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277B1 -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 Google Patents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277B1
KR102061277B1 KR1020180051387A KR20180051387A KR102061277B1 KR 102061277 B1 KR102061277 B1 KR 102061277B1 KR 1020180051387 A KR1020180051387 A KR 1020180051387A KR 20180051387 A KR20180051387 A KR 20180051387A KR 102061277 B1 KR102061277 B1 KR 102061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finishing
coupled
oute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160A (ko
Inventor
신정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은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은데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은데코
Priority to KR1020180051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27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spr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23Separate tongues; Interlocking keys, e.g. joining mouldings of circular, square or rectangular shape
    • E04F2201/0535Separate tongues; Interlocking keys, e.g. joining mouldings of circular, square or rectangular shape adapted for snap 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감패널을 구성하는 지지프레임에 단열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단열 및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감패널의 장착프레임과 결합프레임 사이에 단열프레임을 배치하여 장착프레임으로부터 결합프레임 측으로 또는 결합프레임으로부터 장착프레임 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감패널의 장착프레임과 결합프레임 사이에 충전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충전공간부에 실링 및 마감패널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실리콘 등의 충전재를 주입하거나 패킹 등과 같은 실링재를 설치함으로써 마감패널 사이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 및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감패널의 장착프레임과 결합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충전공간부측으로 장착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리브가 돌출되는 구조를 가져 충전공간부에 충전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장치를 지지리브에 접촉시킨 상태로 간편하고 신속하며 정밀하게 충전재를 충전공간부에 주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재가 굳을 시 충전재와 지지리브 상호 접촉 및 결합에 의해 마감패널 상호간의 결합력 또한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Finishing panel for preventing insulation and dew condensation and finishing apparatus with it}
본 발명은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감패널을 구성하는 지지프레임에 단열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단열 및 결로를 방지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마감패널들 사이에 충전공간부를 형성 및 충전공간부 측으로 지지리브가 돌출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충전공간부에 충전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장치를 지지리브에 접촉시킨 상태로 간편하고 신속하며 정밀하게 충전재를 충전공간부에 주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재가 굳을 시 충전재와 지지리브 상호 접촉 및 결합에 의해 마감패널 상호간의 결합력 또한 높일 수 있는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외장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마감재로서, 사각 평판형으로 가공 제작된 대리석이나 화강암 등과 같은 천연석재가 많이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천연석재는 별도의 구조물에 의해 종횡으로 연속적으로 부착하여 건물의 외관을 고급스럽게 하고 있다.
여기서 천연석재의 설치방법으로는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이 있으며, 이 중 건식공법에는 복수의 고정장치를 벽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고정장치에 복수의 천연석재를 고정하여 천연석재를 벽체에 설치한다.
이때, 고정장치의 일 측이 고정부재에 의해 벽체와 고정되고, 타 측은 고정부재에 의해 천연석재의 배면과 고정되거나 고정부재가 천연석재를 관통한 후, 고정장치에 고정되거나 또는 천연석재의 상하단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천연석재를 벽체에 설치하여 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천연석재는 대리석이나 화강암 등을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태로 가공한 것으로, 중량이 무거워 고정장치의 개수가 증가하고, 이에 따른 작업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천연석재는 외관상 수려하지만, 단열효과가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6819호에는 건식 및 습식겸용 고정식 단열 마감패널 및 그 마감패널을 이용한 벽체마감 시공방법이 게시된 바 있다.
상기의 건식 및 습식겸용 고정식 단열 마감패널 및 그 마감패널을 이용한 벽체마감 시공방법은 전면판의 4변에 절곡형성된 측면판의 단부에 결속공이 형성된 고정판이 결합되는 마감패널에 있어서, 마감패널에 결합된 고정수단의 벽체결합부를 벽체 또는 고정용 바(bar)에 나사 결합하여 복수의 마감패널을 벽체에 고정한 후, 각 마감패널의 이격틈 사이에 틈단열재를 충입하고 그 표면을 코킹재에 코킹처리하여 시공하는 구조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마감패널 및 벽체마감장치는 마감패널이 벽면에 고정된 고정용 바에 마감패널이 피스고정되는 구조이므로 마감패널에 대한 고정력을 높일 수 있으나 마감패널에 손상이 발생하고, 마감패널들 사이에 틈단열재를 충입한 뒤 그 표면에 코킹재를 삽입하는 구조이므로 마감패널의 수축이나 팽창 또는 코킹재 장체의 수축이나 팽창에 의해 마감패널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수분이나 물기가 마감패널들 사이로 유입될 수 있으며, 코킹재 자체가 마감패널 사이에서 분리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KR 10-0797524 B1 KR 10-1035973 B1 KR 10-2012-0003269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감패널의 장착프레임과 결합프레임 사이에 단열프레임을 배치하여 장착프레임으로부터 결합프레임 측으로 또는 결합프레임으로부터 장착프레임 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감패널의 장착프레임과 결합프레임 사이에 충전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충전공간부에 실링 및 마감패널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실리콘 등의 충전재를 주입하거나 패킹 등과 같은 실링재를 설치함으로써 마감패널 사이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 및 예방할 수 있는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감패널의 장착프레임과 결합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충전공간부측으로 장착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리브가 돌출되는 구조를 가져 충전공간부에 충전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장치를 지지리브에 접촉시킨 상태로 간편하고 신속하며 정밀하게 충전재를 충전공간부에 주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재가 굳을 시 충전재와 지지리브 상호 접촉 및 결합에 의해 마감패널 상호간의 결합력뿐만 아니라 습기나 빗물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로방지 및 열전달 차단을 위한 단열프레임의 형성을 위해 결합프레임과 장착프레임 사이에 일 측이 폐쇄된 구조의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폴리우레탄 폼을 충전하여 단열프레임을 형성한 뒤 홈을 폐쇄하는 지지프레임의 일부를 절단하여 마감패널들 사이에 충전되는 충전재가 지지프레임의 일부가 절단된 후 생성되는 틈이나 공간으로 침투 및 진입되게 함으로써 충전재와 마감패널 상호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충전재를 매개로 하여 마감패널 상호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은마감판과, 상기 마감판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마감판이 설치되는 장착프레임과; 상기 장착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마감패널을 파지하는 파지클립부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마감패널들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시 마감패널들 사이에 실링 및 마감패널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충전재를 주입하기 위한 충전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장착프레임의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결합프레임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으로 인입되어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패널의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부에 상기 마감판의 하면 가장자리 일부 영역이 안착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 안착된 상기 마감판의 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상기 바닥부와 나란하게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결합부와 멀어지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지클립부에 결합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패널의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측벽부의 