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7912B1 -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912B1
KR100817912B1 KR1020070055269A KR20070055269A KR100817912B1 KR 100817912 B1 KR100817912 B1 KR 100817912B1 KR 1020070055269 A KR1020070055269 A KR 1020070055269A KR 20070055269 A KR20070055269 A KR 20070055269A KR 100817912 B1 KR100817912 B1 KR 100817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reinforcing member
coupled
foam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숙
Original Assignee
강산이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산이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산이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5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는,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외벽에 지지되는 조형물을 구비하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이루는 각이 100도 이상 180도 미만의 둔각이 되도록 그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조형물은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는 삽입슬릿을 가지는 발포체와, 상기 발포체를 에워싸는 형태로 그 발포체에 결합되는 보강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보강부재와 함께 상기 발포체가, 상기 삽입슬릿을 통해 상기 고정부와 둔각을 형성하는 연장부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라켓, 연장부, 발포체, 보강부재

Description

건물외장용 어셈블리{Assembly for building exterior}
도 1은 일반적인 건물외장용 어셈블리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Ⅴ-Ⅴ 단면도.
도 6은 도 4의 Ⅵ-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의 도 5에 대응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도 6에 대응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의 도 6에 대응되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제3실시예의 부분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조형물 110:브라켓
110a:나사 111:고정부
112:연장부 120:발포체
120a:삽입슬릿 130:보강부재
132,132':가이드리브 134:걸림턱
132a:가이드슬롯 140:인조잔디블럭
142:고정프레임 142a:걸림홈
144:매트 146:식생토층
148:인조잔디 150:차음재
본 발명은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의 설치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음차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갖게 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건물 내부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화되어 왔다. 최근에는 건물 내부의 인테리어와는 별개로 건물 외부를 인테리어하여 그 건물이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갖게 하는 시도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파트와 같은 건물(C)의 외벽에 설치되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1)는, 건물(C)의 외벽에 고정되는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에 결합되어 상기 외벽에 지지되는 조형물(20)을 구비한다.
상기 브라켓(10)은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1)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11)로부터 그 고정부(1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를 가진다. 상기 조형물(20)은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는 발포체(23)와 상기 발포체(23)를 에워싸는 형태로 그 발포체(23)에 결합되는 보강부재(25)를 구비한다. 여기서, 보강부재(25)는 철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조형물(20)을 상기 브라켓(10)을 통해 상기 벽면에 지지시키는 작업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즉, 상기 벽면에 브라켓(10)의 고정부(11)를 나사(11a)와 같은 체결부재로 고정시키고, 상기 보강부재(25)의 브라켓(10)과 마주하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10)의 연장부(12)에 상기 발포체(23)를 삽입시키면서 상기 보강부재(25)를 상기 벽면에 부착시킨다.
이러한 결합상태에서는 상기 발포체(23)와 연장부(12) 간의 결합력 및 상기 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해서만 지지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접착력은 날씨 등의 영향에 의해 점점 약해질 수 밖에 없고, 상기 발포체(23)와 연장부(12) 간의 결합력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2)에 발포체(23)가 끼워짐으로써 발생되는 것으로서 날씨 등의 영향에 따라 약화됨으로써, 브라켓(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의 조형물(20)이 상기 브라켓(10)으로부터 쉽게 탈거되어 낙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나사(25a)와 같은 체결부재를 상기 조형물(20)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부(12)에 체결하는 작업을 추가로 수행하여야만 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건물외장용 어셈블리(1)의 설치공정수를 증가시켜 제품의 현장조립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나사(25a)가 상기 조형물(20)의 보강부재(25)를 관통함으로써 발생된 틈새를 통해 상기 보강부재(25)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어 제품의 내구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 보강부재(25)는 철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단면에 빗물이 접촉하게 되면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빗물이 상기 보강부재(25)의 상단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더불어 건물의 외관이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갖게 할 수 있는 제품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품의 설치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음차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갖게 할 수 있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외벽에 지지되는 조형물을 구비하는 건물외장 용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이루는 각이 100도 이상 180도 미만의 둔각이 되도록 그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조형물은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는 삽입슬릿을 가지는 발포체와, 상기 발포체를 에워싸는 형태로 그 발포체에 결합되는 보강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보강부재와 함께 상기 발포체가, 상기 삽입슬릿을 통해 상기 고정부와 둔각을 형성하는 연장부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체의 굴곡에 따른 면들 중 적어도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발포체와 상기 보강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차음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재에 결합되는 인조잔디블럭이 더 구비되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고정부와 이루는 각이 120도 이상 180도 미만이 되도록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재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한 쌍의 가이드리브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인조잔디블럭은, 상기 가이드리브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리브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재에 마련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과, 상기 인조잔디블럭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각 가이드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리브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인조잔디블럭에는 한 쌍의 걸림후크가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걸림후크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인조잔디블럭이 상기 보강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슬라이딩되는 도중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후크가 탄성 변형되고 상기 인조잔디블럭의 슬라이딩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걸림후크가 탄성복원되어 상기 보강부재의 측벽에 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물외장용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Ⅴ-Ⅴ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Ⅵ-Ⅵ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는 건물의 외관을 장식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브라켓(110)과 상기 브라켓(110)에 결합되는 조형물(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110)은 상기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부(111)와, 상기 고정부(11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12)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111)와 연장부(112) 사이의 사잇각은 100도 이상 180도 미만의 둔각이 되도록, 상기 고정부(111)와 연장부(112)를 하나의 판으로부터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잇각이 90도 미만이거나 180도 이상인 경우에는 제품설계가 잘못 이루어진 경우이고, 상기 사잇각이 90도 이상 100도 미만인 경우에는 종래기술과 같은 나사부재와 연장부(112) 간의 결합력을 대체하기 어렵게 된다.
