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881A -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 - Google Patents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881A
KR20200034881A KR1020180114054A KR20180114054A KR20200034881A KR 20200034881 A KR20200034881 A KR 20200034881A KR 1020180114054 A KR1020180114054 A KR 1020180114054A KR 20180114054 A KR20180114054 A KR 20180114054A KR 20200034881 A KR20200034881 A KR 20200034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rotating
frame
height adjustment
partition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132B1 (ko
Inventor
박원대
서필석
이강민
노요셉
심재춘
류호진
최규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육군참모총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육군참모총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육군참모총장)
Priority to KR1020180114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1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1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04B2/822Elastic connections, e.g. inflated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1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04B2/824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restrained elastically at one surface and inelastically at the oppos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은 칸막이벽 자재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프레임; 높이조절부; 접합부; 및 제1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지지부; 및 제2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칸막이벽 자재에 손쉽게 탈부착하여 칸막이벽의 설치와 이동 및 재설치가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 {INSTALLATION DEVICE FOR PARTITION PANEL}
본 발명은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벽의 설치에 있어, 건축분야에서 기존 기성품인 칸막이벽을 별도의 공사 없이 누구나 손쉽게 설치하기 위한 부속에 관한 것으로서, 칸막이벽의 높이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구획된 공간 사이의 방음 성능을 높이는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에 관한 기술이다.
칸막이벽은 패널(Panel) 또는 파티션(Partition)이라고도 하며, 사무실, 학교, 문화공간 등의 실내외 공간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구획하여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설치 및 재설치가 편리하고 공간 구획의 미적 효과가 높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칸막이벽은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까지만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바닥에서 천장까지 도달하도록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칸막이 벽체가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까지만 설치되는 경우는 통상적으로 바닥시공이 완료된 후 조립식으로 칸막이벽을 시공하여 실내공간을 소정의 구획으로 구분하나, 칸막이벽이 바닥에서 천장까지 도달하는 경우에는 칸막이벽을 천장 높이 보다 높게 설치하여 기존 천장마감재를 철거하고 칸막이벽을 설치하거나, 칸막이벽의 상단부를 천장에 앵커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천장마감재를 철거하는 경우에는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등기수, 소방센서 등 각종 센서 시설물에 대한 재설치 또는 교체가 수반된다. 또한 천장에 앵커볼트로 칸막이벽을 고정하는 경우에는 칸막이벽의 재설치시 앵커볼트가 설치되었던 부분에 별도의 마감시공이 필요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손쉬운 칸막이벽 설치 또는 이동이 제한되고, 별도의 예산을 소요하여야 한다. 또한 상태가 양호한 기존천장마감재를 교체하는 경우 불필요한 예산이 낭비된다.
본 발명의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001) (1) KR 10-1311682B1 (LSP 조립식 칸막이)
(특허문헌 002) (2) KR 10-0701427B1 (높이조절형 가동경량 칸막이 벽체)
(특허문헌 003) (3) KR 20-0424241Y1 (프로파일 옷걸이용 상부 지지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칸막이벽 자재에 탈부착 할 수 있는 부품을 개발하여 사용자의 손쉬운 탈부착으로 칸막이벽의 설치와 이동 및 재설치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은, 건물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벽의 설치에 이용되며, 상기 칸막이벽의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H자 형태이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높이조절부를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가 존재하며 상기 제1가압부재는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예가 존재한다.
또한, 상기 접합부의 상부에 상기 건물 천장과 밀착되어 차음성능을 향상시키고 칸막이벽의 위치를 고정해주는 차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가 존재한다.
또한, 상기 접합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와 결합되는 상기 접합부의 하단의 면적에 비하여 상기 건물 천장을 지지하는 상기 접합부의 상단의 면적이 더 큰 형태인 실시예가 존재한다.
또한, 상기 접합부의 상부에 회전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회전지지부와 상기 접합부 중 어느 일방에 마련된 제1회전부와, 상기 회전지지부와 상기 접합부 중 어느 타방에 마련된 제2회전부와, 상기 제1, 제2회전부를 회전축 방향으로 관통시킨 상태로 장착된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 상에는 상기 회전지지부를 회전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실시예가 존재하며, 상기 제2가압부재는 토션 스프링인 실시예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칸막이벽 자재에 손쉽게 탈부착하여 칸막이벽의 설치와 이동 및 재설치가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과 칸막이벽의 결합도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의 횡단면도이다.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의 높이가 조절된 모습을 표현한 횡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의 사시도이다.
