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093B1 - 마감용 벽체 패널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마감용 벽체 패널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093B1
KR101219093B1 KR1020100064033A KR20100064033A KR101219093B1 KR 101219093 B1 KR101219093 B1 KR 101219093B1 KR 1020100064033 A KR1020100064033 A KR 1020100064033A KR 20100064033 A KR20100064033 A KR 20100064033A KR 101219093 B1 KR101219093 B1 KR 101219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se plate
stud
finishing
wal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269A (ko
Inventor
김치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Priority to KR1020100064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093B1/ko
Publication of KR20120003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상하 프레임(12)(14)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마감용 벽체 패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14)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고, 전면에 연속되게 절곡 성형된 요홈부(22)를 구비하는 스터드(20); 상기 스터드(20) 상에 결합되면서 다수개의 개별판(33)이 일체로 형성되어 종횡으로 연장 가능한 기저판(30); 및 상기 기저판(30)의 전방에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마감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저판(30)은 스터드(20)의 요홈부(22)에 삽입되어 피스로 고정되도록 개별판(33)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턱부(32)와, 인접하는 2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34)와, 마감판(40)이 끼움결합되도록 개별판(33)의 코너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36) 및 기저판(30)을 종횡으로 연결시 제1결합부(34)와 맞물리도록 인접하는 2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3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구조물 벽면의 결로 현상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시공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부분적인 개보수나 외관 디자인의 변화가 용이하여 활용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감용 벽체 패널 및 그 시공방법{Ending wall panel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감용 벽체 패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조물 벽면의 결로 현상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시공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부분적인 개보수나 외관 디자인의 변화가 용이한 마감용 벽체 패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지하주차장과 같이 온습도 차이에 의한 벽면 결로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부분에는 방수제를 부가하여 벽면의 시공을 완료한 후에 별도의 패널을 부착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374197호의 "건축용 패널의 결합구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127674호의 "결로 방지 효과를 가지는 지하 구조물의 마감 공법" 등이 알려져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374197호는 콘크리트 벽 또는 철제 비임의 적어도 한쪽면에 패널이 결합되는 패널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내측에 복수개의 철근을 매설한 패널과; 일단부는 상기 패널의 내측에 구비되는 철근에 용접되고, 타단부는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콘크리트 벽 또는 철제 비임에 볼트에 의해서 체결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이 형성되는 면에 대응되는 상기 패널의 외측면에 문양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문양부와; 상기 패널의 상하 및 좌우측 끝단면에 형성되는 돌기부 및 요홈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이는 시공이 간편하여 공기를 단축시키고 시공비를 절감하는 것이 가능케 되는 효과를 밝히고 있으나, 패널의 내부에 철근이 구비되고 볼트로 체결해야 되므로 근본적으로 시공비와 유지보수비 절감의 효과에 한계성을 보인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127674호는 단열재(12)의 양면에 보강재(11)(11′)가 일체로 부착된 막대 형상의 간격재(10)와; 판형의 마감패널(20)이 구비되어; 지하 구조물의 벽 표면을 균일하게 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표면 정리 공정(S1); 상기 정리된 지하 구조물 표면에, 상기 간격재(10)를 접착제(30)로 다수개 부착하는 간격재 부착 공정(S2); 상기 부착한 간격재(10)에 마감패널(20)을 접착제(30′)로 부착하면서, 고정부재(40)로 마감패널(20)을 고정하는 마감패널 부착 및 고정 공정(S3)으로 완료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 또한 지하 구조물의 마감 시공이 용이하여 공기가 단축되고 마감패널 사이의 공기층 단열에 의해서 지하 구조물의 결로를 방지하는 것으로 밝히나, 주요부 결합에 있어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시공은 물론 부분적 보수 작업이 불편한 폐단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 벽면의 결로 현상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시공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부분적인 개보수나 외관 디자인의 변화가 용이한 마감용 벽체 패널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하 프레임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마감용 벽체 패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고, 전면에 연속되게 절곡 성형된 요홈부를 구비하는 스터드; 상기 스터드 상에 결합되면서 다수개의 개별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종횡으로 연장 가능한 기저판; 및 상기 기저판의 전방에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마감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저판은 스터드의 요홈부에 삽입되어 피스로 고정되도록 개별판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턱부(32)와, 인접하는 2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마감판이 끼움결합되도록 개별판의 코너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 및 기저판을 종횡으로 연결시 제1결합부와 맞물리도록 인접하는 2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터드는 전면에 절곡 성형된 요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저판은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턱부, 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 코너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 측면에서 제1결합부와 맞물리게 형성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마감판은 문양판 또는 통기판 중 적어도 하나를 혼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상하 프레임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마감용 벽체 패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스터드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스터드의 