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140Y1 -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140Y1
KR200321140Y1 KR20-2003-0012940U KR20030012940U KR200321140Y1 KR 200321140 Y1 KR200321140 Y1 KR 200321140Y1 KR 20030012940 U KR20030012940 U KR 20030012940U KR 200321140 Y1 KR200321140 Y1 KR 2003211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mposite panel
building
insulation
rectangul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문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덕 filed Critical 문영덕
Priority to KR20-2003-0012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1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1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1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49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completely or partially of insulating material, e.g. cellular concrete or foamed plas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04C2/3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with a metal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각의 틀 일측면에 철망을 설치 후 콘크리트가 일측면으로 돌출되게 타설되며, 사각의 틀 내측에 인입된 부위의 콘크리트면에는 단열재가 설치되며 상기 단열재의 이면에는 마감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사각의 틀에 경량콘크리트 및 일반콘크리트를 타설시키고 사각틀에 내부에는 단열재를 설치하여 단열,내화,차음효과를 극대화하고 자중을 최소함으로써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의 두께는 건물의 규격 및 구조적 필요하중에 따라 조절되어 비용절감을 할 수 있고, 타측에 설치되는 단열재는 소비자 기호에 맞게 재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 {Steel concrete composite panel for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의 틀 일측면에 철망을 설치 후 콘크리트가 일측면으로 돌출되게 타설되며, 사각의 틀 내측에 인입된 부위의 콘크리트면에는 단열재가 설치되며 상기 단열재의 이면에는 마감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틸하우스의 시공방법과 패널공법으로 분류할수 있으며, 여기에서 스틱공법은 현장에서 상. 하 런너를 먼저 설치하고 설치된 런너부재에 스터드를 소정의 간격으로 끼워 나사로 조립한 후 패널을 시공하는 방법이며, 패널공법은 패널을 현장 또는 공장에서 상.하 러넌부재 사이에 스터드를 끼우서 조립하여 골조틀을 만들어 시공한 후 현장에서 패널을 시공하는 방법이라고 할수 있다.
이런 공법들은 골조가 완성된 후에 스터드와 스터드사이에 단연재를 끼우고 그 표면에 석고보드 또는 OSB 합판를 부착하는 과정을 통하여 완성되는데 이 공법들은 스터드 간의 간격이 구조적 조건에 맞추어 결정된다기 보다는 석고보드 또는 마감재의 규격에 맞추어 정해져야 만이 석고보드와 석고보드의 죠인트 처리가 가능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부재를 현장에서 절단 가공하는 관계로 작업능률의 저하 및 부정확한 가공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우며, 자재의 손실등에 따른 재료비와 작업량의 증가로 인한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총공사비가 증대되고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기존의 경량철골을 이용한 구조물의 경우에는 단열 및 방음을 위한 단열재와 방음재의 시공시에 경량철골을 조립한후에 스터드와 스터드부재사이에 단열재 또는 방음재를 충진하여 시공함으로서 그 충진이 불확실하여 방음 및 단열상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고, 스터드간의 공간이 밀실하지 못하지 때문에 벽체를 두드릴 경우에 그로 인한 진동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공법들은 단열재 및 방음재로 시공되어지는 크레스의 횡력에 대한 충분한 강성을 보장할 수없기 때문에 패널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의 이동이 많거나 충격이 가해질수 있는 곳에는 파손에 대한 추가적인 보강이 요구된다고 볼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앞에서 언급된 패널공법을 이용하여 공장이나 현장에서 경량철골로 골조를 제작한 후 패널성형기를 이용하여 경량기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패널공법이 시도되고 있다.
첨부도면 도 1,2은 종래의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패널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건축용 콘크리트 복합판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단면도로서 수직부재(20)와 수평부재(30)를 용접, 나사접합등의 방법으로 접합하여 사각의 틀(40)을 형성시킨후 형성된 사각틀의 내측에 경향기포콘크리트(50)가 상기 사각의 틀의 외부로 소정간격() 돌출되도록 내측에 설치되며 이의 측면에는 마감재(7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50)의 내측으로는 단열,내화,차음효과를 극대화 할수 있도록 충진재, 흡입재, 단열재(60)가 소정의 부피를 갖으며 매립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건축용 콘크리트 복합패널를 내측에 설치된 단열, 내화, 차음효과 극대화하기 위해 충진재, 흡음재, 단열재를 소비자 기호에 맞게 재 설치가 불가능하며, 부가적인 효과을 증대하기 위해 경량콘크리트및 충진재, 흡음재, 단열재에 두께를 증대할때 건물에 공간을 축소되며,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의 목적은 사각의 틀에 경량콘크리트 및 콘크리트를 타설시켜고 사각의 틀 내부에 단열재을 설치하여 단열,내화,차음효과를 극대화하고 자중을 최소함으로써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의 두께는 건물의 규격 및 구조적 필요하중에 따라 조절되어 비용절감을 할 수 있고, 타측에 설치되는 단열재는 소비자 기호에 맞게 재 설치가 가능하도록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콘크리트 복합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건축용 콘크리트 복합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의 단면도.
