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474A -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3474A
KR20170053474A KR1020150156047A KR20150156047A KR20170053474A KR 20170053474 A KR20170053474 A KR 20170053474A KR 1020150156047 A KR1020150156047 A KR 1020150156047A KR 20150156047 A KR20150156047 A KR 20150156047A KR 20170053474 A KR20170053474 A KR 20170053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unner
panel
space
doub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태창
Original Assignee
손태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태창 filed Critical 손태창
Priority to KR1020150156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3474A/ko
Publication of KR20170053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에 있어서, 내방수벽(1)과 이격되도록 바닥면에 형성된 방수턱(2) 상면에 수평 연장된 런너(10); 하단이 상기 런너(10)에 고정될 때 상단이 천장(3)과 이격되도록 런너(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다수의 지지바(20); 상기 지지바(20)를 내방수벽(1)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지지하는 간격유지부재(30); 상기 다수의 지지바(20)에 상하로 다단 설치된 브래킷(40); 상기 브래킷(40)에 고정되어 지지바(20)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는 다수의 마감패널(50); 및 단면 기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이 상기 최하측 브래킷(40)에 고정되고 하단이 방수턱(2)보다 하측으로 연장되되 방수턱(2)의 전면과 이격된 걸레받이(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바(20)와 천장(3) 사이의 공간 및 걸레받이(60)와 방수턱(2) 사이의 공간을 통해 마감패널(50) 전후방의 공기가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이다.

Description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A constructing structure of underground double wall }
본 발명은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공간의 결로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지하공간은 필요한 용도에 따라 주차장이나 창고 또는 거주공간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하공간은 지중에 설치되는 특성상 온도차에 의한 결로 방지 및 유입되는 침투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이중벽을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내방수벽과 일정간격을 갖도록 바닥면에 형성되는 방수턱과 천장에 각각 지지바의 상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런너를 설치한 후 상기 하부런너에 다수의 지지바를 설치하고 이 지지바들을 수평바로 연결하며, 마감패널을 지지바 및 수평바에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연결 설치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이중벽은 마감패널의 상단이 천장과 맞닿고 하단이 방수턱에 맞닿게 설치되므로, 오히려 내방수벽과 지하공간 사이를 마감패널이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마감패널을 사이에 두고 내방수벽과 지하공간 사이의 온도편차가 발생하므로 상기 마감패널에 결로가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마감패널이 단시간 내에 손상되는 문제가 있고, 결로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물자국, 곰팡이 등 오염물질에 의해 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하공간은 사람이 거주하기보다는 주로 주차장 등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지상층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에 비해 저렴한 합판 등으로 이루어진 거푸집을 사용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정밀성이 떨어져서 천장이나 방수턱 상면이 울퉁불퉁하거나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이와 같이 울퉁불퉁한 천장이나 방수턱에 각각 상부런너 및 하부런너를 설치할 때, 상부 및 하부런너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일정규격의 지지바를 설치하기가 어렵고 시공상 정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지바의 길이가 상부 및 하부런너 사이의 간격보다 긴 경우에는 지지바를 절단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설치공정이 복잡해져서 시공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142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자재를 설치하지 않고도 공기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결로가 방지되며 자재비용이 절감되고 천장 등의 설치면이 경사지거나 울퉁불퉁하더라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편의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며 외관이 미려한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에 있어서, 