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609B1 -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609B1
KR100839609B1 KR1020070038377A KR20070038377A KR100839609B1 KR 100839609 B1 KR100839609 B1 KR 100839609B1 KR 1020070038377 A KR1020070038377 A KR 1020070038377A KR 20070038377 A KR20070038377 A KR 20070038377A KR 100839609 B1 KR100839609 B1 KR 100839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fixing
fitting
building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연태
Original Assignee
(주)이건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건환경 filed Critical (주)이건환경
Priority to KR1020070038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성이 우수하고 그 시공후의 디자인성이 우수한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에 루버재를 끼워 고정함으로서 기존과 같은 나사 결합과정을 탈피하여 시공성 및 작업성을 우수하게 함과 아울러 루버재를 촘촘하게 설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시공후 미려감을 갖는 디자인성을 우수하게 한 것이다.
건축물, 장식, 루버, 고정 브라켓

Description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Building Decorating Louver Fixtur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가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2는 도1에서 일부만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3은 도2의 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
도4는 도3의 분리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에 마감용 끼움부재가 끼워지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루버재 13:끼움부
15:관통공 17:구멍
19:돌기 20:고정 브라켓
21:고정판부 23:지지판부
25:끼움용 헤드부 30:보강부재
50:끼움부재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을 장식하기 위한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루버재를 끼움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시공성 및 디자인성을 우수하게 한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면 특히, 외벽면에 막대형상의 루버(Louver)를 가로로 누운 상태에서 세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하여 건축물의 벽면을 장식하고 있음이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루버는 건축물의 벽면을 따라 돌출되게 설치되는 ㄱ자형상의 고정철물에 고정됨으로서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되는데, 그 설치 과정을 보면 먼저 고정철물을 건축물의 벽면에 드릴과 인서트, 나사못을 사용하여 고정한 다음, 그 고정된 고정철물 위에 루버를 안착시킨 후 나사못(피스)을 박아 서로를 결합시키면, 건축물의 벽면에 대한 루버의 설치가 완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설치 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루버를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2번의 나사 체결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고정철물 위에 안착된 루버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고정철물 밑에서 위로 드릴을 사용하여 나사못(피스)을 박아야 하기 때문에 루버와 루버 사이의 간격이 좁을 경우에는 드릴이 들어갈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사실상 고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루버재의 고정작업을 브라켓에 의한 끼움방식으로 하여 작업성을 개선함과 아울러 미려감 을 갖도록 디자인성을 개선하여 장식특성을 향상시킨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되는, 나사공을 갖는 고정판부와 그 고정판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판부와 그 지지판부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벽면에 대하여 길게 위치되는 루버재들을 각각 끼움고정 할 수 있게 한 내부간 빈 관체구조의 끼움용 헤드부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루버재는 상기 끼움용 헤드부가 탈착되게 끼워지는 중공홈부를 형성하는 기다란 관 구조로, 단면에서 보아 상기 중공홈부를 다수개로 구획하는 구획벽부가 형성되며, 또한 어느 일측의 구획벽부에는 상기 지지판부를 상기 끼움헤드부와 같이 끼울 수 있게 한 절단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루버재의 중공홈부에는 관체구조의 금속재질로 된 보강부재가 끼워져 상기 루버재와 일체로 되고, 상기 루버재의 보강부재와의 대면 부위에는 보강용돌기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용 헤드부에는 모서리부위에 보강용돌조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루버재에는 T자형의 마감용 끼움부재를 구비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마감용 끼움부재는 상기 루버재의 절단홈부에 탈착되어 끼움고정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가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2는 도1에서 일부만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3은 도2의 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 도4는 도3의 분리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에 마감용 끼움부재가 끼워지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는 소정 길이를 갖는 내부가 빈 관 형상을 이루어 건축물의 벽면에 가로로 누운 상태에서 세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어 건축물의 벽면을 장식하기 위한 루버재(10)와,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루버재(10)의 설치 장소를 마련하면서 고정 지지하기 위한 금속재질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재질의 고정 브라켓(20)으로 대별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20)은 건축물의 벽면에 드릴과 인서트, 나사못을 사용하여 고정되며, 상기 루버재(10)는 이처럼 고정된 상기 고정 브라켓(20)에 끼워짐을 통해서 간단히 결합되어 건축물의 벽면을 장식한다.
