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138B1 - 건물 인방용 절단벽돌 - Google Patents

건물 인방용 절단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138B1
KR100653138B1 KR1020060052318A KR20060052318A KR100653138B1 KR 100653138 B1 KR100653138 B1 KR 100653138B1 KR 1020060052318 A KR1020060052318 A KR 1020060052318A KR 20060052318 A KR20060052318 A KR 20060052318A KR 100653138 B1 KR100653138 B1 KR 100653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cutting
building
stee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화숙
Original Assignee
권화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화숙 filed Critical 권화숙
Priority to KR1020060052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 출원 중에 있는 본 발명자의 개선된 받침형강에 끼워질 수 있는 인방용 벽돌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개선된 받침형강의 요부 및 철부를 피해 상기 받침형강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벽돌을 수평으로 절단하고 수직으로 절단함으로써, 상기 요부 및 철부를 갖는 개선된 받침형강으로 상기 절단된 벽돌이 끼워져 상기 받침형강의 밑면이 가려지도록 하고, 특히 상기 받침형강의 위쪽으로 쌓여지는 다른 벽돌들과 같은 종류의 벽돌을 사용하기 때문에 건물 외관을 미려하게 해줄 수 있는 건물 인방용 절단벽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냉간 압연 판재를 프레스로 절곡하여 벽돌 받침용 받침부 및 벽고정부를 형성하되 상기 판재에 요부 및 철부를 형성하여 상기 받침부의 처짐이 방지되도록 한 받침형강을 건물의 인방에 앵커로 고정시키고 상기 받침형강에 인방용 절단벽돌을 끼워 조적하되, 상기 절단벽돌은 상기 받침부의 요부 및 철부를 피해 끼워지도록 수평절단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절단홈과 연이어서 상기 건물 외벽과 닿는 수직절단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벽돌, 수평절단홈, 수직절단면, 받침형강, 받침부, 벽고정부

