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844B1 - 건축물의 외장재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외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844B1
KR102033844B1 KR1020180011258A KR20180011258A KR102033844B1 KR 102033844 B1 KR102033844 B1 KR 102033844B1 KR 1020180011258 A KR1020180011258 A KR 1020180011258A KR 20180011258 A KR20180011258 A KR 20180011258A KR 102033844 B1 KR102033844 B1 KR 102033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fitting portion
coupling
vertical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002A (ko
Inventor
복현석
정낙현
Original Assignee
복현석
정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복현석, 정낙현 filed Critical 복현석
Priority to KR1020180011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8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2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6Building materials integrated with PV modules, e.g. façad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재는 횡방향으로 또는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웃하여 배치되면서 건축물의 외면에 부착되는 건축용 외장재로서, 'ㅁ'자 형상으로 중심부가 절개되어 있는 판 형상의 몸체(100)와, 'ㅁ'자 형상으로 중심부가 절개되어 몸체(100)의 가장 내측면에 부착되는 보강판(150)과, 몸체(100)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부(110)와, 몸체(100)의 다른 한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부(120)를 포함하고, 결합부(110)는 몸체(10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결합부(111)와 수직결합부(11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결합부(112)와 수평결합부(11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1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끼움부(120)는 몸체(10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끼움부(121) 및 수직끼움부(12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끼움부(1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태양패널(160)은 몸체(100)의 'ㅁ'형상으로 절개된 부분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외장재{EXTERIOR MATERIALS FOR BUILDINGS}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재는, 널은 건축물의 공사가 구조적으로 마쳐진 이후에 건축물의 외관에 부착되어 건축물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을 높이고, 한편 건축물의 외면을 물리적 및 화학적 위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건축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건축 외장재의 전통적인 기능에 더하여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기능을 부가적으로 가지는 건축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재는 건축물의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이 구조적으로 완공이 되면 건축물의 외관을 여러 환경적 위해 요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마감이라는 공정이 반드시 필요로 된다. 상기와 같은 마감 시공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마감재를 벽면에 도포하는 형태의 마감이 있고, 다른 하나는 별도로 제작된 외장재를 건축물의 외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마간하는 것이 있다.
마감재를 도포하는 방식의 마감은 현장 작업자가 기계 장치를 이용하여 노출 콘크리트를 뿜어 내어 벽면에 부착시켜 양생하는 방식으로서, 주로 건출물의 실내 벽면에 많이 사용되어 진다. 한편 이러한 노출 콘크리트를 이용하는 방식을 실외 벽면에 마감으로 하는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내구성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단독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아니한다.
결국 우천, 이산화탄소 등의 여러 환경적 위해 요인으로부터 건축물의 외면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마감재를 도포하는 방식보다는 별도의 외장재를 건물의 외면에 부착하여 마감하는 방식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외장재의 종류에는 비교적 단가가 저렴한 PVC, 에폭시,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 계열의 것이거나, 골재나 시멘트 등을 이용하여 벽돌과 같은 형상으로 만들어 외장재로 사용되는 것도 있다. 한편 인조석이나 대리석과 같이 비교적 고가의 외장재도 있으며, 때로는 목재의 내구성을 보완하여 외장재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인조석이나 석재로 된 외장재를 마감 시공하는 방법은 건출물의 외면 또는 바닥면에 외장재의 뒷면에 시멘트 몰타르나 유기 바인더를 도포하여 부착하는 방식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의 마감 시공은 여러 가지 면에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먼저 외장재로 쓰이는 석재는 그 중량이 상당하기 때문에 적재 및 운반에 큰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또한 중량이 크기 때문에 운송에 상당한 비용이 들어 시공상에 품질에 대비하여 단가가 올라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현장 작업자가 외장재의 상당한 중량으로 인하여 운반이 어렵고 다루기가 어려운 것은 물론이거니와 어느 정도의 충격이 가해지면 모서리 등이 쉽게 깨지는 문제점이 있어서 시공상에 상당한 곤란함이 있었다.
