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983A - 융통성을 갖는 벽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융통성을 갖는 벽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983A
KR20150005983A KR1020147032477A KR20147032477A KR20150005983A KR 20150005983 A KR20150005983 A KR 20150005983A KR 1020147032477 A KR1020147032477 A KR 1020147032477A KR 20147032477 A KR20147032477 A KR 20147032477A KR 20150005983 A KR20150005983 A KR 20150005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e
wall
design
flexible
exclusive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잔-미카엘 베르너
Original Assignee
잔-미카엘 베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잔-미카엘 베르너 filed Critical 잔-미카엘 베르너
Publication of KR20150005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04B2/745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with wallboards attached to the outer faces of the posts, parallel to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4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1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04B2/824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restrained elastically at one surface and inelastically at the oppos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8Connections between partitions and structural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61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하고 지속적이고 융통성을 가지며 모듈형이고 재사용 가능하고, 수직형 또는 수평형 공간-구획 요소로서 사용(도 1)될 수 있거나 외장 셸로서 기존의 공간 구획체를 기능적으로 연장(도 6)할 수 있는 공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시스템은, 통합형 매장 공사용 시스템을 구비하고 높이-개작이 가능한 버팀대(도 3)와, 표면, 구조 및 재료 설계가 융통성을 가지는 결합 시스템에 의하여 버팀대에 착탈 가능하게 융통적으로 연결되는 모듈형 덮개(도 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본 시스템은 주위 구성요소에 가해지는 손상 없이 또한 주위 구성요소 상의 기계적 장착(mechanical mounting) 없이 설치되고 해체되고 수정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스프링 기구(도 4)를 이용하여 인접 구성요소의 만곡(flexing)을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플러그 앤드 플레이" 방식으로 사용자의 변경 요구(기업 이미지 통합 전략, 기업의 상징적 도안, "비품으로서의 벽체", 설치 개구의 위치 또는 설치 경로 조정)에 적합화될 수 있으며(도 9 내지 도 12), 선택적으로 차음 및/또는 단열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습기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또는 기밀 방식으로 형성된다(도 7).

Description

융통성을 갖는 벽체 시스템{FLEXIBLE WALL SYSTEM}
본 발명은, 신규하고 지속적이고 융통성을 가지며 모듈형이고 재사용 가능한 건축 시스템으로서, 수직형 또는 수평형 공간-구획 요소(space-enclosing element)로서 사용될 수 있고, 기존의 공간 구획체(existing space enclosure)를 외장 셸(facing shell)로 기능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건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건축 시스템은, 종축 방향으로 융통형 조정기(variable adjustment)가 제공되고 통합형 매장 공사용 시스템(integrated shop construction system)을 구비하는 버팀대(brace)와, 표면 설계, 구조 설계 및 재료 설계가 변경될 수 있고 결합 시스템(bonding system)에 의하여 버팀대에 융통적으로 착탈 가능하게(reversibly) 연결되는 모듈형 덮개(modular cover)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이 시스템은, 전기 공구의 사용 없이 또한 주위 구성요소에 가해지는 손상 없이 또는 주위 구성요소로의 기계적 부착 없이, 설치되고 해체되고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플러그 앤드 플레이(plug & play)" 방식으로 사용자의 변경 요구(기업 이미지 통합 전략(corporate identity), 기업의 상징적 도안(corporate design), 비품(furniture)으로서의 벽체, 설치 개구(installation outlet)의 위치 또는 설치 경로 조정(installation routing))에 적합화될 수 있으며, 차음(sound-insulating) 또는 단열(heat-insulating) 효과를 또한 나타낸다.