Description

건물 인방용 절단벽돌{A brick for the lintel}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인방용 절단벽돌 및 받침형강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절단벽돌의 제작과정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인방용 절단벽돌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인방용 절단벽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인방용 절단벽돌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받침형강 11 : 받침부
12 : 벽고정부 13 : 절곡부
20 : 철부 30 : 요부
40 : 절단벽돌 41 : 벽돌구멍
50 : 수평절단홈 51 : 수직절단면
52 : 절단선 53 : 보강판
54 : 보강철못 60 : 외벽
61 : 인방부 70 : 몰탈
본 발명은 건물 외벽의 상인방(上引枋)에 받침형강을 대고 상기 받침형강 위로 벽돌을 쌓을 때 상기 받침형강의 밑면이 벽돌에 의해 가려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벽돌의 한쪽으로 홈을 가공하여 상기 받침형강에 끼워지도록 하되 상기 받침형강의 요철 형상을 피해 끼워지도록 상기 벽돌을 수평 및 수직으로 절단함으로써, 상기 받침형강의 형상에 관계없이 벽돌을 끼울 수 있으며, 상기 받침형강 위로 쌓여지는 벽돌과 동일 한 벽돌을 상기 받침형강에 끼워줄 수 있으므로 벽돌색깔 및 종류를 일치시켜 건물 외벽을 미려하게 해줄 수 있는 건물 인방용 절단벽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을 치장하거나 단열하기 위하여 벽돌이 사용된다. 건물의 외벽에 단열재를 대고 벽돌을 쌓거나 또는 단열재와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벽돌을 쌓았다.
종래에는 벽돌이 진동이나 기후 변화 등으로 틈새가 벌어지거나 또는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일정 높이마다 받침형강을 외벽에 고정시키고 상기 받침형강 위에 벽돌을 쌓았다. 특히 창문의 상단 또는 벽돌을 쌓기 시작하는 밑 부분(이하 인방(引枋)이라 함)에는 벽돌을 받쳐주는 받침형강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받침형강이 9mm 또는 7mm의 두께로써 1200mm 이상의 길이를 갖는 압출형강 이므로 무거워 혼자 외벽에 고정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으며, 최근 철강 재료비가 많이 올라 받침형강의 가격이 상승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받침형강의 밑면이 가려지도록 벽돌을 상기 받침형강의 밑에 매 달아 설치하였다. 그러나 상기 벽돌을 매달기 위한 별도의 철구조물이 필요하므로 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국내특허 제499552호에는 벽돌에 홈을 만들어 상기 받침형강의 밑판에 직접 끼워 넣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벽돌에 홈을 만든 뒤 900℃ ~ 1100℃의 고온 소성하는 방식이므로 소성과정에서 상기 홈의 간격이 틀어질 수 있으며, 이처럼 홈 간격이 일정치 않을 경우 상기 받침형강의 밑면에 끼워지지 않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홈 벽돌은 상기 받침형강의 위쪽으로 쌓여지는 다른 벽돌과 색깔 및 종류가 서로 달라 구분되므로 조적된 벽돌들의 일체성이 없어 건물 외관을 미려하게 해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두께가 얇은 냉간압연 받침형강을 프레스로 90도 절곡하여 벽돌 받침용 형강으로 제작하되 상기 프레스 절곡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요부 및 철부를 반복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형성하여 단면특성이 향상되고 휨 변형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서, 종래 압출 형강에 비하여 두께를 줄일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건물 외벽에 고정시키는 작업성이 개선되고, 재료비를 줄일 수 있는 건물 외벽 벽돌 받침형강을 특허출원 제2006-0020780호로 선출원 중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 출원 중에 있는 본 발명자의 개선된 받침형강에 끼워질 수 있는 인방용 벽돌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개선된 받침형강의 요부 및 철부를 피해 상기 받침형강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벽돌을 수평으로 절단하고 수직으로 절단함 으로써, 상기 요부 및 철부를 갖는 개선된 받침형강으로 상기 절단된 벽돌이 끼워져 상기 받침형강의 밑면이 가려지도록 하고, 특히 상기 받침형강의 위쪽으로 쌓여지는 다른 벽돌들과 같은 종류의 벽돌을 사용하기 때문에 건물 외관을 미려하게 해줄 수 있는 건물 인방용 절단벽돌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간 압연 판재를 프레스로 절곡하여 벽돌 받침용 받침부 및 벽고정부를 형성하되 상기 판재에 요부 및 철부를 형성하여 상기 받침부의 처짐이 방지되도록 한 받침형강을 건물의 인방에 앵커로 고정시키고 상기 받침형강에 인방용 절단벽돌을 끼워 조적하되, 상기 절단벽돌은 상기 받침부의 요부 및 철부를 피해 끼워지도록 수평절단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절단홈과 연이어서 상기 건물 외벽과 닿는 수직절단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인방용 벽돌 및 받침형강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벽돌의 제작과정을 나타낸 정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인방용 벽돌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다. 건물의 인방에 사용되는 받침형강(10)은 냉간 압연 판재(이하 받침형강으로 약칭함)로 제작된다. 상기 받침형강(10)은 프레스로 90도 절곡된 절곡부(13)를 가지며 상기 절곡부(13)를 기준으로 전면에는 벽돌(40)이 놓이는 받침부(11)가 수평으로 구비되고, 상측에는 건물 외벽(60)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벽고정부(12)가 수직으로 구비된다.
