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738A - 조립식 벽판넬 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벽판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738A
KR20090111738A KR1020080074109A KR20080074109A KR20090111738A KR 20090111738 A KR20090111738 A KR 20090111738A KR 1020080074109 A KR1020080074109 A KR 1020080074109A KR 20080074109 A KR20080074109 A KR 20080074109A KR 20090111738 A KR20090111738 A KR 20090111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nel
panel unit
bracket
support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2409B1 (ko
Inventor
류창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보철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보철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보철강
Priority to KR1020080074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409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being achieved without any restraining forces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벽판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벽판넬유니트가 횡으로 결합되어지면서 상기 벽판넬유니트의 하단은 베이스부재에 끼워지고, 상기 벽판넬유니트의 상단은 탑부재에 끼움결합되어지되, 상기 벽판넬유니트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안치부에 안치되고, 상기 벽판넬유니트의 상단은 탑부재의 끼움부에 결합되며, 상기 벽판넬유니트의 세로방향 일측에 돌조브라켓이 결합되고, 타측에 홈조브라켓이 결합되어 상기 벽판넬유니트의 일측 돌조브라켓의 돌부가 이웃하는 다른 벽판넬유니트의 홈조브라켓의 홈부에 끼워져 조립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벽판넬의 조립 및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일측의 벽판넬유니트와 타측의 벽판넬유니트가 결합되는 부분의 강도를 높여 휘어지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벽판넬유니트의 하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벽판넬유니트, 베이스부재, 탑부재, 돌조브라켓, 돌부, 홈조브라켓, 홈부

Description

조립식 벽판넬 구조{Prefabricated wall penel 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식 벽판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닥에 고정된 베이스부재와 천정에 고정된 탑부재 사이로 세로방향 일측에는 돌조브라켓이 결합되어지며 타측에는 홈조브라켓이 결합된 벽판넬유니트가 횡방향으로 연속되게 끼워져 조립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벽판넬의 조립 및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일측의 벽판넬유니트와 타측의 벽판넬유니트가 결합되는 부분의 강도를 높여 휘어지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결합되는 부분이 자동으로 중심이 맞추어지도록 함으로써, 결합부위가 평평해 보여지도록 하여 미관을 돋보이도록 하고, 아울러 벽판넬유니트의 하부가 바닥으로 부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지게 설치되어지도록하여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벽판넬유니트가 변형되는 것을 막아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은 구조물의 내,외부를 구분짓는 기능 이외에 전체적인 하중을 지지하는 주된 기능을 갖는 외벽체 및 외벽체의 내부로 제공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기능을 갖는 내벽체 구성되어있다.
내벽체는 설계상 한번 정하게 되면 다시 바꾸기 어려운 것으로 내부공간을 바꾸려면 기존에 설치된 내벽체를 들어내어야 하고, 내벽체를 들어내는 과정에서 잘못 들어내면 구조물 자체의 내구성의 약화로 구조물이 붕괴되어지는 원인이 있었다.
이러한 원인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개실용신안 92-12252(1992.07.25호)의 조립식 칸막이용 판넬구조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판넬구조는 보강부재의 양측면에 석고보드가 결합되어 판넬몸체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판넬몸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요홈부를 형성한 요홈부재 및 돌출부를 형성한 돌출부재를 형성하여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간편하게 시공되어지도록 하였으나, 보강부재, 석고보드, 요홈부재 및 돌출부재의 내면 사이의 공간이 비어있음으로써, 무게는 가벼우나 외부의 충격에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개실용신안 94-24909 (1994.11.17호)의 조립식 건물용 판넬의 구조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판넬의 구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700)과 합판(710) 사이에 단열재(720)가 삽입되어 부착되며 그 주연사방에 브라켓(730)이 압착성형되어 판넬(740)이 형성되어지고, 판넬(740)의 일측 브라켓(750)에 요입홈(760)을 형성하며 타측 브라켓(730')에 돌조(760')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어짐으로써, 강도를 높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나, 판넬만으로는 수직으로 시공이 불가능하며 바닥이나 상부에 찬넬형태를 갖는 별도의 고정안내구를 이용하여 시공하더라도 고정안내구의 하부가 바닥에 맞대어져 못이나 