공간 구획체 또는 외장 셸로 기능할 수 있는 설비(furnishing) 및 시스템이 종래 기술에서 공지되어 있다. 이른바 건식 벽체 시스템(dry wall system)은 종래의 중실 시스템(solid system)에 비해 비교적 간단하게 설치 및 배치(disposal)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융통성(flexibility)을 제공한다. 그러나 설치는, 부착 시스템(attachment system)으로 인하여 이미 설치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손상시키거나, 회반죽 미장 작업(plaster work) 및 샌딩 작업(sanding work)으로 인하여 비교적 다량의 오물 및 먼지를 또한 발생시키는 다양한 여러 작업 단계들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해체 후에는 더 이상 재사용될 수 없고, 해체된 재료는 폐기될 수밖에 없다. 시스템을 사용 중에 개작(adaptation)(예를 들면, 배선 경로 조정(line routing))하는 데에는 상당한 작업(벽의 절개 개방, 새로운 회반죽 미장 작업(renewed spackling) 및 표면 샌딩)이 결부된다. 마무리된 표면은 공사 작업 없이는 변경 또는 적합화될 수 없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통합형 매장 공사용 시스템으로서 사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벽의 다른 특성(예를 들면, 차음성 또는 단열성 또는 공간 격리성(space-enclosing))의 희생이 수반되어야 한다.
미국 공개 특허 공보 제US 2008/0209832 A1호 문헌에는, 수직 지지체를 구비하고 해체 가능한 벽체(demountable wall)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수평형 천장 장치와 바닥 장치(floor device) 사이에 부착되어 고정 프레임을 형성하고, 벽체 패널이 이 프레임 상에서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본 문헌은, 장식물(decoration)이 제공되고 분리 가능한 벽체 패널 및 통합형 설치 경로를 제시하지만, 통합형 또는 개작 가능형(adaptable) 매장 공사용 시스템을 제공하지 않으며 종축 방향으로 버팀대의 융통형 조정기도 제공하지 않는다.
미국 공개 특허 공보 제US 2009/0064621 A1호 문헌에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고 이음부(joint)를 형성하는 2개의 패널, 이음부를 지지 요소 상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 수단(fastening means), 이음부를 덮는 테이프(tape) 및 테이프를 덮는 결합제(binding agent)를 포함하는 벽체 피복 시스템(wall covering system)이 기재되어 있으며, 테이프의 일부는 파지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자유로이 유지된다. 본 문헌에는, 재사용 가능한 모듈형 내측 벽체 시스템이 제시되어 있으나, 통합형 매장 공사용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패널의 부착을 위한 결합 시스템의 사용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국제 공개 특허 공보 제WO 90/03749호 문헌에는, 수평으로 뻗은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공간-분할 구조(space-partitioning construction)가 기재되어 있다. 본 문헌은 통합형 설치 경로 및 비품-장착 장치(furniture-mounting device)로서 프로파일의 이용을 제시한다. 그러나 본 문헌은 착탈 가능한 융통성을 갖는 표면 모듈을 부착하기 위한 결합 시스템의 사용 및 융통적으로 개작 가능한 버팀대의 사용에 대해서는 전혀 제시하지 않는다.
미국 특허 공보 제US 4,570,390호 문헌에는, 벽체 공사용 판재를 포함하는 공간-분할 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직립형 금속 스터드(upright metal stud)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천공형 최상부 레일(holed top-hat rail) 또는 특별한 형상의 프로파일 형태의 매장 공사용 시스템은 이 금속 스터드 상에 또는 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착탈 가능한 융통성을 갖는 표면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결합 시스템 및 융통적으로 개작 가능한 버팀대는 본 문헌에 언급되어 있지 않다.
독일 특허 공보 제DE 2 130 929호 문헌에는, 이동형 벽체(mobile wall)가 기재되어 있으며, 벽체를 수용하는 프레임의 정치형 경계 벽체(stationary boundary wall)들 사이의 적소에 벽체를 클램핑하기 위하여, 이동형 벽체와 정치형 경계 벽체들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 인장 장치(elastic tensioning device)가 제공된다. 본 문헌은 유사한 인장 장치를 제시하지만, 본 문헌에 개시된 장치는 버팀대를 구비하지 않으며, 통합형 설치 경로 조정을 가능하게 하지도 않고, 하부구조(substructure)와는 독립적으로 교체될 수 있는 모듈형 표면 설계를 제시하지도 않는다.