외측 또는 상기 연결부의 외측로부터 상기 바닥부 및 상기 결합부와 나란하고, 상기 측벽부 또는 상기 연결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 또는 상기 연결부의 외측로부터 상기 결합부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패널의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장착프레임과 상기 결합프레임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장착프레임과 상기 결합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단열소재로 형성된 단열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부에 상기 마감판의 하면 가장자리 일부 영역이 안착되고 하부에 상기 단열프레임의 상부가 결합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 안착된 상기 마감판의 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부에 상기 단열프레임의 하부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결합부와 멀어지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지클립부에 결합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측벽부의 외측 또는 상기 바닥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바닥부 및 상기 결합부와 나란하고, 상기 측벽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 또는 상기 바닥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결합부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패널의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마감판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보강리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패널은 상기 마감판의 하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단열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단열판의 하면 가장자리 일부 영역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장착리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는 벽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파지클립부와; 상기 파지클립부에 결합되는 마감패널과; 일 단이 상기 마감패널을 상기 파지클립부 측으로 가압하도록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는 보강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마감패널은 마감판과, 상기 마감판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마감판이 설치되는 장착프레임과; 상기 장착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마감패널을 파지하는 파지클립부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마감패널들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시 마감패널들 사이를 실링 및 마감패널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충전재를 주입하기 위한 충전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장착프레임의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결합프레임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으로 인입되어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장치의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부에 상기 마감판의 하면 가장자리 일부 영역이 안착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 안착된 상기 마감판의 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상기 바닥부와 나란하게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결합부와 멀어지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지클립부에 결합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장치의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측벽부의 외측 또는 상기 연결부의 외측로부터 상기 바닥부 및 상기 결합부와 나란하고, 상기 측벽부 또는 상기 연결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 또는 상기 연결부의 외측로부터 상기 결합부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장치의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장착프레임과 상기 결합프레임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장착프레임과 상기 결합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단열소재로 형성된 단열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부에 상기 마감판의 하면 가장자리 일부 영역이 안착되고 하부에 상기 단열프레임의 상부가 결합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 안착된 상기 마감판의 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부에 상기 단열프레임의 하부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결합부와 멀어지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지클립부에 결합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측벽부의 외측 또는 상기 바닥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바닥부 및 상기 결합부와 나란하고, 상기 측벽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 또는 상기 바닥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결합부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장치의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마감판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보강리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장치는 상기 마감판의 하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단열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단열판의 하면 가장자리 일부 영역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장착리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장치의 상기 파지클립부는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마감패널의 상기 결합프레임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클립부재;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클립부재를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상하를 관통하는 장착홀이 마련된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클립부재가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하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하방에 결합되어 상기 클립부재를 지지하는 보강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플레이트에는 상기 클립부재가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상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장착홀 주변의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인입되어 상기 클립부재의 걸림돌기가 진입되는 인출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장치의 상기 장착플레이트에는 상기 클립부재가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상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장착홀 주변의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클립부재에 간섭되는 인출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감패널의 장착프레임과 결합프레임 사이에 충전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충전공간부에 실링 및 마감패널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실리콘 등의 충전재를 주입하거나 패킹 등과 같은 실링재를 설치함으로써 마감패널 사이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 및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감패널의 장착프레임과 결합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충전공간부측으로 장착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리브가 돌출되는 구조를 가져 충전공간부에 충전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장치를 지지리브에 접촉시킨 상태로 간편하고 신속하며 정밀하게 충전재를 충전공간부에 주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재가 굳을 시 충전재와 지지리브 상호 접촉 및 결합에 의해 마감패널 상호간의 결합력 또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감패널의 장착프레임과 결합프레임 사이에 단열프레임을 배치하여 장착프레임으로부터 결합프레임 측으로 또는 결합프레임으로부터 장착프레임 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결로방지 및 열전달 차단을 위한 단열프레임의 형성을 위해 결합프레임과 장착프레임 사이에 일 측이 폐쇄된 구조의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폴리우레탄 폼을 충전하여 단열프레임을 형성한 뒤 이 홈을 폐쇄하고 있는 지지프레임의 일부를 절단하여 마감패널들 사이에 충전되는 충전재가 지지프레임의 일부가 절단된 후 생성되는 틈이나 공간으로 침투 및 진입되게 함으로써 충전재와 마감패널 상호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충전재를 매개로 하여 마감패널 상호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이 충전재에 의한 밀봉 및 실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의 파지클립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은 마감판(110)과, 마감판(110)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20)을 구비한다.