나사로 관통되어 고정됨으로써, 바닥에 물이 고여있을 경우, 판넬의 하부로 스며들어 판넬에 부식 및 변형이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고, 장기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고정안내구의 상부가 벌어지게 됨에 따라 판넬이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판넬의 요입홈에 돌조가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그 사이에 간격이 발생되어지게 판넬이 들쑥 날쑥하여 미관이 낮아지게 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별도의 실리콘 고무를 이용하여 밀봉하게 됨에 따라 공정수의 증가로 인하여 작업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벽판넬의 조립 및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일측의 벽판넬유니트와 타측의 벽판넬유니트가 결합되는 부분의 강도를 높여 휘어지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결합되는 부분이 자동으로 중심이 맞추어지도록 하여 결합부위가 평평해 보여지도록 하여 미관을 돋보이도록 하고, 아울러 벽판넬유니트의 하부가 바닥으로 부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지게 설치되어지도록하여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벽판넬유니트가 변형되는 것을 막아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조립식 벽판넬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벽판넬유니트(10)가 횡으로 결합되어지면서 상기 벽판넬유니트(10)의 하단은 베이스부재(20)에 끼워지고, 상기 벽판넬유니트(10)의 상단은 탑부재(30)에 끼움결합되어지되, 상기 벽판넬유니트(10)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20)의 안치부(210)에 안치되고, 상기 벽판넬유니트(10)의 상단은 탑부재(30)의 끼움부(310)에 결합되며, 상기 벽판넬유니트(10)의 세로방향 일측에 돌조브라켓(110)이 결합되고, 타측에 홈조브라켓(120)이 결합되어 상기 벽판넬유니트(10)의 일측 돌조브라켓(110)의 돌부(111)가 이웃하는 다른 벽판넬유니트(10)의 홈조브라켓(120)의 홈부(121)에 끼워져 조립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닥에 고정된 베이스부재와 천정에 고정된 탑부재 사이로 세로방향 일측에는 돌조브라켓이 결합되어지며 타측에는 홈조브라켓이 결합된 벽판넬유니트가 횡방향으로 연속되게 끼워져 조립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벽판넬의 조립 및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작업성을 향상시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측의 벽판넬유니트와 타측의 벽판넬유니트가 결합되는 부분의 강도를 높여 휘어지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결합되는 부분이 자동으로 중심이 맞추어지도록 함으로써, 결합부위가 평평해 보여지도록 하여 미관을 돋보이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벽판넬유니트의 하부가 바닥으로 부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지게 설치되어지도록함으로써,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벽판넬유니트가 변형되는 것을 막아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판넬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판넬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판넬 구조의 종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판넬 구조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판넬 구조는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판넬유니트(10), 베이스부재(20) 및 탑부재(30)로 구성되어 바닥인 하부와 천정이 상부 사이에 벽판넬유니트(10)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설치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벽판넬유니트(10)는 소정 두께를 갖는 단열재(13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석고보드(140)가 적층되어지는 것으로 좌,우측의 가장자리는 각각 후술하는 돌조브라켓(110)과 홈조브라켓(120)에 나사(S)로 결합되어지도록 하여 들뜨거나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벽판넬유니트(10)의 좌,우측의 가장자리에 결합된 돌조브라켓(110)과 홈조브라켓(120)은 각각 벽판넬유니트(10) 및 벽판넬유니트(10)와 이웃하는 다른 벽판넬유니트(10)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 다.
이를 위해, 상기 돌조브라켓(110)은 벽판넬유니트(10)의 세로방향 일측에 수직되게 결합되어진 것으로 가운데 돌부(11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홈조브라켓(120)은 벽판넬유니트(10)의 세로방향 타측에 가운데 홈부(12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부(111)의 깊이는 홈부(121)의 깊이보다 짧게 하여 돌조브라켓(110)이 홈조브라켓(120)에 완전하게 밀착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돌부(111)와 홈부(121)가 도5의 좌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돌부(111)의 시작단의 길이(ℓ)가 홈부(121)의 시작단의 길이(ℓ') 보다 짧게 형성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돌부(111)와 홈부(121)가 각각 좁아지는 테이퍼형태를 갖도록 하여 결합되어지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그 중심이 일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벽판넬유니트(10)는 횡으로 연속되게 결합되어지면서 벽판넬유니트(10)의 하단은 베이스부재(20)에 끼워지며 상기 