 보강프레임틀(30)과 석재판(10)은 도 1a 및 도 1b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1)의 보강프레임틀(30) 및 석재판(10)과 보강철심(36)을 동일하게 형성하였으며, 따라서 이들 보강프레임틀(30)과 석재판(10) 및 보강철심(36)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보강프레임틀(30)과 석재판(10)과의 사이에서 에폭시와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일체로 접착되는 중간보강판(20)은 유리섬유질판, CRC보드, 합판, 기포콘크리트 중에서 어느 하나로 형성하였고, 두께는 3T(3mm)이상으로 형성하여 중간보강판의 기능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유지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2)에서 보강프레임틀(30)의 내측에 경량기포콘크리트(40)를 일체형으로 형성(충진)하여 주게 되면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2)의 강도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3)(1-4)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3)(1-4)는 도 1a 및 도 1b와 도 2a 및 도 2b와 도 3a 및 도 3b의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1)(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틀(30)에 석재판(10)을 직접 접착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보강프레임틀(30)과 중간보강판(20) 및 석재판(10)을 접착하여 형성하되, 상기 보강프레임틀(30)의 외면에 측면석재판(11)을 에폭시와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일체로 접착하여 고정하였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3)(1-4)에서 보강프레임틀(30)과 중간보강판(20) 및 석재판(10)은 도 1a 및 도 1b와 도 2a 및 도 2b와 도 3a 및 도 3b의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1)(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보강프레임틀(30)과 중간보강판(20) 및 석재판(10)과 동일하게 형성하였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1)(1-2)(1-3)(1-4)의 설치 상태 즉, 설치방법을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1)(1-2)(1-3)(1-4)은 매우 간단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1)(1-2)(1-3)(1-4)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벽체 즉, 콘크리트옹벽에 직접 설치하여 건물 외벽을 마감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1)(1-2)(1-3)(1-4)를 형성하는 보강프레임틀(30)에는 대체로 "ㄴ"형으로 형성된 고정앵글(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일정한 간격 또는 소정 위치에 용접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1)(1-2)(1-3)(1-4)의 보강프레임틀(30)에 고정된 고정앵글를 통상의 고정앵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옹벽과 같은 설치 장소에 고정시켜 줌으로서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1)(1-2)(1-3)(1-4)를 설치할 때에 상하 좌우의 대향 면에 형성된 결속수단의 요부(35)와 요부(35)와의 사이에 접속 브래킷(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끼워 서로 결합시키면서 설치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1-1)(1-2)(1-3)(1-4)를 더욱 견실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 벽체마감패널어셈블리 10: 석재판 11: 측면석재판
20: 중간보강판 30: 보강프레임틀 31: 가로대
32: 세로대 35: 요부 36: 보강철심
40: 경량기포콘크리트 50: 접착제

Claims (11)

  1. 벽체 장착 고정되는 석재판을 이용한 벽체마감패널에 있어서;
    석재판의 밑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석재판을 받쳐 지지하는 보강프레임틀과;
    상기 보강프레임틀의 전면에 일체로 접착 고정되는 석재판;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2. 벽체 장착 고정되는 석재판을 이용한 벽체마감패널에 있어서;
    석재판의 밑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석재판을 받쳐 지지하는 보강프레임틀과;
    상기 보강프레임틀과 석재판과의 사이에 일체로 접착 고정되는 중간보강판과
    상기 중간보강판의 전면에 일체로 접착 고정되는 석재판;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보강프레임틀 또는 중간보강판의 전면에 일체로 접척 고정되는 석재판은;
    강화대리석, 인조대리석, 원석, 타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사각금속관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보강프레임틀은;
    합성수지(PVC), 알루미늄(A/L), 스틸(S/T), 목재 중에서 어느 하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석재판의 밑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석재판을 받쳐 지지하는 보강프레임틀은;
    상하 좌우 면에 요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석재판의 밑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석재판을 받쳐 지지하는 보강프레임틀은;
    상기 보강프레임틀의 내부에 경량기포큰크리트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석재판의 밑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석재판을 받쳐 지지하는 보강프레임틀은;
    상기 보강프레임틀의 외면에 측면석재판을 접착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보강프레임틀의 목재는 자작나무, 합판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9. 청구항 2에 있어서, 보강프레임틀과 석재판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보강판은;
    유리섬유질판, CRC보드, 합판, 기포콘크리트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보강프레임틀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보강철심판을 매입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보강프레임틀의 내면 또는 외면에 매설되는 보강철심판은;
    철판/알루미늄판/플라스틱판/목재판 중에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KR1020100035647A 2010-04-19 2010-04-19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KR101204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647A KR101204208B1 (ko) 2010-04-19 2010-04-19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647A KR101204208B1 (ko) 2010-04-19 2010-04-19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302A true KR20110116302A (ko) 2011-10-26
KR101204208B1 KR101204208B1 (ko) 2012-11-26

Family

ID=45030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647A KR101204208B1 (ko) 2010-04-19 2010-04-19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2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934B1 (ko) 2017-02-08 2017-06-12 신용활 외장패널 고정 프레임
KR102446755B1 (ko) 2021-07-30 2022-09-26 써니사이드(주) 착탈식 합성보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2679A (ja) * 1998-05-26 1999-1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カウンターの構造
KR200248553Y1 (ko) * 1999-03-30 2001-10-31 박혁구 사무용 책상의 상판
KR100832099B1 (ko) 2007-11-23 2008-05-27 박종영 강도 보강용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208B1 (ko) 2012-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969B1 (ko) 건식 마감이 용이한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벽 건식 단열 시공 방법
KR20140049413A (ko) 벽체 외장설비
KR100906297B1 (ko) 인조대리석을 체결수단으로 사용하는 조립식 불연패널
KR20090111738A (ko) 조립식 벽판넬 구조
KR101204208B1 (ko)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KR101011782B1 (ko) 알루미늄 플러스몰딩 및 시공방법
KR101310889B1 (ko) 건축용 외장패널의 연결구조
KR20110043113A (ko) 벽체마감패널과 고정설치브래킷 및 상기 고정설치브래킷을 이용한 벽체마감패널의 설치방법
KR100832039B1 (ko) 강화유리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KR101069943B1 (ko) 습식 시공용 알루미늄 복합 패널
KR101204126B1 (ko) 주방 및 건가구용 석재상판
KR100845245B1 (ko) 건물외장용 패널의 시공방법
KR20130087162A (ko) 콘크리트 벽면의 단열재 및 마감재 시공구조
KR20090003818U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219093B1 (ko) 마감용 벽체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193547B1 (ko) 건식 및 습식 시공이 가능한 에스엠씨 쪽매식 대리석
CN211313162U (zh) 一种改进轻型干挂墙板结构
KR200463279Y1 (ko) 가구용 석재문짝
CN211286367U (zh) 一种轻型干挂墙板结构
KR200368320Y1 (ko) 압출성형 인방
KR20080017772A (ko) 벽체 마감용 패널
CN113250396A (zh) 快装岩板结构
KR101316927B1 (ko) 박리방지용 타일 어셈블리
CN108086547B (zh) 一种石材幕墙组合挂件
KR20110059937A (ko) 건축용 외벽 마감재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