마감판(110)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마감판(110)은 목재, 금속재, 합성수지재, 합성목재, 석재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접착제를 통해 지지프레임(12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20)은 마감판(110)이 설치되는 장착프레임(130)과, 장착프레임(130)의 하부에 형성되고 마감패널을 파지하는 파지클립부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140)을 포함한다.
장착프레임(130)은 상부에 마감판(110)의 하면 가장자리 일부 영역이 안착되는 바닥부(131)와, 바닥부(131)에 안착된 마감판(110)의 측면에 접하도록 바닥부(13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133)와, 바닥부(13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바닥부(131)는 마감판(110)이 안착 및 장착되는 부분으로, 폭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다. 바닥부(131)는 4개가 서로 연결되어 내측에 중공이 형성된 사각의 프레임 구조를 이룬다.
바닥부(131)는 마감판(110)의 하면에 접촉 및 밀착될 수 있도록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부(131)의 상면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마감판(110)을 바닥부(131)에 결합시킬 시, 접착제가 일정 부분 인입될 수 있도록 바닥부(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홈이 형성된다.
바닥부(131)의 내측 단부에는 마감판(110)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마감판(110)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바닥부(131)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된 보강리브(132)가 더 구비된다.
보강리브(132)는 장착프레임(130)에 목재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마감판(110)보다 상대적으로 중량이 큰 석재나 금속재 등으로 형성된 마감판(110)을 장착시, 바닥부(131)에 의해 마감판(11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부는 일 단이 바닥부(131)에 연결되고 타 단은 결합프레임(140)의 결합부(141)에 연결되어 바닥부(131)와 결합부(141)를 서로 연결하는 부분으로, 바닥부(13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1연결부(135)와, 제1연결부(135)에서 바닥부(131)의 내측 가장자리 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제1연결부(135)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연결부(136)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연결부는 제1연결부(135)와 제2연결부(136)를 서로 이격되게 배치하여 제1연결부(135)와 제2연결부(136) 사이에 틈이나 공간을 형성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제1연결부(135)와 제2연결부(136) 사이의 공간이 채워지도록 제1연결부(135)와 제2연결부(136)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결합프레임(140)은 연결부의 단부에 바닥부(131)와 나란하게 형성된 결합부(141)와, 결합부(14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결합부(141)와 멀어지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파지클립부에 결합되는 스커트부(14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120)은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마감패널들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시 마감패널들 사이로 이물질 또는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 및 마감패널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충전재를 주입하기 위한 충전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장착프레임(130)의 외측 가장자리가 결합프레임(140)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으로 인입되어 단차지게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장착프레임(130)과 결합프레임(140)의 단차 구조는 결합프레임(140)의 영역을 장착프레임(130)의 영역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충전재를 주입하기 전에 마감패널의 외측에서 결합프레임(140) 및 후술하는 지지리브(134)가 노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결합프레임(140)과 장착프레임(130) 상호간에 단차진 구조는 결합프레임(140)의 결합부(141) 폭을 장착프레임(130)의 바닥부(131) 폭보다 길게 형성하고, 바닥부(131)의 내측 단부와 결합부(141)의 내측 단부를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의 장착프레임(130)은 바닥부(131)의 외측 가장자리 또는 연결부의 외측으로부터 바닥부(131) 및 결합부(141)와 나란하고, 측벽부(133) 또는 연결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지지리브(134)를 더 구비한다.
지지리브(134)는 측벽부(133)의 외측 또는 연결부의 외측로부터 결합부(141)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돌출된다.
