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996B1 -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996B1
KR100663996B1 KR1020050064396A KR20050064396A KR100663996B1 KR 100663996 B1 KR100663996 B1 KR 100663996B1 KR 1020050064396 A KR1020050064396 A KR 1020050064396A KR 20050064396 A KR20050064396 A KR 20050064396A KR 100663996 B1 KR100663996 B1 KR 100663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vertical member
fixing
build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호
Original Assignee
김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호 filed Critical 김순호
Priority to KR1020050064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 볼트나 체결부재가 나타나지 않아 깔끔한 외장 마무리가 가능한 패널의 고정구조 및 그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건물외벽(84)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부재(70); 수직부재(70)를 건물외벽(84)에 고정하는 고정수단(75); 단면의 중간영역이 수직부재(70)를 가로질러 면접하는 수직부재 고정부(14)를 형성하고, 수직부재 고정부(14)의 일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수직방향으로 자유단을 형성하는 패널고정부(12)와 수직부재 고정부(14)의 타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박스부(20)를 포함하는 제 1 형강재(10); 제 1 형강재(10)를 수직부재(70)에 체결하는 체결수단; 및 상면과 하면에는 줄눈용 돌기(54)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하면의 일부에는 패널고정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52)이 형성된 제 1 패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와 고정방법이 제공된다.
건물, 외벽, 수직부재, 패널, 리벳, 형강재, 창틀, 절곡, 박스

Description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Cladding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section shape steel bar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 1 형강재(10)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 2 형강재(30)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형강재, 12 : 패널 고정부,
14 : 수직부재 고정부, 16 : 제 1 관통공,
18 : 절곡부, 20 : 박스부,
22 : 테이프 수용부, 30 : 제 2 형강재,
32 : 상부절곡부, 34 : 수직부재 고정부,
36 : 제 2 관통공, 38 : 박스부,
40 : 수평부, 42 : 제 3 관통공,
44 : 하부절곡부, 50a, 50b : 제 1 패널,
50c : 제 2 패널, 52 : 홈,
54 : 줄눈용 돌기, 55 : 폼테이프,
60a, 60b, 60c, 60d : 리벳, 70 : 수직부재,
75 : 고정수단, 80 : 단열층,
84 : 건물외벽, 86 : 형강
88 : 창틀, 90 : 창문틀,
92 : 바깥유리, 94 : 안쪽유리,
96 : 간격재.
본 발명은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 볼트나 체결부재가 나타나지 않고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아 깔끔한 외장 마무리가 가능한 패널의 고정구조 및 그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관을 유리나 금속재로된 패널로 마감하는 경우, 건물 외벽에 부착하기 위해 각종 볼트나 너트, 리벳, 브라켓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볼트, 너트, 리벳, 브라켓 등은 건물과 패널 사이의 확실한 체결을 위해 패널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이 통례이다. 이 경우, 강력한 체결력은 얻을 수 있는데 반해, 볼트, 너트, 리벳 등이 패널의 외부로 노출되어 건물 전체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체결부재들은 금속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녹슬고, 더 나아가 녹물이 흘러내림으로써 패널을 미관상 훼손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건물의 외벽에 확실히 체결될 수 있으면서도, 볼트, 너트, 리벳, 브라켓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할 때 수평이나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외장패널 사이의 연결재를 생략함으로서 줄눈효과를 줄 수 있는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외장 패널의 일부가 형강재에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가 형강재에 지지되는 방식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외장 패널의 수축이나 팽창으로 인한 휨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수직한 건물 외벽 뿐만 아니라 창틀, 도어 가장자리의 수평부분까지 동일한 방식으로 깔끔한 마감을 할 수 있는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되어 설명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외벽(84)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 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부재(70);
수직부재(70)를 건물외벽(84)에 고정하는 고정수단(75);
단면의 중간영역이 수직부재(70)를 가로질러 면접하는 수직부재 고정부(14)를 형성하고, 수직부재 고정부(14)의 일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수직방향으로 자유단을 형성하는 패널고정부(12)와 수직부재 고정부(14)의 타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박스부(20)를 포함하는 제 1 형강재(10);
제 1 형강재(10)를 수직부재(70)에 체결하는 체결수단; 및
상면과 하면에는 줄눈용 돌기(54)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하면의 일부에는 패널고정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52)이 형성된 제 1 패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패널(50)의 상면에 형성된 줄눈용 돌기(54)는 제 1 패널(50)의 일면으로부터 동일평면상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 1 패널(50)의 하면에 형성된 줄눈용 돌기(54)는 제 1 패널(50)의 타면으로부터 동일평면상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체결수단은, 제 1 형강재(10)의 수직부재 고정부(14)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관통공(16)이 형성되고, 제 1 관통공(16)을 통해 체결되는 리벳, 나사, 볼트와 너트중 적어도 하나이거나 또는 용접부일 수 있다.
