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807B1 -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동경량 칸막이벽체 - Google Patents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동경량 칸막이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807B1
KR100922807B1 KR1020070106563A KR20070106563A KR100922807B1 KR 100922807 B1 KR100922807 B1 KR 100922807B1 KR 1020070106563 A KR1020070106563 A KR 1020070106563A KR 20070106563 A KR20070106563 A KR 20070106563A KR 100922807 B1 KR100922807 B1 KR 100922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vertical
wall
barbell
barbel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1056A (ko
Inventor
김수암
이성옥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06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807B1/ko
Publication of KR20090041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7Partitions constituted of sliding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3Details of furniture, e.g. tables or shelves, associated with the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공간(110)이 구비된 벽체(100); 상기 벽체(10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벽체(100)의 이동시 사용되는 캐스터(200); 상기 벽체(100)의 하부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샤프트(310); 상기 벽체(100)의 하부면 타측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샤프트(320); 상기 제1샤프트(310) 및 상기 제2샤프트(320)와 수직이 되도록 상기 벽체(100)의 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샤프트(330);를 포함하고 제1샤프트(310) 및 제2샤프트(320)가 바벨기어에 의하여 제3샤프트(330)를 통하여 연동하고, 제1샤프트(310) 및 제2샤프트(320)에 각각 바벨기어를 이용한 높이조절 장치가 구비되어 제1샤프트(310)를 회전하는 작업만으로 벽체(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동형 칸막이 벽체에 관한 것이다.
제1샤프트, 제2샤프트, 제3샤프트, 제1동력전달바벨기어부, 제2동력전달바벨기어부, 제1수직바벨기어부, 제2수직바벨기어부, 제1수직기둥, 제2수직기둥, 제1지지판, 제2지지판, 캐스터, 쿠션패드

Description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동경량 칸막이벽체{Level adjustable lightweight Partition Wall with Storage Space}
본 발명은 칸막이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이동설치가 가능한 가동형 경량 칸막이벽체로서,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바벨기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칸막이 벽체는 패널(Panel) 또는 파티션(Partition Wall)이라고도 하며 공동주택, 학교, 사무실, 전시장, 휴게실, 문화공간 또는 작업장 등의 실내 또는 실외 공간을 원하는 대로 구획하여 공간을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설치 및 재설치의 편리성과 공간의 미적 개선효과가 높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칸막이 벽체는 사용의 측면에 있어서 외관의 미려함, 설치 및 분해의 용이성뿐만 아니라 일체의 공간을 여러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거주공간 등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내구성이 양호하고 소음 감소와 단열효과가 구비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칸막이 벽체는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까지만 도달하는 경우, 바닥면에서 천장까지 도달되도록 설치하는 경우, 및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동형인 경우 등이 있으며, 가동형의 경우에는 칸막이 벽체의 높이를 손쉽게 조절하여 바닥면에서 천장까지 도달되도록 벽체를 설치할 수 있으며, 해체 및 이동이 용이하여 필요한 경우 손쉽게 새로운 평면을 구획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칸막이 벽체는 별도의 수납공간이 구비되지 않은 단순한 벽체 구조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수납이 가능함과 동시에 평면을 구획하는 벽체 역할도 수행하고, 높낮이 조절, 해체 및 이동 설치가 용이한 새로운 개념의 수납형 가동 칸막이 벽체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배경기술을 바탕으로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수납공간이 구비된 칸막이 벽체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둘째, 칸막이 벽체를 효과적으로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 구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바닥면 또는 천장면의 불균일한 부분을 보상하고 방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수납공간(110)이 구비된 벽체(100); 상기 벽체(10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벽체(100)의 이동시 사용되는 캐스터(200); 상기 벽체(100)의 하부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샤프트(310); 상기 벽체(100)의 하부면 타측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샤프트(320); 상기 제1샤프트(310) 및 상기 제2샤프트(320)와 수직이 되도록 상기 벽체(100)의 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샤프트(330); 상기 제1샤프트(310)와 상기 제3샤프트(330)가 만나는 곳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바벨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제1샤프트(310)의 회전방향을 수평으로 90°변 환하여 상기 제3샤프트(330)로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바벨기어부(410); 상기 제3샤프트(330)와 상기 제2샤프트(320)가 만나는 곳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바벨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제3샤프트(330)의 회전방향을 수평으로 90°변환하여 상기 제2샤프트(320)로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바벨기어부(420); 상기 제1샤프트(3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바벨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제1샤프트(310)의 회전방향을 수직으로 90°변환하는 제1수직바벨기어부(510); 상기 제2샤프트(320)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바벨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제2샤프트(320)의 회전방향을 수직으로 90°변환하는 제2수직바벨기어부(520); 상기 제1수직바벨기어부(510)에서 회전축의 방향이 수직인 바벨기어에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고 중심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암나사가 구비된 중공을 포함하는 제1수직기둥(511); 상기 제2수직바벨기어부(520)에서 회전축의 방향이 수직인 바벨기어에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고 중심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암나사가 구비된 중공을 포함하는 제2수직기둥(521); 상기 제1수직기둥(511)의 중공에 나사체결되는 제1지지봉(611); 상기 제2수직기둥(521)의 중공에 나사체결되는 제2지지봉(621); 상기 제1지지봉(611)의 하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지지판(610); 및, 상기 제2지지봉(621)의 하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2지지판(6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수직기둥(511) 및 상기 제1지지봉(611)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과 상기 제2수직기둥(521) 및 상기 제2지지봉(621)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납공간이 구비된 칸막이 벽체를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단순한 칸막이 벽체의 한계를 넘어 그 자체가 수납공간을 제공하여 그 용도를 극대화하였다.