내방수벽(1)과 이격되도록 바닥면에 형성된 방수턱(2) 상면에 수평 연장된 런너(10); 하단이 상기 런너(10)에 고정될 때 상단이 천장(3)과 이격되도록 런너(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다수의 지지바(20); 상기 지지바(20)를 내방수벽(1)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지지하는 간격유지부재(30); 상기 다수의 지지바(20)에 상하로 다단 설치된 브래킷(40); 상기 브래킷(40)에 고정되어 지지바(20)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는 다수의 마감패널(50); 및 단면 기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이 상기 최하측 브래킷(40)에 고정되고 하단이 방수턱(2)보다 하측으로 연장되되 방수턱(2)의 전면과 이격된 걸레받이(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바(20)와 천장(3) 사이의 공간 및 걸레받이(60)와 방수턱(2) 사이의 공간을 통해 마감패널(50) 전후방의 공기가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바(20)의 최상단에는 단면 디귿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마감패널(50)의 상단이 내측에 삽입되는 패널마감부재(70)가 브래킷(40) 대신 설치되며, 상기 패널마감부재(70)와 하측의 인접된 브래킷(40) 사이에는 최상단 마감패널(50)을 지지바(20)에서 이격 지지하는 스페이서(8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브래킷(40)은 다수의 지지바(20)들을 수평 연결하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에는 마감패널(50)의 상하단에 형성된 날개(51)가 삽입되는 탄성삽입홈(41)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공간의 이중벽(W)의 상단 및 하단에 상단개구부(5) 및 하단개구부(6)가 형성되어 이중벽(W)의 전후공간의 공기가 상단 및 하단개구부(5,6)를 통해 순환되므로 결로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때, 이중벽(W)을 이루는 지지바(20)의 상단이 천장(3)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므로 울퉁불퉁하거나 경사진 불규칙한 형태의 천장(3)에 지지바(20)의 상단을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바(20)를 절단하거나 천장에 런너를 설치하는 작업공정이 요구되지 않아서 시공편의성이 향상된다. 이때, 상단개구부(5)가 형성되면서도 지지바(20)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지지바(20)가 노출됨에 따라 공사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상태로 인식되지 않아서 사람들에게 위협감을 주지 않고 외관을 해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최상단 마감패널(50)이 지지바(20) 상단에 설치되는 패널마감부재(70)에 의해 외부로부터 은폐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공기순환에 의한 결로방지 효과를 얻으면서도 외관이 미려하며 또한 패널마감부재(70)가 지지바(20) 상단까지 은폐시켜 외관이 더욱 미려하다. 이때, 최상단 마감패널(50)이 스페이서(80)에 의해 지지바(20)로부터 이격되므로, 별도의 브래킷 없이도 마감패널(50)이 스페이서(80)와 패널마감부재(70)에 의해 지지바(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걸레받이(60)의 전면커버(62)의 하단이 방수턱(2)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므로, 하단개구부(6)가 형성되면서도 울퉁불퉁하거나 경사진 불규칙한 형태의 방수턱(2) 상단이 걸레받이(60)에 의해 외부로부터 은폐되어 외관이 보다 미려해진다. 한편, 브래킷(40)이 탄성삽입홈(41)이 형성된 바아 형태로 이루어져서 마감패널(50) 뿐 아니라 걸레받이(60)도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 이중벽(W) 설치구조는 방수턱(2) 상면에 수평 연장된 런너(10)와, 하단이 상기 런너(10)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바(20)와, 이 지지바(20)를 내방수벽(1)과 이격 지지하는 간격유지부재(30)와, 상기 지지바(20)에 상하로 다단 설치된 브래킷(40)과, 상기 지지바(20)의 상단부에 설치된 패널마감부재(70)와, 상기 최상단 마감패널(50)을 지지바(20)에서 이격시키는 스페이서(80)와, 상기 브래킷(40)에 고정되어 지지바(20)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는 다수의 마감패널(50)과, 상기 최하측 브래킷(40)에 설치된 걸레받이(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지하공간은 내방수벽(1)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바닥면에 방수턱(2)이 형성된다.
상기 런너(10)는 단면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주지된 것으로 방수턱(2) 상면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런너(1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못이나 타정핀 등과 같은 고정부재(4)로 방수턱(2)에 고정시킨다.
상기 지지바(20)는 하단이 런너(10)에 끼워지고 상기 간격유지부재(30)에 의해 내방수벽(1)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은 지지바(20)는 런너(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설치되는데 무게를 줄여 시공성을 높인 경량철골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바(20)의 길이는 지하공간의 천장(3)과 방수턱(2)의 상면과의 높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바(20)의 하단이 런너(10)에 장착될 때 그 상단이 천장(3)과 이격되므로, 설치될 이중벽(W)의 상단이 천장(3)과 이격되어 상단개구부(5)를 형성함으로써 이중벽의 전후공간이 상단개구부(5)를 통해 연통된다.