지지리브(134)는 결합프레임(140)의 스커트부(145) 외측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마감패널들을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시 인접하는 타 측 마감패널의 지지리브(134)가 서로 닿지 않고 이격되도록 적절한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리브(134)는 마감패널들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 및 설치 후 실리콘 건(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마감패널들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공간부(S)에 충전재(101)를 주입할 때, 작업자가 실리콘 건의 단부를 지지리브(134)에 접촉시킨 상태로 지지리브(134)를 따라 실리콘 건을 이동시키면서 충전재(101)를 주입할 수 있도록 실리콘 건을 이동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함으로써 충전재(101)의 주입 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충전재(101)를 충전공간부(S)에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리브(134)는 충전공간부(S)에 충전재(101)를 주입할 때, 지지리브(134)의 하방에 형성되는 충전공간부(S)로부터 충전재(101)가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충전공간부(S) 내에 틈이나 공극이 없이 가득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리브(134)는 충전공간부(S)에 충전되는 충전재(101)와 접촉 및 결합됨으로써 충전재(101)가 경화된 후에는 충전재(101)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충전재를 매개로 하여 양측 마감패널들 상호간의 결합력을 증진시킴으로써 마감패널들이 서로 분리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부(131) 및 보강리브(132)에 의해 지지되는 마감판(110)의 하방에는 단열판(160)이 더 설치되며, 단열판(160)의 상부는 보강리브(132)의 하면에 밀착되고 측면은 제2연결부(136)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A)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A)은 마감판(110A)과, 마감판(110A)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20A)을 구비한다.
지지프레임(120A)은 마감판(110A)이 설치되는 장착프레임(130A)과, 장착프레임(130A)의 하부에 결합되고, 단열소재로 형성된 단열프레임(150A) 및 단열프레임(150A)의 하부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140A)을 포함한다.
장착프레임(130A)은 상부에 마감판(110A)의 하면 가장자리 일부 영역이 안착되고 하부에 단열프레임(150A)이 결합되는 바닥부(131A)와, 마감판(110A)의 측면에 접하도록 바닥부(131A)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135A)를 포함한다.
바닥부(131A)는 상부에 마감판(110A)의 하면 가장자리 일정 영역이 안착되고 하부에는 단열프레임(150A)이 결합된다. 바닥부(131A)의 상부는 마감판(110A)의 하면에 접촉 및 밀착될 수 있도록 및 평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부(131A)의 하부에는 단열프레임(150A)의 상측이 삽입 또는 결합되는 제1연결슬롯이 형성된다. 제1연결슬롯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 도브테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부(131A)의 내측 단부에는 마감판(110A)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바닥부(131A)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보강리브(132A)가 더 구비된다.
보강리브(132A)는 장착프레임(130A)에 목재나 합성수지로 형성된 마감판(110A)보다 상대적으로 중량이 큰 석재나 금속재 등으로 형성된 마감판(110A)을 장착시, 장착프레임(130A)이 마감판(110A)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바닥부(131A) 및 보강리브(132A)에 의해 지지되는 마감판(110A)의 하방에는 단열판(160A)이 설치되며, 단열판(160A)의 상부는 보강리브(132A)의 하면에 밀착되고 측면은 단열프레임(150A) 및 결합프레임(140A)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바닥부(131A)의 외측 가장자리 하단에는 단열프레임(150A)과의 결합력 및 접촉 면적을 확장시키며, 단열프레임(150A)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제1연장돌기(133A)가 더 구비된다.
측벽부(135A)는 바닥부(131A)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부(131A)과 교차하는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감판(110A)의 측면을 감싸 마감판(110A)의 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단열프레임(150A)은 상측이 장착프레임(130A)에 결합되고, 하측이 결합프레임(140A)에 결합된다.
단열프레임(150A)의 상측에는 장착프레임(130A)의 제1연결슬롯에 삽입 또는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연결슬롯의 형상과 대응되는 제1삽입돌기(151)들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결합프레임(140A)의 결합부(141A)에 형성된 제2연결슬롯에 삽입 또는 결합될 수 있도록 제2연결슬롯의 형상과 대응되는 제2삽입돌기(152)들이 형성된다.
단열프레임(150A)은 장착프레임(130A)으로부터 결합프레임(140A) 또는 결합프레임(140A)으로부터 장착프레임(130A)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단열소재 예를 들면, 우레탄, 에폭시로 형성된다.
결합프레임(140A)은 단열프레임(150A)의 하측에 결합되고, 마감패널(100A)을 벽면(W)에 지지시키기 위해 벽면(W)에 설치되는 파지클립부(500A)에 결합된다.
결합프레임(140A)은 결합부(141A)와, 스커트부(145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합부(141A)는 장착프레임(130A)의 바닥부(131A)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측에 단열프레임(150A)의 제2삽입돌기(152)가 삽입될 수 있게 제2연결슬롯이 형성된다. 제1연결슬롯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 도브테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141A)의 외측 가장자리 상단에는 단열프레임(150A)과의 결합력 및 접촉 면적을 확장시키며, 단열프레임(150A)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제2연장돌기(143A)가 더 구비된다. 제2연장돌기(143A)는 제1연장돌기(133A)와 대응되는 위치 및 구조로 형성된다.
