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427B1 - 높이조절형 가동경량 칸막이 벽체 - Google Patents

높이조절형 가동경량 칸막이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427B1
KR100701427B1 KR1020060009907A KR20060009907A KR100701427B1 KR 100701427 B1 KR100701427 B1 KR 100701427B1 KR 1020060009907 A KR1020060009907 A KR 1020060009907A KR 20060009907 A KR20060009907 A KR 20060009907A KR 100701427 B1 KR100701427 B1 KR 100701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nut
ceiling
partition wal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암
이성옥
임석호
황은경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09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7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and the lighting unit being located within or on the sam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재 및 심재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표면재를 포함하는 벽체부; 상기 벽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나사조절부; 및, 상기 나사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천장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칸막이 벽체 시스템에서, 상기 천장지지부는, 상기 나사조절부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형 가동경량 칸막이 벽체에 관한 것이다.
벽체부, 나사조절부, 천장지지부, 제1나사봉, 제2나사봉, 제1바벨기어, 제2바벨기어, 암나사봉, 상부표면재

Description

높이조절형 가동경량 칸막이 벽체{Level adjustable lightweight Partition Wall}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a)사시도 및 (b)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a)사시도 및 (b)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a)전면조절형 및 (b)측면조절형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인 높이조절형 가동경량 칸막이 벽체가 다수 개 결합하여 벽면을 형성하고 있는 입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벽체부
101:심재 102:표면재
110:가이드홀(guide hole)
115:가이드홀지지판
120:하부중공
200: 나사조절부
210:제1나사봉
211:상부지지판 212:높이조절너트
220:이중나사봉
221:제1나사부 222:제2나사부
225:상부너트 226:하부너트
227:이중나사조절너트
230:제2나사봉
235:암나사봉
236:제1바벨기어 237:제2바벨기어
300: 천장지지부
310:제1지지각재
315:제1완충고무판
320:제2지지각재
321:상부중공
325:제2완충고무판
400: 상부표면재
401:폴리에스터 흡음보드
402:완충재고무
기술분야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심재 및 심재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표면재를 포함하는 벽체부; 상기 벽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나사조절부; 및, 상기 나사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천장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천장지지부는 상기 나사조절부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한 칸막이 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칸막이 벽체, 패널(Panel) 또는 파티션(Partition)이라고도 하며 학교, 사무실, 전시장, 휴게실, 문화공간 또는 작업장 등의 실내 또는 실외 공간을 원하는 대로 구획하여 사무 등을 위한 공간을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설치 및 재설치의 편리성과 공간의 미적 개선효과가 높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칸막이 벽체는 사용의 측면에 있어서 외관의 미려함, 설치 및 분해의 용이성뿐만아니라 일체의 공간을 여러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사무 등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내구성이 양호하고 소음 감소와 단열효과가 높은 것을 요구하고 있다.
칸막이 벽체는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까지만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바닥면에서 천장까지 도달되도록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칸막이 벽체가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까지만 설치되는 경우는 통상적으로 바닥시공이 완료된 후 조립식으로 칸막이 벽체를 시공하여 실내공간을 소정의 구획으로 구분하나, 칸막이 벽체가 바닥면에서 천장까지 도달하는 경우에는 현장에서 칸막이 벽체를 선시공하고 난 후, 바닥을 후시공하여 바닥 마감재에 칸막이 벽체의 하단부가 매립되는 방법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칸막이 벽체의 상단부는 천장에 앵커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칸막이 벽체 설치시 바닥면에서 천장까지의 거리에 따라 별개의 칸막이 벽체가 필요하여 건물에 따라 다양한 규격을 준비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칸막이 벽체의 하단부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칸막이 벽체의 상단부를 천장면에 밀착 고정하여 칸막이 벽체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는 작업도 용이하지 않아 상당한 경험과 기술을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천장까지 도달하는 칸막이 벽체를 일단 시공하고 나면, 일반적인 조립식 칸막이 벽체와는 달리 그 해체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칸막이 벽체의 하단부가 시공과정에서 바닥 마감재에 매립되어 있는 바, 칸막이 벽체의 해체를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바닥 마감재의 손상이 수반되어 칸막이 벽체의 해체 후 별도로 바닥의 마감시공을 다시 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칸막이 벽체의 상단부도 천장에 앵커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바, 이를 해체할 경우 앵커볼트가 설치되었던 부분도 별도의 마감시공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바닥에서 천장까지 도달하는 칸막이 벽체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바닥에서 천장까지의 거리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칸막이 벽체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전문가의 도움 없이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 및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공간을 자유롭게 구획할 수 있는 칸막이 벽체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미려한 외장을 구비한 칸막이 벽체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심재 및 심재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표면재를 포함하는 벽체부; 상기 벽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나사조절부; 및, 상기 나사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천장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천장지지부는 상기 나사조절부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여 칸막이 벽체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천장지지부가 상기 나사조절부에 의하여 상향 이동하고 천장에 단단하게 밀착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인 칸막이 벽체가 바닥과 천장 사이에 고정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a)사시도 및 (b)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심재(101)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표면재(102)를 포함하는 벽체부(100), 벽체부(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나사조절부(200), 및 나사조절부(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천장지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나사조절부(200)는 천장지지부(300)와 결합하는 상부지지판(211), 상부지지판(211)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1나사봉(210), 및 제1나사봉(210)에 체결되는 높이조절너트(212)를 포함하고 있다.
