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810B1 -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810B1
KR100669810B1 KR1020050052860A KR20050052860A KR100669810B1 KR 100669810 B1 KR100669810 B1 KR 100669810B1 KR 1020050052860 A KR1020050052860 A KR 1020050052860A KR 20050052860 A KR20050052860 A KR 20050052860A KR 100669810 B1 KR100669810 B1 KR 100669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lpture
expanded polystyrene
building
construction
mold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3171A (ko
Inventor
제 성 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인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인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인이엠
Priority to KR1020050052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810B1/ko
Publication of KR20060133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81Skirtings or crown mouldings with a separate cladding strip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E04F2019/042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인테리어 또는 외관장식에 사용되는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건물의 벽면에 고정철물의 일부분을 단단히 고정시킨 상태에서 건물의 벽면 바깥쪽으로 돌출된 고정철물의 다른 부분을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뒷부분 내측으로 형성된 장착홈에 끼워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공함으로써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이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시공작업이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시공후 오랜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조형물이 설치상태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공구조는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직을 이루는 뒷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소정 높이와 깊이를 갖는 장착홈이 형성된 다수의 발포 폴리스티티렌조형물과;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수직면과 수평면이 서로 직각되게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면이 시공대상 건물의 벽면에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수평면은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뒷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끼워져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철물과;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건물의 벽면에 미리 장착된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사이의 틈새를 메워주는 채워넣기 조형물로 이루어진다.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 고정철물, 보강부재, 폴리우레탄 접착제.

Description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CONSTRUCTION STRUCTURE OF EXPANDED POLYSTYRENE MOU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도 1은 종래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 시공구조에서 고정철물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2 :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 44 : 장착홈
50 : 보강부재 54 : 고정철물
54a : 수직면 54b : 수평면
58 : 장공 60 : 체결공
62 : 걸림편 64 : 채워넣기 조형물
66 : 폴리우레탄 접착제 68 : 실란트.
본 발명은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인테리어 또는 외관장식에 사용되는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건물의 벽면에 고정철물의 일부분을 단단히 고정시킨 상태에서 건물의 벽면 바깥쪽으로 돌출된 고정철물의 다른 부분을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뒷부분 내측으로 형성된 장착홈에 끼워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공함으로써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이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시공작업이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시공후 오랜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조형물이 설치상태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에 대하여 인테리어를 하거나 외관장식을 하는 경우에 금속이나 대리석과 같은 석재를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한 조형물이나 장식물을 만든 후 상기 금속재 또는 석재로 이루어진 조형물이나 장식물을 건물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시공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건물의 외벽이나 내벽면에 금속이나 석재로 된 조형물이나 장식물을 설치·시공하는 경우 조형물이 무겁기 때문에 시공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비용이 과다하게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번 시공된 후에는 변경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조형물을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볍고, 성형성이 우수한 발포 폴리스티렌재으로 가공된 조형물을 건물의 벽면(10)에 설치하고자 하는 시도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포 폴리스티렌재의 조형물(12)을 건물의 벽면(10)에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발포 폴리스테렌재 조형물(12)의 뒷면과 건물의 벽면사이에 몰타르 등의 접착제(14)를 채워 넣은 상태에서 건물의 벽면(10)에 부착시키기 때문에 일정 기간이 경과되어 접착제(14)의 접착력이 저하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충격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부착·시공된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12)이 떨어질 우려가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건물의 벽면(10)에 시공되는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12)이 단품이 아니고 여러개로 이루어진 경우에 각각의 조형물에 도포되는 접착제(14)의 양이 동일하지 않거나 접착제의 접착강도가 동일하지 못한 경우에는 그 부착상태에 다소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각각의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12)의 설치높이 등이 달라지게 되므로 여러번에 걸쳐 보수작업을 해야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축물의 인테리어 또는 외관장식에 사용되는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을 시공함에 있 어서, 건물의 벽면에 고정철물 일부분을 단단히 고정시킨 상태에서 건물의 벽면 바깥쪽으로 돌출된 고정철물의 다른 부분을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뒷부분 내측으로 형성된 장착홈에 끼워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공하므로써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이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시공작업이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시공후 