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115B1 -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 - Google Patents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115B1
KR101804115B1 KR1020170090435A KR20170090435A KR101804115B1 KR 101804115 B1 KR101804115 B1 KR 101804115B1 KR 1020170090435 A KR1020170090435 A KR 1020170090435A KR 20170090435 A KR20170090435 A KR 20170090435A KR 101804115 B1 KR101804115 B1 KR 101804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panel
water
bottom panel
impr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진
Priority to KR1020170090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3Modula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heating or cooling through the walls or internal parts of the container, e.g. circulation of fluid inside th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가 연속되게 연결되어 물탱크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 물탱크의 측면과 연결되어 물탱크의 상면을 이루도록 복수 개가 연속되게 연결되는 상면패널; 상기 측면패널의 하단을 밀폐시키도록 복수 개가 연속되게 연결되어 물탱크의 바닥면을 이루는 저면패널; 및 물탱크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기 측면패널 사이의 간격과,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기 상면패널 및 상기 저면패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저면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이음부는, 물탱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 {WATER TANK}
본 발명은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면을 이루는 복수 개의 저면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이음부가 물탱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이음부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물탱크가 대형화되면서 가중되는 하중에 의해 물탱크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탱크의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탱크는,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여 주거용 아파트 및 업무용 빌딩 등과 같이 생활용수의 사용이 많은 건축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용기로서, 이는 재질에 따라 스테인리스 패널수조, 합성수지(SMC) 패널수조, 콘크리트 수조 등으로 분류된다.
스테인리스 패널수조는 원자재의 가격 상승으로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고, 합성수지 패널수조는, 인장 및 굴곡강도가 강판의 1/4 정도로 약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콘크리트 수조는 수압이나 휨하중에 대응하는 구조적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으나, 거푸집 설치,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거푸집 철거 등의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공사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4627호로 합성수지제 대형수조가 등록된 바 있다.
선 등록된 실용신안은, 파형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파형단판의 양측면에 평평한 면을 가지는 평단판들이 일체로 용착되어서 중공부가 형성되는 합성수지 중공패널을 이용하여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 상면에 4개의 벽판들이 접합되는 수직통체부 및 상기 수직통체부에 덮개판이 연결되는 합성수지 대형수조가 구성되고, 벽판에 합성수지 보강대 및 수직보강대를 용접으로 고정하는 구성으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합성수지 중공패널은, 파형단판의 양측면에 평단판들이 일체로 용착된 구성으로, 파형단판과 평단판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를 통해 공기가 유동되므로 단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구성이 약해 대형수조에 저장되는 물의 수압에 의한 합성수지 중공패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탱크의 측부와 바닥부의 조립구조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물탱크의 측부와 바닥부의 조립조는, 콘크리트 기초와, 콘크리트 기초 상면에 바닥패널의 후렌지를 상호 연결하여 형성된 바닥부와, 바닥부 상면과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바닥패널의 후렌지를 감싸는 방수시트와, 내부에 다수의 중공부가 형성되면서 바닥부의 가장자리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공패널과, 중공패널의 중공부 하단부에 삽입되어 중공부를 폐쇄시키면서 중공패널이 내향으로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바닥부와 대응되도록 중공패널의 하단부를 감싸는 외부고정프레임과, 바닥부의 바닥패널 내측에서 지지부재와 중공패널을 관통하여 외부고정프레임에 체결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1369호(2015년 04월 10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중공패널을 이용한 물탱크의 측부와 바닥부의 조립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물탱크는, 콘크리트 기초 상면에 밀착되게 바닥부가 설치되기 때문에 지진이 발생되는 경우에 콘크리트 기초가 유동되면 바닥부와 측부의 연결부가 유동되면서 유격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측부와 바닥부 사이의 간격으로 물이 유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물탱크는, 바닥부와 측부가 직교되게 연결되어 모서리가 형성되기 때문에 물탱크 내부에 이물질이 누적되어 물탱크 청소를 행하는 경우에 모서리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어려워 물탱크 청소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바닥면을 이루는 복수 개의 저면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이음부가 물탱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이음부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물탱크가 대형화되면서 가중되는 하중에 의해 물탱크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탱크의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가 연속되게 연결되어 물탱크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 물탱크의 측면과 연결되어 물탱크의 상면을 이루도록 복수 개가 연속되게 연결되는 상면패널; 상기 측면패널의 하단을 밀폐시키도록 복수 개가 연속되게 연결되어 물탱크의 바닥면을 이루는 저면패널; 및 물탱크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기 측면패널 사이의 간격과,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기 상면패널 및 상기 저면패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저면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이음부는, 물탱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측면패널에는 물탱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돌출부와, 물탱크 내측으로 굴곡되어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기 