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681B1 -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681B1
KR102339681B1 KR1020190141137A KR20190141137A KR102339681B1 KR 102339681 B1 KR102339681 B1 KR 102339681B1 KR 1020190141137 A KR1020190141137 A KR 1020190141137A KR 20190141137 A KR20190141137 A KR 20190141137A KR 102339681 B1 KR102339681 B1 KR 102339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dation
base
ondol
wood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5143A (ko
Inventor
강태웅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1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681B1/ko
Priority to PCT/KR2020/000729 priority patent/WO2020242003A1/ko
Priority to CN202080004113.2A priority patent/CN112469872B/zh
Publication of KR20210055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8Connection to found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두 열로 배치되는 다수의 날개요소(610); 상기 다수의 날개요소(610)의 저면에 위치하는 저면 플레이트(670); 및 상기 저면 플레이트(670)에서 아래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680)를 포함하는 중심부(600)를 구비한,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와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A sill for an ondol building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온돌 건축물용 코너 통합형 토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목조 건축에서, 콘크리트 재질의 기초에 이질 소재인 목재를 결합하기 위하여 기초와 목재 사이에 토대(sill)가 사용된다. 달리 표현하면, 토대는 기초 위에 결합되어 바닥 장선 또는 바닥에 대한 받침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방부 처리가 된 방부목이 토대로서 사용된다.
도 1은 이를 간략히 도시한 것으로, 기초(1) 위에 폴리에틸렌 깔판과 같은 토대 씰러(sill sealer)(미도시)를 위치시킨 후, 그 위에 토대(2)가 위치한다. 토대(2) 위에 일반 목재인 깔도리(3)가 위치하며, 그 상측에 벽, 기둥 등을 형성하는 목재 구조체(4) 또는 패널 등이 배치되고, 앵커(6)가 이들을 관통하여 기초(1)에 결합된다. 온돌 마루 구조체(5)와 같은 구성은 이로부터 건물 내측에 위치한다. 즉, 토대(2)는 콘크리트 재질의 기초(1)와 깔도리(3) 내지 목재 구조체(4)의 결합을 위한 중간 연결체 역할을 하는 것이다.
방부목 토대를 사용하는 공정은, 고가의 방부목 사용에 의한 경제성 문제 외에도 몇 가지 문제점을 갖는다.
방부목 토대를 놓기 위해 기초의 수평을 잘 맞춰져 있어야 한다. 그러나, 아무리 콘크리트 기초 공사가 잘 되어 있어도 오차는 최대 2인치까지 나타나며, 공사 현장에서는 이를 평탄화하여 레벨을 맞추는 작업(예를 들어, 수평 몰탈 치기 등)인 레벨링(leveling) 공정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공장에서 모든 자재들의 수평 수직이 맞춰져 생산되고 현장에서는 신속한 결합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패널라이징 공법에 있어서 이러한 인력 및 시간 손실은 치명적이다.
또한, 목재 자체의 변형 및 뒤틀림도 존재할 뿐더러, 목재에 방부액을 추가하는 방부 처리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방부목 목재에서 발생하는 변형이나 뒤틀림도 있기에, 방부목 토대가 결합된 이후에도 토대 자체의 길이방향과 폭방향 레벨링 공정(예를 들어, 목재를 깎는 대패질 공정)이 필요한데, 기초 레벨링과 마찬가지로 상당한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관련된 특허 문헌을 검토한다.
일본특허 제5186519호(이하, '종래기술'로 지칭)는 토대용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를 개시한다. 도 2는 (A)와 (B)로서 이를 도시한다. (A)는 정면 사시도로서 위의 평평한 가교 부분에 토대가 재치된다. 즉, 본 종래기술은, 토대를 완전히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토대와 기초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이다. 별도의 방부목 재질의 토대가 필요한 것이다.
