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7061A - 파티션 조립체 - Google Patents

파티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7061A
KR20040067061A KR1020030004022A KR20030004022A KR20040067061A KR 20040067061 A KR20040067061 A KR 20040067061A KR 1020030004022 A KR1020030004022 A KR 1020030004022A KR 20030004022 A KR20030004022 A KR 20030004022A KR 20040067061 A KR20040067061 A KR 20040067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artition
gear
shaft
beve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헌규
Original Assignee
김헌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규 filed Critical 김헌규
Priority to KR1020030004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7061A/ko
Publication of KR2004006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06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1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룸에 형성된 단일의 공간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파티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측방향으로 상호 배치되어 상기 룸을 구획하는 복수의 파티션부분과; 상기 룸의 천장에 마련되어 상기 각 파티션부분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각 파티션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각 파티션부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파티션로킹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일반 측벽과 마찬가지로 그 설치강도가 높으며 운반 및 분해조립이 용이해 공간의 구획용으로 널리 채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파티션 조립체{Partition assembly}
본 발명은, 파티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측벽과 마찬가지로 그 설치강도가 높으며 운반 및 분해조립이 용이해 공간의 구획용으로 널리 채용될 수 있는 파티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백화점이나 회의실 등과 같이 비교적 넓은 공간을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파티션 조립체가 사용된다. 파티션 조립체는 상호 결합되는 파티션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설치될 공간의 높이와 넓이, 폭에 따라 미리 주문제작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파티션 조립체는 그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고 상단은 천장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기립배치형이 대부분이므로, 그 설치강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분해조립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비교적 넓은 공간을 임대하여 그 내부에 여러개의 방을 구비한 사무실을 만들고자 할 경우에는 조립식 파티션 조립체를 사용하기보다는 목재로 된 측벽을 만드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목재로 측벽을 만들어 여러 개의 공간을 구비해놓을 경우, 공간을 재구획하고자 한다면, 다시 측벽을 철거하고 새로운 파티션 조립체를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철거된 측벽을 재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측벽과 마찬가지로 그 설치강도가 높으며운반 및 분해조립이 용이해 공간의 구획용으로 널리 채용될 수 있는 파티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파티션이 소정의 룸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단일의 파티션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도 2의 부분 확대 사시도로써 구동부, 종동부 및 연결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파티션 조립체가 로킹 및 로킹해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티션 조립체 10 : 파티션부분
12 : 몸체부 13,14 : 제1 및 제2측면판
15 : 상면판 16 : 하면판
17 : 로울부재 18 : 상부지지부
19 : 하부지지부 20 : 구동부
30 : 상부구동부분 40 : 하부구동부분
50 : 종동부 60 : 상부종동부분
70 : 하부종동부분 80 : 연결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룸에 형성된 단일의 공간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파티션 조립체에 있어서, 측방향으로 상호 배치되어 상기 룸을 구획하는 복수의 파티션부분과; 상기 룸의 천장에 마련되어 상기 각 파티션부분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각 파티션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각 파티션부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파티션로킹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파티션부분의 측면에는, 인접한 파티션부분끼리 상호 측방향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될 수 있도록 맞물리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단일의 파티션부분은, 몸체부와; 일단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안내부재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안내부재를 따라 이동가능한 로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파티션로킹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승강축을 가지고 상기 단일의 파티션부분의 양측면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측면에 마련되어 입력된 소정의 회전운동을 상기 각 승강축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몸체부의 이동을 구속한다.
상기 로울부재는, 상기 안내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내에서 이동가능한 로울러와, 상기 로울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승강축 중 어는 하나로부터의 직선운동을 전달받는 로울러축을 포함한다.