측면패널과 연결되어 상기 이음부를 이루는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면패널은, 물탱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돌출부와, 물탱크 내측으로 굴곡되어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기 상면패널과 연결되어 상기 이음부를 이루는 제1지지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저면패널은, 물탱크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3돌출부와, 물탱크 외측으로 굴곡되어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기 저면패널과 연결되어 상기 이음부를 이루는 제2지지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보강부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기 측면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제1연결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기 상면패널과 상기 저면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제2연결대; 및 상기 제1연결대 또는 상기 제2연결대 연결부위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키도록 상기 제1연결대 또는 상기 제2연결대로부터 분기되어 물탱크 내벽에 연결되는 보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탱크 바닥면 모서리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측면패널과 상기 저면패널이 연결되는 모서리에 구비되는 누적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누적방지부는, 상기 측면패널과 상기 저면패널이 연결되는 모서리를 차단하도록 상기 측면패널과 상기 저면패널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마감패널; 및 상기 측면패널과 상기 저면패널 사이의 모서리와,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탱크에 담수되는 물이 일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물탱크 일부분에 하중이 가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물탱크 내부에서 물의 흐름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곡선형 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는, 복수 개의 저면패널이 연결되어 물탱크의 바닥면을 이루고, 저면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이음부는 물탱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저면패널의 이음부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물탱크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는, 기초블록과 물탱크 사이에 베이스프레임이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과 기초블록 사이에 완충패드가 개재되므로 기초블록에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 완충패드에 의해 물탱크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1차로 방지할 수 있고, 베이스프레임이 변형되면서 물탱크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2차로 방지할 수 있어 지진이 발생되는 경우에 기초블록으로부터 물탱크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물탱크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는, 바닥면과 상면을 연결하며 지지하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측벽부를 연결하며 지지하는 보강부가 구비되므로 물탱크 내부에 담수되는 물의 하중에 의해 물탱크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는, 모서리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적방지부가 구비되므로 물탱크 내부를 청소할 때에 모서리 부위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물탱크 청소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는, 물탱크 내부에 담수되는 물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는 곡선형 유동방지부가 구비되므로 물을 공급할 때나 물을 배출할 때에 물의 흐름이 발생되면서 유동되어 물탱크 측면패널 또는 저면패널 일부분에 하중이 과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물탱크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탱크에 담수되는 물이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고, 담수된 물의 수면에 열에너지를 제공하여 수면부터 동결되는 물의 동결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동파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동파방지부는, 상기 상면패널에 설치되는 컨트롤박스; 상기 컨트롤박스로부터 물탱크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이동블록;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물에 열에너지를 제공하여 동결을 억제시키는 히터;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이동블록을 수면 높이에 따라 승강시키도록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수면을 따라 유동되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의 측면패널 및 보강부 연결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의 누적방지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의 곡선형 유동방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의 저면패널 설치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의 측면패널 및 보강부 연결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의 누적방지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는, 복수 개가 연속되게 연결되어 물탱크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32)과, 물탱크의 측면과 연결되어 물탱크의 상면을 이루도록 복수 개가 연속되게 연결되는 상면패널(34)과, 측면패널(32)의 하단을 밀폐시키도록 복수 개가 연속되게 연결되어 물탱크의 바닥면을 이루는 저면패널(36)과, 물탱크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측면패널(32) 사이의 간격과,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면패널(34) 및 저면패널(36)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보강부(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는, 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다수 개의 기초블록(10)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되고, 물탱크의 상면에는 청소를 위해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비상구와, 물탱크 내부에 발생되는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환기구가 설치된다.
측면패널(32)에는 물탱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돌출부(32b)와, 물탱크 내측으로 굴곡되어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측면패널(32)과 연결되어 이음부를 이루는 굴곡부(32a)가 형성된다.
물탱크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패널(32)은, 정사각 또는 직사각 모양의 패널로 이루어지고, 중앙부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제1돌출부(32b)를 형성하며, 4면의 테두리가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인접하게 배치되는 측면패널(32)과 연결되어 이음부를 이루는 굴곡부(32a)를 이루게 된다.