더욱이 그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도 그 중량으로 인하여 석재 외장재가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현상도 왕왕 발생하여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략골재 등을 사용한 경량의 석재 외장재가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외장재의 경우 그 내구성이 약하여 건축물의 외면을 우천, 산성비 등의 위해 요인으로부터 보호하기에는 그 기능을 장시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한편 근래에는 각 건축물들의 옥상 등에 태양 패널을 설치하여 독자적으로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을 함으로써 에너지 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이 자주 나타나고 있다.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은 초기에 태양 패널 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등 비용의 부담이 어느정도 있는 것이지만, 일단 설비가 설치된 이후에는 별도의 비용이 거의 들지 않기 때문에 초기 설치 비용의 불리함을 절약되는 에너지 비용이 충분히 상쇄하는 것이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많은 건축물에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을 위해서는 별도의 태양패널(160)이 필요한 것은 물론이거니와 일전한 공간을 차지하는 태양패널(160)의 설치 문제로 그 활용에 공간적 제약이 있었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여러 건축물의 경우 소요되는 전력을 얻기 위해 필요한 수량의 태양패널(160)을 설치할 공간적 여유가 없어 어쩔 수없이 만족스러운 수량의 태양패널(160)을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태양광 발전의 경우 태양패널(160)의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의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어져 왔다.
특허문헌 000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23802호 특허문헌 000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2992호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재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외면에 부착되는 외장재를 통해서 건축물의 마감을 시행하여 뿜칠 마감이 가지지 못하는 내구성을 확보하면서도, 외장재의 중량을 줄여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여 현장에서 작업자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재는 석재 대신에 강재를 외장재의 본체로 사용하여 운반, 시공 등의 과정에서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높이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재는 이웃하는 외장재끼리 그 결합을 쉽고도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시공이후 외장재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재는 건축물의 독립적 태양광 발전에 필요한 태양패널의 설치 문제에 있어서, 태양패널이 절대적으로 차지하는 소정의 공간을 확장시킴으로써 해당 건축물의 소요 전력을 생산함에 있어서 설치에 따른 공간문제의 해결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재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ㅁ'자 형상으로 중심부가 절개되어 있는 판 형상의 몸체(100)와, 'ㅁ'자 형상으로 중심부가 절개되어 상기 몸체(100)의 가장 내측면에 부착되는 보강판(150)과, 몸체(100)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부(110) 및 몸체(100)의 다른 한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부(120)를 포함하고,
결합부(110)는, 몸체(10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결합부(111)와 수직결합부(11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결합부(112) 및 수평결합부(11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1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끼움부(120)는, 몸체(10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끼움부(121) 및 수직끼움부(12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끼움부(1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몸체(100)의 'ㅁ'형상으로 절개된 부분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태양패널(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재는,
그 일단은 상기 수직끼움부(121)에 마련된 체결홈에 끼워지고, 타단은 건축물의 외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몸체(100)를 건축물의 외면에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 또는,
일단은 상기 수평끼움부(122)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타단은 건축물의 외면에 결합되며, 그 중간부분(플랜지부분)은 수직끼움부(121)에 밀착되면서, 몸체(100)를 건축물의 외면에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를 그 해결 수단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재는,
몸체(100)의 절개된 네 개의 내측 모서리를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고, 내측부(171)와 한번더 안쪽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부(17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면서, 상기 태양패널(160)이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는 경우 그 결합 부위의 네 개의 모서리를 마감하여 시각적인 심미감을 높이는 상하좌우측 네 개의 몰드(170)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재는,
상기 끼움부(120)의 외측에 해당하는 면과 상기 결합부(110)의 내측에 해당하는 면에는 자성물질을 도포하여 상기 끼움부(120)와 상기 결합부(110)의 결합력을 높인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재는, 보강판(150)이 단열기능의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방음기능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재는 그 중량을 줄여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작업자의 시공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재는 석재 대신에 강재를 외장재의 본체로 사용하여 운반, 시공 등의 과정에서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재는 이웃하는 외장재끼리 그 결합을견고하게 함으로써 시공이후 외장재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재는 태양패널이 차지하는 소정의 공간을 확장시킴으로써 태양광 발전에 따른 설비의 설치에 따른 공간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외장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외장재에서 태양패널이 결합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외장재에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외장재에서 몸체의 내측과 몰드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외장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을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위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되어 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어 지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즉, 구성요소의 단순한 치환이나 구성의 단순한 설계 변경은 얼마든지 가능한 것이므로, 상기와 같은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이나 설계의 변경은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지지 아니할 지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해석되어 지지 아니하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나아가 그 이상의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등의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특별히 별도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재에 대하여 제시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외장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외장재에서 태양패널이 결합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외장재는 기본적으로 플에이트 형상의 몸체(100)와 몸체(1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결합부(110)와 끼움부(12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외장재는 횡방향으로 또는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웃하여 배치되면서 건축물의 외면에 부착되는 방식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로서,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100)와, 몸체(100)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부(110)와, 몸체(100)의 다른 한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부(120)를 포함하는 것이다.