도4a,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5a, 5b,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는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의 횡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는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의 종단면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벽의 설치에 이용되는 부속은, 프레임; 높이조절부; 접합부; 제1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은 상기 칸막이벽의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높이조절부를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가압부재에 의하여 상기 칸막이벽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1가압부재 및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천장에 밀착되어 칸막이벽이 바닥과 천장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합부의 상부에 회전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통하여, 건물의 천장이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고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칸막이벽의 설치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를 들어 그 구성 및 동작을 기술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100)과 칸막이벽(800)이 결합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100)은 프레임(200); 높이조절부(300); 접합부(400); 제1가압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200)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H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200)의 하부는 상기 칸막이벽(800)의 상부와 탈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200)의 규격은 기성품인 칸막이벽(800)의 규격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칸막이벽(800)에 밀착 고정될 수 있는 수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성품인 칸막이벽(800)의 규격은 50mm, 90mm, 100mm, 125mm, 150mm 등으로 다양하므로, 상기 프레임(200)의 규격 또한 다양한 범위에서 생산이 가능하고, 따라서 프레임의 규격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이루는 요소가 아닐 것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100)의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상기 프레임(2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상기 프레임(200)의 상부에 삽입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과 상기 제1가압부재(500)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2b는 상기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100)의 높이가 조절된 것을 표현한 도면이다.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210)은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상기 걸림턱(210)에 걸리는 걸쇠(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쇠(310)는 상기 걸림턱(210)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부(400)는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상부에 결합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높이조절부(300)가 상기 제1가압부재(500)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접합부(400) 또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부재(500)는 상기 프레임(200)의 상부에 삽입되고,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하부와 상기 프레임(2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높이조절부(300)를 상하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부재(500)는 상기 높이조절부(300)를 상하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모든 부재가 가능하고, 암나사와 수나사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으나, 압축 스프링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높이가 조절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100)은 차음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음부재(600)는 상기 접합부(4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음부재(600)는 상기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100)이 설치되는 건물의 천장과 밀착되어 차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칸막이벽(800)을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음부재(600)는 신축성 있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칸막이벽(800) 설치 시 추가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도4a와 도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400)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내부 사시도이다.
상기 접합부(400)는 도4b와 같이 직육면체 모양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400)는 도4a와 같이 상단의 면적이 더 큰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접합부(400)는 상기 높이조절부(300)와 결합되는 상기 접합부(400)의 하단의 면적에 비하여 건물 천장을 지지하는 상기 접합부(400)의 상단의 면적이 더 큰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접합부(400)가 상단의 면적이 더 큰 형태인 경우 상기 칸막이벽(800) 설치 시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칸막이벽(800)을 고정하는 효과가 증대된다.
도5a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100)은 회전지지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100)은 상기 회전지지부(700)를 더 포함하므로써, 상기 건물 천장이 수평면에 평평한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건물 천장이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고 형성된 경우에도 상기 칸막이벽(800)을 설치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즉, 도5b 및 도5c과 같이, 상기 회전지지부(700)가 상기 건물 천장이 기울어진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건물 천장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상기 칸막이벽(800)을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도6을 참고하면, 상기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100)은 상기 회전지지부의 회전을 위하여 제1회전부(711); 제2회전부(712); 및 회전축(7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711)는 상기 접합부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회전부(712)는 ㅡ 도면 상에는 표현되지 않았지만 ㅡ 상기 제1회전부(711)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지지부(7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720)은 상기 제1회전부(711)와 제2회전부(712)를 축 방향으로 관통시킨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100)은 제2가압부재(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압부재(730)는 ㅡ 도면 상에는 표현되지 않았지만 ㅡ 상기 회전축(720)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부(700)를 회전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부재(730)는 상기 회전지지부(700)가 일정한 각도를 이루고 건물 천장에 밀착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압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가압부재(730)는 상기 회전지지부(700)를 회전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모든 부재가 가능하고, 암나사와 수나사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으나, 토션 스프링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압력이 제공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100)의 종단면도이다.