상기 간격유지부재(30)는 지지바(20)를 지지해주면서 내방수벽(1)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유지시켜주는 것으로, 주지된 앵커볼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단면 니은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즉, 간격유지부재(30)는 내방수벽(31)에 고정되는 고정판(31)과, 이 고정판(31)의 일단에서 절곡되며 그 선단부가 지지바(20)의 측면에 고정되는 결합판(32)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40)은 지지바(20)에 상하로 다단 설치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지지바(20)들을 수평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다. 또한 브래킷(40)의 전면에는 상기 마감패널(50) 및 걸레받이(60)가 결합되는 탄성삽입홈(4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와 같은 브래킷(40)은 도 2의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금속판을 삼각형상으로 절곡시키되 양 측벽이 서로 근접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근접된 양 측벽의 단부 사이가 탄성삽입홈(41)을 형성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패널마감부재(70)는 단면 디귿자 형상이며 지지바(20)들을 연결하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이와 같은 패널마감부재(70)는 도 2와 같이 개방부가 하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며 전후로 대향되는 후면수직판(71)이 지지바(20)에 고정되고, 전면수직판(72)이 마감패널(50)을 전방에서 볼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시키게 된다. 또한 패널마감부재(70)는 상단이 도 2와 같이 지지바(20)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하여 지지바(20)가 전방에서 볼 때 은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페이서(80)는 패널마감부재(70) 및 그에 인접된 하측의 브래킷(40) 사이에 구비되어 최상단의 마감패널(50)이 지지바(20)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해준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80)는 바람직하게는 M바가 사용되며 지지바(20)들을 연결하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지지바(20)에 고정된다. 이때, 간격유지부재(30), 브래킷(40), 패널마감부재(70) 및 스페이서(80)는 콘크리트 못이나 타정핀, 피스 등과 같은 고정부재(4)로 내방수벽(1)이나 지지바(20)에 고정된다.
상기 마감패널(50)은 상하단에 브래킷(40)에 고정되는 날개(51)가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하단이 브래킷(40)에 고정되어 지지바(20)들 사이의 공간을 커버한다. 도 2의 확대도시된 부분에서와 같이, 상하로 인접된 마감패널(50)의 각 날개(51)가 브래킷(40)의 탄성삽입홈(41)에 함께 끼움결합된다.
상기 걸레받이(60)는 수평상단(61)과 이 수평상단(61)에서 하향 절곡된 전면커버(62)로 이루어져서 단면 기역자 형상을 이룬다. 이와 같은 걸레받이(60)는 수평상단(61)이 브래킷(40)에 고정되어 전면커버(62)가 지지바(20)들 사이의 공간을 커버한다. 또한 걸레받이(60)는 수평상단(61)이 최하측에 위치된 브래킷(40)에 결합될 때 전면커버(62)의 하단이 방수턱(2)의 상단보다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걸레받이(60)의 전면커버(62)는 방수턱(2)의 전면과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걸레받이(60)와 방수턱(2)의 이격된 공간이 하단개구부(6)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설치된 이중벽의 전후공간이 걸레받이(60)와 방수턱(2)에 의해 형성되는 하단개구부(6)를 통해 연통된다.