아울러, 제 1 형강재(10)의 박스부(20)중 일측으로는 테이프 수용부(22)가 더 형성되고,
테이프 수용부(22)와 제 1 패널(50) 사이에는 폼테이프(55)가 더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부재 고정부(14)와 패널고정부(12) 사이에는 제 1 형강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절곡된 절곡부(18)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건물외벽(84)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부재(70);
수직부재(70)를 건물외벽(84)에 고정하는 고정수단(75);
단면의 중간영역이 수직부재(70)를 가로질러 면접하는 수직부재 고정부(14)를 형성하고, 수직부재 고정부(14)의 일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수직방향으로 자유단을 형성하는 패널고정부(12)와 수직부재 고정부(14)의 타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박스부(20)를 포함하는 제 1 형강재(10);
수직부재(70)의 단부에서 가로방향으로 면접하는 수직부재 고정부(34), 수직부재 고정부(14)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상부절곡부(32), 수직부재 고정부(14)의 타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40), 수평부(40)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하부절곡부(44)로 이루어진 제 2 형강재(30);
제 1, 2 형강재(10, 30)를 수직부재(70)에 체결하는 체결수단;
상면과 하면에는 줄눈용 돌기(54)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하면중 일부에는 패널고정부(12) 또는 하부절곡부(4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52)이 형성된 제 1 패 널(50a, 50b);
일단이 제 2 형강재(30)의 수평부(40)에 고정되고, 수평으로 설치되어 건물외벽(84)으로부터 제 1 패널(50)까지의 공간을 외부에서 마감하는 제 2 패널(50c); 및
일단이 제 2 패널(50c)의 타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건물외벽(84)에 고정되는 형강(86);을 포함함으로서,
수직한 건물외벽(84)은 제 1 형강재(10)와 제 1 패널(50a, 50b)을 연속 시공함으로서 마감되고, 마감된 건물외벽(84)의 가장자리는 제 2 형강재(30), 제 2 패널(50c) 및 형강(86)에 의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에 의해서도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마감된 건물외벽(84)의 가장자리는 창틀(88) 또는 도어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제 2 형강재(30)는 수직부재 고정부(34)와 수평부(40)가 접하는 영역에 박스부(38)를 일체로 더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카테고리에 따르면,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건물 외면(50)으로부터 소정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부재(70)를 고정하는 단계(S10);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부재(7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제 1 형강재(10)를 체결하는 단계(S20); 및
제 1 패널(50)의 하면에 형성된 홈(52)에 제 1 형강재(10)의 패널고정부(12) 를 삽입하여 지지하도록 하고, 제 1 패널(50)의 일면을 제 1 패널(50)의 테이프 수용부(22)가 측방 지지하도록 하고, 제 1 패널의 상면에 형성된 줄눈용 돌기(54)가 패널고정부(12) 내측으로 위치하면서 제 1 패널(50)을 연속적으로 고정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방법에 의해서도 발명의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 1 패널 고정단계(S30)중 테이프 수용부(22)가 제 1 패널(50)을 측방지지하려 할 때 폼테이프(55)를 개재하는 단계(S32)를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제 1 형강재(10) 체결단계(20)는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수직부재(70)의 하단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제 2 형강재(30)를 체결하는 단계(S22)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제 1 패널 고정단계(S30)는, 건물외벽(84)의 가장자리에 마감된 제 1 패널(50b)의 홈(52)에 제 2 형강재(30)의 하부절곡부(44)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단계(34); 및 제 2 패널(50c)을 수평하게 위치시키고,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일단을 제 2 형강재(30)의 수평부(40)에 고정하고, 타단을 건물외벽(84)과 연결된 형강(86)에 고정하는 단계(S36);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 1 형강재(1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형강재(10)는 길이방향으로 단면형상이 일정한 금속재(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또는 철 합금 등)이고, 압출 등의 공정을 통해 생산된다. 단면형상은 크게, 수직부재 고정부(14), 절곡부(18), 패널고정부(12), 박스부(20) 및 테이프 수용부(22) 등으로 구성된다.