상면패널(34)은, 물탱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돌출부(34b)와, 물탱크 내측으로 굴곡되어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면패널(34)과 연결되어 이음부를 이루는 제1지지홈부(34a)가 형성된다.
상면패널(34)은, 정사각 또는 직사각 모양의 패널로 이루어지고, 중앙부가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제2돌출부(34b)를 형성하며, 4면의 테두리가 내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제1지지홈부(34a)를 이루게 된다.
저면패널(36)은, 물탱크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3돌출부(36b)와, 물탱크 외측으로 굴곡되어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저면패널(36)과 연결되어 이음부를 이루는 제2지지홈부(36a)가 형성된다.
저면패널(36)은, 정사각 또는 직사각 모양의 패널로 이루어지고, 중앙부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제3돌출부(36b)를 형성하며, 4면의 테두리가 외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제2지지홈부(36a)를 이루게 된다.
굴곡부(32a)는, 측며패널의 테두리가 내측 방향으로 1차례 굴곡되어 이루어지므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측면패널(32)들은 서로 대향되는 굴곡부(32a)가 서로 밀착되게 배치되면서 측면패널(32)들 사이에 이음부를 이루게 된다.
제1지지홈부(34a) 및 제2지지홈부(36a)는, 상면패널(34)의 테두리 및 저면패널(36)의 테두리가 2차 굴곡되어 홈부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단면 형상이 'ㄷ' 모양을 이루는 프레임을 이루게 되므로 물탱크의 상면 및 저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보강프레임 역할을 행하게 된다.
또한, 복수 개의 저면패널(36) 사이에 형성되는 이음부는, 물탱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물탱크 바닥면에는 이음부가 돌출되지 않고, 다수 개의 저면패널(36)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용접라인이 물탱크 바닥면에 노출되어 물탱크 바닥면은 매끄러운 평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물탱크 내부에 물이 장기간 저장되는 경우에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물탱크 바닥면에 누적되어 물탱크 청소를 행하게 되는데, 이때, 본 실시예의 물탱크는, 바닥면에 이음부가 돌출되지 않고 매끄러운 평면을 이루므로 물탱크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물탱크 청소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보강부(50)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측면패널(32) 사이에 설치되는 제1연결대(52)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기 상면패널(34)과 상기 저면패널(36) 사이에 설치되는 제2연결대(54)와, 제1연결대(52) 또는 제2연결대(54) 연결부위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키도록 제1연결대(52) 또는 제2연결대(54)로부터 분기되어 물탱크 내벽에 연결되는 보강대(56)를 포함한다.
보강대(56)는 물탱크의 측면을 서로 연결하고, 물탱크의 상면과 저면을 서로 연결하므로 물탱크 외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외력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물탱크가 내측 방향으로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강대는 물탱크 내부에 짧은 시간 내에 다량의 물이 공급되어 저장될 때에 물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물탱크 내벽 일부분에 집중적으로 하중을 가하면서 물탱크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는, 물탱크 바닥면 모서리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면패널(32)과 저면패널(36)이 연결되는 모서리에 구비되는 누적방지부(70)를 더 포함하므로 물탱크 바닥면에 형성되는 4개의 모서리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물탱크 청소를 행할 때에 물탱크 모서리를 청소하는 작업이 생략될 수 있어 물탱크 청소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누적방지부(70)는, 측면패널(32)과 저면패널(36)이 연결되는 모서리를 차단하도록 측면패널(32)과 저면패널(36)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마감패널(72)과, 측면패널(32)과 저면패널(36) 사이의 모서리와, 마감패널(72)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74)를 포함한다.