몸체(100)와 결합부(110) 및 끼움부(120)는 별도로 제작되어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거나 또는 처음부터 하나의 플레이트로 만들어진 이후에 양 측면을 절곡하는 방식에 의해 만들어 질 수도 있을 것이며, 그 어느 제조방법을 선택하더라도 이는 모두 단순한 설계변경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몸체(100), 결합부(110) 및 끼움부(120)는 모두 철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강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출물의 전체적인 형상이나 면적 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 계열의 소재(이 경우에는 사출의 방식으로 제작되어 몸체(100), 결합부(110) 및 끼움부(120)가 일체로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로 이루어져도 무방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외장재에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결합부(110)는 몸체(10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결합부(111)와 수직결합부(111)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결합부(112)와 수평결합부(112)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113)로 이루어진 것이다.
결합부(110)는 이후에 설명되는 끼움부(120)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끼움부(120)의 측면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외장재가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면서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결합부(110)의 형상과 관련하여,
그 일실시예는 수직결합부(111)와 수평결합부(112)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고, 수평결합부(112)와 절곡부(113)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는 수평결합부(112)를 부채꼴의 형상으로 해서 전체적으로 원만하게 구부러지도록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한 것이고, 이러한 변형 역시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끼움부(120)는 몸체(10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끼움부(121)와 수직끼움부(121)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끼움부(122)로 이루어진 것이다.
끼움부(120)는 결합부(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끼워져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가 서로 긴밀하게 결합되면서 계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끼움부(120)의 형상과 관련하여, 수직끼움부(121)와 수평끼움부(122)가 서로 직교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에 지나지 아니하는 것이고 따라서 수평끼움부(122)를 수평결합부(112)와 마찬가지로 부채꼴의 형상으로 하는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그 변형이 가능하다고할 것이다.
태양패널(160)은 몸체(100)에 형성되어 있는 'ㅁ'자 형상의 절개부에 RL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다시 말해서 태양패널(160)은 몸체(100)의 절개부에 맞춤으로 끼워지는 형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태양패널(160)은 태양광 발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태양전지판에 해당한다. 태양패널(160)은 태양광을 흡수하여 광전효과를 일으켜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작용을 하는 것이고, 이렇게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태양패널(160)에 연결된 축전지(건축물의 내부에 비치되며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함)에 모여 해당 건축물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되어 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외장재에서 몸체의 내측과 몰드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몰드(170)는 몸체(100)의 절개된 네 개의 내측 모서리를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는 구성이다. 몰드(170)는 몸체(100)의 절개된 네 개의 모서리에 각각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총 4개의 몰드(170)가 몸체(100)의 내측면 상하좌우측에 끼워지게 된다. 몰드(170)는 몸체(100)에 태양패널(160)이 끼워지는 경우 태양패널(160)이 걸리게 되어 외부로 더이상 돌출되지 아니하도록 고정시켜 주는 작용을 한다. 몰드(170)는 내측부(171)와 외측부(172)로 구성되어 있는데, 외측부(172)는 내측부(171)와 달리 한번더 안쪽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태양패널(160)이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는 경우 몰드(170)는 그 결합 부위의 네 개의 모서리를 마감하여(즉 몸체와 태양패널이 접촉되어 맞닿는 네 개의 모서리를 가리게 되어 외관적으로 갈끔한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시각적인 심미감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도 4에서는 양 측면의 몰드(170) 두 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도면의 간결함을 위한 것일 뿐이고, 몰드(170)은 양 측면 뿐만 아니라 상하면에도 두 개가 더 설치되어 몸체(100)에 끼워지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네 개의 몰드(170)는 그 끝단이 경사지게 사선으로 절단된 것으로서 각 몰드(170)끼리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체결구(130)는 플랜지와 복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부의 양단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시킴으로써 플랜지가 형성된다.
체결구(130)는 몸체(100)를 건축물의 외면에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작용을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100)는 건축물의 외면에 접착용 도료 또는/및 나사 못(미도시), 볼트(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부착되는 것이지만, 그 부착력을 추가적으로 확보하여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체결구(130)가 사용된다.
