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979B1 - 건물 외장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외장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979B1
KR100909979B1 KR1020070083471A KR20070083471A KR100909979B1 KR 100909979 B1 KR100909979 B1 KR 100909979B1 KR 1020070083471 A KR1020070083471 A KR 1020070083471A KR 20070083471 A KR20070083471 A KR 20070083471A KR 100909979 B1 KR100909979 B1 KR 100909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facturing
core member
cover member
exterior material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213A (ko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김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수 filed Critical 김경수
Priority to KR1020070083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979B1/ko
Publication of KR20090019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건물 외장재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건물 외장재는 코어부재와, 그 코어부재의 적어도 일면을 감싸는 커버부재 및, 코어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개재된 차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외장재를 설치하면, 차음재가 소음을 크게 줄여주기 때문에, 매우 아늑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건물, 외장재, 합성수지, 차음재

Description

건물 외장재의 제조방법{Maunfacturing method of Building external ornament}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 치장에 사용되는 외장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층간 처마용으로 사용되는 외장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식 건물을 짓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간 외벽에 물매를 형성해주는 처마용 외장재(10)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처마용 외장재(10)로서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로폼으로 된 코어부재(11)를 철 금속 또는 비철 금속 커버부재(12)로 감싸는 구조체가 많이 사용되었으며, 건물 외벽(20)에는 도면처럼 "ㄱ"자 앵글(13)을 개재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9235호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기존의 외장재(10)를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첫째, 소음이 심하다. 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 때 소음이 심해지는데, 이것은 스티로폼 코어부재(11)와 금속 커버부재(12) 사이가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고 간극이 생길 경우에 주로 발생된다. 즉, 금속 커버부재(12)를 때리는 빗방울이나 강 한 바람에 의한 진동음이 두 부재 사이의 간극에서 공명 현상을 일으키며 소음이 되는 것이다.
둘째, 커버부재(12)로 사용되는 철금속은 장기간 빗물을 맞게 되면 쉽게 녹이 스는 단점이 있고, 상대적으로 녹에 강한 비철금속은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라믹으로 된 커버부재가 제안된 바 있으나, 세라믹은 주지된 바와 같이 제작이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셋째, "ㄱ"자 앵글(13)을 이용하여 외장재(10)를 외벽(20)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무게 중심이 외곽측 상방에 위치하게 되어 외장재(10) 윗부분부터 벽체(20)에서 떨어지려는 회전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항상 불안정한 지지상태가 되며, 조금이라도 틈새가 벌어지게 되면, 그것이 다시 소음을 증폭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외장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외벽과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우수한 내식성 및 가공성도 갖춘 건물 외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물 외장재 제조방법은, (a) 코어부재를 제작하는 단계; (b) 그 코어부재의 적어도 일면을 감쌀 커버부재를 제작하는 단계; (c) 상기 코어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개재될 차음재를 제작하는 단계; (d) 상기 코어부재와 커버부재 및 차음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코어부재에 쐐기홈을 형성하고, 상기 쐐기홈에 결합될 둔각 앵글을 준비한 다음 그 둔각 앵글의 일단부를 상기 건물 외벽에 고정시키고, 그 둔각 앵글의 타단부를 상기 쐐기홈에 결합시킴으로써 그 결합체를 건물 외벽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건물 외장재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하여 제조된 건물 외장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차음재의 사용으로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어서, 매우 조용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합성수지로 커버부재를 만들었기 때문에, 녹이 슬 염려도 거의 없으며, 적정한 강도도 유지할 수 있고, 제작도 쉽다.
셋째, 외장재를 둔각 앵글로 외벽에 고정시키므로, 외장재가 외벽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회전모멘트가 줄어들어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장재(100)가 건물 외벽(20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물 외장재(100)는 몸체를 형성하는 코어부재(110)와, 그 코어부재(110)의 바깥 면 일부를 감싸고 있는 커버부재(120), 그리고 코어부재(110)와 커버부재(120) 사이에 개재된 차음재(140) 및, 외벽 고정용 둔각 앵글(130)을 구비하고 있다. 참조부호 150은 마감재인 실리콘 코킹부를 나타낸다.