결합부(141A)의 제2연장돌기(143A)와 바닥부(131A)의 제1연장돌기(133A)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패널(100A)의 지지프레임(120A)을 사출하여 제조시 바닥부(131A)와 결합부(141A) 사이에 단열프레임(150A)을 형성하기 위한 폴리 우레탄 폼을 충진 및 주입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된 구조(일 예로, 도 1 및 도 2에서의 제1연장부(135) 구조)를 가지나, 충진된 우레탄이 경화된 후에는 결합부(141A)에서 바닥부(131A)로 또는 바닥부(131A)에서 결합부(141A)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제1연장돌기(133A)와 제2연장돌기(143A)를 연결하는 일정 부분을 제거(일 예로, 도 1 및 도 2에서의 제1연장부(135)의 중앙 측을 일정 부분 제거)하여 형성한 것이며, 제거된 부분에는 충전재가 진입 또는 침투할 수 있게 틈이나 공간이 형성된다.
결합부(141A)의 제2연장돌기(143A)와 바닥부(131A)의 제1연장돌기(133A)는 제1연장돌기(133A)와 제2연장돌기(143A)를 연결하는 일정 부분을 제거함에 따라 생성되는 틈이나 공간에 충전재가 진입 및 침투될 수 있도록 하며, 제2연장돌기(143A)와 충전재, 제1연장돌기(133A)와 충전재가 접촉되는 면적이 확장됨으로써 충전재를 매개로 하여 마감패널 상호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지지프레임의 내측으로 진입된 충전재에 의해 습기나 물이 마감패널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스커트부(145A)는 결합부(141A)의 외측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결합부(141A)와 멀어지도록 연장되며 단부 내측에는 걸림돌기(146A)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A)의 지지프레임(120A)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마감패널(100A)들 사이,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프레임(150A)들 사이를 실링 및 마감패널(100A)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충전재(101)를 마감패널(100A)의 외측에서 단열프레임(150A)들 사이 및 결합프레임(140A)들 사이로 보다 용이하게 주입하기 위한 충전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장착프레임(130A)의 외측 가장자리가 결합프레임(140A)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으로 인입되는 단차진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장착프레임(130A)과 결합프레임(140A)의 단차 구조는 결합프레임(140A)의 영역을 장착프레임(130A)의 영역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충전재(101)를 주입하기 전에 마감패널(100A)의 외측에서 결합프레임(140A) 및 후술하는 지지리브(134A)가 노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결합프레임(140A)과 장착프레임(130A) 상호간에 단차진 구조는 결합프레임(140A)의 결합부(141A) 폭을 장착프레임(130A)의 바닥부(131A) 폭보다 길게 형성하고, 바닥부(131A)의 내측 단부와 결합부(141A)의 내측 단부를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A)의 장착프레임(130A)은 바닥부(131A)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부(131A) 및 결합부(141A)와 나란하고, 측벽부(135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지지리브(134A)를 더 구비한다. 지지리브(134A)는 결합프레임(140A)의 스커트부(145A) 외측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마감패널(100A)들을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시 인접하는 타 측 마감패널(100A)의 지지리브(134A)가 서로 닿지 않고 이격되도록 적절한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리브(134A)는 마감패널(100A)들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 및 설치 후 실리콘 건(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마감패널(100A)들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공간부(S)에 충전재(101)를 주입할 때, 작업자가 실리콘 건의 단부를 지지리브(134A)에 접촉시킨 상태로 지지리브(134A)를 따라 실리콘 건을 이동시키면서 충전재(101)를 주입할 수 있도록 실리콘 건을 이동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함으로써 충전재(101)의 주입 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충전재(101)를 충전공간부(S)에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리브(134A)는 충전공간부(S)에 충전재(101)를 주입할 때, 지지리브(134A)의 하방의 충전공간부(S)로부터 충전재(101)가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충전공간부(S) 내에 틈이나 공극이 없이 가득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리브(134A)는 충전공간부(S)에 충전되는 충전재(101)와 접촉 및 결합됨으로써 충전재(101)가 경화된 후에는 충전재(101)와 경고하게 결합되어 양측 마감패널(100A)들 상호간의 결합력을 증진시킴으로써 마감패널(100A)들이 서로 분리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A)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1)는 벽면(W)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200A)과, 베이스프레임(200A)에 설치되는 파지클립부(500A)와, 파지클립부(500A)에 결합되는 마감패널(100A)과, 마감패널(100A)을 파지클립부(500A) 측에 고정시키는 보강브라켓(70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1)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A)을 적용하였으며,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다르게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다른 마감장치(1)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베이스프레임(200A)은 벽면(W)에 설치되는 지지파이프(210A)와, 지지파이프(210A)에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250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파이프(210A)는 내부가 빈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네 면중 일 면이 벽면(W)이나 바닥면에 밀착되며, 양측면에 일 단이 각각 고정되고 타 단은 벽면에 고정되는 'ㄱ'자 형상의 앵글부재(215)에 의해 벽면(W)에 고정 설치된다.
지지파이프(210A)는 벽면(W)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복수가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지지파이프(210A)는 바닥에 설치될 수도 있고, 벽면(W)에 수평방향으로 설치 및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가이드프레임(250A)은 벽면(W)을 향하는 지지파이프(210A)의 일 면과 대향되는 타 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지파이프(21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고정피스(P)에 의해 지지파이프(210A)에 고정된다. 가이드프레임(250A)은 지지파이프(210A)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프레임(250A)은 일 측에 파지클립부(500A)를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지지파이프(210A)의 타 면에 배치되는 고정판부(211A)와, 지지파이프(210A)를 향하는 고정판부(211A)의 일 면에 고정판부(211A)의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지파이프(210A)의 측면에 접하도록 지지파이프(210A)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리브(215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합리브(215A)들은 지지파이프(210A)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이격된다.