체결구(130)는 그 일단은 수직끼움부(121)에 마련된 체결홈(141)에 끼워지고, 타단은 건축물의 외면에 결합되면서, 몸체(100)를 건축물의 외면에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것인데, 즉 체결구(130)는 그 일단이 수직끼움부(121)에 마련된 체결홈(141)에 끼워지고, 타단은 건축물의 외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외장재에 대하여 체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140)는 그 중간부분(플랜지 부분)이 수직끼움부(121)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그 끝단(복부 부분)은 각각 수평끼움부(122) 및 건축물의 외면에 결합되는 것이다.(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볼트 결합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체결구(140)는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끼움부(120) 및 건축물의 외면에 견고하게 결합되는데, 그 결합방식은 수직끼움부(121) 및 플랜지 부분에 미리 구멍(미도시)을 천공하고 이를 통한 볼팅 결합이 바람직할 것이지만, 여러 다양한 방법의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체결구(140)는 양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수평끼움부(122)에 밀착되는 부분의 플랜지 부분은 없는 것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며(단 이 경우에는 플랜지 부분이 수직끼움부에 볼팅 등에 의해서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전제로 할 것이다), 이는 단순한 설계 변경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130, 140)와 관련하여 첨부된 도면에서는 그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한 것이고, 어떠한 체결 구성을 통하여 외장재를 건축물의 외면에 부착시키는 방법은 다양한 것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인 만큼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는 그러한 다양한 변형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보강판(150)은 'ㅁ'자 형상으로 중심부가 절개되어 몸체(100)의 가장 내측면에 부착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에서 가장 내측(건축물의 외벽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곳이다)에 부착되는 구성이다.
결국 보강판(150)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의 가장 내측에 부착되어 건축물의 외면에 견고하게 결합된다고할 것이다. 보강판(150)은 건축물의 외면의 시공상태 및 건축물의 소요조건 등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단열 기능을 가지는 소재(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유레아폼, 압축성 펄프 소재 등)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한편 해당 건축물이 위치한 환경적 요인을 고려할 때 소음을 차단할 필요성이 크다면, 흡음 내지는 방음 기능을 가지는 소재(목재로 만들어지거나 유리섬유 등이 혼합된 재질도 무방하다)로 이루어지는 것도 무방하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판(150)은 건축물의 외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부착되는 것으로서, 해당 건축물의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방음, 방수(이 경우에는 합성 수지 계열의 소재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혼합되어여 할 것이다), 단열 등의 기능을 가지는 소재를 활용하여 만들어짐으로써 건축물의 사용성을 높이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자성물질(m)은 끼움부(120)의 외측에 해당하는 면과 결합부(110)의 내측에 해당하는 면에는 도포되는 것으로서 끼움부(120)와 결합부(11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자성물질(m)은 끼움부(120)와 결합부(110)의 결합력을 높여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가 횡방형은 물론 종방향으로도 그 움직이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그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하는 것이다. 자성물질(m)은 액상의 도료의 형식으로 끼움부(120)와 결합부(110)의 표면에 도포될 수도 있는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자성을 가지는 금속성 물질을 미세한 분말의 형식으로 만들어 끼움부(120)와 결합부(110)의 표면에 뿌려 붙이는 형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자성물질에 갈음하여 또는 그에 더하여 접착력을 가지는 도료 등을 끼움부(120)의 외면(또는/및 결합부(110)의 내면)에 도포하는 방식에 의하여 끼움부(120)와 결합부(110)의 부착력을 확보하는 것도 가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몸체
110 : 결합부 111 : 수직결합부
112 : 수평결합부 113 : 절곡부
120 : 끼움부 121 : 수직끼움부
122 : 수평끼움부 130, 140 : 체결구
141 : 체결홈 150 : 보강판
160 : 태양패널 170 : 몰드
171 : 내측부 172 : 외측부
m : 자성물질

Claims (6)

  1. 횡방향으로 또는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웃하여 배치되면서 건축물의 외면에 부착되는 건축용 외장재로서,
    'ㅁ'자 형상으로 중심부가 절개되어 있는 판 형상의 몸체(100);
    'ㅁ'자 형상으로 중심부가 절개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부착되는 보강판(150);
    상기 몸체(100)의 어느 한 측면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결합부(110); 및
    상기 몸체(100)의 상기 결합부(110)와 다른 측면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끼움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몸체(10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결합부(111);
    상기 수직결합부(11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결합부(112); 및
    상기 수평결합부(11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1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끼움부(120)는,
    상기 몸체(10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끼움부(121); 및
    상기 수직끼움부(12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끼움부(1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몸체(100)의 'ㅁ'형상으로 절개된 부분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태양패널(160)을 더 포함하고,

    일단은 상기 수직끼움부(121)에 마련된 체결홈(141)에 끼워지고, 타단은 건축물의 외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몸체(100)를 건축물의 외면에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100)의 절개된 네 개의 내측 모서리를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고, 내측부(171)와 한번더 안쪽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부(17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면서, 상기 태양패널(160)이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몸체(100)의 상하좌우측 결합 부위의 네 개의 모서리를 마감하여 시각적인 심미감을 높이는 상하좌우측 네 개의 몰드(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재.