상기 받침형강(10)은 처짐 및 단면특성(단면계수)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절곡부(13)를 중심으로 상기 받침부(11) 및 상기 벽고정부(12)를 연결하는 철부(20) 및 요부(30)가 반복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철부(20)는 상기 받침부(11) 및 벽고정부(12)의 전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요부(30)는 후면으로 돌출되며 이들 철부(20) 및 요부(30)의 높이차가 클 수 록 단면특성이 좋아진다는 것은 수식적으로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 높이차를 무한정 키울 수 는 없으며 상기 받침형강(10)의 두께에 따라 그 높이차가 결정된다.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인방용 절단벽돌(40)은 상기 요부 및 철부를 갖는 받침형강(10)의 받침부(11)에 끼워지는 수평절단홈(50) 및 수직절단면(51)을 갖는다. 일반벽돌(40a)을 수평 및 수직으로 절단하여 절단벽돌(40)을 제작하되 벽돌구멍(41)을 기준으로 수평 및 수직으로 절단하여 상기 벽돌구멍(41)을 활용하는 것이다. 상기 벽돌구멍(41)은 도 3에와 같이 벽돌을 조적할 때 몰탈(70)을 충진하여 받침형강(10)의 받침부(11)와 절단벽돌(40)의 결착력을 높여주고 상기 절단벽돌(40)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해준다.
상기 절단벽돌(40)의 수평절단홈(50)은 받침형강(10)의 요부(30) 및 철부(20)를 피해 상기 받침형강의 받침부(11)에 끼워들어 갈 수 있는 폭으로 절단되며, 상기 수직절단면(51)은 건물 외벽(60)에 닿지 않고 상기 절단벽돌(40)이 상기 받침부(11)로 끼워 들어가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인방용 절단벽돌은 도 2에서와 같이 제작된다. 일반벽돌(40a)에 절단선(52)을 형성한 뒤 이 절단선(52)을 쏘휠(saw wheel)로 절단하여 원하는 크기 및 폭을 갖는 절단벽돌(40)을 완성한다. 상기 절단벽돌(40)은 상기 받침형강(10)의 위쪽으로 조적되는 일반벽돌(40a)과 동일한 제품이므로 색깔 및 모양을 쉽게 맞출 수 있으므로 건물의 조적 후 인방에 끼워진 벽돌과 외벽에 쌓여진 벽돌의 모양을 동일하게 해줄 수 있으므로 건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해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단벽돌(40)의 수평절단홈(50)이 받침형강(10)의 요부(30) 및 철부(20)를 피해 상기 받침부(11)에 끼워지고 수직절단면(51)은 건물 외벽(60)과 닿아 밀착되므로 인방부(61)의 끝단과 절단벽돌(40)의 밑단을 수평으로 맞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단벽돌(40)의 벽돌구멍(41)에 몰탈(70)을 충진시켜 상기 받침부(11) 및 절단벽돌(40)이 일체화되도록 해줄 수 있으므로 상기 절단벽돌(40)의 균열 및 파손이 방지되고 상기 받침형강(10)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절단벽돌(40)을 상기 받침형강(10)에 결합시킨 뒤 상기 절단벽돌(40)의 위쪽으로 일반벽돌(40a)을 쌓는다. 이때 상기 절단벽돌(40)과 일반벽돌(40a)은 동일 제품이므로 색깔 및 모양을 맞출 수 있는 것은 당연하며, 몰탈(70)에 의해 견고하게 결속되므로 조적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인방용 절단벽돌의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인방용 절단벽돌의 사시도 이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는 절단벽돌(40)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반 및 조적과정에서 상기 벽돌구멍(41)이 있는 부분이 취약하여 균열 및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벽돌구멍(41) 양측면에 합성수지재 보강판(53)을 접착 고정시킨 것이다.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는 철못(54)을 공기총으로 박은 것으로 이것 역시 벽돌구멍(41) 근방의 취약부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인방에 부착되는 받침형강을 판재로 절곡 제작하여 원가를 낮추고 상기 받침형강의 받침부에 끼워지도록 절단벽돌을 제작하되 일반벽돌의 일측을 쏘휠로 절단하여 수평절단홈 및 수직절단면을 만들어 상기 받침부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받침형강의 요부 및 철부를 피해 상기 받침부에 상기 절단벽돌이 끼워짐으로 인방의 조적이 가능해진다.
상기 절단벽돌은 일반벽돌을 절단 사용하는 것이므로 색깔 및 모양을 맞출 수 있으므로 건물 외관을 미려하게 해줄 수 있으며, 특히 쏘휠로 절단홈을 만드는 것이므로 절단벽돌들의 홈 위치가 일정하여 받침형강에 정확하게 끼워져 수평을 쉽게 맞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단벽돌들은 일반벽돌을 사용하기 때문에 벽돌에 형성된 벽돌구멍들을 활용하여 이 구멍으로 몰탈을 충진해 주면 받침형강의 받침부와 절단벽돌의 결속력을 높이고 절단벽돌을 보강해줄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냉간 압연 판재를 프레스로 절곡하여 벽돌 받침용 받침부 및 벽고정부를 형성하되 상기 판재에 요부 및 철부를 형성하여 상기 받침부의 처짐이 방지되도록 한 받침형강을 건물의 인방에 앵커로 고정시키고 상기 받침형강에 인방용 절단벽돌을 끼워 조적하되,
    상기 절단벽돌은 상기 받침부의 요부 및 철부를 피해 끼워지도록 수평절단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절단홈과 연이어서 상기 건물 외벽과 닿는 수직절단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인방용 절단벽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벽돌은 일반벽돌을 쏘휠로 절단하여 상기 수평절단홈 및 수직절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절단홈은 상기 일반벽돌에 형성된 벽돌구멍과 연통되며, 상기 벽돌구멍 및 상기 수평절단홈에 몰탈이 충진되어 상기 받침형강의 받침부와 상기 절단벽돌이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인방용 절단벽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벽돌은 충격에 취약한 상기 벽돌구멍 근방으로 보강판이 접착되어 상기 절단벽돌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인방용 절단벽돌.
KR1020060052318A 2006-06-12 2006-06-12 건물 인방용 절단벽돌 KR100653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318A KR100653138B1 (ko) 2006-06-12 2006-06-12 건물 인방용 절단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318A KR100653138B1 (ko) 2006-06-12 2006-06-12 건물 인방용 절단벽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3138B1 true KR100653138B1 (ko) 2006-12-04