상기 로울부재의 로울러와 상기 안내부재에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는 높이방향을 따라 이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티션 조립체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 내에 수용되는 한편 상부구동부분과 하부구동부분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 내에 수용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상부종동부분 및 하부종동부분을 갖는 종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종동부로 옮겨주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구동부분은,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삽입부를 가지며 상기 공구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구동베벨기어와; 상기 제1구동베벨기어의 기어면에 각각 대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구동베벨기어의 회전시 동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및 제3구동베벨기어와; 상기 제2구동베벨기어에 결합되는 제1구동기어축과; 상기 제1구동기어축에 결합되는 제1기어박스와; 일단은 상기 제1기어박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그 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지지부를 통과하여 상면판에 체결되며 상기 제2구동베벨기어가 회전할 경우 상기 상부지지부와 더불어 상기 상면판을 승강이동시키는 제1승강축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구동부분은, 상기 제3구동베벨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3구동베벨기어와 동회전하는 제2구동기어축과; 상기 제2구동기어축에 결합되는 제2기어박스와; 일단은 상기 제2기어박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그 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지지부를 통과하여 하면판에체결되며 상기 제3구동베벨기어가 회전할 경우 상기 하부지지부와 더불어 상기 하면판을 승강이동시키는 제2승강축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구동기어축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연결베벨기어와; 상기 제1 및 제2연결베벨기어의 기어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연결베벨기어의 회전시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제3연결베벨기어와; 일단은 상기 제3연결베벨기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종동부에 배치되는 한편 그 말단에 결합된 제4연결베벨기어가 결합된 연결축과; 상기 제4연결베벨기어의 기어면에 대응되게 결합되는 제5 및 제6연결베벨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종동부분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5연결베벨기어에 결합되는 제1종동기어축과; 상기 제1종동기어축에 결합되는 제3기어박스와; 일단은 상기 제3기어박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그 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지지부를 통과하여 상면판에 체결되며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5연결베벨기어가 회전할 경우 상기 상부지지부와 더불어 상기 상면판을 승강이동시키는 제3승강축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종동부분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6연결베벨기어에 결합되는 제2종동기어축과; 상기 제2종동기어축에 결합되는 제4기어박스와; 일단은 상기 제4기어박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그 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지지부를 통과하여 하면판에 체결되며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6연결베벨기어가 회전할 경우 상기 하부지지부와 더불어 상기 하면판을 승강이동시키는 제4승강축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백화점이나 회의실 등과 같이 비교적 넓은 공간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파티션 조립체(1)가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티션 조립체(1)는 흔히 사무용 가구로써 주변에 널리 배포된 조립식 파티션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조립식 파티션의 경우에는 그 견고함이 떨어지고 운반 및 분해조립이 어렵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룸을 서로 다른 두 개의 공간(R1,R2)으로 구획할 경우, 나무벽이나 시멘트벽과 같이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 그 설치작업 및 해제작업이 용이한 파티션 조립체(1)를 개발하고 있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 조립체(1)는 복수의 파티션부분(1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측방향으로 상호 결합 및 결합해제될 수 있도록 측면에 서로 맞물리도록 반대로 된 요철부(13a,14a)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일측의 파티션부분(10)에 요철돌기가 형성되어 있다면 이에 접하는 다른 파티션부분(10)의 일측에는 요철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각 파티션부분(10)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룸의 천장(C)에는 각 파티션부분(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5)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부재(5)는 미리 천장(C)에 장착되며, 안내부재(5)가 장착되고 나면 각 파티션부분(10)의 상측 일부분을 안내부재(5)에 끼워 넣은 후, 안내부재(5)를 따라 각파티션부분(10)이 원하는 위치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각 파티션부분(10)은 조립과정 역시 수월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단일의 파티션부분(1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파티션부분(10)을 위치별로 살펴보면, 몸체부(12)와, 몸체부(12)의 좌우측면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측면판(13,14)과, 몸체부(12)의 상하면에 각각 결합되는 상면판(15) 및 하면판(16)을 갖는다.
몸체부(12)의 중앙영역에는 유리와 같은 투명재질 혹은, 플라스틱이나 철판과 같은 반투명의 막이 설치될 수 있도록 개구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측면판(13,14)의 노출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한 파티션부분(10)과의 요철결합을 위한 요철부(13a,14a)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12)와 상면판(15) 사이에는 상부지지부(18)가 마련되어 있으며, 몸체부(12)와 하면판(16) 사이에는 하부지지부(19)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상부지지부(18) 및 하부지지부(19)는 후술할 파티션로킹장치(미도시)를 부분적으로 상면판(15) 및 하면판(16)에 결합시키는 수단으로 이용되며, 파티션로킹장치에 의해 상부지지부(18)는 상면판(15)과 함께 이동하고, 하부지지부(19)는 하면판(16)과 함께 이동한다.
상면판(15)은 단면이 거의 "H"자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상면판(15)에는 몸체부(12)를 천장(C)에 형성된 안내부재(5)에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복수의 로울부재(17)가 장착된다.