본 종래기술에서는, 날개요소를 2열로 나열하고 그 상단을 다수의 가교를 통해 연결하는 방식인데, 이를 한국형 건축물인 온돌 건축물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방부목 재질 토대가 여전히 필요하다. 방부목에서 작업하여야 하는 레벨링 공정은 여전히 필요하고, 고가의 방부목 역시 여전히 요구된다. 본 종래기술에서, 중앙에 피스공이 존재하지만 피스공이 일렬로 배치됨을 고려하면 어디까지나 토대 스페이서를 기초에 긴결하기 위한 부품에 불과하며, 만약 이를 이용하여 레벨링 공정을 수행한다고 하여도 오직 길이방향의 레벨링 공정만 가능하고 폭방향으로는 불가능하다.
둘째, 날개요소 상단만이 연결되어 있어서 날개요소와 날개요소 사이(토대 스페이서의 측면)가 뚫린 통기성 구조라는 점에서 온돌에 적합하지 않다. 본 종래기술이 이룩하는 가장 높은 효과는 통기성으로 제시된다. 하지만, 한국형 건축물인 온돌 건축물에 이를 그대로 적용한다면, 토대용 스페이서를 통해 온돌 열기가 외부로 유출될 것이므로 심각한 열적 손실을 가져온다. 도 1을 참조하면, 토대(2)가 통기성 구조로 되어 있어 온돌 마루 구조체(5)의 열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다.
셋째, 토대용 스페이서와 기초는 오직 피스와 앵커에 의해서만 고정된다. 이는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도 구조상 결함을 야기할 수 있다.
넷째, 시공성이 낮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전히 방부목 재질 토대를 설치하고 대패질 공정과 같은 레벨링 공정을 반드시 수행하야 하고 다시 목재의 깔도리를 설치한 후 마찬가지로 대패질 공저오가 같은 레벨링 공정을 수행하는 등 그 단계가 번잡하고 시간이 많아 소요되며 전문성 높은 인력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JP 5186519 B2
(특허문헌 2) JP 4810188 B2
(특허문헌 3) JP 5296397 B2
(특허문헌 4) JP 4713175 B2
(특허문헌 5) JP 3870019 B2
(특허문헌 6) JP 6305980 B2
(특허문헌 7) JP 4555644 B2
(특허문헌 8) JP 4092341 B2
(특허문헌 9) JP 3785111 B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토대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으면서도, 온돌 건축물에 특화된 온돌 건축물용 토대를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방부목 토대가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소하면서도, 공지된 토대용 스페이서 등을 적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신규한 온돌 건축물용 토대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두 열로 배치되는 다수의 날개요소(610); 상기 다수의 날개요소(610)의 저면에 위치하는 저면 플레이트(670); 및 상기 저면 플레이트(670)에서 아래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680)를 포함하는 중심부(600)를 구비한,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심부(600)는, 상기 날개요소(610)의 각 열에서 상기 날개요소(610)들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내측을 차단하는 외벽체(6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개요소(610)의 각 열에서 상기 외벽체(620)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버팀부재(6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팀부재(630)는 상기 날개요소(610)의 높이 기준으로 그 중심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날개요소(610)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상측에 위치하는 돌기부(6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날개요소(610) 각각에 상기 저면 플레이트(670)를 관통하는 피스공(640)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면 플레이트(670)에는 접촉 개선용 패턴이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면 플레이트(670)에는, 상기 날개요소(610)들 사이에 배열되도록 개구(672)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대의 상기 중심부(600)의 일측에 소켓부(700)가 위치하고 타측에 플러그부(800)가 위치하며, 상기 소켓부(700)는 외측으로 돌출된 소켓(720)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부(800)는 외측으로 돌출된 플러그(820)를 포함하며, 어느 하나의 토대의 소켓(720)이 이웃한 다른 하나의 토대의 플러그(820)에 삽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두 열로 배치되는 다수의 날개요소(610); 및 상기 다수의 날개요소(610)의 저면에 위치하는 저면 플레이트(670)를 포함하는 중심부(600)를 구비한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2")를 이용한 시공 방법으로서, (a) 기초(1)에 앵커(6)를 시공하고, 상기 앵커(6)에 하부 와셔(8)를 체결한 후, 상기 하부 와셔(8)의 높이(EQ)를 기 설정된 소정의 높이로 설정하는 단계; (b) 깔도리(3)에 상기 토대(2")를 체결하는 단계; (c) 상기 토대(2")의 상기 저면 플레이트(670)가 상기 하부 와셔(8)의 상면에 닿도록 상기 (b) 단계에서 체결된 깔도리(3)와 토대(2")를 상기 앵커(6)를 관통시켜 설치한 후, 상기 깔도리(3)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앵커(6)에 