캐나다 특허 공보 제CA 1 176 425호 문헌에는, 건식 벽체 내측에 사용하기 위하여 바닥 레일과 천장 레일 사이에 형성된 스터드 배열이 기재되어 있다. 이 배열의 스터드는 높이-개작이 가능한 방식으로 구현되지만, 대응 바닥 레일과 천장 레일에 기계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또한, 통합형 매장 공사용 시스템, 통합형 설치 경로 조정, 차음 및 단열 설계 모두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유럽 공개 특허 공보 제EP 2 017 401 A2호 문헌에는 벽체 피복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으며, 후크-고리(hook-and-loop) 체결 시스템이 이용되어 목재 패널이 금속 프로파일에 부착된다. 또한, 본 문헌에는 이러한 구성의 바람직한 단열과 차음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이음부가 없는 신속한 조립과 해체에 대해서도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문헌에는 통합형 매장 공사용 시스템 또는 통합형 배선 경로 조정이 기재되어 있지 않고, 필요한 자격을 다 갖춘 공간-분할 요소로서의 사용에 대해서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스터드는 하중-지지 하부구조에 기계적으로 부착되어야 한다.
미국 특허 공보 제US 3,537,219호 문헌은 바닥과 천장 사이에 사용되는 해체 가능한 분할 벽을 제시하며, 이 벽은, 상부에서 개방되고 바닥에 고정된 채널과, 저부에서 개방되고 천장에 장착된 채널과,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고 H 단면을 포함하는 수직형 스터드를 포함한다. 본 문헌에는, 재사용 가능한 모듈형 내측 벽체 시스템이 통합형 설치 경로와 함께 기재되어 있으나, 통합형 매장 공사용 시스템 또는 착탈 가능한 융통성을 갖는 표면 모듈은 언급되어 있지 않다.
유럽 공개 특허 공보 제EP 0 190 913 A2호 문헌에는 융통성을 갖는 소재로 된 재료의 시트(sheet)가 기재되어 있는데, 이 시트는 서로 이격된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한 쌍의 레일과 레일을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장치에 의하여 고정된다. 본 문헌에는, 높이-개작이 가능한 스터드에 의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개작 가능하고 손상이 작고 재사용 가능한 구성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문헌에 개시된 장치는 차음 및 단열 특성을 구비하는 공간 분할체를 제공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설비를 수용할 수도 없다. 시트는 접합 스트립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지도 않는다.
미국 특허 공보 제US 4,744,189호 문헌에는, 완전하게 재사용 가능한 장식 벽체 패널이 기재되어 있다. 본 문헌에는 여러 표면과 후크-고리 시스템이 구비된 벽체 패널이 기재되어 있으며, 패널은 건식 벽체에 부착될 수 있다. 자체-지지(self-supporting) 또는 공간-분할 기능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통합형 매장 공사용 시스템 또는 새로운 개선할 수 있는(retrofittable) 통합형 설치 경로 조정의 가능성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공간 구획체를 위한 융통적인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이며(도 1), 이 시스템은 정치되어 있지 않거나(예를 들면, 주위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지 않거나) 미리 설정된 경로(예를 들면, 레일) 상에서 이동하며, 따라서 소정 국가의 전형적인 건축법의 규제를 받지 않는다. 응용 기술의 사전 지식(prior applicable technical knowledge)이나 기계에 관한 직업 훈련(mechanical vocational training) 없이도, 시스템을 설치하고 변경하고 해체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여야 한다. 또한, 사용 시에, 시스템은 용도, 표면 변경 또는 개작 가능성에 있어서 최대한의 융통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체 후에 시스템의 주요 부품의 재사용 가능성에 의하여, 최대한의 계속적 이용가능성(sustainablilty)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의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추가된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목적, 특징, 장점 및 적용 가능성은 도면에 기초하는 예시적 실시 형태에 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설명 및/또는 도시된 모든 특징들은, 그 자체로서 또는 조합되어, 요약(abstract)과는 독립적으로, 별도의 청구항들 내에서 또는 이 청구항들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주제를 형성한다.
도 1은, 수평 단면도 내의 시스템으로서, 버팀대(1), 단열재(heat insulation) 및/또는 차음재(sound insulation)를 수용하기 위한 레벨(6) 및 모듈형 표면 요소(4)를 구비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길이 방향으로 융통적으로 개작 가능하고, 통합형 매장 공사용 시스템(8)과 착탈식 모듈형 표면 요소(4)를 위한 결합 표면(10)을 구비하고, 단열재 및/또는 차음재를 수용하기 위한 레벨(6)과, 내습성(moisture-resistant) 및/또는 기밀성 필름(airtight film)을 수용하기 위한 레벨(5)과, 설치 공간(7)을 포함하는 버팀대(1)를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3은 종축 방향으로 버팀대(1)의 융통형 조정기(11)를 나타내며, 이 조정기는 표면 모듈(4)의 정지부(stop)로서 종단 레일(terminating rail)(16)을 포함한다.