고정판부(211A)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상방으로 절곡되게 연장되어 파지클립부(500A)를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절곡리브(212A)가 형성되고, 결합리브(215A)와 대향되는 고정판부(211A) 일 면에는 파지클립부(500A)를 고정판부(211A)로부터 이격되게 지지 및 파지클립부(500A)의 가장자리 측이 절곡리브(212A)의 하부에 밀착되게 지지하도록 돌출된 이격돌기(213A)가 고정판부(211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파지클립부(500A)는 베이스프레임(200A)의 가이드프레임(250A)에 삽입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510A)와, 베이스플레이트(510A)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은 마감패널(100A)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클립부재(550A)을 구비한다.
베이스플레이트(510A)는 클립부재(550A)을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상하를 관통하는 장착홀(513A)이 마련된 장착플레이트(511A)와, 클립부재(550A)이 장착플레이트(511A)의 하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장착플레이트(511A)의 하방에 결합되어 클립부재(550A)을 지지하는 보강플레이트(515A)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510A)는 가이드프레임(250A)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가이드프레임(250A)의 일 측에 형성된 개구부 측으로 진입시킨 뒤 일정 각도 회전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장착플레이트(511A)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상면과 저면이 평평한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가장자리 모서리 부분이 완만하게 라운딩 처리되어 있다.
장착플레이트(511A)에는 클립부재(550A)이 상기 장착플레이트(511A)의 상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장착홀(513A) 주변의 장착플레이트(511A)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인입되어 클립부재(550A)의 걸림부(552A)가 진입되는 인출방지홈(512A)이 형성된다.
장착플레이트(511A)에는 클립부재(550A)을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플레이트(511A)의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장착홀(513A)이 마련된다. 장착홀(513A)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주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플레이트(511A)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직교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장착홀(513A)의 내주면은 클립부재(550A)의 가압리브(555A) 외주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되, 가압리브(555A)가 이루는 경사와 대응되는 경사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플레이트(511A)에는 장착홀(513A) 주변으로 후술하는 보강플레이트(515A)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홀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장착플레이트(511A)에는 클립부재(550A)이 장착플레이트(511A)의 상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출방지홈(512A) 및 인출방지돌기(514A)가 형성된다.
인출방지홈(512A)은 장착홀(513A) 주변의 장착플레이트(511A)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깊이로 인입되어 클립부재(550A)의 일부분, 상세하게는 클립부재(550A)의 걸림부(552A)가 진입될 수 있게 형성된다. 인출방지홈(512A)에 진입된 클립부재(550A)의 걸림부(552A)는 장착플레이트(511A)에 의해 장착플레이트(511A)의 상측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인출방지돌기(514A)는 장착홀(513A) 주변의 장착플레이트(511A)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클립부재(550A)의 가압리브(555A)에 간섭된다.
장착플레이트(511A)에는 인출방지홈(512A)과 인출방지돌기(514A) 모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어느 하나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강플레이트(515A)는 장착플레이트(511A)의 장착홀(513A)에 장착된 클립부재(550A)이 장착플레이트(511A)의 하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장착플레이트(511A)의 하방에 결합되어 클립부재(550A)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장착플레이트(511A)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고, 상면과 저면이 평평한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가장자리 모서리 부분이 완만하게 라운딩 처리된다.
보강플레이트(515A)에는 장착플레이트(511A)의 결합홀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제1고정홀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는 고정볼트 또는 고정피스 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2고정홀이 형성된다.
결합돌기는 장착플레이트(511A)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고, 장착플레이트(511A)의 결합홀에 통과시킨 후 단부를 장착플레이트(511A)의 상면을 향하도록 일 측으로 절곡시키거나 또는 구부려 장착플레이트(511A)를 보강플레이트(515A)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장착플레이트(511A)와 보강플레이트(515A)의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서 결합돌기와 결합홀의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리벳 부재나, 고정볼트 또는 고정피스(P) 등을 이용하여 서로를 결합시킬 수도 있고, 보강플레이트(515A)와 장착플레이트(511A)를 용접 또는 스폿 용접하여 상호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클립부재(550A)은 베이스플레이트(510A)에 일 측에 결합되고, 타 측은 마감패널(100A)의 스커트부(145A)를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장착부(551A)와, 가압리브(555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서로 다른 네 방향으로 배치된다.
장착부(551A)는 장착홀(513A)과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의 변이 더 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장착부(551A)는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인출방지홈(512A)에 진입될 수 있도록 소정길이 연장된 걸림부(55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장착부(551A)는 장착플레이트(511A)의 두께보다 작거나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된다.
가압리브(555A)는 장착부(551A)의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장착부(551A)과 멀어지게 소정길이 연장되되 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 단부에는 마감패널(100A)의 스커트부(145A)가 가압리브(555A)들 사이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게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다.