  2. 횡방향으로 또는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웃하여 배치되면서 건축물의 외면에 부착되는 건축용 외장재로서,
    'ㅁ'자 형상으로 중심부가 절개되어 있는 판 형상의 몸체(100);
    'ㅁ'자 형상으로 중심부가 절개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부착되는 보강판(150);
    상기 몸체(100)의 어느 한 측면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결합부(110); 및
    상기 몸체(100)의 상기 결합부(110)와 다른 측면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끼움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몸체(10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결합부(111);
    상기 수직결합부(11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결합부(112); 및
    상기 수평결합부(11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1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끼움부(120)는,
    상기 몸체(10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끼움부(121); 및
    상기 수직끼움부(120)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끼움부(1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몸체(100)의 'ㅁ'형상으로 절개된 부분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태양패널(160)을 더 포함하고,

    그 중간부분(플랜지 부분)이 수직끼움부(121)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그 양 끝단(복부 부분)은 각각 수평끼움부(122) 및 건축물의 외면에 결합되는 체결구(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100)의 절개된 네 개의 내측 모서리를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고, 내측부(171)와 한번더 안쪽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부(17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면서, 상기 태양패널(160)이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몸체(100)의 상하좌우측 결합 부위의 네 개의 모서리를 마감하여 시각적인 심미감을 높이는 상하좌우측 네 개의 몰드(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120)의 외측에 해당하는 면과 상기 결합부(110)의 내측에 해당하는 면에는 자성물질을 도포하여 상기 끼움부(120)와 상기 결합부(110)의 결합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재.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11258A 2018-01-30 2018-01-30 건축물의 외장재 KR102033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258A KR102033844B1 (ko) 2018-01-30 2018-01-30 건축물의 외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258A KR102033844B1 (ko) 2018-01-30 2018-01-30 건축물의 외장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339A Division KR102077442B1 (ko) 2019-08-29 2019-08-29 건축물의 외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002A KR20190092002A (ko) 2019-08-07
KR102033844B1 true KR102033844B1 (ko) 2019-10-17

Family

ID=6762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258A KR102033844B1 (ko) 2018-01-30 2018-01-30 건축물의 외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8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558B1 (ko) * 2008-12-12 2009-10-27 우정특수기업 주식회사 조립식 경량패널 및 조립식 경량패널의 설치 방법
KR101086467B1 (ko) * 2010-11-19 2011-11-25 (주)하나정밀 건축패널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992B1 (ko) 2016-02-05 2016-10-06 이청용 조립식 경량 복합패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558B1 (ko) * 2008-12-12 2009-10-27 우정특수기업 주식회사 조립식 경량패널 및 조립식 경량패널의 설치 방법
KR101086467B1 (ko) * 2010-11-19 2011-11-25 (주)하나정밀 건축패널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002A (ko)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87420A1 (en) Insulated wall panel
KR101649969B1 (ko) 건식 마감이 용이한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벽 건식 단열 시공 방법
CN102635248B (zh) 模块化快速组装房屋
KR101481883B1 (ko) 건축물의 건식 외단열 시공방법
CN108894456B (zh) 预制发泡陶瓷框架外墙挂板及制造方法
KR102033844B1 (ko) 건축물의 외장재
KR102077442B1 (ko) 건축물의 외장재
CN204299009U (zh) 一种拉挤型gfrp拼装式楼板结构
US9453344B2 (en) Modular insulated facade
US20180202149A1 (en) Exterior insulation-integrated insulating block system for facilitating dry finish,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CN110499842A (zh) 建筑外墙保温系统及其施工方法
KR101283253B1 (ko) 고기능성 단열마감패널구조체
CN203022269U (zh) 墙体防火保温装饰一体板
KR20180092477A (ko) 프리캐스트 내,외벽을 갖는 조립식 벽체
TWM543899U (zh) 具有補強結構的乾掛外飾牆板
KR101569242B1 (ko) 단열재 부착용 보조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
KR200341889Y1 (ko) 마감재와 버팀 지지대가 부착된 샌드위치 패널
CN201738446U (zh) 单元模块化房屋
CN101798847B (zh) 单元模块化房屋
KR101204208B1 (ko)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CN102677849A (zh) 复合式保温装饰一体板的加工成型的方法
KR20080005414U (ko) 조립식 단열 패널
CN104265118B (zh) 门窗附框及门窗结构
JP7412057B1 (ja) 木軸トレーラー、木軸部材用固定金具、及び木軸トレーラーの製造方法
CN200992783Y (zh) 一种外墙挂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