오랜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이 설치상태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 새로운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는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직을 이루는 뒷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소정 높이와 깊이를 갖는 장착홈이 형성된 다수의 발포 폴리스티티렌 조형물과;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수직면과 수평면이 서로 직각되게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면이 시공대상 건물의 벽면에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수평면은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뒷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끼워져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철물과;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건물의 벽면에 미리 장착된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사이의 틈새를 메워주는 채워넣기 조형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 철물상의 수직면의 세로방향 중심선상에는 위치조정 을 위한 소정 크기의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으로부터 좌우 양쪽으로 일정 거리 벗어난 위치에는 정공형태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한편, 고정 철물상의 수평면 저면 양쪽 가장자리에는 쐐기형, 사각형, 원호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걸림편이 하나 또는 복수개로 하향·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상부면과 접하는 앞부분 모서리부분에는 침탄강, 침탄질화강, 질화강, 알루미늄, 플라스틱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된 1∼2mm두께의 보강부재가 감싸여진 상태에서 우레탄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된 특징을 갖는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방법은 조형물의 시공위치에 맞추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먹메김방식으로 기준선을 표시하는 기준선표시단계와; 상기 각 수직방향 기준선상에 고정철물의 수직면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장공에 앵커볼트를 박아 가(假)고정시키는 고정철물 가(假)고정단계와; 상기 가(假)고정된 각각의 고정철물의 수평상태를 균일하게 맞춘 상태에서 고정철물의 수직면상에 형성된 체결공에 앵커볼트를 박아 완전히 고정시키는 고정철물 고정단계와; 발포 폴리스틸렌 조형물의 뒷면에 형성된 장착홈내에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채워 넣는 접착제충전단계와; 접착제로 충전된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상의 장착홈에 고정철물의 수평면이 끼워지도록 하는 조형물장착단계와; 상기 건물의 벽면과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 뒷면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조형물의 상·하부면과 벽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실란트(Sealant)를 도포하는 실란트도포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건물의 벽면에 장착된 각각의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는 상기 조형물과 동일한 재질 및 형상을 갖는 채워넣기 조형물을 끼워 넣어 틈새를 메워주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 시공구조에서 고정철물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또,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 시공구조(40)에서는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이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시공작업이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 시공구조(40)는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42)의 뒷면 소정 높이에 소정의 높이와 깊이를 갖는 장착홈(44)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42)은 그 외표면에 접착제의 역할을 하는 폴리우레탄층(46)이 소정의 두께로 도포되고, 상기 폴리우레탄층(46)에 대하여 베이스면의 강도를 보강하고, 특수한 질감을 나타내기 위하여 실리카 샌드(Silica sand) 등의 마감재층(48)이 도포된다.
또,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42)의 상부면과 접하는 앞부분 모서리부분에는 침탄강, 침탄질화강, 질화강, 알루미늄, 플라스틱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된 1∼2mm두께의 보강부재(50)가 감싸여진 상태에서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42)은 건물의 벽면(52)에 고정된 고정철물(54)에 의해 지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철물(54)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수직면(54a)과 수평면(54b)이 서로 직각되게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철물(54)을 구성하는 상기 수직면(54a)은 시공대상 건물의 벽면(52)에 앵커볼트(56)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수평면(54b)은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조형물(42)의 뒷면에 형성된 장착홈(44)에 끼워져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42)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철물(54)상의 수직면(54a)의 세로방향 중심선상에는 위치조정을 위한 소정 크기의 장공(58)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58)으로부터 좌우 양쪽으로 일정 거리 벗어난 위치에는 정공형태의 체결공(6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고정철물(54)상의 수평면(54b) 저면 양쪽 가장자리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걸림편(62)이 하향·형성된다.
상기 걸림편(62)은 쐐기형 또는 사각형, 또은 원호형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 진다.
본 발명에서 건물의 벽면에 시공되는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42)(42')이 다수개인 경우에 각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42)(42') 사이에 틈새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각 조형물(42)(42') 사이의 틈새에는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과 동일한 재질 및 형상을 갖는 채워넣기 조형물(64)이 끼워져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방법은 벽면에 대한 기준선 표시단계(S1)와, 기준선에 대한 고정철물 가(假)고정단계(S2)와, 고정철물 고정단계(S3)와,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장착홈에 접착제를 채워 넣는 접착제 충전단계(S4),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상의 장착홈에 고정철물의 수평면을 끼워 결합하는 조형물 장착단계(S5)와, 실란트도포단계(S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방법에서 상기 기준선 표시단계(S1)는 시공대상이 되는 건물의 벽면(52)에서 시공위치에 맞추어 수평방향 기준선(L)과 수직방향 기준선(V)을 먹메김방식으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고정철물 가(假)고정단계(S2)에서는 건물의 벽면(52)에 표시된 수평방향 기준선(L)과 수직방향 기준선(V)에 맞추어 각 수직방향 기준선(V)상에 고정철물(54)의 수직면(54a)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장공(58)에 앵커볼트(56)를 박아 가(假)고정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고정철물(54)과 이웃하는 고정철물(54') 사이 의 간격은 수평벽면의 경우 600mm로 한다.