도 4는 융통형 조정기에 의한 기존의 구성요소로의 버팀대 연결부(brace connection)를 나타내며, 이 연결부는 인접 구성요소의 편위(deflection)를 수용하기 위한 스프링 기구(12) 및 표면 모듈(4)을 위한 정지 레일(16)을 포함한다.
도 5는 구조 물리학의 관점에서 추가 요건을 필요로 하지 않는 기존의 구성요소로의 버팀대 연결부(3)를 나타낸다.
도 6은 구조 물리학의 관점에서 추가 요건을 필요로 하지 않는 외장 셸(4) 및/또는 분할 요소로서의 시스템(3)을 나타낸다.
도 7은 연결 부재(connecting piece)(15)에 의한 기존의 구성요소로의 버팀대 연결부를 나타내며, 이 연결부는 단열재 및/또는 차음재를 수용하기 위한 레벨(6)을 포함하고 습기 밀봉재(moisture seal) 및/또는 공기 밀봉재(air seal)를 수용하기 위한 레벨과 표면 모듈(4)을 포함한다.
도 8은 연결 부재(15)에 의한 기존의 구성요소로의 버팀대 연결부를 나타내며, 이 연결부는 인접 구성요소의 편위를 수용하기 위한 스프링 기구(17)와 표면 모듈(4)을 위한 종단 레일(16)을 포함하고, 단열재와 차음재를 수용하기 위한 레벨(6)과 습기 밀봉재 및/또는 공기 밀봉재를 수용하기 위한 레벨(5)도 포함한다.
도 9는, 후크 연결식 선반 지지체(hooked-in shelf support) 및/또는 비품 지지체(9)를 포함하는 매장 공사용 시스템(8)뿐만 아니라, 설비(7)의 통과(feed-through)를 위한 버팀대(1) 내의 구멍(14)도 나타낸다.
도 10은, 수평 방향으로의 적용에 있어서, 결합 스트립(10)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는 표면 모듈(4)과 매장 공사용 시스템(8) 내에 걸린 후크에 의하여 추가적인 기계적 보호체(mechanical protection)(18)를 구비하는 현수 천정(suspended ceiling)으로서의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1은,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이음부-형성 표면 모듈(4)을 포함하고, 설치 개구(19)와 걸림식(hung-in) 선반 지지체 및/또는 비품 지지체(9)를 구비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설계 레벨(2)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12는, 수직 방향의 이음부-형성 표면 모듈(4)을 포함하고, 설치 개구(19) 및 걸림식 선반 지지체 및/또는 비품 지지체(9)를 구비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설계 레벨(2)의 도면을 나타낸다.
그에 따라, 서두에 개시된 유형의 시스템은, 고가의 공구 없이도 간단하게 설치되고 변경되고 해체될 수 있고, 그 후에 기존의 구조체에 잔존물(residue)이나 상흔(damage)을 전혀 남기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스템은 변경 및 해체 후에도 여전히 재사용 가능하다. 시스템은, 구조 레벨(structural level)과, 일측 또는 양측에 부착되어 표면을 형성하는 설계 레벨(design level)로 구성된다(도 2).
더욱이, 시스템은, 2개의 인접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수평으로(도 10) 또는 수직으로(도 1) 또는 소정 소망 각도로, 서로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에 또는 자유로이 선택 가능한 거리에(도 3), 착탈 가능하게 클램핑되는 버팀대에 의해 구조 레벨이 본질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버팀대의 부가적 단열 및/또는 차음 설계(예를 들면, 그에 대응하는 버팀대 재료의 선택에 의하거나, 단열 및/또는 차음 재료를 이용한 버팀대의 추가 라이닝(lining) 또는 코팅에 의함)는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따라서 단열 및/또는 차음 재료(단열 패널 또는 차음 패널)를 구비한 버팀대들 사이의 공간에 관한 추가 실시 형태의 경우에, 충분히 재사용 가능하고 착탈 가능한 공간 분할체가 형성된다(도 1).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열 재료 및/또는 차음 재료와 함께 또는 그 대신에, 내습성(moisture-resistant) 및/또는 내증기성(vapor-resistant) 및/또는 기밀성 층(airtight layer)(예를 들면, 시트, 밀봉 패널 등)이 구조 레벨 내에 삽입될 수 있고 결합 시스템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도 7).