둘째, 칸막이 벽체를 효과적으로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 구조를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제1샤프트(310)를 돌려주는 작업만으로 벽체(100) 전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캐스터(200)를 이용하여 원하는 장소로 편리하게 벽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높낮이 조절을 통하여 벽체(100)를 원하는 장소의 바닥면 및 천장면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설치할 수 있다.
셋째, 바닥면 또는 천장면의 불균일한 표면을 보상하고 방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벽체(100)의 상부면이나 제1지지판(610) 및 제2지지판(620)의 하부면에 쿠션패드(11)를 부착하여 바닥면 또는 천장면의 불균일한 표면을 보상하여 벽체(100)를 안정적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방음 효과라는 부수적 효과도 거둘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벽체(1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110)이 구비되어, 수납장의 역할과 칸막이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러한 벽체(100)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터(200)가 벽체(10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데, 장착되는 캐스터(200)의 수량이나 종류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벽체(100)의 규격을 고려하여 적정한 캐스터(200)의 수량 및 종류를 결정하면 된다.
캐스터(200)가 구비됨으로써 필요한 경우 벽체(100)를 용이하게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벽체(100)는 원하는 장소로 이동 후 벽체(1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천장면 및 바닥면에 밀착시켜 고정하게 되는데, 벽체(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조가 도2 및 도3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1샤프트(310)는 벽체(100)의 하부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고, 제2샤프트(320)는 벽체(100)의 하부면 타측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제1샤프트(310)와 제2샤프트(320)가 벽체(100)의 하부면에 나란하게 설치된다.
제3샤프트(330)는 제1샤프트(310) 및 제2샤프트(320)와 수직이 되도록 벽체(100)의 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제3샤프트(330)는 제1샤프트(310)와 제2샤프트(32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제1샤프트(310)의 회전력을 제2샤프트(3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1샤프트(310), 제2샤프트(320), 및 제3샤프트(330)은 채널 단면 형태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벽체(10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브라켓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의 브라켓이나 채널, 앵글 등이 다양하게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각각의 샤프트들의 위치를 잡아주고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충분하면 특별히 그 형태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제1동력전달바벨기어부(410)는 제1샤프트(310)와 제3샤프트(330)가 만나는 곳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바벨기어로 구성되며, 제1샤프트(310)의 회전방향을 수평으로 90°변환하여 제3샤프트(33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동력전달바벨기어부(420)는 제3샤프트(330)와 제2샤프트(320)가 만나는 곳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바벨기어로 구성되며, 제3샤프트(330)의 회전방향을 수평으로 90°변환하여 제2샤프트(32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제1, 제2동력전달바벨기어부(410, 420)에 의하여 제1샤프트(310)가 회전하면 이에 연동하여 제3샤프트(330)가 회전하고, 제3샤프트(330)가 회전하면 이에 연동하여 제2샤프트(320)가 회전한다. 즉, 제1샤프트(310)만 돌려주면 제2샤프트(320)도 이에 연동하여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제1수직바벨기어부(510)는 제1샤프트(3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바벨기어로 구성되며, 제1샤프트(310)의 회전방향을 수직으로 90°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수직바벨기어부(520)는 제2샤프트(320)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바벨기어로 구성되며, 제2샤프트(320)의 회전방향을 수직으로 90°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수직기둥(511)은 제1수직바벨기어부(510)를 구성하는 두 개의 바벨기어 가운데 회전축의 방향이 수직인 바벨기어에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고 중심부 에는 수직방향으로 암나사가 구비된 중공을 포함하고 있다.