벽판넬유니트(10)의 상단은 탑부재(30)에 끼움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벽판넬유니트(10)의 세로방향 일측에 돌조브라켓(110)이 결합되고, 타측에 홈조브라켓(120)이 결합되어 상기 벽판넬유니트(10)의 일측 돌조브라켓(110)의 돌부(111)가 이웃하는 다른 벽판넬유니트(10)의 홈조브라켓(120)의 홈부(121)에 끼워져 조립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벽판넬유니트(10)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20)의 안치부(210)에 안치되고, 상기 벽판넬유니트(10)의 상단은 탑부재(30)의 끼움부(310)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벽판넬유니트(10)의 하단에서 상단까지의 길이는 약 2400~4000m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벽판넬유니트(10)의 두께는 약75~150m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부재(20)는 벽판넬유니트(10)의 하부를 양측방향에서 조이는 형태로 안정되게 지지함과 동시에 벽판넬유니트(10)의 하부가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지도록 하여 물이 벽판넬유니트(10)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부재(20)는 금속판재가 일체로 절곡되어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안치부(210)의 깊이(H)가 폭(W) 보다 작고, 상기 안치부(210)를 중심으로 양측에 지지부(220)(220')가 형성되어 벽판넬유니트(10)의 하중이 안치부(210)에 작용할 경우, 안치부(210)의 양측에 있는 지지부(220)(220') 및 외측지지판재(221)(221')가 내측방향 즉, 벽판넬유니트(10)의 하부 가운데를 향하여 오무려지는 형태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220)(220')의 외측지지판재(221)(221')가 상기 안치부(210)의 깊이(H) 보다 하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외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제1플랜지(230) (23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안치부(210)의 하부보다 제1플랜지(230)(230')의 하부가 길게 형성되어 바닥(800)으로부터 안치부(210)의 밑면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짐으로써, 바닥에 물이 고여있더라도 물이 안치부(210)를 통해 그 내부에 안치되어 있는 벽판넬유니트(10)로 스며들어 변형되거나 얼룩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플랜지(230)(230')는 바닥면(800)에 나사나 못(810)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탑부재(30)는 금속판재가 절곡되어 내부에 끼움부(310)가 일체로 형성되어진 것으로 상기 끼움부(310)의 상부면(311) 일측이 하향으로 절곡되어 일측지지판재(320)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지지판재(320)의 하부가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제2플랜지(330)가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플랜지(330)의 상부에는 도4의 우측 상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마감재(600)가 얹혀지도록 한 후 고정나사(610)으로 고정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끼움부(310)의 상부면(311) 타측도 하향으로 절곡되어 타측지지판재(340)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지지판재(340)가 다시 내측으로 절곡된 다음 상향으로 절곡되어 내측지지판재(350)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지지판재(350)에 의하여 지지부(360)가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부(310)의 상부면(311) 내부면으로부터 내측지지판재(350)의 상단까지의 높이(h)가 일측의 제2플랜지(330)의 높이(h')와 동일하고, 상기 탑부재(30)의 끼움부(310), 너비(w)도 상기 베이스부재(20)의 안치부(210)의 너비(W)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타측지지판재(340)가 벽판넬유니트(10)로부터 지지부(220)(220')의 길이 또는 폭만큼 돌출된 형태가 유지되어짐으로써, 외부에서 보았을 때 몰딩의 형태를 갖도록 하여 미관을 돋보일 수 있도록 하며, 내측지지판재(350)가 하부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 형태를 취하게 됨에 따라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내측지지판재(350)가 벽판넬유니트(10)에 완전하게 밀착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벽판넬유니트(10)와 이웃하는 벽판넬유니트(10)와의 틈새에는 코 오킹재(40)가 설치되어 일측의 공간으로부터 타측의 공간을 완전하게 밀폐되어지도록 하여 소음 등이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조립식 벽판넬은 먼저, 벽판넬유니트(10)가 설치되어질 바닥(800)의 상부에 베이스부재(20)의 양측에 형성된 제1플랜지(230)(230')가 맞대어지도록 한 후 나사 또는 못(810)으로 고정한 후 상기 베이스부재(20)와 대향되는 상부나 천정의 하부에 탑부재(30)의 상부면이 나사 또는 못으로 고정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베이스부재(20)의 안치부(210)에 벽판넬유니트(10)의 하부가 위치되어지도록 하며 동시에 벽판넬유니트(10)의 상부가 탑부재(30)의 끼움부(310)에 위치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밀어 슬라이드 이동되어 결합시키고, 이어 이웃하는 다른 벽판넬유니트(10)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안치부(210)와 끼움부(310)에 끼워 슬라이드 이동시킴에 따라 벽판넬유니트(10)의 일측 돌조브라켓(110)의 돌부(111)가 이웃하는 다른 벽판넬유니트(10)의 홈조브라켓(120)의 홈부(121)에 끼워져 조립되어지게 된다.