상부 볼트(7") 및 상부 와셔(8")를 체결하는 단계; (d) 상기 토대(2")와 상기 기초(1) 사이에 기밀재를 분사하여 기밀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e) 상기 기밀재와 상기 토대(2")와 상기 기초(1) 사이 공간에 몰탈을 사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심부(600)는 상기 저면 플레이트(670)에서 아래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6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 분사되는 기밀재가 상기 가이드(680)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면 플레이트(670)에는, 상기 날개요소(610)들 사이에 배열되도록 개구(672)가 위치하며, 상기 (e) 단계에서 시공되는 몰탈은 상기 개구(672)를 통해 상기 토대(2")의 상기 저면 플레이트(670)를 관통하여 사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토대를 이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목재의 깔도리와 토대를 일체형으로 작업하여 설치하므로, 많은 수의 공정이 생략된다. 공장에서 목재 일체형 토대를 규격에 맞게 작업한 후, 현장에서는 이를 설치하기만 하면 되므로, 시공 기간이 혁신적으로 감축된다.
더욱이, 기초 상에 하부 와셔를 일정한 높이로 조절하기만 하면 별도의 대패질 공정과 같은 레벨링 공정이 생략된다.
둘째, 방부목 토대를 이용한 일반적인 공정과 비교하면, 우선 방부목 자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에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대는 플라스틱 사출 또는 금형 등에 의해 균일한 규격으로 제조 가능하다.
또한, 수평 몰탈을 치는 등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한 기초 레벨링 단계를 생략할 수 있으며, 방부목 토대의 뒤틀림 등을 개별적으로 확인하여 대패질 공정을 통해 깎아야 하는 방부목 레벨링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간과 인력의 절약은, 특히 패널라이징과 같이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지는 건축물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셋째, 토대에 구비된 다양한 구성 요소로, 작업 편의성이 상승된다. 저면 플레이트의 패턴에 의해 토대와 기초의 연결이 강화되고 작업 편의성이 상승되며, 깔도리를 올리는 경우에도 별도의 돌기부에 의해 작업 편의성이 상승된다. 가이드에 의해 기밀재 시공과 제거가 편리하다.
도 1은 토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토대용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의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3의 A 및 B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가 사용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토대는 장방형 형상인바, 긴 가로를 따르는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지칭하고(도 5의 좌우 방향) 짧은 세로를 따르는 방향을 "폭방향"으로 지칭한다(도 5의 상하 방향).
여기에서, "온돌 건축물"은 바닥 난방을 위해 바닥에 구조체가 포함되는 모든 구조체를 포함한 건축물을 포괄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온수 파이프가 포함되는 방식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의 설명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대는,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거나 금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자재는 물론, 후술하는 날개요소(610) 등의 구조에 의하여 기존 방부목 토대만큼 하중을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균일한 평활도를 획득하여 토대 레벨링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사출 성형이나 금형 제조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시공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대는, 중심부(600)와 길이방향 양 말단에 각각 위치한 플러그부(700) 및 소켓부(800)를 포함한다.
중심부(600)는 두 열로 배치되는 다수의 날개요소(610)를 포함한다.
날개요소(610)는 내측이 중공이며 여기에 다수의 리브(rib)가 구비되어 상방으로부터의 하중을 기초로 전달한다.
날개요소(610)의 크기, 내부 리브의 간격 및 날개요소(610)들 상호 배치 간격 등은 사용되는 현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날개요소(610)의 각 열에서는, 날개요소(610)들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내측을 차단하는 외벽체(620)가 구비된다. 전술한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종래기술에서는 날개요소(610)들 사이가 모두 개방되어 통기성을 강화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외벽체(620)를 이용하여 열기를 차단함은 물론, 각 열에서 모두 차단되어 일종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 성능에 기여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벽체(620)는 하중 분산에도 도움을 준다.