그런 다음, 고정철물 고정단계(S3)에서는 가(假)고정된 각각의 고정철물(54)을 서로 견주면서 각 고정철물(54)의 수평상태가 수평방향 기준선(L)과 일치되도록 맞춘 상태에서 고정철물(54)의 수직면(54a)상에 형성된 체결공(60)에 앵커볼트(56)를 박아 완전히 고정시킨다.
이 때, 상기 고정철물(54)의 상하 수정범위는 장공(58)에 크기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대략 12mm 범위내에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수치는 위에서 기재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42)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이와 같이 건물의 벽면(52)에 대하여 고정철물(54)이 고정된 상태에서는 발포 폴리스틸렌 조형물(42)의 뒷면에 형성된 장착홈(44)내에 폴리우레탄 접착제(66)를 채워 넣는다(S4).
그런 다음, 폴리우레탄 접착제(68)로 충전된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42)상의 장착홈(44) 내로 고정철물(54)의 수평면(54b)이 끼워지도록 하면, 상기 수평면(54b)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하향 형성된 쐐기 형상의 걸림편(62)이 장착홈(44)의 바닥면을 약간 파고 들면서 끼워져 빠지지 않게 되어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42)이 고정철물(54)에 장착되는 것이다(S5).
이와 같이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42)이 고정철물(54)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42)의 상부면 뒷부분과 건물의 벽면(52)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이 간극을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 여 건물의 벽면(52)과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42) 뒷면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조형물의 상·하부면과 벽면(52) 사이의 간극에 실란트(Sealant:68)를 도포하면(S6),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 때 실란트도포작업은 최소 24시간 이상이 경과된 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공부위의 습윤정도를 확인하고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한다.
실란트를 도포한 후에는 전용 헤라를 이용하여 도포면이 고르게 유지되도록 압착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실란트도포단계 직전이나 직후에 상기 건물의 벽면(52)에 장착된 각각의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42)(42')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메워 주기 위하여 상기 조형물(42)(42')과 동일한 재질 및 형상을 갖는 채워넣기 조형물(64)을 끼워 넣는 공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을 건물의 벽면에 설치함에 있어, 먼저 고정철물을 건물의 벽면의 시공기준선에 맞추어 고정·설치하고 한 다음, 상기 고정철물의 수평면을 골리우레탄 접착제가 충전된 발포 폴리스티렌조형물상의 장착홈내로 끼워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이 간단한 것은 물론, 시공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상면 앞부분의 모서리에 보강부재가 감싸여지기 때문에 내충격성이 강해져 모서리부분의 파손이 방지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직을 이루는 뒷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소정 높이와 깊이를 갖는 장착홈이 형성된 다수의 발포 폴리스티티렌 조형물과;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수직면과 수평면이 서로 직각되게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면이 시공대상 건물의 벽면에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수평면은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뒷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끼워져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철물과;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건물의 벽면에 미리 장착된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사이의 틈새를 메워주는 채워넣기 조형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철물상의 수직면의 세로방향 중심선상에는 위치조정을 위한 소정크기의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으로부터 좌우 양쪽으로 일정 거리 벗어난 위치에는 정공형태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한편, 고정 철물상의 수평면 저면 양쪽 가장자리에는 쐐기형, 사각형, 원호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걸림편이하나 또는 복수개로 하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상부면과 접하는 앞부분 모서리부분에는 침탄강, 침탄질화강, 질화강, 알루미늄, 플라스틱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된 1∼2mm두께의 보강부재가 감싸여진 상태에서 우레탄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4. 조형물의 시공위치에 맞추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먹메김방식으로 기준선을 표시하는 기준선표시단계(S1)와;
    상기 각 수직방향 기준선상에 고정철물의 수직면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장공에 앵커볼트를 박아 가(假)고정시키는 고정철물 가(假)고정단계(S2)와;
    상기 가(假)고정된 각각의 고정철물의 수평상태를 균일하게 맞춘 상태에서 고정철물의 수직면상에 형성된 체결공에 앵커볼트를 박아 완전히 고정시키는 고정철물 고정단계(S3)와;
    발포 폴리스틸렌 조형물의 뒷면에 형성된 장착홈내에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채워 넣는 접착제충전단계(S4)와;
    접착제로 충전된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상의 장착홈에 고정철물의 수평면이 끼워지도록 하는 조형물장착단계(S5)와;
    상기 건물의 벽면과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 뒷면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조형물의 상·하부면과 벽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실란트(Sealant)를 도포하는 실란트도포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 물의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트도포단계(S6)의 직전 또는 직후에 건물의 벽면에 장착된 각각의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는 상기 조형물과 동일한 재질 및 형상을 갖는 채워넣기 조형물을 끼워 넣어 틈새를 메워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방법.