상부지지판(211)은 천장지지부(3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천장지지부(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나사봉(210)은 상부지지판(211)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되는데, 제1나사봉(210)과 상부지지판(211)은 용접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일체로 결합한다.
높이조절너트(212)를 조여주거나 풀어주는 경우 제1나사봉(21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제1나사봉(210)에 체결된 상태의 높이조절너트(212) 하부에 위치하는 제1나사봉(210) 부분은 벽체부(100)의 상부단면에 구비되는 가이드홀(110)에 삽입되고, 높이조절너트(212)는 가이드홀(110) 주변에 구비되는 가이드홀지지판(115)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구조를 이룬다.
가이드홀지지판(115)은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나사봉(210)이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된 단순한 판재가 사용될 수도 있고, 적절한 규격의 와샤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높이조절너트(212)를 조여주거나 풀어주는 경우 높이조절너트(212)는 가이드홀지지판(115)에 지지되어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되는 바, 제1나사봉(21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제1나사봉(210)과 일체로 고정된 상부지지판(211)에 의하여 천장지지부(300) 전체가 상하로 이동한다.
천장지지부(300)는 상부지지판(211)에 결합되는 제1지지각재(310), 및 제1지지각재(31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제1완충고무판(3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지지각재(310)는 상부지지판(211)에 의하여 지지되는 바, 상부지지판(211)과 함께 상하로 이동하고, 제1지지각재(310)의 상부면은 천장에 밀착되어야 하는 바, 제1완충고무판(315)이 구비되어 완충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벽체부(100)의 하단부를 바닥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제1나사봉(210)이 상향이동하도록 높이조절너트(212)를 돌려주면, 제1나사봉(210)과 일체로 고정된 상부지지판(211)이 제1지지각재(310)를 상향이동시켜 천장에 밀착되도록 하고, 제1지지각재(310)의 상부면에 구비된 제1완충고무판(315)이 상부지지판(211)과 천장 사이에 완충역할을 하면서 벽체부(100) 및 천장지지부(300)가 일체로 바닥과 천장 사이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칸막이 벽체를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나사봉(210)이 하향이동하도록 높이조절너트(212)를 돌려주면 벽체부(100) 및 천장지지부(300)가 바닥과 천장 사 이에 밀착된 상태가 해제되어 용이하게 해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부표면재(4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지지부(300) 및 나사조절부(20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벽체부(100)의 상단과 천장 사이의 공간을 덮는데, 높이조절을 통한 벽체부(100)의 설치가 완료된 후 최종적으로 상부표면재(400)를 설치한다.
상부표면재(400)는 벽체부(100)를 구성하는 표면재(102)와 마찬가지로 MDF 재질이 사용됨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재료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려한 외장을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a)사시도 및 (b)단면도이다.
도2에 도시된 나사조절부(200)는 천장지지부(300)와 일체로 결합하는 상부너트(225), 벽체부(100)의 상부단면에 일체로 결합하는 하부너트(226), 상부너트(225) 및 하부너트(226) 각각이 체결되는 이중나사봉(220), 및 이중나사봉(220)의 중간에 일체로 고정되는 이중나사조절너트(2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중나사봉(220)은 이중나사조절너트(227)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진행방향이 서로 다른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나사부(221)는 이중나사조절너트(227)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제2나사부(222)는 이중나사조절너트(227)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제1나사부(221)와 제2나사부(222)는 각각 나사의 진행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중나사봉(220)에 일체로 고정된 이중나사조절너트(227)를 돌려주는 경우, 제1나사부(221)는 상부너트(225)에 체결된 상태이고 제2나사부(222)는 하부너트(226)에 체결된 상태인 바, 상부너트(225) 및 하부너트(226)가 동시에 이중나사조절너트(227)에 접근하거나, 상부너트(225) 및 하부너트(226)가 동시에 이중나사조절너트(227)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왜냐하면 제1나사부(221)와 제2나사부(222)가 각각 나사의 진행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부너트(225) 및 하부너트(226)가 동시에 이중나사조절너트(227)로부터 멀어지는 경우에는 천장지지부(300)가 상향이동을 하게되고, 상부너트(225) 및 하부너트(226)가 동시에 이중나사조절너트(227)에 접근하는 경우에는 천장지지부(300)가 하향이동을 하게된다.