통합형 또는 개작 가능형 설치 레벨: 구조 레벨의 축 방향으로 버팀대의 대응 구멍(도 9) 또는 구조 레벨에 수직한 버팀대들 사이의 스페이서(spacer)에 의하여, 통합 후의 개작 가능형 설치 경로 조정을 가능하게 하게 하는 통과-접근성(through-accessibility)이 구조 레벨의 방향으로 달성된다(도 2).
통합형 또는 개작 가능형 매장 공사용 시스템: 선반 지지체의 보조에 의하여 통합형 또는 개작 가능형 매장 공사용 시스템이 형성되도록(도 9), 특별한 형상의 프로파일(예를 들면, 천공된 봉 또는 천공된 최상부 레일, 구멍을 구비하는 버팀대, 선반 지지체를 수용하기 위한 특수 구조체 등)이 버팀대 내에 설정될 수 있다(도 2).
바람직하게는, 버팀대 자체는, 천공(perforation) 또는 타공(punching)에 의하여, 매장 공사용 시스템의 일부로서 버팀대의 내재적 용도(immanent use)가 활용될 수 있게 하는 유형물(materiality)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설계 레벨은 융통적인 표면 설계(도 11 및 도 12)를 위하여 그리고 기계적 충격에 대해서도 보호하는 시각적 공간 구획(도 5)을 위하여 주로 이용된다.
시스템의 최종 표면은 모듈형으로 구성되어 개별 설계 요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11). 이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표면 설계, 구조 설계 및 재료 설계에 있어서 변경될 수 있다. 설계 요소와 구조 레벨의 연결은, 구조 레벨에 대향하는 설계 요소의 면에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 표면에 걸쳐서 적용되는 결합 시스템에 의하여 실시된다. 따라서, 모든 요소는 버팀대에 내구성 있게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결합 시스템은, 구조체를 매개로 하는 소음 전달에 대하여 효과적인 방음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계 요소와 그 후방에 배치된 구조 레벨 사이의 음향 차단(acoustic decoupling)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모듈형 시스템은 최종 표면상에 이음부 패턴(joint pattern)을 형성하며, 이 패턴은 그 후방에 위치하는 구조 레벨을 매장 공사용 시스템으로서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구조 레벨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도 11). 이음부 패턴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축 방향으로(도 12), 대안적으로는 2개의 축 방향으로(도 11) 연장될 수 있다. 각 모듈은 사용 중일지라도 언제라도 표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다른 모듈로 교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면은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 요구에 적합하게 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설치 개구(installation outlet)(전력 콘센트, 스위치, 배수구, 하수구 등)를 구비하는 모듈, 가열 설비(벽체 난방기(wall radiator), 적외선 모듈, 무연료 벽난로(fueless fireplace) 등), 선전 모듈(promotional module)(선전 도표, 가격표 등) TV 및 기타 여러 모듈과 같은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도 12)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구조 레벨 내에 통합된 매장 공사용 시스템은 융통성을 향상시킨다. 시스템은, 수직 배치형으로 사용될 경우에, 요소(예를 들면, 비품, 공급 물품 등)를 추가하기 위한 경계면(interface)을 제공한다(도 1). 시스템이 수평 형태로 사용될 경우에, 고정 후크(securing hook)가 매장 공사용 시스템 내로 기계적으로 걸릴 수 있으며, 따라서 결합 시스템과 함께 설계 요소를 고정하여 낙하를 방지한다(도 10).