상기 조형물(100)은 발포체(120)와 보강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포체(120)는 폴리스티렌을 발포제의 작용으로 팽창시킨 스티로폼이 채용되었으나, 우레탄폼 등이 채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발포체(120) 는, 상기 연장부(112)가 삽입되는 삽입슬릿(120a)을 가진다. 상기 삽입슬릿(120a)은, 상기 브라켓(110)의 연장부(112)가 상기 발포체(120)에 끼워져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브라켓(110)과 발포체(120) 간의 결합 및 분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보강부재(130)는 철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조형물(10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보강부재(130)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발포체(120)를 에워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보강부재(130)는 상기 발포체(1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슬릿(120a)을 통해 상기 연장부(112)에 끼워짐으로써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발포체(120)와 함께 보강부재(130)가 다른 체결수단없이 상기 브라켓(110)의 연장부(112)에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종래기술의 경우처럼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가 보강부재(130)를 관통함으로서 발생하는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결국, 본 실시예는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 즉 상기 틈새에 빗물이 들어가 발포체(120)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포체(120)의 굴곡에 따른 면들 중 적어도 일면(이하 '상면'이라 한다)에는 차음재(150)가 결합된다. 상기 차음재(150)는, 예컨대 펄프재질을 아스팔트에 합침시켜서 만들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발포체(120)와 보강부재(13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차음재(150)는, 빗물 등이 상기 보강부재(130)에 부딪힘으로써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충격으로 인한 소음이 상기 건물 내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보강부재(130)에 결합되는 인조잔디블럭(14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조잔디블럭(140)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소재로 된 매트(144)와, 상기 매트(144)에 고정되고 녹색으로 되어 있으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소재로 된 다수의 인조잔디(148)와, 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상기 매트(144) 상에 적층되어 있는 식생토층(146)과 상기 매트(144)가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42)을 구비한다.
이러한 인조잔디블럭(140)은, 상기 보강부재(130)에 결합됨으로써 건물의 미관을 아름답게 할 뿐만 아니라 그 건물을 친환경적인 구조물로 거듭나게 한다. 또한, 상기 인조잔디블럭(140)은, 빗방울 등이 상기 보강부재(130)의 상면에 직접 부딪힘으로써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인조잔디블럭(140)은, 상기 차음재만이 채용되는 구조에 비하여, 건물의 외측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건물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더욱 억제시킨다.
상기 식생토층(146)은 상기 매트(144)에 식생토가 적층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식생토는 맥주오니, 톱밥, 부엽토, 석탄재와 같은 무기질 등으로 이루어져서,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영양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식생토층(146)에 식생하는 식물은,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켜 주며 사람들에게 산소를 공급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조잔디블럭(140)이 채용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조잔디블럭(140)의 무게를 고려하여 상기 브라켓(110)의 연장부(112)와 고정부(111) 간의 사잇각이 120도 이상 180도 미만이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잇각이 120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브라켓(110)이 상기 인조잔디블럭(140)을 견고히 지지할 수 없고, 상기 사잇각이 180도 이상인 경우에는 제품설계가 잘못된 것이다.