로울부재(17)는 안내부재(5)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5a) 내에 삽입되어 한 쌍의 가이드(5a) 내에서 이동가능한 로울러(17a)와, 로울러(17a)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면판(15)을 통과한 후, 상부지지부(18)에 형성된 로울러결합부(18a)에 체결되는 로울러축(17b)을 갖는다.
로울러(17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방향을 따라 이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도록 안내부재(5)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5a) 역시 이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로울러결합부(18a)에 로울러축(17b)을 체결한 다음, 로울러(17a)를 안내부재(5)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5a) 내에 배치한 후, 몸체부(12)를 밀거나 당기면 로울러(17a)가 한 쌍의 가이드(5a) 내에서 구름이동함으로써 파티션부분(10)은 안내부재(5)를 따라 용이하게 위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만일, 파티션부분(10)이 일정한 위치로 이동한 후, 그 위치에서 고정시켜야 한다면 파티션로킹장치를 이용하면 된다. 파티션로킹장치를 이용하여 파티션부분(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는 의미는 결국 안내부재(5) 내에서 로울부재(17)가 구름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파티션로킹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들의 상호 기계적 메커니즘에 의해 상부지지부(18)를 상향 이동시켜 상면판(15)에 마련된 로울부재(17)의 로울러(17a)가 안내부재(5)의 내측 상단에 밀착되어 구름이동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하부지지부(19)는 하향 이동시켜 하면판(16)이 룸의 바닥(B)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처럼, 하면판(16)은 룸의 바닥(B)에 밀착되고 상면판(15)에 마련된 로울부재(17)가 안내부재(5) 내에서 이동할 수 없도록함으로써 파티션부분(10)은 일정한 위치에서 로킹(위치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도 2의 부분 확대 사시도로써 구동부(20), 종동부(50) 및 연결부(80)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로킹장치는, 몸체부(12)의 일측면 내에 수용되는 구동부(20)와, 몸체부(12)의 타측면 내에 수용되는 종동부(50) 및 구동부(20)의 구동력을 종동부(50)로 옮겨주는 연결부(80)를 포함한다.
구동부(2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치에 따라 상부구동부분(30)과 하부구동부분(40)으로 나뉘어 있다. 상부구동부분(30)은, 공구(25)가 삽입되는 공구삽입부(31)를 가지며, 공구(25)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구동베벨기어(32)와, 제1구동베벨기어(32)의 기어면에 각각 대향하게 배치되어 제1구동베벨기어(32)의 회전시 동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및 제3구동베벨기어(33,34)와, 제2구동베벨기어(33)에 결합되는 제1구동기어축(35)과, 제1구동기어축(35)에 결합되는 제1기어박스(36)와, 일단은 제1기어박스(36)에 결합되고 타단은 몸체부(12)의 일측면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그 단부가 상부지지부(18)를 통과하여 상면판(15)에 너트(28)로 체결되며 제2구동베벨기어(33)가 회전할 경우 상부지지부(18)와 더불어 상면판(15)을 승강이동시키는 제1승강축(37)을 갖는다. 제1 내지 제3구동베벨기어(32,33,34)는 제1브래킷부재(91) 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하부구동부분(40)은, 제3구동베벨기어(34)에 결합되어 제3구동베벨기어(34)와 동회전하는 제2구동기어축(41)과, 제2구동기어축(41)에 결합되는 제2기어박스(42)와, 일단은 제2기어박스(42)에 결합되고 타단은 몸체부(12)의 일측면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그 단부가 하부지지부(19)를 통과하여 하면판(16)에 너트(44)로 체결되며 제3구동베벨기어(34)가 회전할 경우 하부지지부(19)와 더불어 하면판(16)을 승강이동시키는 제2승강축(43)을 갖는다.
연결부(8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기어축(41)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연결베벨기어(81,82)와, 제1 및 제2연결베벨기어(81,82)의 기어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제1 및 제2연결베벨기어(81,82)의 회전시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제3연결베벨기어(83)와, 일단은 제3연결베벨기어(83)에 결합되고 타단은 종동부(50)에 배치되는 한편 그 말단에 결합된 제4연결베벨기어(84)가 결합된 연결축(87)과, 제4연결베벨기어(84)의 기어면에 대응되게 결합되는 제5 및 제6연결베벨기어(85,86)를 갖는다.