요홈부를 이용하여 기저판을 부착하고 피스로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저판 상에 문양판과 통기판에서 선택되는 마감판을 끼워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물 벽면의 결로 현상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시공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부분적인 개보수나 외관 디자인의 변화가 용이하여 활용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벽체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므로 방수 기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패널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패널의 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패널의 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패널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상하 프레임(12)(14)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마감용 벽체 패널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마감용 패널은 벽체의 시공(방수처리 포함) 후에 벽체와 일정한 틈새를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프레임(12)(14)은 철재 또는 비철금속재(알루미늄합금)를 사용하는 C형강 형태로 구성한다. 상부프레임(12)은 천장에 하부프레임(14)은 바닥면에 긴밀하게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12)(14) 사이에 스터드(20)가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다. 스터드(20)는 후술하는 기저판(30)을 부착하는 것으로서 경량의 비철금속 합금을 사용하여 형강 형태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스터드(20)는 전면에 절곡 성형된 연속된 요홈부(22)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요홈부(22)는 일정한 폭과 깊이를 지닌 형태로 스터드(20)의 전면에 형성되고, 후술하는 기저판(30)을 일정 간격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스터드(20)의 비틀림 강성을 증진시킨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터드(20) 상에 종횡으로 연장 가능한 기저판(30)이 결합된다. 기저판(30)은 수지재를 이용하여 시트에 가까운 박판의 형태로 구성하며, 기능부를 제외하고는 강도상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천공시켜 소재를 절감한다. 하나의 기저판(30)은 하나 또는 다수개(도시에서는 9개)의 개별판(33)을 일체로 구비하고, 피스 등 별도의 체결부재가 없어도 종횡으로 연장시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저판(30)은 개별판(33)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턱부(32), 인접하는 2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34), 개별판(33)의 코너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36), 기저판(30)을 종횡으로 연장시켜 연결할 경우 측면에서 제1결합부(34)와 맞물리도록 인접하는 2개의 측면 형성되는 돌기부(38)를 구비한다. 돌턱부(32)는 스터드(20)의 요홈부(22)에 끼워지는 형태로 돌출된다. 제1결합부(34)는 기저판(30)을 종횡으로 연결하도록 2개의 측면에 형성된다. 제2결합부(36)는 후술하는 마감판(40)을 결합하도록 개별판의 코너에 형성된다. 돌기부(38)는 기저판(30)을 종횡으로 연결하도록 2개이 측면에 형성된다. 제1결합부(34)에 형성되는 통공은 돌기부(38)와 정확히 대응하여 맞물리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돌턱부(32), 제1결합부(34), 제2결합부(36), 돌기부(38)는 기저판(30)의 사출성형시 동시에 형성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저판(30)의 전방에 마감판(40)이 맞물리도록 결합된다. 마감판(40)은 수지재 또는 금속재를 이용하여 시트에 가까운 박판의 형태로 구성한다. 기저판(30)와 마감판(40)의 결합은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 없는 맞물림 방식으로 한다.
이때, 상기 마감판(40)은 문양판(43) 또는 통기판(45) 중 적어도 하나를 혼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문양판(43)은 기저판(30)을 은폐하면서 벽체를 장식하는 기능을 지닌다. 통기판(45)은 통공을 지니는 형태로서 벽체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여 결로 현상을 완화한다. 통기판(45)의 설치 위치 및 수량은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상하 프레임(12)(14)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마감용 벽체 패널의 시공방법에 관련된다. 상하 프레임(12)(14)은 벽체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세부적 구성 및 설치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다.
우선 첫 번째 단계로, 상기 프레임(12)(14)에 스터드(20)를 결합하는 과정을 거친다. 스터드(20)는 변형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프레임(12)(14)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좋다.
다음 단계로, 상기 스터드(20)의 요홈부(22)를 이용하여 기저판(30)을 부착하고 피스로 고정한다. 기저판(30)의 후면으로 돌출된 돌턱부(32)를 이용하여 요홈부(22)에 가결합한 상태에서 돌턱부(32)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에 피스를 박아 고정한다. 2개의 스터드(20)를 이용하여 하나의 기저판(30)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저판(30)의 크기에 따라 스터드(20)의 수량을 변동할 수도 있다. 하나의 기저판(30)이 설치된 이후 제1결합부(34)와 돌기부(38)를 이용하여 종횡으로 연장하면서 동일한 방식으로 시공한다.
마지막 단계로, 상기 기저판(30) 상에 문양판(43)과 통기판(45)에서 선택되는 마감판(40)을 끼워서 결합한다. 벽체의 스터드(20) 상에 모든 기저판(30)의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제2결합부(36)를 이용하여 문양판(43)과 통기판(45)을 맞물려 끼운다. 문양판(43)은 전체적인 장식미를 고려하여 결합하고 통기판(45)은 적절한 위치나 간격을 고려하여 결합한다. 문양판(43)은 여러 디자인으로 구현이 가능하므로 벽체의 장식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2: 상부프레임 14: 하부프레임
20: 스터드 22: 요홈부
30: 기저판 32: 돌턱부
34: 제1결합부 36: 제2결합부
38: 돌기부 40: 마감판
43: 문양판 45: 통기판

Claims (5)

  1. 상하 프레임(12)(14)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마감용 벽체 패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14)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고, 전면에 연속되게 절곡 성형된 요홈부(22)를 구비하는 스터드(20);
    상기 스터드(20) 상에 결합되면서 다수개의 개별판(33)이 일체로 형성되어 종횡으로 연장 가능한 기저판(30); 및
    상기 기저판(30)의 전방에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마감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저판(30)은 스터드(20)의 요홈부(22)에 삽입되어 피스로 고정되도록 개별판(33)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턱부(32)와, 인접하는 2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34)와, 마감판(40)이 끼움결합되도록 개별판(33)의 코너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36) 및 기저판(30)을 종횡으로 연결시 제1결합부(34)와 맞물리도록 인접하는 2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3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용 벽체 패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40)은 문양판(43) 또는 통기판(45) 중 적어도 하나를 혼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용 벽체 패널.