상기 보강부재(130)와 상기 인조잔디블럭(14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보강부재(130)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한 쌍의 가이드리브(132)(13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인조잔디블럭(140)은, 상기 고정프레임(142)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리브(132)(132') 사이의 가이드슬롯(132a)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가이드리브(132)(132') 사이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리브(132)(132')에는 복수의 걸림턱(134)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인조잔디블럭(140)의 고정프레임(142)에는 상기 걸림턱(134)에 삽입되는 걸림홈(142a)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보강부재(130)에 결합된 인조잔디블럭(140)이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임의로 탈거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인조잔디블럭(140)은 다른 체결수단없이 상기 보강부재(130)에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부재(130)와 인조잔디블럭(140) 간의 결합 및 분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먼저 브라켓(110)을 건물의 벽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보강부재(130)가 발포체(12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벽면과 마주하는 발포체(120)의 일면 및 보강부재(130)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상기 발포체(120)를 상기 브라켓(110)의 연장부(112)에 끼워 넣고 상기 벽면 측에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제1실시예를 상기 벽면에 견고히 지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물외장용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의 도 5에 대응되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도 6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보강부재(230)와 인조잔디블럭(240) 간의 결합구조를 제외하고는 앞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보강부재(230)에는 한 쌍의 가이드홈(232)(232')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인조잔디블럭(240)의 고정프레임(242)에는 상기 각 가이드홈(232)(232')에 삽입되는 한 쌍의 결합리브(242a)(242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각 결합리브(242a)(242b)는 상기 가이드홈(232)(232')의 연장방향을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각 가이드홈(232)(232')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230)에는 복수의 걸림턱(234)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인조잔디블럭(240)에는 상기 각 걸림턱(234)에 삽입되는 복수의 걸림홈(242c)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보강부재(230)와 인조잔디블럭(240) 간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 9 및 10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건물외장용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의 도 6에 대응되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제3실시예의 부분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보강부재(330)와 인조잔디블럭(340) 간의 결합구조를 제외하고는 앞에서 설명한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제3실시예의 제2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인조잔디블럭(340)의 고정프레임(342)에는, 한 쌍의 걸림후크(342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걸림후크(342a)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고정프레임(342)이 상기 보강부재(330)와의 결합을 위해 슬라이딩되는 도중에 상기 걸림후크(342a)가 탄성변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342)의 슬라이딩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걸림후크(342a)가 탄성복원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탄성복원된 걸림후크(342a)가 상기 보강부재(330)의 측벽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보강부재(330)에 결합된 인조잔디블럭(340)이 상기 보강부재(330)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임의로 탈거되지 않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발포체와 조형물을 포함하는 조형물이 벽면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다른 체결수단에 의하지 않고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제품의 설치작업 및 교체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차음재가 채용된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건물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형물에 인조잔디블럭이 결합된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미관을 아름답게 하고 그 건물을 친환경적인 구조물로 거듭나게 할 뿐만 아니라 소음차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인조잔디블럭은 조형물에 슬라이딩 및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인조잔디블럭과 조형물을 간의 결합 및 분리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6)

  1.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브라켓(110)과, 상기 브라켓(110)에 결합되어 상기 외벽에 지지되는 조형물(100)을 구비하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10)은 상기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부(111)와, 상기 고정부(111)와 이루는 각이 100도 이상 180도 미만의 둔각이 되도록 그 고정부(11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12)를 가지며,
    상기 조형물(100)은 상기 연장부(112)가 삽입되는 삽입슬릿(120a)을 가지는 발포체(120)와, 상기 발포체(120)를 에워싸는 형태로 그 발포체(120)에 결합되는 보강부재(130)를 구비하여서,