Family

ID=3773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318A KR100653138B1 (ko) 2006-06-12 2006-06-12 건물 인방용 절단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1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891A (ko) 2020-01-07 2021-07-15 주식회사 두라스택 건축물 창호 인방용 건축내장재 마감부를 구비한 인방 벽돌
KR102606665B1 (ko) 2023-02-08 2023-11-24 최연수 벽돌벽의 인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891A (ko) 2020-01-07 2021-07-15 주식회사 두라스택 건축물 창호 인방용 건축내장재 마감부를 구비한 인방 벽돌
KR102606665B1 (ko) 2023-02-08 2023-11-24 최연수 벽돌벽의 인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8396B (zh) 轻质建筑隔热块体及其建筑方法
US20060242921A1 (en) Masonry cavity wall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CA2652839C (en) Insulation system for cement walls
EP1994238A2 (en) Building panels with support members extending partially through the panels and method therefor
KR100952409B1 (ko) 조립식 벽판넬 구조
KR200433891Y1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100653138B1 (ko) 건물 인방용 절단벽돌
KR100769582B1 (ko) 벽돌 패널
KR101763540B1 (ko)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한 모듈형 단열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04692U (ko) 시멘트 패널 마감재 고정클립
KR20090130711A (ko) 건축용 단열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KR102075104B1 (ko) 단열재 패널 구조체
KR200485666Y1 (ko) 조적용 단열재 고정구
KR20160050276A (ko) 단열재 조적용 브라켓
KR101462841B1 (ko) 단열재 일체형 벽돌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 시공방법
KR100928722B1 (ko) 건물외단열 시공공법
JP5203519B1 (ja) 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接続構造
KR100523457B1 (ko) 창인방
EP3219869B1 (en) Fastener and wall element of building
KR20210065441A (ko) 내진성을 갖는 건축물 외장재 시공 결합구조
KR20200088728A (ko) 벽돌 판넬 조립체
CN114960998B (zh) Pfc保温一体板及其安装方法
KR102652411B1 (ko) 건축물의 불연 또는 준불연 단열을 위한 외단열패널의 레일형 고정앵커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불연 또는 준불연 외단열 시공방법
JP3238213U (ja) 内窓枠の周囲に四周板が付設された外断熱建築物の壁構造
JP4414074B2 (ja) 外張断熱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213

Effective date: 200705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727

Effective date: 2007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