이때 벽판넬유니트(10)의 하중이 베이스부재(20)의 안치부(210)에 작용하게 됨에 따라 안치부(210)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220)(220') 및 외측지지판재(221)(221')가 가운데로 좁혀지는 형태가 됨에 따라 벽판넬유니트(10)의 하부가 조여진 상태로 유지되어지게 되고, 벽판넬유니트(10)가 안치된 안치부(210)가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지게 됨에 따라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벽판넬유니트(10)의 상부는 끼움부(310)에 끼워진 상태에서 타측지지 판재(340) 및 지지부(220)(220')의 탄성력에 의하여 내측지지판재(350)가 벽판넬유니트(10)에 밀착되어진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됨으로써, 각각의 벽판넬유니트(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치부(210)에 벽판넬유니트(10)의 하부가 위치되어지도록 하며 동시에 벽판넬유니트(10)의 상부가 탑부재(30)의 끼움부(310)에 위치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밀어 슬라이드 이동으로 결합되어지는 과정에서 돌부(111)의 깊이가 홈부(121)의 깊이보다 짧게 형성되어짐으로써, 돌조브라켓(110)이 홈조브라켓(120)에 완전하게 밀착되어질 수 있게 되고, 상기 돌부(111)와 홈부(121)가 각각 좁아지는 테이퍼형태로 인하여 홈부(121)에 돌부(111)가 결합되어지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그 중심이 일치되어짐으로써, 벽판넬유니트(10)와 이웃하는 다른 벽판넬유니트(10)의 전면 또는 후면이 평평하게 일치되어진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판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판넬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판넬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판넬 구조의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판넬 구조의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벽판넬유니트 20:베이스부재
30:탑부재 110:돌조브라켓
111:돌부 120:홈조브라켓
121:홈부 210:안치부
310:끼움부

Claims (5)

  1. 벽판넬유니트(10)가 횡으로 결합되어지면서 상기 벽판넬유니트(10)의 하단은 베이스부재(20)에 끼워지고, 상기 벽판넬유니트(10)의 상단은 탑부재(30)에 끼움결합되어지되, 상기 벽판넬유니트(10)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20)의 안치부(210)에 안치되고, 상기 벽판넬유니트(10)의 상단은 탑부재(30)의 끼움부(310)에 결합되며, 상기 벽판넬유니트(10)의 세로방향 일측에 돌조브라켓(110)이 결합되고, 타측에 홈조브라켓(120)이 결합되어 상기 벽판넬유니트(10)의 일측 돌조브라켓(110)의 돌부(111)가 이웃하는 다른 벽판넬유니트(10)의 홈조브라켓(120)의 홈부(121)에 끼워져 조립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판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판넬유니트(10)는 단열재(13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석고보드(140)가 적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판넬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20)는 금속판재가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되어지되, 안치부(210)의 깊이(H)가 폭(W) 보다 작고, 상기 안치부(210)를 중심으로 양측에 지지부(220)(22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20)(220')의 외측지지판재(221)(221')가 상기 안치부(210)의 깊이(H) 보다 하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외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제1플랜지(230)(23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판넬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부재(30)는 금속판재가 절곡되어 내부에 끼움부(31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끼움부(310)의 상부면(311) 일측이 하향으로 절곡되어 일측지지판재(320)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지지판재(320)의 하부가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제2플랜지(33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끼움부(310)의 상부면(311) 타측도 하향으로 절곡되어 타측지지판재(340)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지지판재(340)가 다시 내측으로 절곡된 다음 상향으로 절곡되어 내측지지판재(350)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지지판재(350)에 의하여 지지부(36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끼움부(310)의 상부면(311) 내부면으로부터 내측지지판재(350)의 상단까지의 높이(h)가 일측의 제2플랜지(330)의 높이(h')와 돌일하고, 상기 탑부재(30)의 끼움부 너비(w)도 상기 베이스부재(20)의 안치부(210)의 너비(W)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판넬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판넬유니트(10)와 이웃하는 벽판넬유니트(10)와의 틈새에는 코오킹재(40)가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판넬 구조.