제1 내지 제3연결베벨기어(81,82,83)는 제2브래킷부재(92)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4 내지 제6연결베벨기어(84,85,86)는 제3브래킷부재(93) 내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연결축(87)을 설치하다 보면 몸체부(12)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87)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노출되는 연결축(87)을 가리기 위해 한 쌍의 가리막(95a,95b)을 더 마련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종동부(5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0)와 마찬가지로 그 위치에 따라 상부종동부분(60)과 하부종동부분(70)으로 나뉘어 있다. 상부종동부분(60)은, 연결부(80)의 제5연결베벨기어(85)에 결합되는 제1종동기어축(61)과, 제1종동기어축(61)에 결합되는 제3기어박스(62)와, 일단은 제3기어박스(62)에 결합되고 타단은 몸체부(12)의 타측면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그단부가 상부지지부(18)를 통과하여 상면판(15)에 너트(64)로 체결되며 연결부(80)의 제5연결베벨기어(85)가 회전할 경우 상부지지부(18)와 더불어 상면판(15)을 승강이동시키는 제3승강축(63)을 갖는다.
하부종동부분(70)은, 연결부(80)의 제6연결베벨기어(86)에 결합되는 제2종동기어축(71)과, 제2종동기어축(71)에 결합되는 제4기어박스(72)와, 일단은 제4기어박스(72)에 결합되고 타단은 몸체부(12)의 타측면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그 단부가 하부지지부(19)를 통과하여 하면판(16)에 너트(74)로 체결되며 연결부(80)의 제6연결베벨기어(86)가 회전할 경우 하부지지부(19)와 더불어 하면판(16)을 승강이동시키는 제4승강축(73)을 갖는다.
이에, 파티션부분(10)을 안내부재(5)를 따라 일정한 거리 이동시킨 다음, 그 위치에서 파티션부분(10)을 도 4a와 같이, 고정시키고자 한다면, 다음의 방법을 따른다.
먼저, 공구(25)를 제1구동베벨기어(32)의 공구삽입부(31)에 삽입하여 제1구동베벨기어(3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구동베벨기어(32)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2 및 제3구동베벨기어(33,34)가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구동베벨기어(33)가 회전하면, 이에 결합되어 있는 제1구동기어축(35)이 회전하게 되고, 이어 제1기어박스(36)에 의해 제1승강축(37)은 상향 이동한다. 이 때, 제1승강축(37)의 단부는 상부지지부(18)를 통해 상면판(15)에 고정되어 있는 바, 제1승강축(37)이 상승하면 상면판(15)에 마련된 로울부재(17)의 안내부재(5)에 가압되어 고정된다.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제1구동베벨기어(32)에 의해 제3구동베벨기어(34)가 회전하면, 제3구동베벨기어(34)에 결합되어 있는 제2구동기어축(41)이 회전하게 되고, 이어 제2기어박스(42)에 의해 제2승강축(43)은 하향 이동한다. 그리고는, 하면판(16)이 룸의 바닥(B)에 접촉지지됨으로써 파티션부분(10)의 일측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안내부재(5) 및 룸의 바닥(B)에 지지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및 제3구동베벨기어(33,34)가 회전할 경우, 제2구동기어축(41)에 결합된 연결부(80)의 제1 및 제2연결베벨기어(81,82) 역시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및 제2연결베벨기어(81,82)가 회전하면, 이에 맞물려 있는 제3연결베벨기어(83) 역시 회전하고, 이 회전은 연결축(87)을 통해 제4연결베벨기어(84)로 향한다.