도7과 같이 상기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100)은 다수 개의 제1가압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제1가압부재(500)는 임의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제1가압부재(500)가 각각 지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라인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
200 프레임
210 걸림턱
300 높이조절부
310 걸쇠
400 접합부
500 제1가압부재
600 차음부재
700 회전지지부
711 제1회전부
712 제2회전부
720 회전축
730 제2가압부재
800 칸막이벽

Claims (6)

  1. 건물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벽의 설치에 이용되는 부속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의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접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H자 형태이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쇠;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높이조절부를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재는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상부에 상기 건물 천장과 밀착되어 차음성능을 향상시키고 칸막이벽의 위치를 고정해주는 차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와 결합되는 상기 접합부의 하단의 면적에 비하여 상기 건물 천장을 지지하는 상기 접합부의 상단의 면적이 더 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상부에 회전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회전지지부와 상기 접합부 중 어느 일방에 마련된 제1회전부와, 상기 회전지지부와 상기 접합부 중 어느 타방에 마련된 제2회전부와, 상기 제1, 제2회전부를 축 방향으로 관통시킨 상태로 장착된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 상에는 상기 회전지지부를 회전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부재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
KR1020180114054A 2018-09-21 2018-09-21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 KR102203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054A KR102203132B1 (ko) 2018-09-21 2018-09-21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054A KR102203132B1 (ko) 2018-09-21 2018-09-21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881A true KR20200034881A (ko) 2020-04-01
KR102203132B1 KR102203132B1 (ko) 2021-01-15

Family

ID=70276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054A KR102203132B1 (ko) 2018-09-21 2018-09-21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1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4548A (zh) * 2020-12-31 2021-05-28 中建材创新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装配式墙体结构
WO2023018300A1 (ko) * 2021-08-13 2023-02-16 박재성 향상된 견고성을 갖는 가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631U (ja) * 1992-03-28 1994-03-18 コマニー株式会社 間仕切りの仮止め機能付きアジャスター装置
JP2001152586A (ja) * 1999-11-24 2001-06-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壁パネル固定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631U (ja) * 1992-03-28 1994-03-18 コマニー株式会社 間仕切りの仮止め機能付きアジャスター装置
JP2001152586A (ja) * 1999-11-24 2001-06-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壁パネル固定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4548A (zh) * 2020-12-31 2021-05-28 中建材创新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装配式墙体结构
WO2023018300A1 (ko) * 2021-08-13 2023-02-16 박재성 향상된 견고성을 갖는 가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132B1 (ko)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825B1 (ko) 파티션의 높이 연장장치
KR100846617B1 (ko) 높이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
KR20200034881A (ko)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
KR20150005983A (ko) 융통성을 갖는 벽체 시스템
US20210002894A1 (en) Modifiable profile system
CN205712597U (zh) 墙板单点式挂件
ITBZ20080025A1 (it) Sistema consistente in profilati ed elementi di giunzione per la realizzazione di strutture portanti
KR20160063631A (ko) 벽체의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US20200318374A1 (en) Floor structure
KR101406097B1 (ko) 건축물의 실내를 마감재로 마감하기 위해 설치하는 실내 몰딩
KR100701427B1 (ko) 높이조절형 가동경량 칸막이 벽체
KR101646885B1 (ko) 공동주택 발코니 확장에 따른 추가 경량 발코니
KR20160144206A (ko) 건축물 벽체의 마감구조
BE1028487B1 (nl) Profielsamenstel voor een demonteerbaar wandsysteem
CN204940657U (zh) 一种模组式天花吊顶组件
CN210737847U (zh) 一种内张力墙
KR100646663B1 (ko) 건축물 창문틀 고정구조물
JP2021092056A (ja) 移動も可能な独立したユニット部屋
KR101018353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패널 서포트
WO2021182112A1 (ja) 間仕切壁装置及び間仕切壁施工方法
KR20180003198U (ko) 파티션 체결 부품
KR101614214B1 (ko) 길이 조정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헤드 조립체
KR20130005605U (ko) 가변형 벽체 연결구조
JP2005314924A (ja) 庇の取付け構造
KR200163502Y1 (ko) 높이조절장치를 구성한 지주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