외벽체(620)의 높이는 날개요소(610)의 높이와 같을 수도 있으며, 또는 날개요소(610)의 높이보다 다소 작을 수도 있다.
날개요소(610)의 각 열에서 외벽체(620)에 대향한 내측 각각에는 버팀부재(630)가 위치한다. 즉, 2개의 버팀부재(630)가 위치한다.
버팀부재(630)는 두 가지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대를 이용한 시공 방법은 토대 내측에 몰탈을 사춤하는 단계가 포함되는데, 몰탈에 의한 횡압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고강도 몰탈을 사춤하는 공정에 있어서 몰탈을 토대의 중간까지 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때에 공정 중 몰탈 수위를 버팀부재(630)의 높이까지 맞추면 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버팀부재(630)는 날개요소(610)의 높이 기준으로 그 중심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정 가운데에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날개요소(610)에는 피스공(640)이 위치한다. 피스공(640)은 저면 플레이트(670)부터 날개요소(610) 상면에 이르는 통공으로서 토대 전체를 상하로 관통한다. 후술하는 시공 방법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토대를 깔도리 등의 목재에 먼저 결합시키는데, 이 때에 피스공(640)을 통하여 토대의 저면에서부터 상방으로 피스를 통과시킴으로써 토대를 깔도리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 피스공(640)은 날개요소(610) 각 열에서 내측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되나(도 5에 잘 도시됨), 그 위치는 다를 수 있다. 예컨대, 피스공(640)은 각 날개소(61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피스공(640)은 각각의 날개요소(610)에 모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두 개 또는 세 개의 날개요소(610)마다 하나씩 설치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날개요소(610) 상측에 돌기부(650)가 위치한다. 도 6에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돌기부(650)는 날개요소(610)의 리브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토대 위에 깔도리가 놓일 경우 토대와 깔도리 사이의 마찰력을 제공한다.
도 4에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토대의 저면은 저면 플레이트(670)로 연결된다. 저면 플레이트(670)는 날개요소(610) 전부와 이를 연결하는 부분에 이르는 형상이다.
저면 플레이트(670)에는 접촉 개선용 패턴(미도시)이 새겨진다. 예를 들어, 격자무늬 패턴 또는 기타 다른 패턴일 수 있다. 이는 토대와 고강도 몰탈 사이의 접촉면을 넓혀주어 단단한 연결에 도움을 준다.
저면 플레이트(670)에는 날개요소(610)의 각 열 사이에 위치한 개구(672)가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대를 아래에서 볼 경우, 도 4와 같이 저면 플레이트(670) 상에는 피스공(640)과 개구(672)가 교차로 나타나게 된다. 개구(672)는 시공 과정에서 앵커가 관통하고 몰탈이 이동하는 통로이기도 하다.
저면 플레이트(670)의 저면에는 아래로 돌출된 가이드(680)가 위치한다. 가이드(680)는 날개요소(61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으며, 날개요소(610)와 같이 양측 두 열로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680)는 시공 단계에서 기밀재를 분사할 경우 몰탈이 채워지는 영역인 내측으로 기밀재가 과도하게 침투하지 않도록 이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몰탈의 양생 이후 기밀재 제거가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중심부(600)의 길이방향 각 말단에 플러그부(700)와 소켓부(800)가 위치한다. 각각은 날개요소(610)와 유사하게 리브 구조인 플러그 날개요소(710)와 소켓 날개요소(810)를 포함하기에 그 자체로도 하중을 받을 수 있는 동시에, 다수의 토대를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플러그부(700)에서 플러그 날개요소(710)의 외측으로 플러그(720)가 위치한다. 소켓부(800)에서 소켓 날개요소(810)의 내측으로 플러그(720)가 삽입 가능한 소켓(820)이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어느 하나의 토대의 플러그(720)가 이웃한 다른 토대의 소켓(820)에 삽입되도록 하여, 다수의 토대를 연결하여, 어떠한 목재 및 깔도리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시공할 수 있다.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를 이용한 시공 방법의 설명
이하에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대를 사용한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의 좌상측 도면과 같이,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소재인 기초(1)에 앵커(6)를 시공하고, 앵커(6)에 하부 와셔(8)를 체결한 후, 하부 와셔(8)의 높이(EQ)를 기 설정된 소정의 높이로 설정한다. 높이를 맞추는 공정은 레이저 레벨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레벨이 맞지 않으면 목재나 토대를 깎는 것이 아니라 하부 와셔(8)를 회전시켜 높이를 조절하면 되기에 간단한 레벨링이 구현된다.