제4연결베벨기어(84)가 회전하면, 이에 맞물려 있는 제5 및 제6연결베벨기어(85,86) 역시 회전한다. 이 때, 제5연결베벨기어(85)에는 제1종동기어축(61), 제3기어박스(62) 및 제3승강축(63)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바, 제5연결베벨기어(85)의 회전시, 제3승강축(63)은 제1승강축(37)과 마찬가지로 상향 이동하면서 상면판(15)에 마련된 로울부재(17)가 안내부재(5)의 내면에 가압지지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4연결베벨기어(84)가 회전하면, 이에 연동하여 제6연결베벨기어(86)가 회전하게 되는데, 제6연결베벨기어(86)에는, 제2종동기어축(71), 제4기어박스(72) 및 제4승강축(73)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6연결베벨기어(86)의 회전시, 제4승강축(73)은 제2승강축(43)과 마찬가지로 하향 이동하다. 따라서, 하부지지부(19)를 포함하여 하면판(16)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룸의 바닥(B)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만일, 룸을 서로 다른 두 개의 공간(R1,R2)으로 구획하지 않고 하나의 공간으로 다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공구(25)를 제1구동베벨기어(32)의 공구삽입부(31)에 삽입하여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와 반대되는 메커니즘에 의해 도 4b와 같이, 하면판(16)은 바닥(B)으로부터 이격되고, 상면판(15)에 마련된 로울부재(17)는 안내부재(5) 내에서 구름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 파티션부분(10)을 밀거나 당겨 그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두 개의 공간(R1,R2)으로 구획되었던 룸은 다시 하나의 공간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파티션 조립체(1)에 의하면, 일반 측벽과 마찬가지로 그 설치강도가 높으며 운반 및 분해조립이 용이해 공간의 구획용으로 널리 채용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보면, 가리막(95a,95b)이 몸체부(12)의 저면측으로 치우쳐 있다. 그러나, 가리막(95a,95b)은 몸체부(12)의 중앙영역에 마련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로울부재(17)의 로울러(17a)가 높이방향을 따라 이단으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일단으로 된 로울러(17a)를 채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2)에 개구부(12a)를 형성하고 있지만, 개구부(12a)가 없는 몸체부(12)일지라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몸체부(12)가 철 재질로 되면, 너무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비교적 중량이 적게 나가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하면판(16)의 저면에 별도의 높이조절가능한 푸트부재를 더 마련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공구삽입부(31)에 공구(25)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측면판(13,14) 중 어느 하나에는 공구삽입홀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측벽과 마찬가지로 그 설치강도가 높으며 운반 및 분해조립이 용이해 공간의 구획용으로 널리 채용될 수 있는 파티션 조립체가 제공된다.

Claims (11)

  1. 소정의 룸에 형성된 단일의 공간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파티션 조립체에 있어서,
    측방향으로 상호 배치되어 상기 룸을 구획하는 복수의 파티션부분과;
    상기 룸의 천장에 마련되어 상기 각 파티션부분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각 파티션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각 파티션부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파티션로킹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파티션부분의 측면에는, 인접한 파티션부분끼리 상호 측방향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될 수 있도록 맞물리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일의 파티션부분은, 몸체부와; 일단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안내부재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안내부재를 따라 이동가능한 로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파티션로킹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승강축을 가지고 상기 단일의 파티션부분의 양측면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측면에 마련되어 입력된 소정의 회전운동을 상기 각 승강축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몸체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부재는, 상기 안내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내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내에서 이동가능한 로울러와, 상기 로울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승강축 중 어는 하나로부터의 직선운동을 전달받는 로울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부재의 로울러와 상기 안내부재에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는 높이방향을 따라 이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조립체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 내에 수용되는 한편 상부구동부분과 하부구동부분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 내에 수용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상부종동부분 및 하부종동부분을 갖는 종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종동부로 옮겨주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동부분은,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삽입부를 가지며 상기 공구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구동베벨기어와; 상기 제1구동베벨기어의 기어면에 각각 대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구동베벨기어의 회전시 동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및 제3구동베벨기어와; 상기 제2구동베벨기어에 결합되는 제1구동기어축과; 상기 제1구동기어축에 결합되는 제1기어박스와; 일단은 상기 제1기어박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그 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지지부를 통과하여 상면판에 체결되며 상기 제2구동베벨기어가 회전할 경우 상기 상부지지부와 더불어 상기 상면판을 승강이동시키는 제1승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구동부분은, 상기 제3구동베벨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3구동베벨기어와 동회전하는 제2구동기어축과; 상기 제2구동기어축에 결합되는 제2기어박스와; 일단은 상기 제2기어박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그 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지지부를 통과하여 하면판에 체결되며 상기 제3구동베벨기어가 회전할 경우 상기 하부지지부와 더불어 상기 하면판을 승강이동시키는 제2승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조립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구동기어축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연결베벨기어와; 상기 제1 및 제2연결베벨기어의 기어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연결베벨기어의 회전시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제3연결베벨기어와; 일단은 상기 제3연결베벨기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종동부에 배치되는 한편 그 말단에 결합된 제4연결베벨기어가 결합된 연결축과; 상기 제4연결베벨기어의 기어면에 대응되게 결합되는 제5 및 제6연결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조립체.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종동부분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5연결베벨기어에 결합되는 제1종동기어축과; 상기 제1종동기어축에 결합되는 제3기어박스와; 일단은 상기 제3기어박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그 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지지부를 통과하여 상면판에 체결되며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5연결베벨기어가 회전할 경우 상기 상부지지부와 더불어 상기 상면판을 승강이동시키는 제3승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조립체.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종동부분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6연결베벨기어에 결합되는 제2종동기어축과; 상기 제2종동기어축에 결합되는 제4기어박스와; 일단은 상기 제4기어박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의 타측면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그 단부가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지지부를 통과하여 하면판에 체결되며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6연결베벨기어가 회전할 경우 상기 하부지지부와 더불어 상기 하면판을 승강이동시키는 제4승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조립체.