우선, 상기 코어부재(110)는 EPS 스티로폼을 몰딩하여 제조된 것으로, 재질은 기존과 유사하다. 다만, 그 안에 앵글(130)이 결합될 쐐기홈(111)이 60도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120도의 둔각을 가진 둔간 앵글(130)과 맞추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둔각의 각도를 맞추는 이유는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려서 외벽(200) 에서 외장재(100)가 떨어져 나가려는 방향의 회전모멘트를 줄여주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코어부재(110)의 상면은 수명면에 대해 10도 정도 기울어지게 하는 것이 빗물 등이 잘 흘려내려가는 물매를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물론, 외관의 개선을 위해서는 상면이 수평인 모양으로 만들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부재(120)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합성수지에 규사를 혼합한 IABS(improved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합성수지를 금형에 사출하여 제작한다. ABS합성수지는 열과 충격에 강한 특성이 있고, 금속처럼 잘 녹슬지도 않으며 비용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장점이 있다. 하기의 표 1은 ABS합성수지의 대표예인 ABS HI 121H재의 기계적 성질 및 열적 성질의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59986783-pat00001
그런데, 이렇게 우수한 기계적 열적 성질을 보이는 ABS합성수지는 뒤틀림에 견디는 강도가 좋지 못하여 페인트 도장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여기에 규사(silica)를 혼합하면 뒤틀림 강도를 보강할 수 있어서, 페인트 도장도 무난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규사가 혼합된 ABS합성수지를 IABS합성수지라 부르기로 한다.
이와 같은 IABS합성수지로 커버부재(120)를 만들 때에는, 도 4와 같이 준비된 금형(300)에 IABS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제작해낸다. 도 4는 도 3과 같이 코어부재(110)의 3면을 감싸는 구조의 커버부재(120)를 만드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고, 만일 코어부재(110)의 1면을 감싸는 구조의 커버부재(120')를 만드는 경우라면 도 5와 같은 금형(300')을 준비해서 제작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차음재(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EVA(ethylene vinyl acetate) 합성고무재 본체(141)에 접착제층(142)을 바르고 시트지(143)를 덮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설치 시에는 시트지(143)를 떼어내고 도 7과 같이 접착제층(142)이 커버부재(120) 내벽에 달라붙도록 한다. 상기 EVA(ethylene vinyl acetate) 합성고무재는 하기의 표 2와 같이 차음 성질이 우수한 재질이다.
Figure 112007059986783-pat00002
따라서, 이 차음재(140)를 코어부재(110)와 커버부재(120) 사이에 개재시키면, 간극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체의 차음 특성에 의해 주변에 전달되는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둔각 앵글(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볼트(131)로 외벽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코어부재(110)의 쐐기홈(111)에 결합되는 고정용 부재로서, 120도의 둔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외벽(200)에 설치된 외장재(100)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는 현상을 막아준다. 따라서,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장재(100)는 도 8의 순서도에 나타낸 공정을 따라 제작될 수 있다.
먼저, EPS 스티로폼으로 코어부재(110)를 몰딩 제작한다(P100).
그리고는, 커버부재(120) 제작을 위한 금형(300)을 준비하여(P200), 그 금형(300)에 IABS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커버부재(120)를 만들고(P300), 도금/도장의 공정을 수행한다(P400). 그리고, 상기 코어부재(110)에는 둔각 앵글(130)이 결합될 쐐기홈(111)을 형성해둔다(P500).
이렇게 코어부재(110)와 커버부재(120)가 제작되면, 차음재(140)를 커버부재(120)의 내벽에 부착시킨다(P600). 이때에는 전술한 바대로 시트지(143)를 떼어내고 접착제층(142)이 커버부재(120) 내벽에 달라붙게 하면 된다. 이후, 차음재(140)가 부착된 커버부재(120)를 코어부재(110)와 결합시켜서 외장재(100) 결합체를 만든다(P700).
이어서, 외벽 고정용 둔각 앵글(130)을 제작하여(P800) 시공할 건물 외벽(200)에 설치한다(P900). 그리고는, 상기 코어부재(110)의 쐐기홈(111)에 둔각 앵글(130)이 끼워지게 결합시킨다(P1000). 이때 외벽(200)에 닿는 부위에는 접착제를 발라서 부착시킨다.
마무리로 실리콘으로 코킹부(150)를 형성하면(P1100) 설치가 완료된다.