    상기 보강부재(130)와 함께 상기 발포체(120)가, 상기 삽입슬릿(120a)을 통해 상기 고정부(111)와 둔각을 형성하는 연장부(112)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120)의 굴곡에 따른 면들 중 적어도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발포체(120)와 상기 보강부재(130)의 사이에 배치되는 차음재(1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130)에 결합되는 인조잔디블럭(14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112)는, 상기 고정부(111)와 이루는 각이 120도 이상 180도 미만이 되도록 상기 고정부(111)로부터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130)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한 쌍의 가이드리브(132)(132')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인조잔디블럭(140)은, 상기 가이드리브(132)(132')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리브(132)(132')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에 마련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232)(232')과,
    상기 인조잔디블럭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홈(232)(232')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각 가이드홈(232)(232')에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리브(242a)(242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블럭에는 한 쌍의 걸림후크(342a)가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걸림후크(342a)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인조잔디블럭이 상기 보강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슬라이딩되는 도중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후크(342a)가 탄성변형되고 상기 인조잔디블럭의 슬라이딩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걸림후크(342a)가 탄성복원되어 상기 보강부재의 측벽에 걸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KR1020070055269A 2007-06-05 2007-06-05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KR100817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269A KR100817912B1 (ko) 2007-06-05 2007-06-05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269A KR100817912B1 (ko) 2007-06-05 2007-06-05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7912B1 true KR100817912B1 (ko) 2008-03-31

Family

ID=39412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269A KR100817912B1 (ko) 2007-06-05 2007-06-05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9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979B1 (ko) * 2007-08-20 2009-07-29 김경수 건물 외장재의 제조방법
KR101037738B1 (ko) 2010-04-30 2011-06-01 뉴필그린 주식회사 인조잔디 경계석
CN110670845A (zh) * 2019-10-15 2020-01-10 徐州欧杰达建筑装饰材料有限公司 墙体侧面双eps线条嵌装结构
US11421429B1 (en) 2018-07-16 2022-08-23 Robert Dean Elzner Method of attaching molding, trim or panels to structures
US11445667B2 (en) * 2017-09-27 2022-09-20 Shenzhen Yaolan Technology Co., Ltd.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greening apparatus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1709A (ko) * 2004-12-22 2006-06-27 주식회사 아이 피 유 조형물 및 그 조형물을 구비하는 구조물
KR200428472Y1 (ko) 2006-07-20 2006-10-11 (주) 거산코아트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
KR200430548Y1 (ko) 2006-08-25 2006-11-13 전찬복 건축물의 외벽장식용 조형물
KR20060133171A (ko) * 2005-06-20 2006-12-26 주식회사 예인이엠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1709A (ko) * 2004-12-22 2006-06-27 주식회사 아이 피 유 조형물 및 그 조형물을 구비하는 구조물
KR20060133171A (ko) * 2005-06-20 2006-12-26 주식회사 예인이엠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28472Y1 (ko) 2006-07-20 2006-10-11 (주) 거산코아트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
KR200430548Y1 (ko) 2006-08-25 2006-11-13 전찬복 건축물의 외벽장식용 조형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979B1 (ko) * 2007-08-20 2009-07-29 김경수 건물 외장재의 제조방법
KR101037738B1 (ko) 2010-04-30 2011-06-01 뉴필그린 주식회사 인조잔디 경계석
US11445667B2 (en) * 2017-09-27 2022-09-20 Shenzhen Yaolan Technology Co., Ltd.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greening apparatus thereof
US11421429B1 (en) 2018-07-16 2022-08-23 Robert Dean Elzner Method of attaching molding, trim or panels to structures
US11866946B2 (en) 2018-07-16 2024-01-09 Robert Dean Elzner Method of attaching molding, trip, or panels to structures
CN110670845A (zh) * 2019-10-15 2020-01-10 徐州欧杰达建筑装饰材料有限公司 墙体侧面双eps线条嵌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912B1 (ko)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KR101420487B1 (ko) 조립식 욕실용 하이브리드 벽판넬 구조
KR101502055B1 (ko) 목재 장식부재가 결합된 옹벽패널 및 상기 옹벽패널을 이용한 절토부 옹벽구조
KR100980143B1 (ko) 건물 바닥용 완충층의 방수구조
KR20060071273A (ko) 건식공법용 방수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69943B1 (ko) 습식 시공용 알루미늄 복합 패널
KR100738508B1 (ko) 건물 외장용 조형물의 보강구조
KR100980140B1 (ko) 지지부재를 이용한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
KR200308707Y1 (ko) 철근과 거푸집이 매트릭스 구조로 이루어진 경량 단열거푸집
KR20110059937A (ko) 건축용 외벽 마감재 설치구조
JP2013091904A (ja) 壁材留め付け構造
KR200452855Y1 (ko) 지지판 연결부재를 이용한 인접한 완충층의 연결구조
KR20110116302A (ko)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JPH0518092A (ja) 硬質壁材の取付構造
KR200271099Y1 (ko) 목블록
CN219364659U (zh) 一种喷锚施工防护布
JP6959841B2 (ja) 軽量盛土構造体の施工方法及び床版形成用型枠
JP6722555B2 (ja) 表面材付き発泡樹脂ブロック
KR100463025B1 (ko) 건축 구조물 내, 외장용 석재의 보강판
KR200290838Y1 (ko) 건축 구조물 내, 외장용 석재의 보강판
KR200431373Y1 (ko) 철근 받침대
KR102033844B1 (ko) 건축물의 외장재
KR100771716B1 (ko) 건축물의 벽면부착형 조형물
KR200176065Y1 (ko) 인조대리석 라운딩 절곡패널
JP6877110B2 (ja) スタータ兼シール受け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