상기 고정 브라켓(20)은 소정 면적의 고정판부(21)와 그 고정판부(21)의 일면으로부터 판형상으로 돌출되는 지지판부(23)와 그 지지판부(23)의 선단에 형성되는 중공구조의 헤드부(25)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판부(21)를 통해서 나사못을 박아 건축물의 벽면(中空)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가로로 누운 상태에서 세로로 배열되 어 장식효과를 내는 상기 루버재(10)의 그와 같은 설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20)은 가로로 일정 거리를 두고 2개이상 배열 설치된 상태에서 세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된다.
상기 루버재(10)는 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상기 지지판부(23)와 모서리부위에 보강용돌조(26)가 형성된 중공구조의 끼움용 헤드부(25)에 끼워질 수 있는 동일한 형상의 끼움부(13)를 형성하여 그 끼움부(13)를 통해 가로로 배열된 상기 고정 브라켓(20)을 가로질러 끼움 설치된 후 같은 방식으로 상기 고정 브라켓(20)을 따라 세로로 끼움 설치됨으로서 건물의 벽면을 장식한다. 이때, 상기 중공구조의 끼움용 헤드부(25)는 상기 끼움홈(13) 중 상기 지지판부(23)에 끼워지는 끼움용 절단홈부(13a)에 걸려 상기 루버재(10)가 상기 고정 브라켓(20)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한다. 상기 루버재(10)는 경량성을 위해서 상기 지지판부(23)에 끼워지는 절단홈부(13a)의 중간에 상기 헤드부(25)가 끼워지는 중공홈부(13b)와는 별도로 중공홈부(15)가 구획벽부(27)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루버재(10)와 고정 브라켓(20)은 서로 끼움 결합에 의해서 고정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나사 결합과정을 탈피하여 그 시공을 우수하게 한다. 또한 이 때문에 기존과는 달리 상기 루버재(10)를 촘촘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서 시공후 디자인성이 우수해진다. 또한 상기 보강용돌조(26)는 중공구조의 끼움용 헤드부(25)가 중공홈부(13b)에 끼움고정될 시 벽면에 지지되어 보강특성을 발휘한다.
한편, 상기 루버재(10)는 그 내부에 금속재질인 관형상의 보강부재(30)를 설 치하여 변형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루버재(10)는 상기 끼움부(13)와는 별도로 내부에 길이를 관통하는 구멍(17)을 형성하여 그 구멍(17)에 상기 보강부재(30)를 끼움으로서 길이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보강부재(30)로는 금속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경량성을 위해서 관 형태로 제작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루버재(10)는 상기 구멍(17)의 내벽면에 상기 보강부재(30)를 눌러 홀딩할 수 있는 보강용돌기(19)를 형성하여 그 구멍(17)에 끼워진 상기 보강부재(30)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보강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20)이 끼워진 부위를 제외한 상기 끼움부(13)의 나머지 부위는 상기 고정 브라켓(20)의 지지를 받지 못해 그 개구가 오므라지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루버재(10)의 중간으로 갈수록 그 변형은 심해진다. 이 때문에 상기 루버재(10)가 건축물의 유리벽면에 설치되면, 유리벽면의 뒷쪽에서 그 변형을 쉽게 볼 수 있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다. 따라서 상기 고정 브라켓(20)이 끼워진 부위를 제외한 상기 끼움부(13)의 나머지 부위에는 T자형의 마감용 끼움부재(50)를 끼워 그 개구를 메꿈으로서 상기와 같은 변형으로 인해 상기 루버재(10)의 이미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끼움부재(5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제작됨으로서 시공후 디자인성을 더 우수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루버와 그 고정수단의 결합작업을 간단 히 함으로서 시공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고, 이 때문에 루버재를 촘촘하게 설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시공후 미려감을 주는 디자인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벽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되는, 나사공을 갖는 고정판부와 그 고정판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판부와 그 지지판부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벽면에 대하여 길게 위치되는 루버재들을 각각 끼움고정 할 수 있게 한 내부간 빈 관체구조의 끼움용 헤드부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재는 상기 끼움용 헤드부가 탈착되게 끼워지는 중공홈부를 형성하는 기다란 관 구조로, 단면에서 보아 상기 중공홈부를 다수개로 구획하는 구획벽부가 형성되며, 또한 어느 일측의 구획벽부에는 상기 지지판부를 상기 끼움헤드부와 같이 끼울 수 있게 한 절단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재에 다수개로 구획된 중공홈부 중 절단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어느 하나의 중공홈부에는 관체구조의 금속재질로 된 보강부재가 더 끼워져 상기 루버재와 일체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용 헤드부에는 모서리부위에 보강용돌조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재에는 T자형의 마감용 끼움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마감용 끼움부재는 상기 루버재의 절단홈부에 탈착되어 끼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