다음, 깔도리(3)에 토대(2")를 체결한다. 피스공(640)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다른 방법도 가능하다. 이러한 체결 공정은 중요한 공정이다. 종래 시공 방법에 따르면, 기초(1) 위에 토대를 설치하고, 토대의 레벨링 공정을 수행하고(인력에 의한 수 작업으로 방부목 토대의 대패질 공정), 다음 토대 위에 깔도리를 설치하고, 깔도리의 레벨링 공정을 수행하는데(역시, 인력에 의한 수 작업으로 방부목 토대의 대패질 공정) 본 발명은 깔도리(3)와 토대(2")를 체결하여 목재 일체형으로 작업을 하기에 이러한 번거로운 작업이 생략된다.
다음, 도 8의 우상측 도면과 같이, 토대(2")의 저면 플레이트(670)가 하부 와셔(8)의 상면에 닿도록, 앞서 일체형으로 체결된 깔도리(3)와 토대(2")를 앵커(6)를 관통시켜 설치한 후, 깔도리(3)의 상측으로 돌출된 앵커(6)에 상부 볼트(7") 및 상부 와셔(8")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깔도리(3)와 토대(2")의 높이는 공장 제작시 균일하게 결정되어 있고, 하부 와셔(8)의 높이(EQ)는 앞선 공정에서 이미 레벨링이 수행되어 있기에, 최종 깔도리(3)의 높이가 자연스럽게 맞춰지며 별도의 레벨링 공정이 불필요하다.
다음, 도 8의 좌하측 도면과 같이, 토대(2")와 기초(1) 사이에 기밀재를 분사하여 기밀 작업을 수행한다. 기밀재는 실리콘, 우레탄 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밀재는 다음 단계의 몰탈이 양생되는 시간 동안 거푸집 역할을 하는 것으로, 몰탈 양생 후 제거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토대(2")의 저면 플레이트(670) 아래로 돌출된 가이드(680)가 기밀재의 분사 공간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 도 8의 우하측 도면과 같이, 기밀재에 의해 생성된 공간인, 기밀재와 토대(2")와 기초(1) 사이에 몰탈을 사춤한다. 이를 위해, 깔도리(3)에 몰탈 삽입을 위한 구멍을 한 개 정도 뚫고 이를 통해 몰탈을 부어 양생시킨다. 몰탈은 토대(2")의 저면 플레이트(670)의 개구(672)를 통해, 저면 플레이트(670)를 상하로 잡아주어 유지하게 되며, 앵커(6) 일부와 하부 와셔(8)까지도 모두 내포하여 단단히 양생된다.
양생 후 기밀재를 제거하여 모든 공정이 완료된다. 가이드(680)의 도움으로 기밀재는 손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토대 시공이 완료되면 도 1과 유사한 형상을 갖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토대의 상부에 깔도리 및 패널이 위치하고 하부에 기초가 위치하고, 앵커가 패널, 깔도리, 토대를 통과하여 기초에 고정된다.
방부목 토대를 이용한 일반적인 공정과 비교하면, 방부목 토대를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토대를 사용함으로써, 기초 레벨링 단계 및 방부목 레벨링 단계를 모두 생략할 수 있어 인력 및 시간을 대폭 절약하게 된다. 하부 와셔의 높이 조절만으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대패질 공정이 모두 생략된다.