도 5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 20 : 수직부재
30 : 수평부재 40 : 사각의 틀
50: 콘크리트 60 : 단열재
70: 마감재 80 : 철망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사각의 틀 일측면에 철망이 설치되며, 내측면에 형성된 경량콘크리트 또는 통상의 콘크리트가 일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사각의 틀 내측에 인입된 부위의 콘크리트면에는 단열재가 설치하며 상기 콘크리트가 설치된 단열재의 이면에는 마감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건축용 복합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의 단면도로서,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1)은 수직부재(20)와 수평부재(30)를 용접등의 방법으로 접합하여 사각의 틀(40)을 형성시키고 이의 일측면에 철망(80)을 부착한 후 경량콘크리트 및 콘크리트(50)를 타설한다. 이때 철망(80)은 사각틀(40)과 콘크리트(50)의 일체화 및 크랙방지의 기능을 가지며 콘크리트(50)는 외부로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도록 타설된다. 이후 콘크리트 양생된 후 전기배선 및 설비공사를 설치하다.
상기 콘크리트(50)는 패널(1)의 압축강도 및 전단강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건물의 규모 및 구조적 필요하중에 따라 설치되며, 이의 측면에는 단열재(6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단열재(60)는 해당건물의 법적요구성능에 준하여 설치되며, 상기 단열재(60) 대신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인슐레이션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 또한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사용하여 2중의 콘크리트 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사각의 틀 내측에 인입된 부위의 콘크리트면에는 단열재가 설치되면 그 이면에 마감재(70)를 설치한다. 이때 마감재(70)는 그 성격에 따라 현장에서 직접 설치되며, 단열재 또한 현장에서 재 설치가 가능하다.
완성된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1)은 양중기를 이용하여 세우기 작업을 수행 후 패널과 기초면의 접합면은 앙카볼트 및 용접을 통해 고정되며 각 패널간의 접합은 나사 및 용접을 통해 접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은 콘크리트를 건물에 용도에 따라 두께를 결정되므로 공사비용절감 및 공사기간을 단축 시킬 수 있으며, 단열재는 대신 소비자에 기호 맞게 인슐레이션, 경량콘크리트등 다양한 재료가 설치 가능하고, 설치 후에도 재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건축용 콘크리트 복합패널에 있어서,
    사각의 틀 일측면에 철망을 설치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이때 콘크리트는 일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사각의 틀 내측에 인입된 부위의 콘크리트면에는 단열재가 설치하며 상기 단열재의 이면에는 마감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가 경량콘크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가 착탈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 대신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사용하여 2중의 콘크리트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
KR20-2003-0012940U 2003-04-25 2003-04-25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 KR2003211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940U KR200321140Y1 (ko) 2003-04-25 2003-04-25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940U KR200321140Y1 (ko) 2003-04-25 2003-04-25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140Y1 true KR200321140Y1 (ko) 2003-07-31

Family

ID=49411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940U KR200321140Y1 (ko) 2003-04-25 2003-04-25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1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601B1 (ko) * 2012-02-21 2014-01-02 (주)유창플러스 건축물의 판넬형 건식 벽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601B1 (ko) * 2012-02-21 2014-01-02 (주)유창플러스 건축물의 판넬형 건식 벽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3291B2 (en) Stronger wall system
KR101377327B1 (ko) 단면증설에 의한 기존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
KR100721211B1 (ko) 내/외장재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901435B1 (ko)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
KR101726779B1 (ko)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체의 부력방지장치
JP5725596B2 (ja) 階段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321140Y1 (ko)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
JP5442365B2 (ja) 補強梁接合金物
KR20130087162A (ko) 콘크리트 벽면의 단열재 및 마감재 시공구조
JP2013007260A (ja) 補強構造
JP2012001881A (ja) 外付けブレース使用耐震補強構造および耐震補強方法
JPH07259243A (ja) パネル工法用軸組内蔵押出成形セメント板とその製造法
KR101376356B1 (ko) 아파트 베란다용 복합 창틀의 구조
KR101376407B1 (ko) 창문 일체형 pc 패널의 구조
JP5133801B2 (ja) 壁パネル
JP3559536B2 (ja) 家屋の改築工法
JP5926985B2 (ja) 鉄骨造建築物の補強方法及び鉄骨造建築物
JP2641848B2 (ja) 2重壁構造の建築物用壁パネル
JP4974179B2 (ja) 建物用建具
JP5871544B2 (ja) 耐震補強工法及び補強ピース
JP3125056U (ja) 枠組壁工法建築物の耐震構造及び耐震補強金具
JP6892991B2 (ja) 壁部材と基礎の接合構造
KR20010107872A (ko) 건축 구조물 복합 판넬
JPH0696916B2 (ja) 増築用間仕切耐力壁パネルの施工方法
JP2022088105A (ja) 胴縁取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