수직부재 고정부(14)는 수직부재(70)와 면접하여 고정되는 부분으로, 복수개의 제 1 관통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관통공(16)은 나사 또는 리벳이 통과되어 체결되기 위한 것이다.
절곡부(18)는 패널 고정부(12)와 수직부재 고정부(14) 사이에 위치하며 90°로 2번 절곡되어 굽힘강성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패널고정부(12)는 수직부재 고정부(14)로부터 연장된 자유단에 형성되며, 연장되는 방향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된다. 패널고정부(12)는 제 1 패널(50a, 50b)의 홈(52)에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박스부(20)는 수직부재 고정부(14)로부터 연장된 또 다른 자유단에 형성되며, 중공의 직사각형 형상이다. 이러한 박스부(20)는 제 1 형강재(10)의 굽힘강성을 높이고, 테이프 수용부(22)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패널(50a, 50b)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테이프 수용부(22)는 박스부(2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공간으로서, 폼 테이프(55)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 2 형강재(30)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형강재(30)는 제 1 형강재와 동일한 재질로 만들 수 있다. 제 2 형강재(30)는 대략 수직부재 고정부(34)와 수평부(40) 및 박스부(38)로 구성되어 있ㄷ.
수직부재 고정부(34)는 수직부재(70)와 면접하여 고정되는 부분으로, 복수개의 제 2 관통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2 관통공(36)은 나사 또는 리벳이 통과되어 체결되기 위한 것이다.
수직부재 고정부(34)의 자유단에는 상부절곡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절곡부(32)는 제 2 형강재(30)의 굽힘강성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수평부(40)는 수직부재 고정부(34)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 2 패널(50c)이 고정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수평부(40)에는 제 2 패널(50c)과의 체결을 위해 복수개의 제 3 관통공(4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3 관통공(42)은 나사 또는 리벳이 통과되어 체결되기 위한 것이다.
수평부(40)의 자유단에는 하부절곡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절곡부(44)는 제 2 형강재(30)의 굽힘강성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박스부(38)는 수직부재 고정부(34)와 수평부(40)가 서로 만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의 직사각형 형상이다. 이러한 박스부(38)는 제 2 형강재(30)의 굽힘강성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외벽(84)에는 창틀(88)과 창문틀(90)이 구비되고, 특히 창문틀(90)에는 안쪽유리(94), 간격재(96) 및 바깥유리(9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건물외벽(84)의 외측으로는 단열층(80)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단열층(80)은 변형예로서 건물 외벽(84)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외장을 마감하는데 사용하는 제 1, 2 패널(50a, 50b, 50c)은 건물의 외장재로 사용되는 것으로, 고밀도 목재패널(일명 트레스파(Trespa)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패널)이다. 이러한 패널(50a, 50b, 50c)은 비록 목재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나, 수분이나, 고온, 저온 등에 잘 견디고, 다양한 색상이나 무늬 연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건물 외장재로 사용된다. 그리고, 제 1, 2 패널(50a, 50b, 50c)은 건물을 향하는 배면(번호 미부여)과 외부로 표출되는 외면(번호 미부여) 및 측면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패널(50a, 50b)은 상면에 줄눈용 돌기(54)가 형성되어 있다. 상면에 형성된 줄눈용 돌기(54)는 제 1 패널(50a, 50b)의 두께와 같거나 조금 작은 크기이다. 그리고, 제 1 패널(50a, 50b)의 하면에도 같은 형상의 줄눈용 돌기(54)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형강재(10)의 패널고정부(12)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가진 홈(52)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 1 패널(50b)은 가장자리 영역중 수직부분의 패널로서, 하면에 형성된 홈(52)에는 제 2 형강재(30)의 하부절곡부(44)가 끼워진다.
제 2 패널(50c)은 가장자리 영역중 수평부분의 패널로서, 전술한 체결수단등을 통해 일단이 제 2 형강재(30)에 체결되고, 타단은 형강(86)에 체결된다.
고정수단(75)은 건물외벽(84)(또는 단열층(80))과 수직부재(7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고정수단(75)의 일예로는 트러스, 형강, H-빔, 파이프 구조물 등이 될 수 있다.