KR1020070038377A 2007-04-19 2007-04-19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 KR100839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377A KR100839609B1 (ko) 2007-04-19 2007-04-19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377A KR100839609B1 (ko) 2007-04-19 2007-04-19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609B1 true KR100839609B1 (ko) 2008-06-19

Family

ID=39771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377A KR100839609B1 (ko) 2007-04-19 2007-04-19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60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7911A (ja) * 1994-01-25 1995-08-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化粧カバーの連結具
JP2000282672A (ja) 1999-03-31 2000-10-10 Naka Ind Ltd 壁面用見切装置
KR200273598Y1 (ko) 2002-02-08 2002-05-03 노순희 건축용 장식판 부착장치
JP2002322790A (ja) 2001-04-25 2002-11-08 Konoshima Chemical Co Ltd 化粧材取付具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材取付構造
KR100669810B1 (ko) 2005-06-20 2007-01-17 주식회사 예인이엠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7911A (ja) * 1994-01-25 1995-08-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化粧カバーの連結具
JP2000282672A (ja) 1999-03-31 2000-10-10 Naka Ind Ltd 壁面用見切装置
JP2002322790A (ja) 2001-04-25 2002-11-08 Konoshima Chemical Co Ltd 化粧材取付具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材取付構造
KR200273598Y1 (ko) 2002-02-08 2002-05-03 노순희 건축용 장식판 부착장치
KR100669810B1 (ko) 2005-06-20 2007-01-17 주식회사 예인이엠 발포 폴리스티렌 조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3598Y1 (ko) 건축용 장식판 부착장치
US20090045705A1 (en) Door for a household appliance
US11085228B2 (en) Window system with interchangeable exterior accessory covers
US4335550A (en) Prime window unit installation system
KR100644253B1 (ko) 냉장고용 도어의 디스플레이케이스의 장착구조
KR100839609B1 (ko) 건축물 장식용 루버의 고정장치
KR101864175B1 (ko) 신축조절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실내 마감재
US20060043039A1 (en) Integrated posts/ferrule
KR20140011581A (ko) 내외장 단열패널 시공방법과 그에 사용되는 하지 프레임 및 내,외장 단열패널
KR200317133Y1 (ko) 건축용 조립판넬의 구조
AU2016371032B2 (en) Shower enclosure header
JP3171186U (ja) ルーバー材の背面化粧材
JP2009097279A (ja) 補助壁の取付構造
KR20080002961U (ko) 경량칸막이용 배선박스 브래킷
JP3380919B2 (ja) スターター部材
JP3129499U (ja) ドア枠ユニット構造
KR20200000682U (ko) 건물 외장용 어셈블리
JP7190287B2 (ja) 洗面化粧台用の補強部材及び洗面化粧台の設置方法
KR102281903B1 (ko) 커튼 박스
JPH0438798Y2 (ko)
KR20110040228A (ko) 사용이 편리한 케이블 트레이
RU31591U1 (ru) Багет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натяжного потолка
JP2007169962A (ja) 間仕切りパネル端部の接続構造
JP6693727B2 (ja) 化粧胴差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JP2023136795A (ja) ルーバーの取付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