즉, 천장지지부(300)를 상향이동시켜 벽체부(100) 및 천장지지부(300)를 바닥과 천장 사이에 밀착고정시킬 경우에는 이중나사조절너트(227)로부터 상부너트(225) 및 하부너트(226)가 동시에 멀어지도록 이중나사조절너트(227)를 돌려주고, 천장지지부(300)를 하향이동시켜 벽체부(100) 및 천장지지부(300)를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중나사조절너트(227)에 상부너트(225) 및 하부너트(226)가 동시에 접근하도록 이중나사조절너트(227)를 돌려준다.
도2에 도시된 천장지지부(300)는 상부너트(225)가 결합되는 제2지지각재(320), 제2지지각재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제2완충고무판(325), 및 제1나사부(221)가 통과하도록 제2지지각재(320)에 수직으로 형성된 상부중공(321)을 포함하고 있다.
제2지지각재(320)는 상부너트(225)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상부너트(225)와 함께 상하로 움직이고, 상부중공(321)은 상부너트(225)에 체결되어 상하로 움직이 는 제1나사부(221)의 통로 역할을 한다.
제2완충고무판(325)은 제1완충고무판(315)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도2에 도시된 벽체부(100)의 상부단면에는 제2나사부(222)가 통과하도록 수직으로 하부중공(120)이 구비되어 제2나사부(222)의 통로 역할을 한다.
도2의 경우에도 상부표면재(400)가 구비되어 미려한 외장을 제공할 수 있는데, MDF 재질의 상부표면재(400)의 내부에는 폴리에스터 흡음보드(401) 및 완충재고무(402)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a)전면조절형 및 (b)측면조절형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3에 도시된 나사조절부(200)는 천장지지부(300)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2나사봉(230), 벽체부(100)의 상부단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2나사봉(230)에 체결되는 암나사봉(235), 암나사봉(235)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1바벨기어(236), 및 제1바벨기어(236)와 연동하며 회전축의 방향을 90˚ 전환시키는 제2바벨기어(237)로 구성된다.
제2바벨기어(237)는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부(100)의 전면으로 회전축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도3(b)에 설치된 바와 같이 벽체부(100)의 측면으로 회전축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의 단부가 노출되는 방향에 따라 기술적 구성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단지 제2바벨기어(237)를 회전시키기 위한 6각렌치 등과 같은 공구의 접근방향이 달라질 뿐이다.
제2바벨기어(237)를 회전시키면 이와 연동하여 제1바벨기어(236)가 회전하되 회전축의 방향이 수평에서 수직으로 전환된다.
제1바벨기어(236)의 회전에 따라 제1바벨기어(236)와 일체를 구성하고 있는 암나사봉(235)이 회전하게 된다.
암나사봉(235)은 벽체부(10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항상 같은 높이를 유지하게 되는 바, 암나사봉(235)이 회전하면 암나사봉(235)에 체결된 제2나사봉(23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2나사봉(230)과 일체로 결합된 천장지지부(30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2바벨기어(237)를 회전시켜 천장지지부(300)가 천장에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고, 반대로 밀착 고정된 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다.
첨부도면에는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 경우에도 별도의 상부표면재(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칸막이 벽체는 다수 개가 결합하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벽체를 구성하게 되는데 서로 연결되는 벽체부()의 양측 측면에는 홈부가 구성되어 있고 고무소재의 막대가 홈부를 따라 삽결되기도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닥에서 천장까지 도달하는 칸막이 벽체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나사조절부(200)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천장지지부(30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누구든지 손쉽게 칸막이 벽체를 바닥과 천장 사이에 밀착 고정하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여 해체할 수 있다.
둘째, 바닥에서 천장까지의 거리에 따라 칸막이 벽체의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장소에 폭 넓게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천장지지부(30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바, 칸막이 벽체의 전체 높이가 가변적이다. 따라서, 천장지지부(30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천장의 높이가 다른 다양한 건물 내에서 범용적 사용이 가능하다.
셋째, 전문가의 도움 없이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 및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공간을 자유롭게 구획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든지 용이하게 칸막이 벽체의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여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와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자유롭게 공간을 재창출할 수 있다.
넷째, 미려한 외장을 구비한 칸막이 벽체를 제공하여 거주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높이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나사조절부 및 천장지지부의 외부를 감싸는 별도의 상부표면재가 구비되어 거주자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심재 및 심재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표면재를 포함하는 벽체부;
    상기 벽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나사조절부; 및,
    상기 나사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천장지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천장지지부는,
    상기 나사조절부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나사조절부는,
    상기 천장지지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부너트;
    상기 벽체부의 상부단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하부너트;
    상기 상부너트 및 상기 하부너트 각각이 체결되는 이중나사봉; 및,
    상기 이중나사봉의 중간에 일체로 고정되는 이중나사조절너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중나사봉은,
    상기 이중나사조절너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너트가 체결되는 제1나사부; 및,
    상기 이중나사조절너트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너트가 체결되는 제2나사부;
    로 구성되되,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는 각각 나사의 진행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형 가동경량 칸막이 벽체.