수직부재(70)는 건물외벽(84)의 고정수단(75)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된 다. 이러한 수직부재(70)는 강관, 각형 파이프, 형강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형강재(10)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수직부재(7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제 1 관통공(16)을 통해 수직부재(70)와 체결된다. 체결방식중 하나는 리벳, 볼트와 너트, 나사 또는 용접 들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 1 형강재(10)는 수직방향으로 제 1 패널(50a)의 높이만큼 상호 이격된 채 설치된다. 또한, 건물외벽(84)중 가장자리(예를 들어, 창틀(88)의 둘레, 문틀의 둘레 등))에는 수직부재(70)에 제 2 형강재(30)를 체결한다. 즉, 제 2 형강재(30)의 제 2 관통공(36)에 리벳, 나사, 볼트와 너트 등을 통과시키거나 또는 용접작업 등을 하여 제 2 형강재(30)와 수직부재(70)를 체결한다.
형강(86)은 단면중 일단이 건물외벽(84)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2 패널(50c)에 고정된다. 이러한 형강(86)의 단면형상은 "ㄱ"자가 대표적이지만, "ㄷ", "ㅁ" 등 다양한 형상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 1, 2 형강재(10, 30)를 이용하여 건물외벽(84)을 패널로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건물 외면(50)으로부터 소정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다수의 수직부재(70)를 대략 평행하게 고정한다(S10).
그 다음,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부재(7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 1 형강재(10)를 체결한다(S20). 이 때, 복수의 제 1 형강재(10)는 수직방향으로 제 1 패널(50a)의 높이만큼 상호 이격된 채 설치한다.
그 다음,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수직부재(70)의 하단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제 2 형강재(30)를 체결한다(S22).
그 다음, 제 1 형강재(10)의 테이프 수용부(22)에 폼 테이프(55)를 설치한다(S32).
그 다음, 제 1 패널(50)의 일면을 제 1 패널(50)의 테이프 수용부(22)의 폼 테이프(55)가 측방 지지하도록 하고, 제 1 패널의 상면에 형성된 줄눈용 돌기(54)가 패널고정부(12)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하면서, 제 1 패널(50)의 하면에 형성된 홈(52)에 제 1 형강재(10)의 패널고정부(12)를 삽입하여 지지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패널고정부(12)는 제 1 패널(50a)의 무게를 실질적으로 지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건물외벽(84)에 대해 제 1 패널(50a)을 연속적으로 설치한다.
그 다음, 건물외벽(84)의 가장자리에 마감된 제 1 패널(50b)의 홈(52)에 제 2 형강재(30)의 하부절곡부(44)를 삽입하여 지지한다(34).
그 다음, 제 2 패널(50c)을 수평하게 위치시키고,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일단을 제 2 형강재(30)의 수평부(40)에 고정하고, 타단을 건물외벽(84)과 연결된 형강(86)에 고정한다(S36). 이와 같은 고장을 창틀(88)의 가장자리에 대해 모두 수행함으로서 가장자리도 동일한 공법으로 마감한다.
그리고, 개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일부 부재의 생략도 가능하고, 타부재로 교체로 가능하다. 또한, 개시된 고정수단, 체결수단을 상호 교체하거나 대체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용이한 체결수단을 적용하여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기술사상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연속적으로 시공되는 패널(50a, 50b, 50c) 사이에는 측방으로 소정의 틈새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그대로 둘 수도 있고, 홈(번호 미부여)을 가공한 다음 홈 사이로 연결재를 삽입하여 줄눈 효과를 줄 수있다. 또한, 측면에도 상면과 같은 줄눈용 돌기(54)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50a, 50b, 50c)이 파란색이고, 연결재 또는 줄눈용 돌기(54)가 노란색이라면, 건물 전체적으로 파란 바탕에 노란색 격자 무늬가 보이는 것으로 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줄눈용 돌기(54)는 패널(50a, 50b, 50c)의 상면과 하면에만 형성할 수도 있고, 좌우 측면에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패널(50a, 50b, 50c)은 외장용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건물 인테리어용으로 활용하는 것 역시 당업자 수준에서 얼마든지 가능한 것이라 할 것이고, 이 역시 본 특허의 권리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건물의 외벽에 확실히 체결될 수 있으면서도, 볼트, 너트, 리벳, 브라켓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깨끗하고 말끔한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건물의 외벽에 설치할 때 수평이나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외장패널 사이에 연결재를 삽입하거나 생략함으로서 줄눈효과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시공 품질을 높이고,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외장 패널의 일부가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가 건물의 외벽에 걸어 맞추는 방식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외장 패널의 수축이나 팽창으로 인 한 휨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시공의 내구성을 높이고, 사후 관리가 편리하고 경제적이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직한 건물 외벽 뿐만 아니라 창틀, 도어 등의 가장자리 수평부분까지 동일한 방식으로 깔끔한 마감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공사품질을 높일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11)

  1. 건물외벽(84)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부재(70);
    상기 수직부재(70)를 상기 건물외벽(84)에 고정하는 고정수단(75);