KR1020080074109A 2008-07-29 2008-07-29 조립식 벽판넬 구조 KR100952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109A KR100952409B1 (ko) 2008-07-29 2008-07-29 조립식 벽판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109A KR100952409B1 (ko) 2008-07-29 2008-07-29 조립식 벽판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738A true KR20090111738A (ko) 2009-10-27
KR100952409B1 KR100952409B1 (ko) 2010-04-14

Family

ID=41539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109A KR100952409B1 (ko) 2008-07-29 2008-07-29 조립식 벽판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40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535B1 (ko) * 2013-05-02 2013-08-05 윤희택 수직지지력이 보강된 내력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7003145A1 (ko) * 2015-07-02 2017-01-05 전순복 진공 단열재 설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
CN107709678A (zh) * 2015-07-02 2018-02-16 全顺福 真空绝热材料设置组件及利用其的真空绝热材料设置方法
CN107724562A (zh) * 2017-10-25 2018-02-23 孟婷婷 轻质高强防震墙安装结构及安装方法
KR20180043723A (ko) * 2017-06-12 2018-04-30 (주)계림건축사사무소 탈부착식 패널 어셈블리
CN108625473A (zh) * 2018-06-29 2018-10-09 扬州市康宇实业有限公司 一种节能模块建筑装饰一体化房屋系统
CN110093987A (zh) * 2018-01-30 2019-08-06 司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墙板连接结构
CN112814208A (zh) * 2020-12-31 2021-05-18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悬挂装置的卡卧式墙体及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061A (ko) * 2003-01-21 2004-07-30 김헌규 파티션 조립체
KR200367715Y1 (ko) * 2004-08-21 2004-11-15 박종성 마그네슘을 주원료로 한 벽체 패널 구조체
KR100727383B1 (ko) * 2004-08-31 2007-06-12 성우기술개발(주) 조립식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KR100604411B1 (ko) * 2006-02-11 2006-07-25 김기태 복합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이중벽 칸막이의 시공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535B1 (ko) * 2013-05-02 2013-08-05 윤희택 수직지지력이 보강된 내력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7003145A1 (ko) * 2015-07-02 2017-01-05 전순복 진공 단열재 설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
CN107709678A (zh) * 2015-07-02 2018-02-16 全顺福 真空绝热材料设置组件及利用其的真空绝热材料设置方法
US10508433B2 (en) 2015-07-02 2019-12-17 Soon-Bok JEO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CN107709678B (zh) * 2015-07-02 2020-12-08 全顺福 真空绝热材料设置组件及利用其的真空绝热材料设置方法
KR20180043723A (ko) * 2017-06-12 2018-04-30 (주)계림건축사사무소 탈부착식 패널 어셈블리
CN107724562A (zh) * 2017-10-25 2018-02-23 孟婷婷 轻质高强防震墙安装结构及安装方法
CN107724562B (zh) * 2017-10-25 2020-05-26 界首市菁华科技信息咨询服务有限公司 轻质高强防震墙安装结构及安装方法
CN110093987A (zh) * 2018-01-30 2019-08-06 司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墙板连接结构
CN110093987B (zh) * 2018-01-30 2024-04-09 司空定制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墙板连接结构
CN108625473A (zh) * 2018-06-29 2018-10-09 扬州市康宇实业有限公司 一种节能模块建筑装饰一体化房屋系统
CN112814208A (zh) * 2020-12-31 2021-05-18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悬挂装置的卡卧式墙体及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2409B1 (ko) 201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409B1 (ko) 조립식 벽판넬 구조
CA2597186C (en)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0825009B1 (ko) 건축물의 목재데크판 장착 구조
KR101311682B1 (ko) Lsp 조립식 칸막이
KR200433891Y1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101310889B1 (ko) 건축용 외장패널의 연결구조
CA2722715C (en) Support bracket for anchoring overlapping cladding tiles to a wall structure
KR101616229B1 (ko) 조립식 난간
KR102299256B1 (ko)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는 우물천장 구조물
JP3759500B2 (ja) 建物の壁
KR100653138B1 (ko) 건물 인방용 절단벽돌
KR20100031310A (ko) 건물의 벽체구조물
KR101887261B1 (ko) 복합 외장패널
KR100757318B1 (ko) 문틀용 거푸집
KR200321140Y1 (ko)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
CN220620833U (zh) 一种整体浴室装饰墙板
KR101273087B1 (ko) 종벽 록킹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JP2012077574A (ja) 手摺壁および手摺壁の施工方法
KR20170053474A (ko)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
JP3125056U (ja) 枠組壁工法建築物の耐震構造及び耐震補強金具
KR101825631B1 (ko) 차음 및 단열을 겸하는 데크플레이트
KR200257131Y1 (ko) 일체형 4각 바 경량 벽체 시스템
KR20120001294U (ko) 커튼월용 프레임
KR20230107972A (ko)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립식 건물
KR200283699Y1 (ko) 문틀의 개량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