제2수직기둥(521)은 제2수직바벨기어부(520)를 구성하는 두 개의 바벨기어 가운데 회전축의 방향이 수직인 바벨기어에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고 중심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암나사가 구비된 중공을 포함하고 있다.
제1지지봉(611)은 제1수직기둥(511)의 중공에 나사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1지지봉(611)의 하단부에는 제1지지판(610)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결합된다.
제2지지봉(621)은 제2수직기둥(521)의 중공에 나사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2지지봉(621)의 하단부에는 제2지지판(620)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결합된다.
한편, 제1수직기둥(511) 및 제1지지봉(611)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과 제2수직기둥(521) 및 제2지지봉(621)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구성되어 있다. 왜냐하면, 제1샤프트(310)와 제2샤프트(320)가 제3샤프트(330)를 통하여 연동하는 구조가 되어 제1샤프트(310)의 회전방향과 제2샤프트(320)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나사산의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있어야 벽체(100)를 지지하는 제1지지봉(611) 및 제1지지판(610)과 제2지지봉(621) 및 제2지지판(620)이 함께 승하강 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제2지지판(610, 620)은 첨부도면과 같이 단순한 평판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양한 단면 형태의 앵글이나 채널, 또는 다양한 단면 형태로 절곡된 판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지지봉(611, 612) 각각에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승하강 운동을 하면서 벽체(100) 하부를 지지하여 받쳐주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면 충분하고 그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샤프트(310)에는 제1수직바벨기어부(510), 제1수직기둥(511), 및 제1지지봉(611)이 각각 두 개씩 구비되고, 하나의 제1지지판(610)에 두 개의 제1지지봉(611)이 이격되어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제2샤프트(320)에는 제2수직바벨기어부(520), 제2수직기둥(521), 및 제2지지봉(621)이 각각 두 개씩 구비되고, 하나의 상기 제2지지판(620)에 두 개의 제2지지봉(621)이 이격되어 일체로 결합된다.
첨부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만약 벽체(100)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이러한 제2샤프트(320)나 제3샤프트(330)가 각각 1개 또는 그 이상이 추가되어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샤프트에 장착되는 바벨기어부도 추가 장착이 가능하다.
제1샤프트(310)의 전방 단면부에는 스프드핸들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제1샤프트(310)를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태 또는 '-'형태, 또는 다면체 형태의 절개홈부가 구비되거나 다면체 형태로 외주면이 가공되어 있다.
쿠션패드(11)는 다양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며 벽체(100)의 상부면, 또는 제1지지판(610) 및 제2지지판(620)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바닥면이나 천장면의 불균일한 표면을 보상하여 벽체(100)를 안정적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방음효과를 거둘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수치한정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외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벽체(10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높낮이 조절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로서, 채널 단면 형태의 브라켓을 사용하여 제1샤프트(310), 제2샤프트(320), 및 제3샤프트(330)을 설치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3은 도2를 측면에서 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4는 제1샤프트(310)의 전방 단면부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벽체
110:수납공간
200:캐스터(caster)
310:제1샤프트
320:제2샤프트
330:제3샤프트
410:제1동력전달바벨기어부
420:제2동력전달바벨기어부
510:제1수직바벨기어부
511:제1수직기둥
520:제2수직바벨기어부
521:제2수직기둥
610:제1지지판
611:제1지지봉
620:제2지지판
621:제2지지봉
11:쿠션패드

Claims (4)

  1. 수납공간(110)이 구비된 벽체(100);
    상기 벽체(10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벽체(100)의 이동시 사용되는 캐스터(200);
    상기 벽체(100)의 하부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샤프트(310);
    상기 벽체(100)의 하부면 타측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샤프트(320);
    상기 제1샤프트(310) 및 상기 제2샤프트(320)와 수직이 되도록 상기 벽체(100)의 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샤프트(330);
    상기 제1샤프트(310)와 상기 제3샤프트(330)가 만나는 곳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바벨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제1샤프트(310)의 회전방향을 수평으로 90°변환하여 상기 제3샤프트(330)로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바벨기어부(410);
    상기 제3샤프트(330)와 상기 제2샤프트(320)가 만나는 곳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바벨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제3샤프트(330)의 회전방향을 수평으로 90°변환하여 상기 제2샤프트(320)로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바벨기어부(420);
    상기 제1샤프트(3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바벨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제1샤프트(310)의 회전방향을 수직으로 90°변환하는 제1수직바벨기어부(510);
    상기 제2샤프트(320)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바벨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제2샤프트(320)의 회전방향을 수직으로 90°변환하는 제2수직바벨기어부(520);
    상기 제1수직바벨기어부(510)에서 회전축의 방향이 수직인 바벨기어에 일체 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고 중심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암나사가 구비된 중공을 포함하는 제1수직기둥(511);
    상기 제2수직바벨기어부(520)에서 회전축의 방향이 수직인 바벨기어에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고 중심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암나사가 구비된 중공을 포함하는 제2수직기둥(521);
    상기 제1수직기둥(511)의 중공에 나사체결되는 제1지지봉(611);
    상기 제2수직기둥(521)의 중공에 나사체결되는 제2지지봉(621);
    상기 제1지지봉(611)의 하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지지판(610); 및,
    상기 제2지지봉(621)의 하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2지지판(6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수직기둥(511) 및 상기 제1지지봉(611)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과 상기 제2수직기둥(521) 및 상기 제2지지봉(621)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동경량 칸막이벽체.