이음부 없는 시스템의 사용이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면 재료(예를 들면, 클릭 시스템(click system), 홈-스프링 시스템(groove-spring system) 등을 구비하는 표면 요소)는 착탈 가능한 결합 시스템에 의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버팀대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통합형 매장 공사용 시스템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 이음부가 없고 도장이 가능한(paintable) 표면은 종래의 건식 벽체와 비교하여 표면 활용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구조체는 기존의 벽체 전방의 외장 셸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도 6). 이러한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고 자유로이 설계 가능한 매장 공사용 시스템이 형성된다. 설치 중, 사용 중 및 해체 후에, 기존의 구성요소는 원래의 상태로 유지되며, 따라서 불균일한 하부구조로의 복잡한 기계적 부착이 불필요하다. 설명된 시스템에 의하여, 고비용의 설계 작업과 설치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내부 설계 및 공간의 제공은 설명된 시스템에 의하여 미리 실시되고 상당히 가속화될 수 있다.
1) 단면도 내의 버팀대
2) 설계 레벨
3) 구조 레벨
4) 결합 스트립 상의 표면 모듈
5) 습기 밀봉재 또는 공기 밀봉재를 수용하기 위한 레벨
6) 차음재 또는 단열재를 수용하기 위한 레벨
7) 설치 레벨
8) 선반 지지체 및/또는 비품 지지체를 수용하기 위한 구조체
9) 매장 공사용 시스템 내에 걸린 선반 지지체 및/또는 비품 지지체
10) 결합 스트립
11) 융통형 조정기
12) 인접 구성요소의 편위를 수용하기 위한 스프링 기구를 구비하는 융통형 조정기
13) 장력 제한기(tension force limiter)의 위치 설정을 위한 장치
14) 버팀대의 구멍 / 버팀대들 사이의 스페이서
15) 종단 부재(terminating piece)
16) U-프로파일 종단 레일
17) 인접 구성요소의 편위를 수용하기 위한 스프링 기구
18) 표면 모듈의 기계적 고정체(mechanical securing)
19) 설치 개구

Claims (9)

  1. 통합형 매장 공사용 시스템(8)을 구비한 착탈 가능하고 재사용 가능한 공간 구획 장치로서, 상기 공간 구획 장치의 건립(erection) 또는 해체 중에 주위 구성요소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특히 그러나 비한정적으로, 내측 벽체, 중간 벽체 및 분할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 구획 장치에 있어서,
    종축 방향으로 융통형 조정기(11)를 포함하되, 특히 그러나 비한정적으로, 나사 기구(screw mechanism)에 의하여 달성되는 조정기를 포함하는 버팀대(1)와,
    표면 설계, 구조 설계 및 재료 설계가 융통성을 가지는 결합 시스템(10)에 의하여 버팀대(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모듈형 덮개(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구획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구조 레벨(3) 내에, 벽체 평면에 수직한 버팀대 자체의 대응 구멍(14) 또는 버팀대의 스페이서(14)에 의하여, 설치 경로(7)가 또한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구획 장치.
  3. 선행 청구항들 중 하나 이상에 있어서,
    버팀대(1)들 사이의 중간 공간(6)은, 버팀대(1)들 사이에 클램핑되거나 결합 시스템에 의하여 구조체 내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는 차음 및/또는 단열 재료로 벽체 축 방향으로 라이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구획 장치.
  4. 선행 청구항들 중 하나 이상에 있어서,
    버팀대(1)에는 내습성 및/또는 기밀성 시트(5)가 착탈식 결합 시스템에 의하여 또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구획 장치.
  5. 선행 청구항들 중 하나 이상에 있어서,
    옥외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구획 장치.
  6. 선행 청구항들 중 하나 이상에 있어서,
    버팀대(1)는, 특히 그러나 비한정적으로, 천장 및/또는 경사진 벽을 형성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또는 소망 각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구획 장치.
  7. 선행 청구항들 중 하나 이상에 있어서,
    표면 모듈(4)은 추가 기능, 특히 그러나 비한정적으로, 설치 개구(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구획 장치.
  8. 선행 청구항들 중 하나 이상에 있어서,
    표면 모듈(4)은 기계적 부착체(18)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부착체는 특히 그러나 비한정적으로, 점포 설계 구조체(8) 내로 걸릴 수 있고 고정될 수 있는 후크(18)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구획 장치.