보강브라켓(700)은 파지클립부(500A)들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단이 마감패널(100A)을 파지클립부(500A) 측으로 가압하도록 결합되고, 하단은 고정피스(P)를 통해 가이드프레임(250A) 및 지지파이프(210A)에 고정된다.
보강브라켓(700)은 가압프레임(710), 연장프레임(720), 고정프레임(7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압프레임(710)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마감패널(100A)의 결합부(141A) 상부에서 결합부(141A)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훅 구조로 형성된다.
연장프레임(720)은 가압프레임(710)의 단부로부터 마감패널(100A)들의 스커트부(145A) 사이를 통과하여 가이드프레임(250A) 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고정프레임(730)은 연장프레임(720)의 단부로부터 가이드프레임(250A)의 고정판부(211A)에 밀착되게 연장프레임(720)의 단부로부터 절곡되게 연장되며, 고정피스(P)를 통해 가이드프레임(250A)의 고정판부(211A)에 고정된다. 이때 체결되는 고정피스(P)는 가이드프레임(250A)의 고정판부(211A)뿐만 아니라 지지파이프(210A)를 관통하도록 체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1)는 파지클립부(500A) 및 보강브라켓(700)에 의해 서로 인접하게 설치 및 고정된 마감패널(100A)들 사이에 형성된 충전공간부(S)에는 실온에서 경화되는 우레탄, 에폭시, 실리콘 등의 충전재(101)가 주입되거나 패킹부재 또는 실링부재가 설치된다.
마감패널(100A)들 사이에 주입되는 충전재(101)는 먼지나 이물질, 물기 등이 마감패널(100A)들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충전재(101)는 일 측과 타 측의 마감패널(100A) 각각의 결합프레임(140A), 단열프레임(150A), 지지리브(134A)를 연결하도록 충전되어 마감패널(100A)들 상호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브라켓(700)의 가압프레임(710)을 감싸도록 충전되어 보강브라켓(700)을 더욱 안정적으로 마감패널(100A)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1)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A)을 구비함으로써 실리콘 건 등을 이용하여 충전공간부(S)에 충전재(101)를 주입할 때, 작업자가 실리콘 건의 단부를 지지리브(134A)에 접촉시킨 상태로 지지리브(134A)를 따라 실리콘 건을 이동시키면서 충전재(101)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재(101)의 주입 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충전재(101)를 충전공간부(S)에 균일하게 주입할 수 있으며, 충전공간부(S)에 충전재(101)를 주입할 때, 지지리브(134A)의 하방의 충전공간부(S)로부터 충전재(101)가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충전공간부(S) 내에 틈이나 공극이 없이 가득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1)는 장착프레임(130A)의 바닥부(131A)에 형성된 지지리브(134A)가 충전공간부(S)에 충전되는 충전재(101)와 접촉됨으로써 충전재(101)가 경화된 후에는 충전재(101)와 결합되어 양측 마감패널(100A)들 상호간의 결합력을 증진시켜 마감패널(100A)들이 서로 분리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1)는 보강브라켓(700)을 통해 마감패널(100A)을 지지파이프(210A) 및 가이드프레임(250A) 측으로 가압 및 고정함으로써 마감패널(100A)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감패널(100A)들 사이의 충전공간부(S)에 배치된 가압프레임(710)이 마감패널(100A)들 사이의 충전공간부(S)에 충전되는 충전재(101)와 접촉 및 결합됨으로써 마감프레임들 상호간의 결합력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B)이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B)은 마감판(110B)과, 마감판(110B)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20B)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B)의 마감판(110B) 및 지지프레임(120B)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A)의 마감판(110A) 및 지지프레임(120A)의 구조를 동일하게 적용하되, 지지프레임(120A)에 형성된 보강리브(132A)가 생략된 구조를 적용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B)의 마감판(110B) 및 지지프레임(120B)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의 마감판(110) 및 지지프레임(120)의 구조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B)의 지지프레임(120B)을 구성하는 결합프레임(140B)에는 장착프레임(130B)에 장착된 마감판(110B)의 하부에 단열판(160B)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리브(144B)가 더 구비된다.