  2. 제1항에서,
    상기 천장지지부는,
    상기 상부너트가 결합되는 제2지지각재;
    상기 제2지지각재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제2완충고무판; 및,
    상기 제1나사부가 통과하도록 상기 제2지지각재에 수직으로 형성된 상부중공;
    을 포함하고,
    상기 벽체부의 상부단면에는,
    상기 제2나사부가 통과하도록 수직으로 형성된 하부중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형 가동경량 칸막이 벽체.
  3. 제1항 또는 제2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천장지지부 및 상기 나사조절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벽체부의 상단과 천장 사이의 공간을 덮는 상부표면재;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형 가동경량 칸막이 벽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60009907A 2006-02-02 2006-02-02 높이조절형 가동경량 칸막이 벽체 KR100701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907A KR100701427B1 (ko) 2006-02-02 2006-02-02 높이조절형 가동경량 칸막이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907A KR100701427B1 (ko) 2006-02-02 2006-02-02 높이조절형 가동경량 칸막이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1427B1 true KR100701427B1 (ko) 2007-03-30

Family

ID=4156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907A KR100701427B1 (ko) 2006-02-02 2006-02-02 높이조절형 가동경량 칸막이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4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607B1 (ko) 2007-12-17 2010-02-11 주식회사 동성사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벽체
KR101194263B1 (ko) 2010-03-26 2012-10-29 주식회사 유비스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
CN107620405A (zh) * 2016-07-15 2018-01-23 奥斯德诺建筑装饰制品(上海)有限公司 一种活动隔断
CN107882215A (zh) * 2017-11-29 2018-04-06 国网山东省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可调节式防护隔断装置
KR200495972Y1 (ko) * 2020-10-30 2022-10-04 서영희 조립식 가벽 파티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307Y1 (ko) 2005-09-21 2005-11-29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경량 칸막이 패널의 높낮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307Y1 (ko) 2005-09-21 2005-11-29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경량 칸막이 패널의 높낮이 조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607B1 (ko) 2007-12-17 2010-02-11 주식회사 동성사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벽체
KR101194263B1 (ko) 2010-03-26 2012-10-29 주식회사 유비스 칸막이 시스템 높이 조절구조
CN107620405A (zh) * 2016-07-15 2018-01-23 奥斯德诺建筑装饰制品(上海)有限公司 一种活动隔断
CN107882215A (zh) * 2017-11-29 2018-04-06 国网山东省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可调节式防护隔断装置
KR200495972Y1 (ko) * 2020-10-30 2022-10-04 서영희 조립식 가벽 파티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427B1 (ko) 높이조절형 가동경량 칸막이 벽체
EP2105573B1 (en) A sliding door arrangement
CN205894387U (zh) 一种新型可拆卸墙板
CN111009178B (zh) 一种装配式建筑教学模型
EP3240617B1 (en) System for a tilting amusement ride
KR200407303Y1 (ko) 조립식 칸막이
US20030140572A1 (en) Structure for pre-assembled bathroom and method of installation of the bathroom
KR100922807B1 (ko)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동경량 칸막이벽체
CN110056104A (zh) 一种模块化室内隔墙的构件、墙体及施工方法
KR20200034881A (ko)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
KR200297953Y1 (ko) 옥외용 조립식 소주택의 천막 장력조절구조
CN215888738U (zh) 一种可调节厚度的模块化骨架隔墙
AT517536B1 (de) Einbaubox mit Beleuchtung für den Einbau in einer Wandnische oder Aussparung
CN109057131A (zh) 一种集成式吊顶及其安装方法
CN214272529U (zh) 便拆式装修隔墙
CN213572836U (zh) 一种多角度可调节的幕墙装饰条系统
US3263380A (en) Architecture of theatres
CN213174317U (zh) 一种用于装配式墙板与建筑主体间的连接系统
CN210507782U (zh) 可移动建筑连接结构及可移动建筑
CN210263416U (zh) 钢结构中旋转式预制混凝土外挂墙板连接节点结构
KR200449646Y1 (ko) 간이구조물용 조립식 기둥
CN113530024A (zh) 一种可调节厚度的模块化骨架隔墙及其安装方法
KR20090025485A (ko) 벽체 마감패널의 설치구조
CN220203149U (zh) 一种预埋式吊顶结构
DE102005058115A1 (de) Verkleidung für eine auf separaten Tragfüßen abgestützte Whirl-Badewan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