방부목 토대를 사용하지 않기에, 방부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부목의 수축 및 뒤틀림 변형으로 평활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사출된 토대를 이용함으로써 방부 처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추가로, 토대 씰러를 생략할 수 있고, 토대와 기초 사이, 토대와 깔도리 사이 접촉이 개선되어 작업 편의성이 상승한다.
또한, 별도의 폭방향 레벨링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토대 스페이서를 통한 온돌의 열기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토대의 리브 등을 조절함으로써 우수한 강도를 갖출 수 있다. 기존의 2X6"방부목은 최대 압축강도가 2.9MPa로 규정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토대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9.3Pa 이상까지 견딜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기초
2, 2": 토대
3: 깔도리
4: 목재 구조체
5: 온돌 마루 구조체
6: 앵커
7: 하부 볼트
7": 상부 볼트
8: 하부 와셔
8": 상부 와셔
600: 중심부
610: 날개요소
620: 외벽체
630: 버팀부재
640: 피스공
650: 돌기부
670: 저면 플레이트
672: 개구
680: 가이드
700: 플러그부
710: 플러그 날개요소
720: 플러그
800: 소켓부
810: 소켓 날개요소
820: 소켓

Claims (11)

  1. 목재인 방부목 토대를 사용하는 온돌 건축물에 사용되는 것으로, 방부목 토대를 사용하지 않고 이를 대체하도록 사출 제작되는 온돌 건축물용 코너 통합형 토대(2")로서,
    상기 토대(2")의 상부는 깔도리가 닿도록 시공되며,
    앵커(6), 너트(7) 및 와셔에 의해 상기 토대(2")가 기초(1)와 고정되되, 상기 토대(2") 내측에서부터 고강도 몰탈이 채워짐으로써, 상기 토대(2")가 기초(1)에서 이격되어 고정되고,
    상기 토대(2")는 깔도리를 향하는 상부가 개방되고 기초(1)를 향하는 하부에 저면 플레이트(670)가 위치하며,
    상기 토대(2")는,
    두 열로 배치되는 다수의 날개요소(610);
    상기 다수의 날개요소(610)의 저면에 위치하는 저면 플레이트(670);
    상기 저면 플레이트(670)에서 아래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680): 및
    상기 날개요소(610)의 각 열에서 상기 날개요소(610)들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내측을 차단하는 외벽체(620)
    를 포함하는 중심부(600)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요소(610)의 각 열에서 상기 외벽체(620)보다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날개요소(610)의 높이 기준으로 그 중심 부분에 위치하여, 고강도 몰탈의 수위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면서, 고강도 몰탈에 의한 횡압력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버팀부재(6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면 플레이트(670)에는, 상기 날개요소(610)들 사이에 배열되도록 개구(672)가 위치하는,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날개요소(610)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상측으로, 상기 날개요소(610)와 깔도리가 맞닿는 상측에 위치하는 돌기부(650)를 더 포함하는,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날개요소(610) 각각에 상기 저면 플레이트(670)를 관통하는 피스공(640)이 위치하며,
    다수의 피스가 상기 피스공(640)을 통과하도록 상기 다수의 피스를 상기 기초(1)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토대(2")의 수평 레벨링 작업이 이루어지는,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 플레이트(670)에는 접촉 개선용 패턴이 포함된,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대의 상기 중심부(600)의 일측에 소켓부(700)가 위치하고 타측에 플러그부(800)가 위치하며,
    상기 소켓부(700)는 외측으로 돌출된 소켓(720)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부(800)는 외측으로 돌출된 플러그(820)를 포함하며,
    어느 하나의 토대의 소켓(720)이 이웃한 다른 하나의 토대의 플러그(820)에 삽입 가능한,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
  9. 제 1 항에 따른 토대(2")를 이용한 시공 방법으로서,
    (a) 기초(1)에 상기 앵커(6)를 시공하고, 상기 앵커(6)에 상기 너트(7)와 하부 와셔(8)를 체결한 후, 상기 하부 와셔(8)의 높이(EQ)를 기 설정된 소정의 높이로 설정하는 단계;
    (b) 깔도리(3)에 상기 토대(2")를 체결하는 단계;
    (c) 상기 토대(2")의 상기 저면 플레이트(670)가 상기 하부 와셔(8)의 상면에 닿도록 상기 (b) 단계에서 체결된 깔도리(3)와 토대(2")를 상기 앵커(6)를 관통시켜 설치한 후, 상기 깔도리(3)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앵커(6)에 상부 볼트(7") 및 상부 와셔(8")를 체결하는 단계;
    (d) 상기 토대(2")와 상기 기초(1) 사이에 기밀재를 분사하여 기밀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e) 상기 기밀재와 상기 토대(2")와 상기 기초(1) 사이 공간에 몰탈을 사춤하되 상기 버팀부재(630)에 이르도록 물탈을 사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분사되는 기밀재가 상기 가이드(680)에 의해 가이드되는,
    시공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시공되는 몰탈은 상기 개구(672)를 통해 상기 토대(2")의 상기 저면 플레이트(670)를 관통하여 사춤되는,
    시공 방법.