  9. 선행 청구항들 중 하나 이상에 있어서,
    버팀대(1)는, 특히 그러나 비한정적으로, 인접 구성요소의 편위를 수용하고 보정하기 위하여, 버팀대(1)의 종축 방향의 융통형 조정기(11) 내에 장력 제한기를 포함하는 인장 장치(11) 내의 추가 스프링 기구(12)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구획 장치.
KR1020147032477A 2012-04-19 2013-04-17 융통성을 갖는 벽체 시스템 KR201500059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473/2012 2012-04-19
ATA473/2012A AT512642B1 (de) 2012-04-19 2012-04-19 Flexibles Wandsystem
PCT/AT2013/000075 WO2013155541A2 (de) 2012-04-19 2013-04-17 Flexibles wand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983A true KR20150005983A (ko) 2015-01-15

Family

ID=4862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477A KR20150005983A (ko) 2012-04-19 2013-04-17 융통성을 갖는 벽체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50059270A1 (ko)
EP (1) EP2839086A2 (ko)
KR (1) KR20150005983A (ko)
CN (1) CN104379850A (ko)
AT (1) AT512642B1 (ko)
IN (1) IN2014MN02031A (ko)
MX (1) MX2014012681A (ko)
RU (1) RU2014146435A (ko)
WO (1) WO201315554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5100079U1 (de) 2015-01-09 2016-04-13 C3 Technologies Gmbh Schnellbau-Sandwichwandelementsystem zur Ausbildung einer rückbaubaren Wand
CN105040859A (zh) * 2015-08-14 2015-11-11 苏州旭杰建筑新技术有限公司 具有电源开关的防火隔音复合墙体
CN106381945B (zh) * 2016-11-21 2018-10-23 陈伟良 一种应用于预制装嵌式房屋的立面连接结构
CN111321803B (zh) * 2020-03-11 2021-07-13 深圳机械院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模块化装配式建筑
CN112554383A (zh) * 2020-12-14 2021-03-26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万向杆调整式装配式单元模块隔墙的安装结构
CN112854530A (zh) * 2021-01-15 2021-05-28 天津市盛泰建设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构件
CN114876052A (zh) * 2021-02-05 2022-08-09 陈良 一种大小和高度可拓展的装配式建筑
CN114575547B (zh) * 2022-03-15 2023-08-25 恒亿集团有限公司 一种啮合型复合耗能减震装配式t字模墙体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5585A (en) * 1966-03-15 1967-06-13 John H Brenneman Combined panel fastener and electrical conduit
US3537217A (en) * 1968-02-08 1970-11-03 Flangeklamp Corp Wall structures
US3638376A (en) * 1970-01-05 1972-02-01 Hough Mfg Corp Portable partition
US3967420A (en) * 1974-04-30 1976-07-06 Papsco, Inc. Portable wall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US4037380A (en) * 1976-01-29 1977-07-26 Pollock Gordon J Interior partition structure with resiliently-biased panels
JPS574175Y2 (ko) * 1976-08-11 1982-01-26
US4454690A (en) * 1976-09-28 1984-06-19 Panelfold, Inc. Portable and operable wall system
US4277920A (en) * 1976-09-28 1981-07-14 Panelfold Doors, Inc. Portable and operable wall systems
US4103463A (en) * 1976-09-28 1978-08-01 Panelfold Doors, Inc. Portable wall system
JPS5428411A (en) * 1977-08-04 1979-03-03 Kouji Unayama Device for fixing room partition wall
US4188758A (en) * 1978-09-20 1980-02-19 Charles Swann Base for movable wall parts
US4356674A (en) * 1980-03-31 1982-11-02 Herman Miller, Inc. Free-standing space divider assembly with acoustic upper end border
NZ214968A (en) * 1985-02-05 1989-04-26 Alec David Ward Screen retained between spaced apart rails
US4688750A (en) * 1986-02-03 1987-08-25 Glen O'brien Movable Partition Company, Inc. Component mounting system for prefabricated walls and the like
DE3902385A1 (de) * 1989-01-27 1990-08-02 Mba Design & Display Product G Trennwandung, insbesondere fuer messehallen
US5020290A (en) * 1989-12-15 1991-06-04 Hajjar Victor J Modular wall
US5038534A (en) * 1989-12-18 1991-08-13 Pollock Gordon J Unitary panel module and connector
DE59400492D1 (de) * 1993-05-25 1996-09-19 Rosconi Ag Mobile Trennwand
CH686966A5 (de) * 1993-09-14 1996-08-15 Schneider D Mmtechnik Ag Universell verwendbare Trenn- bzw. Ausstellungs- oder Praesentationswand.