  2. 제1항에서,
    상기 제1샤프트(310)에는 상기 제1수직바벨기어부(510), 상기 제1수직기둥(511), 및 상기 제1지지봉(611)이 각각 두 개씩 구비되고, 하나의 상기 제1지지판(610)에 두 개의 상기 제1지지봉(611)이 이격되어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2샤프트(320)에는 상기 제2수직바벨기어부(520), 상기 제2수직기둥(521), 및 상기 제2지지봉(621)이 각각 두 개씩 구비되고, 하나의 상기 제2지지판(620)에 두 개의 상기 제2지지봉(621)이 이격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동경량 칸막이벽체.
  3. 제2항에서,
    상기 제1샤프트(310)의 전방 단면부에는 '+'형태 또는 '-'형태, 또는 다면체 형태의 절개홈부가 구비되거나 다면체 형태로 외주면이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동경량 칸막이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벽체(100)의 상부면, 또는 상기 제1지지판(610) 및 상기 제2지지판(620)의 하부면에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쿠션패드(11);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동경량 칸막이벽체.
KR1020070106563A 2007-10-23 2007-10-23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동경량 칸막이벽체 KR100922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563A KR100922807B1 (ko) 2007-10-23 2007-10-23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동경량 칸막이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563A KR100922807B1 (ko) 2007-10-23 2007-10-23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동경량 칸막이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056A KR20090041056A (ko) 2009-04-28
KR100922807B1 true KR100922807B1 (ko) 2009-10-21

Family

ID=4076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563A KR100922807B1 (ko) 2007-10-23 2007-10-23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동경량 칸막이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28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68936B (zh) * 2017-08-11 2019-03-15 朱雪梅 一种具有增减储物空间的多功能桌
CN110284639B (zh) * 2019-06-24 2020-10-27 四川泰兴装饰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组合可调式隔音幕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6092A (ja) 2000-09-28 2002-04-10 Sekisui Chem Co Ltd 間仕切り装置
KR20040067061A (ko) * 2003-01-21 2004-07-30 김헌규 파티션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6092A (ja) 2000-09-28 2002-04-10 Sekisui Chem Co Ltd 間仕切り装置
KR20040067061A (ko) * 2003-01-21 2004-07-30 김헌규 파티션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056A (ko) 200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3761A (en) Portable acoustical panel system
KR100922807B1 (ko)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동경량 칸막이벽체
AU2014351444A1 (en) Column for supporting a covering and screen construction comprising such a column
CN209179550U (zh) 一种新型高自由度可变空间的活动房
US20090113813A1 (en) Supply Device
JP2021523809A (ja) モジュール式家具アセンブリおよび方法
KR100991225B1 (ko) 건축물의 가변벽체 구조
ITBO20110301A1 (it) Sistema di partizione mobile per ambienti
KR20200034881A (ko)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
CN210354133U (zh) 一种多功能屏风
WO2020211803A1 (zh) 装配式设备
CN203809968U (zh) 多显示器多角度壁挂架
EP2318615B1 (en) A modular structure on an elevated floor
CN215378146U (zh) 一种用于远程控制的空间可调开关控制柜
CA2599788A1 (en) Death care merchandise display system
KR20160021698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이에 적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어 박스
EP2140075B1 (en) Partition system
CN211231152U (zh) 一种会展展台搭建用紧固装置
JP6254001B2 (ja) 可動間仕切り
CN202899642U (zh) 支撑装置
CN221030961U (zh) 一种新型室内装配式板墙及安装结构
CN203809993U (zh) 多显示器壁挂架
KR102343838B1 (ko) 시스템 가구용 레벨링 장치
JP2023176558A (ja) 内装柱構造体および内装柱構造体の施工方法
KR20130043262A (ko) 링형 주거 공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