KR1020030004022A 2003-01-21 2003-01-21 파티션 조립체 KR20040067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022A KR20040067061A (ko) 2003-01-21 2003-01-21 파티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022A KR20040067061A (ko) 2003-01-21 2003-01-21 파티션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883U Division KR200311883Y1 (ko) 2003-01-21 2003-01-21 파티션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061A true KR20040067061A (ko) 2004-07-30

Family

ID=37356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022A KR20040067061A (ko) 2003-01-21 2003-01-21 파티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70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149B1 (ko) * 2006-09-22 2007-10-31 주식회사 광스틸 가변 벽체 시스템
KR100922807B1 (ko) * 2007-10-23 2009-10-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동경량 칸막이벽체
KR100952409B1 (ko) * 2008-07-29 2010-04-14 주식회사 천보철강 조립식 벽판넬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2043A (ja) * 1986-07-23 1988-02-10 コマニ−株式会社 釣設パネルの固定及び遮音装置
EP0629752A1 (de) * 1993-05-25 1994-12-21 Rosconi Ag Mobile Trennwand
JPH11117639A (ja) * 1997-10-09 1999-04-27 Itoki Co Ltd 移動壁
KR19990022717U (ko) * 1999-04-09 1999-07-05 김주현 이동식경량칸막이의상.하밀착부재출몰장치
JP2000160745A (ja) * 1998-11-26 2000-06-13 Sekisui Chem Co Ltd 間仕切りパネ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2043A (ja) * 1986-07-23 1988-02-10 コマニ−株式会社 釣設パネルの固定及び遮音装置
EP0629752A1 (de) * 1993-05-25 1994-12-21 Rosconi Ag Mobile Trennwand
JPH11117639A (ja) * 1997-10-09 1999-04-27 Itoki Co Ltd 移動壁
JP2000160745A (ja) * 1998-11-26 2000-06-13 Sekisui Chem Co Ltd 間仕切りパネル
KR19990022717U (ko) * 1999-04-09 1999-07-05 김주현 이동식경량칸막이의상.하밀착부재출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149B1 (ko) * 2006-09-22 2007-10-31 주식회사 광스틸 가변 벽체 시스템
KR100922807B1 (ko) * 2007-10-23 2009-10-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동경량 칸막이벽체
KR100952409B1 (ko) * 2008-07-29 2010-04-14 주식회사 천보철강 조립식 벽판넬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62809B (zh) 可调节托架
US10813425B2 (en) Sunshade and sunshade base thereof
US8075237B2 (en) Multi-level vehicle lift
KR101457990B1 (ko) 모빌랙
US20030011192A1 (en) Locking mechanism for air handler (AHU) cabinet
KR20100091054A (ko) 가변형 경량벽체
US5626328A (en) Flat lifting device
US10499734B2 (en) Modular hanging storage system
US11274463B2 (en) Floor structure
KR20200086967A (ko)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JP2002101973A (ja) 手動式移動棚装置
KR200311883Y1 (ko) 파티션 조립체
KR20040067061A (ko) 파티션 조립체
JP4802887B2 (ja) 移動式間仕切装置
KR102526248B1 (ko) 벽면패널 부착용 보조 장치
JP3872941B2 (ja) 間仕切壁
KR20220037905A (ko) 칸막이 판넬용 운반 대차
JP2001000263A (ja) 家具などの移動装置
JP2003026379A (ja) エレベーターかご室
JP7272692B2 (ja) スロープユニット
CN219243493U (zh) 一种照明装置
JP2008297742A (ja) 可動間仕切り装置
KR100956073B1 (ko) 무대리프트의 구동장치
JPS6313974Y2 (ko)
CN220848182U (zh) 一种可调节高度的轻质隔断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