    단면의 중간영역이 상기 수직부재(70)를 가로질러 면접하는 수직부재 고정부(14)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부재 고정부(14)의 일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수직방향으로 자유단을 형성하는 패널고정부(12)와 상기 수직부재 고정부(14)의 타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박스부(20)를 포함하는 제 1 형강재(10);
    상기 제 1 형강재(10)를 상기 수직부재(70)에 체결하는 체결수단; 및
    상면과 하면에는 줄눈용 돌기(54)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면의 일부에는 상기 패널고정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52)이 형성된 제 1 패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50)의 상면에 형성된 줄눈용 돌기(54)는 상기 제 1 패널(50)의 일면으로부터 동일평면상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패널(50)의 하면에 형성된 줄눈용 돌기(54)는 상기 제 1 패널(50)의 타면으로부터 동일평면상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 1 형강재(10)의 수직부재 고정부(14)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관통공(16)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공(16)을 통해 체결되는 리벳, 나사, 볼트와 너트중 적어도 하나이거나 또는
    용접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형강재(10)의 박스부(20)중 일측으로는 테이프 수용부(22)가 더 형성되고,
    상기 테이프 수용부(22)와 상기 제 1 패널(50) 사이에는 폼테이프(55)가 더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 고정부(14)와 패널고정부(12) 사이에는 제 1 형강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절곡된 절곡부(18)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6. 건물외벽(84)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부재(70);
    상기 수직부재(70)를 상기 건물외벽(84)에 고정하는 고정수단(75);
    단면의 중간영역이 상기 수직부재(70)를 가로질러 면접하는 수직부재 고정부(14)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부재 고정부(14)의 일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수직 방향으로 자유단을 형성하는 패널고정부(12)와 상기 수직부재 고정부(14)의 타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박스부(20)를 포함하는 제 1 형강재(10);
    상기 수직부재(70)의 단부에서 가로방향으로 면접하는 수직부재 고정부(34), 상기 수직부재 고정부(14)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상부절곡부(32), 상기 수직부재 고정부(14)의 타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40), 상기 수평부(40)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하부절곡부(44)로 이루어진 제 2 형강재(30);
    상기 제 1, 2 형강재(10, 30)를 상기 수직부재(70)에 체결하는 체결수단;
    상면과 하면에는 줄눈용 돌기(54)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면중 일부에는 상기 패널고정부(12) 또는 상기 하부절곡부(4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52)이 형성된 제 1 패널(50a, 50b);
    일단이 상기 제 2 형강재(30)의 수평부(40)에 고정되고,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건물외벽(84)으로부터 상기 제 1 패널(50)까지의 공간을 외부에서 마감하는 제 2 패널(50c); 및
    일단이 상기 제 2 패널(50c)의 타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건물외벽(84)에 고정되는 형강(86);을 포함함으로서,
    수직한 건물외벽(84)은 상기 제 1 형강재(10)와 제 1 패널(50a, 50b)을 연속 시공함으로서 마감되고, 마감된 건물외벽(84)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 2 형강재(30), 제 2 패널(50c) 및 형강(86)에 의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된 건물외벽(84)의 가장자리는 창틀(88) 또는 도어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형강재(30)는 상기 수직부재 고정부(34)와 수평부(40)가 접하는 영역에 박스부(38)를 일체로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9.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건물 외면(50)으로부터 소정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부재(70)를 고정하는 단계(S10);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상기 수직부재(7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제 1 형강재(10)를 체결하는 단계(S20); 및
    제 1 패널(50)의 하면에 형성된 홈(52)에 상기 제 1 형강재(10)의 패널고정부(12)를 삽입하여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 1 패널(50)의 일면을 상기 제 1 패널(50)의 테이프 수용부(22)가 측방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 1 패널의 상면에 형성된 줄눈용 돌기(54)가 상기 패널고정부(12) 내측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제 1 패널(50)을 연속적으로 고정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 고정단계(S30)중 상기 테이프 수용부(22) 가 상기 제 1 패널(50)을 측방지지하려 할 때 폼테이프(55)를 개재하는 단계(S32)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형강재(10) 체결단계(20)는 상기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부재(70)의 하단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제 2 형강재(30)를 체결하는 단계(S22)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패널 고정단계(S30)는,
    상기 건물외벽(84)의 가장자리에 마감된 제 1 패널(50b)의 홈(52)에 상기 제 2 형강재(30)의 하부절곡부(44)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단계(34); 및
    제 2 패널(50c)을 수평하게 위치시키고, 상기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일단을 상기 제 2 형강재(30)의 수평부(40)에 고정하고, 타단을 상기 건물외벽(84)과 연결된 형강(86)에 고정하는 단계(S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방법.