이렇게 하면, 차음 성능도 우수하고 기계적 열적 성능도 우수한 안정적인 외장재가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건물 외장재가 설치된 건물 외벽을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의 건물 외장재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장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외장재 중 커버부재를 제작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외장재 중 차음재를 준비하여 커버부재에 설치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건물 외장재의 제작 및 설치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외장재 110...코어부재
120...커버부재 130...둔각 앵글
140...차음재 150...실리콘 코킹부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a) 코어부재를 제작하는 단계;
    (b) 그 코어부재의 적어도 일면을 감쌀 커버부재를 제작하는 단계;
    (c) 상기 코어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개재될 차음재를 제작하는 단계;
    (d) 상기 코어부재와 커버부재 및 차음재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코어부재에 쐐기홈을 형성하고, 상기 쐐기홈에 결합될 둔각 앵글을 준비한 다음 그 둔각 앵글의 일단부를 상기 건물 외벽에 고정시키고, 그 둔각 앵글의 타단부를 상기 쐐기홈에 결합시킴으로써 그 결합체를 건물 외벽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물 외장재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스티로폼을 몰딩하여 원하는 코어형상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장재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합성수지에 규사를 혼합한 IABS(improved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합성수지 준비하는 단계 및, 준비된 합성수지를 금형에 사출하여 원하는 커버형상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물 외장재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합성고무재로 차음재를 만드는 단계와, 그 위에 접착제층을 바르고 시트지를 덮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장재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커버부재의 내면에 상기 차음재를 붙이는 단계 및, 그 차음재가 붙은 커버부재 안에 상기 코어부재를 끼워넣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장재 제조방법.
  13. 삭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둔각은 12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장재 제조방법.
KR1020070083471A 2007-08-20 2007-08-20 건물 외장재의 제조방법 KR100909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471A KR100909979B1 (ko) 2007-08-20 2007-08-20 건물 외장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471A KR100909979B1 (ko) 2007-08-20 2007-08-20 건물 외장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213A KR20090019213A (ko) 2009-02-25
KR100909979B1 true KR100909979B1 (ko) 2009-07-29

Family

ID=4068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471A KR100909979B1 (ko) 2007-08-20 2007-08-20 건물 외장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9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555B1 (ko) * 2018-06-07 2019-07-31 오성석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099A (ko) * 2002-08-29 2004-03-09 가람테크(주) 건축용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71709A (ko) * 2004-12-22 2006-06-27 주식회사 아이 피 유 조형물 및 그 조형물을 구비하는 구조물
KR200430548Y1 (ko) * 2006-08-25 2006-11-13 전찬복 건축물의 외벽장식용 조형물
KR100817912B1 (ko) * 2007-06-05 2008-03-31 강산이디에스 주식회사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099A (ko) * 2002-08-29 2004-03-09 가람테크(주) 건축용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71709A (ko) * 2004-12-22 2006-06-27 주식회사 아이 피 유 조형물 및 그 조형물을 구비하는 구조물
KR200430548Y1 (ko) * 2006-08-25 2006-11-13 전찬복 건축물의 외벽장식용 조형물
KR100817912B1 (ko) * 2007-06-05 2008-03-31 강산이디에스 주식회사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555B1 (ko) * 2018-06-07 2019-07-31 오성석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213A (ko)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01336A1 (zh) 集保温防火隔音和装饰功能的一体板
WO2010099694A1 (zh) 木塑墙、瓦挂板
KR100957494B1 (ko) 마감패널의 용이한 고정구조를 갖는 방수와 단열 및 방음벽체
CN103696549A (zh) 装饰墙面的保温板件
CN201155182Y (zh) 一种外墙复合保温装饰板
KR100909979B1 (ko) 건물 외장재의 제조방법
CN202787804U (zh) 防火保温节能装饰一体板及防火保温节能装饰一体板组件
KR200430548Y1 (ko) 건축물의 외벽장식용 조형물
CN207092302U (zh) 一种防水金属幕墙
CN209293232U (zh) 一种轻钢房屋防水隔音墙体结构
KR101863778B1 (ko) 외벽판넬 및 외벽판넬 고정조립체
CN105256964A (zh) 一种用于建筑外墙内保温的石墨烯装饰板及其制作流程
CN213626373U (zh) 一种高强度的石膏墙面结构
CN203669258U (zh) 装饰墙面的保温板件
US6612076B2 (en) Porous flange
CN109487920B (zh) 一种墙体外侧保温抗裂饰面施工方法、构造及专用锚钉
CN102677851A (zh) 防火保温节能装饰一体板
CN112411921A (zh) 一种结构保温装饰一体板
CN208280672U (zh) 一种卫浴连接结构
CN211200762U (zh) 一种装配式保温墙体结构
CN201943206U (zh) 门窗洞口用保温复合板
CN207377008U (zh) 一种建筑外墙装饰复合板
JP2005023779A (ja) 建築用煉瓦
CN203213388U (zh) 保温墙板
CN213296970U (zh) 一种适用于超低能耗建筑的保温装饰复合预制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