장착리브(144A)는 결합부(141B)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단열판(160B)의 하면 가장자리 일부 영역이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결합부(141B) 및 바닥부(131B)와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B)은 장착리브(144A)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및 구조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A)과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A)과 대응되는 작용효과를 가지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B)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2)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2)는 벽면(W)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200B)과, 베이스프레임(200B)에 설치되는 파지클립부(500B)와, 파지클립부(500B)에 결합되는 마감패널(100B)과, 마감패널(100B)을 파지클립부(500B) 측에 고정시키는 보강브라켓(70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2)의 마감패널(100B)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0B)을 적용하였으며,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2)의 베이스프레임(200B), 파지클립부(500B), 보강브라켓(700)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마감장치(1)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적용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2 : 마감장치
100 : 마감패널
101 : 충전재
110 : 마감판
120 : 지지프레임
130 : 장착프레임
131 : 바닥부
133 : 측벽부
134 : 지지리브
135 : 제1연결부
136 : 제2연결부
140 : 결합프레임
141 : 결합부
145 : 스커트부
160 : 단열판

Claims (14)

  1. 마감판과, 상기 마감판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마감패널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마감판이 설치되는 장착프레임과;
    상기 장착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단열소재로 형성된 단열프레임과;
    상기 단열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마감패널을 파지하는 파지클립부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마감패널들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시 마감패널들 사이에 실링 및 마감패널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충전재를 주입하기 위한 충전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마감판의 하면 가장자리 일부 영역이 안착되고 하부에 상기 단열프레임이 결합되는 바닥부와, 상기 마감판의 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바닥부와 나란하고 상기 측벽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리브와, 상기 바닥부의 외측 가장자리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1연장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단열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바닥부와 나란하게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결합부와 멀어지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지클립부에 결합되는 스커트부와, 상기 결합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연장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연장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패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벽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파지클립부와;
    상기 파지클립부에 결합되는 마감패널과;
    일 단이 상기 마감패널을 상기 파지클립부 측으로 가압하도록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되는 보강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마감패널은 마감판과, 상기 마감판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마감판이 설치되는 장착프레임과,
    상기 장착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단열소재로 형성된 단열프레임과,
    상기 단열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마감패널을 파지하는 파지클립부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마감패널들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시 마감패널들 사이에 실링 및 마감패널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충전재를 주입하기 위한 충전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마감판의 하면 가장자리 일부 영역이 안착되고 하부에 상기 단열프레임이 결합되는 바닥부와, 상기 마감판의 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바닥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와, 상기 바닥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바닥부와 나란하고 상기 측벽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리브와, 상기 바닥부의 외측 가장자리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1연장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단열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바닥부와 나란하게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결합부와 멀어지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지클립부에 결합되는 스커트부와, 상기 결합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제2연장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80051387A 2018-05-03 2018-05-03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102061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387A KR102061277B1 (ko) 2018-05-03 2018-05-03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387A KR102061277B1 (ko) 2018-05-03 2018-05-03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160A KR20190127160A (ko) 2019-11-13
KR102061277B1 true KR102061277B1 (ko) 2019-12-31

Family

ID=68534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387A KR102061277B1 (ko) 2018-05-03 2018-05-03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2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102B1 (ko) * 2020-10-19 2021-07-07 이일수 실내 장식물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218B1 (ko) * 2020-04-23 2022-03-15 (주)엔비텍이앤씨 단열재 일체형 복합패널 및 시공방법
KR102461959B1 (ko) * 2020-05-21 2022-11-02 주식회사 조은데코 외장 마감패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445B1 (ko) * 2017-03-21 2017-11-29 주식회사 조은데코 마감패널 고정장치
KR101826888B1 (ko) * 2017-07-11 2018-02-08 신성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지지바 및 이를 구비한 건물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524B1 (ko) 2007-11-12 2008-01-24 (주)전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립식 외단열패널의 구조
KR101219093B1 (ko) 2010-07-02 2013-01-04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마감용 벽체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035973B1 (ko) 2010-10-25 2011-05-23 현대엠코 주식회사 외단열 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445B1 (ko) * 2017-03-21 2017-11-29 주식회사 조은데코 마감패널 고정장치
KR101826888B1 (ko) * 2017-07-11 2018-02-08 신성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지지바 및 이를 구비한 건물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102B1 (ko) * 2020-10-19 2021-07-07 이일수 실내 장식물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160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754B1 (ko) 벽체 마감 시공용 프레임 조립체
KR102061277B1 (ko)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CA2730526A1 (en) Panel interlocking system
KR101970309B1 (ko) 결로 방지를 위한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101461545B1 (ko) 외벽마감구조
KR102284789B1 (ko) 외벽마감장치
KR102034184B1 (ko) 건물 외장벽체 마감용 마감패널의 시공방법
KR101107438B1 (ko) 바닥재 데크보드 고정용 클립유지부재
KR101090674B1 (ko) 건식 방수턱의 시공구조
KR101323110B1 (ko) 샌드위치 패널
KR101836445B1 (ko) 간격 조절 기능을 구비한 벽면 마감 조립체
KR200451121Y1 (ko) 코킹 일체형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CN110691885B (zh) 精整面板和包括精整面板的精整装置
KR101377248B1 (ko) 외벽 패널 고정구조
KR101207212B1 (ko) 건축물의 외장 패널 시공방법
KR20130086879A (ko) 조립식 욕실용 저소음형 벽판넬 설치 구조
KR101458605B1 (ko) 루프패널과 루프패널 시공방법
KR101990911B1 (ko) 건축구조물용 마감패널의 결합구조
KR20120109095A (ko)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40234B1 (ko) 데크 어셈블리
KR102274452B1 (ko) 조립식 건축 외장패널
KR102277972B1 (ko) 통기성과 단열성이 향상된 오픈조인트 패널조립체
KR20090006267U (ko) 이중바닥시스템 및 이중바닥시스템용 바닥패널
KR102284790B1 (ko) 마감패널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외벽마감장치
KR101473099B1 (ko)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