KR1020050064396A 2005-07-15 2005-07-15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 KR100663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396A KR100663996B1 (ko) 2005-07-15 2005-07-15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396A KR100663996B1 (ko) 2005-07-15 2005-07-15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996B1 true KR100663996B1 (ko) 2007-01-03

Family

ID=3786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396A KR100663996B1 (ko) 2005-07-15 2005-07-15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9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2170A1 (en) * 2012-10-16 2014-04-24 Volt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Scalabl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lers and associated methods
KR20140006220U (ko) * 2013-06-03 2014-12-11 주식회사 신아석재 석재고정 브라켓 구조 및 석재 복합 패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931Y1 (ko) * 1980-07-14 1983-09-27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파넬 부착구
JPH0642146A (ja) * 1991-12-30 1994-02-15 Nils-Gunnar Jansson ガラス外面構成要素を取り付ける装置
KR200370209Y1 (ko) 2004-09-17 2004-12-14 최익규 타일패널의 고정용 멀리온 바의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931Y1 (ko) * 1980-07-14 1983-09-27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파넬 부착구
JPH0642146A (ja) * 1991-12-30 1994-02-15 Nils-Gunnar Jansson ガラス外面構成要素を取り付ける装置
KR200370209Y1 (ko) 2004-09-17 2004-12-14 최익규 타일패널의 고정용 멀리온 바의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2170A1 (en) * 2012-10-16 2014-04-24 Volt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Scalabl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lers and associated methods
KR20140006220U (ko) * 2013-06-03 2014-12-11 주식회사 신아석재 석재고정 브라켓 구조 및 석재 복합 패널
KR200486029Y1 (ko) * 2013-06-03 2018-03-23 (주)신아석재 석재고정 브라켓 구조 및 석재 복합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95735A1 (en) Architectural bracket, building wall structure, and plank member construction method
KR102107971B1 (ko) 무용접 외장 패널 트러스
KR20070009265A (ko) 브라켓의 걸어맞춤을 이용한 실내벽의 패널 설치구조
KR20170142582A (ko)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663996B1 (ko) 형강재를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
KR20220022256A (ko) 무용접 조립식 데크 계단
JP3791745B2 (ja) パラペットの防水構造
KR100983030B1 (ko) 코너 벽 패널 조립체
RU2307906C2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вентилируемой облицовки зданий и конструкция ограждения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JP2011214322A (ja) 建物
JP6473433B2 (ja) 外壁の構造
US8347568B2 (en) Building panel mounting system and method
JP2017020208A (ja) ユニット式建物の構造
JP7213089B2 (ja) コーナーカバー、及び出隅柱とコーナーカバーの取り付け構造
JPH09111948A (ja) パネル化金属天井構造
JP6997947B2 (ja) スタッド材の設置構造
JP3895116B2 (ja) 鉄骨系住宅における出隅パネルの取付構造
JPH04194145A (ja) 複合壁面の施工方法
JPH1025847A (ja) ユニット式建物の壁パネル取付構造
JP3649806B2 (ja) 鋼製天井フレームの連結金具
JP6293952B1 (ja) 支持構造体
KR200311865Y1 (ko) 건축용 동바리 고정구조
JP2657041B2 (ja) コーナパネルの取付構造
JP2021161739A (ja) 壁つなぎ用治具及び該治具を備えた外壁パネル部材
JPH045512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