KR1020050052860A 2005-06-20 2005-06-20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669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860A KR100669810B1 (ko) 2005-06-20 2005-06-20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860A KR100669810B1 (ko) 2005-06-20 2005-06-20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906U Division KR200398409Y1 (ko) 2005-07-08 2005-07-08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171A KR20060133171A (ko) 2006-12-26
KR100669810B1 true KR100669810B1 (ko) 2007-01-17

Family

ID=37812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860A KR100669810B1 (ko) 2005-06-20 2005-06-20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9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609B1 (ko) 2007-04-19 2008-06-19 (주)이건환경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912B1 (ko) * 2007-06-05 2008-03-31 강산이디에스 주식회사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KR100821335B1 (ko) * 2007-11-16 2008-04-11 (주)엄앤드이종합건축사사무소 이피에스 금속몰딩 시공방법
KR100884774B1 (ko) * 2008-06-20 2009-02-23 (주)간삼파트너스 종합건축사사무소 세라믹 복합패널을 이용한 설치구조
KR101415824B1 (ko) * 2012-10-04 2014-07-08 서경찬 건축용 외장 몰딩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7909A (ja) * 1994-01-21 1995-08-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化粧カバーの取付金具
KR200378622Y1 (ko) 2004-12-31 2005-03-18 주식회사 단디건설 건물의 외벽 장식몰딩 연결구조
KR20050105652A (ko) * 2004-05-01 2005-11-08 주식회사 아이 피 유 조형물
KR20060008115A (ko) * 2004-07-23 2006-01-26 전인기 건축물 외표면 장식용 몰딩
KR20060071709A (ko) * 2004-12-22 2006-06-27 주식회사 아이 피 유 조형물 및 그 조형물을 구비하는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7909A (ja) * 1994-01-21 1995-08-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化粧カバーの取付金具
KR20050105652A (ko) * 2004-05-01 2005-11-08 주식회사 아이 피 유 조형물
KR20060008115A (ko) * 2004-07-23 2006-01-26 전인기 건축물 외표면 장식용 몰딩
KR20060071709A (ko) * 2004-12-22 2006-06-27 주식회사 아이 피 유 조형물 및 그 조형물을 구비하는 구조물
KR200378622Y1 (ko) 2004-12-31 2005-03-18 주식회사 단디건설 건물의 외벽 장식몰딩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609B1 (ko) 2007-04-19 2008-06-19 (주)이건환경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171A (ko) 200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79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talling cladding panels
JP3183281B2 (ja) 縦張り用外壁板の施工金具,施工構造,及び施工方法
KR200410714Y1 (ko)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KR100669810B1 (ko)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MX2010011892A (es) Gancho de acoplamiento embebido para elemento de construccion colado.
US88874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decorative molding
US7743569B1 (en) Support panel for thin brick
JP2002167944A (ja) 表装用石材板の取り付け構造及びその施工法
JP3083722B2 (ja) 門柱,門袖,塀等の屋外構築物
KR200398409Y1 (ko)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KR102123459B1 (ko) 건축 외장용 기능성 판넬
KR101808281B1 (ko) 건물 외장패널 고정용 브래킷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브래킷
KR20110004692U (ko) 시멘트 패널 마감재 고정클립
KR100832039B1 (ko) 강화유리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KR20060108481A (ko) 건축물의 장식패널 시공장치
KR20050104117A (ko) 건축물의 장식판넬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704923B1 (ko) 건축용 외장재
JP4213027B2 (ja) 幕板
KR200435772Y1 (ko) 우레탄 문양 거푸집을 가지는 갱폼
US20220053960A1 (en) Rod holder system
KR20110116302A (ko)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US20120227341A1 (en) Devices for Anchoring Stone Facing Elements Comprising Retaining Members Pressing Against the Wall
KR200357108Y1 (ko) 건축물의 장식판넬 시공구조
JPH0835246A (ja) 排水、配管、配線等用の溝構造
JPH03161649A (ja) 大型薄物タイルの取り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