US5664380A (en) * 1995-07-12 1997-09-09 Hsueh; Jen Shiung Partition frame structure
US5913783A (en) * 1996-06-07 1999-06-22 Haworth, Inc. Portable multiple-purpose floor-ceiling column for office
US6023896A (en) * 1998-08-24 2000-02-15 Finish Group Ltd. Modular parti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such systems
DE19844553C2 (de) * 1998-09-29 2002-09-19 Gerhard Fauner Klettenartiges Befestigungssystem für Wandelemente
US20020002805A1 (en) * 2000-07-04 2002-01-10 Max Co., Ltd. Bonding member and gypsum board mounting method using the same
CA2329591A1 (en) * 2000-12-22 2002-06-22 Eberhard Von Hoyningen Huene Demountable partition system
CA2449956C (en) * 2001-06-07 2009-06-02 Telezygology Inc. Adjustment device and building element
US6883277B2 (en) * 2001-06-15 2005-04-26 Kimball International, Inc. Floor-to-ceiling wall panel system
US20050081472A1 (en) * 2003-10-21 2005-04-21 Moore Diane P. Removable indoor supporting structure
CA2476368A1 (en) * 2004-07-30 2006-01-30 Groupe Artitalia Inc. Adjustable wall system
ITBO20050076A1 (it) * 2005-02-17 2006-08-18 Metal Work Srl Struttura per il supporto di elementi a definire una parete
US7823351B2 (en) * 2005-07-20 2010-11-02 Thermo Structure Inc. Stackable insulated unit for wall constru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US8434728B2 (en) * 2009-03-31 2013-05-07 Production Resource Group, Llc I-beam track with a separate attachment portion
CN202108136U (zh) * 2011-05-27 2012-01-11 无锡隆玛科技股份有限公司 可拆卸隔断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2014MN02031A (ko) 2015-08-14
CN104379850A (zh) 2015-02-25
EP2839086A2 (de) 2015-02-25
WO2013155541A3 (de) 2013-12-12
AT512642B1 (de) 2013-10-15
US20150059270A1 (en) 2015-03-05
WO2013155541A2 (de) 2013-10-24
MX2014012681A (es) 2015-06-05
AT512642A4 (de) 2013-10-15
RU2014146435A (ru)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5983A (ko) 융통성을 갖는 벽체 시스템
CA2937577C (en) Frame profile of a rack for a switching or distribution cabinet
US201401964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covers and devices co-planar with walls and other building surfaces
KR101529009B1 (ko) 착탈식 벽체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DK2567035T3 (en) Development of improvements of building structures
JP2013525648A5 (ko)
KR20160063631A (ko) 벽체의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703982B1 (ko) 조립식 천장구조물
KR20110116780A (ko) 천장틀 시공방법
US20040213429A1 (en) Fixture mounting assembly
EP2679739A2 (en) Partition system
JP2005315059A (ja) 建築物、建築物用の枠体、建築物の施工方法
KR20200034881A (ko)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
JP2012062683A (ja) 鉄骨柱の耐火構造
US20210180320A1 (en) Plenum support for demountable wall system
EP3101323A1 (en) Apartment element for covering at least one pipe and/or cable
WO2010055196A1 (en) A cover unit for controlling noise from engines or the like
WO2007017638A1 (en) Adjustable housing for installation of a lighting fitting in a suspended ceiling
JP2008045268A (ja) ユニットパネルセット及びユニットパネル工法
AU2015246127B2 (en) A fire rated access panel and duct system
JP2020056556A (ja) 補助化粧パネル、天井埋め込み式空気調和機の室内機、天井埋め込み式空気調和機、および、天井埋め込み式空気調和機の設置方法
JP6346744B2 (ja) 目隠し板及びその施工方法
JP2017150302A (ja) 目隠し板
JP6786617B2 (ja) 外部導管係合特徴部を備えたプレハブ式間仕切り壁
DK179901B1 (en) An outer frame element, a set of parts, a wall construction,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fire-shielding wall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