결국, 이와 같이 설치된 지하 이중벽(W)의 전후공간은 상기 상단개구부(5) 및 하단개구부(6)를 통해 상하단이 연통된다. 이에 따라, 이중벽(W)의 전후공간의 공기가 상단개구부(5) 및 하단개구부(6)를 통해 순환되므로 상기 전후공간의 온도편차에 따른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에 의하면, 도 1 및 도 2와 같이 지지바(20)의 상단이 천장(3)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므로, 울퉁불퉁하거나 경사진 불규칙한 형태의 천장(3)에 지지바(20)의 상단을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바(20)를 절단하거나 천장에 런너를 설치하는 작업공정이 요구되지 않아서 시공편의성이 향상된다. 이때, 상단개구부(5)가 형성되면서도 지지바(20) 상단이 상부마감부재(7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지지바(20)가 노출됨에 따라 공사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상태로 인식되지 않아서 사람들에게 위협감을 주지 않고 외관을 해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걸레받이(60)의 전면커버(62)의 하단이 방수턱(2)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므로, 하단개구부(6)가 형성되면서도 울퉁불퉁하거나 경사진 불규칙한 형태의 방수턱(2) 상단이 걸레받이(60)에 의해 외부로부터 은폐되어 외관이 보다 미려해진다. 한편, 브래킷(40)이 탄성삽입홈(41)이 형성된 바아 형태로 이루어져서 마감패널(50) 뿐 아니라 걸레받이(60)도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내방수벽 2 : 방수턱
3 : 천장 10 : 런너
20 : 지지바 30 : 간격유지부재
40 : 브래킷 50 : 마감패널
60 : 걸레받이 70 : 패널마감부재
80 : 스페이서

Claims (3)

  1.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에 있어서,
    내방수벽(1)과 이격되도록 바닥면에 형성된 방수턱(2) 상면에 수평 연장된 런너(10);
    하단이 상기 런너(10)에 고정될 때 상단이 천장(3)과 이격되도록 런너(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다수의 지지바(20);
    상기 지지바(20)를 내방수벽(1)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지지하는 간격유지부재(30);
    상기 다수의 지지바(20)에 상하로 다단 설치된 브래킷(40);
    상기 브래킷(40)에 고정되어 지지바(20)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는 다수의 마감패널(50); 및
    단면 기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이 상기 최하측 브래킷(40)에 고정되고 하단이 방수턱(2)보다 하측으로 연장되되 방수턱(2)의 전면과 이격된 걸레받이(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바(20)와 천장(3) 사이의 공간 및 걸레받이(60)와 방수턱(2) 사이의 공간을 통해 마감패널(50) 전후방의 공기가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20)의 최상단에는 단면 디귿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마감패널(50)의 상단이 내측에 삽입되는 패널마감부재(70)가 브래킷(40) 대신 설치되며, 상기 패널마감부재(70)와 하측의 인접된 브래킷(40) 사이에는 최상단 마감패널(50)을 지지바(20)에서 이격 지지하는 스페이서(8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40)은 다수의 지지바(20)들을 수평 연결하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에는 마감패널(50)의 상하단에 형성된 날개(51)가 삽입되는 탄성삽입홈(41)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
KR1020150156047A 2015-11-06 2015-11-06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 KR20170053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047A KR20170053474A (ko) 2015-11-06 2015-11-06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047A KR20170053474A (ko) 2015-11-06 2015-11-06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474A true KR20170053474A (ko) 2017-05-16

Family

ID=59035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047A KR20170053474A (ko) 2015-11-06 2015-11-06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34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278B1 (ko) * 2019-12-11 2020-12-30 주식회사 공존공영 현장 맞춤형 지하 이중벽 고정 구조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278B1 (ko) * 2019-12-11 2020-12-30 주식회사 공존공영 현장 맞춤형 지하 이중벽 고정 구조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80094C (en) Flush or lap siding system
US9169652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d building panel
KR100740254B1 (ko) 브라켓의 걸어맞춤을 이용한 실내벽의 패널 설치구조
CA2979613C (en) Ventilated facade
KR20140022946A (ko) 건물용 외장 패널 고정용 고정수단 및 그 고정수단을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KR101682202B1 (ko)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1311682B1 (ko) Lsp 조립식 칸막이
JP2011094432A (ja) 手摺
KR101759705B1 (ko) 커튼 박스
KR101310889B1 (ko) 건축용 외장패널의 연결구조
KR20170053474A (ko) 지하 이중벽 설치구조
KR101783870B1 (ko) 건축 구조물의 내장재 시공구조
JP6970529B2 (ja) 簡易構造物
KR200174254Y1 (ko) 건축물의 외장재
KR102299256B1 (ko)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는 우물천장 구조물
KR200441675Y1 (ko) 조립식 하우스용 연결부재
JP6159272B2 (ja) 建物の内装下地の取付構造
KR101325925B1 (ko) 사춤재가 구비된 창호틀
KR20110023476A (ko) 복합패널을 이용한 건식 지하이중벽의 설치구조
KR20090053038A (ko) 유리판재가 장착된 난간대의 구조
KR20200000682U (ko) 건물 외장용 어셈블리
JP2012077574A (ja) 手摺壁および手摺壁の施工方法
KR200494913Y1 (ko) 건설현장용 석재 지지클램프
KR102598100B1 (ko) 단차진 천장 마감을 위한 고정클립을 이용한 단차 형성 천장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240869B1 (ko) 루버 시공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