  5. 상하 프레임(12)(14)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마감용 벽체 패널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전면에 연속되게 절곡 성형된 요홈부(22)를 구비하는 스터드(20)를 상기 프레임(12)(14)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하는 단계;
    상기 스터드(20)의 요홈부(22)에 삽입되어 피스로 고정되도록 개별판(33)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턱부(32)와, 인접하는 2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34)와, 마감판(40)이 끼움결합되도록 개별판(33)의 코너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36) 및 기저판(30)을 종횡으로 연결시 제1결합부(34)와 맞물리도록 인접하는 2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저판(30)을 스터드(20)의 요홈부(22)에 부착하고 피스로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저판(30) 상에 문양판(43)과 통기판(45)에서 선택되는 마감판(40)을 끼워서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용 벽체 패널의 시공방법.
KR1020100064033A 2010-07-02 2010-07-02 마감용 벽체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219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033A KR101219093B1 (ko) 2010-07-02 2010-07-02 마감용 벽체 패널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033A KR101219093B1 (ko) 2010-07-02 2010-07-02 마감용 벽체 패널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269A KR20120003269A (ko) 2012-01-10
KR101219093B1 true KR101219093B1 (ko) 2013-01-04

Family

ID=45610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033A KR101219093B1 (ko) 2010-07-02 2010-07-02 마감용 벽체 패널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0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558B1 (ko) * 2013-03-26 2014-07-03 신현테크 주식회사 결로 방지용 외벽 마감 시스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309B1 (ko) 2017-04-24 2019-04-18 주식회사 조은데코 결로 방지를 위한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102061277B1 (ko) 2018-05-03 2019-12-31 주식회사 조은데코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5154A (ko) * 2007-10-05 2009-04-09 마장훈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KR20090039172A (ko) * 2007-10-17 2009-04-22 김형성 지하벽체 마감부재
KR20100004588U (ko) * 2008-10-27 2010-05-07 공간찬넬주식회사 벽면 진열시스템의 구조
US7716892B2 (en) * 2005-06-15 2010-05-18 Kwon Hee Kim Ceiling panel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6892B2 (en) * 2005-06-15 2010-05-18 Kwon Hee Kim Ceiling panel system
KR20090035154A (ko) * 2007-10-05 2009-04-09 마장훈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KR20090039172A (ko) * 2007-10-17 2009-04-22 김형성 지하벽체 마감부재
KR20100004588U (ko) * 2008-10-27 2010-05-07 공간찬넬주식회사 벽면 진열시스템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558B1 (ko) * 2013-03-26 2014-07-03 신현테크 주식회사 결로 방지용 외벽 마감 시스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269A (ko) 201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7186C (en)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0410714Y1 (ko)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KR100853014B1 (ko) 스틸 커튼월의 수직프레임
KR101219093B1 (ko) 마감용 벽체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20060008263A (ko) 패널 시스템
EP2255045B1 (en) Aluminium facade cladding with brick or ceramic appearance
KR100805215B1 (ko) 건물외벽용 패널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512119B1 (ko) 단열보드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KR100830171B1 (ko) 바노출형 건물용 커튼월에 있어서 그라스패널 설치 바
KR100669810B1 (ko)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28722B1 (ko) 건물외단열 시공공법
KR100845245B1 (ko) 건물외장용 패널의 시공방법
KR20140006220U (ko) 석재고정 브라켓 구조 및 석재 복합 패널
KR200421001Y1 (ko) 거푸집용 아웃코너 패널 조립체
KR100983030B1 (ko) 코너 벽 패널 조립체
KR100704923B1 (ko) 건축용 외장재
CN203795671U (zh) 一种墙体
KR101204208B1 (ko)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JP5452940B2 (ja) 防音パネル
KR200421006Y1 (ko) 거푸집용 인코너 패널 조립체
KR200312362Y1 (ko) 내외장패널 조립용 서브프레임과 패널시스템
KR100663996B1 (ko)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
KR20090123400A (ko) 건물 외장용 패널 조립체
KR101336669B1 (ko) 건축물의 벽면에 내/외장재로 설치되는 판넬 구조체
JP4516534B2 (ja) 外装材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