KR1020190141137A 2019-05-31 2019-11-06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339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137A KR102339681B1 (ko) 2019-11-06 2019-11-06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PCT/KR2020/000729 WO2020242003A1 (ko) 2019-05-31 2020-01-15 목조 건축물용 토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N202080004113.2A CN112469872B (zh) 2019-05-31 2020-01-15 用于木制建筑物的基座以及使用该基座的建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137A KR102339681B1 (ko) 2019-11-06 2019-11-06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143A KR20210055143A (ko) 2021-05-17
KR102339681B1 true KR102339681B1 (ko) 2021-12-16

Family

ID=7615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137A KR102339681B1 (ko) 2019-05-31 2019-11-06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6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9990A (ja) * 1999-05-14 2000-11-21 Sekisui House Ltd 露出型柱脚の取付構造
JP2010133249A (ja) * 2004-07-23 2010-06-17 Fukuvi Chem Ind Co Ltd 土台用スペーサ及び土台構造
JP2017106261A (ja) * 2015-12-11 2017-06-15 城東テクノ株式会社 基礎パッキ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9990A (ja) * 1999-05-14 2000-11-21 Sekisui House Ltd 露出型柱脚の取付構造
JP2010133249A (ja) * 2004-07-23 2010-06-17 Fukuvi Chem Ind Co Ltd 土台用スペーサ及び土台構造
JP2017106261A (ja) * 2015-12-11 2017-06-15 城東テクノ株式会社 基礎パッキ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143A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737B1 (ko) 모듈러 유닛 구조체와 기초 콘크리트의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체의 기초 시공방법
JP2016089610A (ja) 既設柱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工法
GB2287047A (en) Building construction of composite boards
KR102099207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KR102339681B1 (ko) 온돌 건축물용 목재 일체형 토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275170B1 (ko) 온돌 건축물용 토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JP5723471B1 (ja) 板パネル固定構造物
KR101968240B1 (ko) 단열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및 단열 콘크리트 구조물
KR20190127160A (ko)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102328651B1 (ko) 온돌 건축물용 코너 통합형 토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190096744A (ko) 확장이 가능한 기초용 브라켓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KR20180031258A (ko) 반도체공장 클린룸 건축물의 골조부 구조와 그의 시공 방법
KR100681317B1 (ko) 건축용 목조 구조체 및 그 시공공법
CN112469872B (zh) 用于木制建筑物的基座以及使用该基座的建造方法
KR101779878B1 (ko) 조립식 벽돌 건식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2169525B1 (ko) 단열재 고정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02389U (ko) 건식 난방용 조립식 패널
KR20170081836A (ko) 친환경 거푸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건축물의 시공 방법
KR20220010301A (ko) 유로폼용 데크패널
JP6214102B2 (ja) 既設柱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工法
KR102299137B1 (ko)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다용도 마감부재
KR20140124500A (ko) 벽체 오프닝 차폐 방법
KR101325717B1 (ko) 배수판 조립체
KR102318781B1 (ko) 경량 기포 콘크리트 중공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와 시공 방법
KR101019739B1 (ko) 건축 조립체,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