마감패널(72)은 삼각형 패널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측면패널(32)과 하나의 저면패널(36)이 모아지게 연결되는 물탱크 바닥면 모서리에 마감패널(72)이 설치되므로 물탱크를 이루는 내벽 3개가 동시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모서리에 커버 역할을 행하는 마감패널(72)이 설치되어 모서리 깊숙한 곳으로 이물질이 삽입되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감패널(72)의 중앙부로부터 모서리 내측 단부까지 지지대(74)가 설치되므로 물탱크에 담수되는 물의 하중에 의해 마감패널(72)이 모서리 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물탱크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담수시킬 때에는 제1지지홈부(34a), 제2지지홈부(36a) 및 굴곡부(32a)에 의해 물탱크를 이루는 스테인리스재질로 이루어지는 금속패널의 연결부위가 지지되므로 물탱크가 대용량으로 제작되어 담수되는 물에 의한 하중이 증가되어도 물탱크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물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저면패널(36)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지지홈부(34a)는 단면이 'ㄷ' 모양으로 형성되어 역방향으로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12)에 의해 지지되므로 저면패널(36)들 사이의 연결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저면패널(36)과 측면패널(32) 사이의 연결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초블록(10)과 저면패널(36)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 별도의 보강리브(36e)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저면패널(36)의 저면에는 마름모 모양의 폐곡선을 이루는 보강리브(36e)가 설치되어 물탱크의 바닥면을 보강하도록 하고, 베이스프레임(12)과 기초블록(10) 사이에는 완충패드(36d)가 개재되어 지진 발생에 의해 기초블록(10)에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 완충패드(36d)가 압축 또는 팽창되면서 진동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지지홈부(36a)의 일측과 베이스프레임(12)의 타측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모양으로 형성되어 적층되므로 기초블록(10)으로부터 진동이 전달될 때에 제2지지홈부(36a) 및 베이스프레임(12)이 변형되면서 물탱크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의 곡선형 유동방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는, 물탱크에 담수되는 물이 일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물탱크 일부분에 하중이 가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물탱크 내부에서 물의 흐름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곡선형 유동방지부(80)를 더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대량의 물이 물탱크 내부에 주입되는 경우에 물이 측으로 유동되면서 물탱크 내벽 일부분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물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곡선형 유동방지부(80)에 의해 주입되는 물에 와류가 발생되면서 물탱크 내부 전체로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여 물의 하중이 집중되어 물탱크 일부분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곡선형 유동방지부(80)는, 상면패널(34)의 저면으로부터 물탱크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84)과, 중심축(84)으로부터 날개 모양으로 곡면을 이루며 연장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82)와, 블레이드(82)에 구비되어 물이 통과되도록 하는 통과홀부(86)를 포함한다.
따라서 물탱크에 물이 유입되는 때에 물이 일 방향으로 유동되면 다수 개의 블레이드(82)에 의해 물이 회오리 모양으로 와류를 형성하게 되고, 이때, 브레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물이 블레이드(82)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통과홀부(86)를 통과하게 되므로 물의 하중이 블레이드(82)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중심축(84)이 상면패널(34)의 저면으로부터 물탱크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지만, 중심축(84)은 저면패널(36) 및 측면패널(32)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의 저면패널 설치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의 저면패널(36)은, 제2지지홈부(36a) 내부에 사각 파이프 모양으로 형성되는 보강파이프(36c)가 개재되므로 물이 하중에 의해 물탱크의 바닥면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는, 물탱크에 담수되는 물이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고, 담수된 물의 수면에 열에너지를 제공하여 수면부터 동결되는 물의 동결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동파방지부(9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동절기에 물탱크 주변의 온도가 영하로 낮아지는 경우에는 컨트롤박스(92)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신호 및 전원에 따라 물탱크에 담수되는 물이 영상의 온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물의 동결에 의한 물 공급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물의 동결에 의해 물탱크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동파방지부(90)는, 상면패널(34)에 설치되는 컨트롤박스(92)와, 컨트롤박스(92)로부터 물탱크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봉(92a)과, 가이드봉(92a)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94a)를 구비하는 이동블록(94)과, 지지대(94a)에 설치되고, 물에 열에너지를 제공하여 동결을 억제시키는 히터(96)와, 지지대(94a) 및 이동블록(94)을 수면 높이에 따라 승강시키도록 지지대(94a)에 설치되고, 수면을 따라 유동되는 부력체(98)를 포함한다.
상면패널(34)의 상면에는 컨트롤박스(92)가 설치되고, 컨트롤박스(92)로부터 상면패널(34)을 관통하여 물통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봉(92a)을 따라 이동블록(9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블록(94)의 둘레면에는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94a)가 설치되고, 지지대(94a)의 단부는 좌우방향으로 굴곡되어 'T' 모양을 이루며, 지지대(94a)의 양단부에는 각각 부력체(98)가 설치되므로 물탱크에 담수되는 물의 양에 따라 수면의 높이가 상승 또는 하강될 때에 부력체(98)가 수면에 부유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지대(94a)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지지대(94a)의 중앙부에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히터(96)가 설치되고, 히터(96)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단에 원형의 열선이 구비되는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지지대(94a) 및 부력체(98)가 수면에 부유된 상태를 이루게 되면 히터(96)는 수중으로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항상 물에 잠긴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물탱크에 담수되는 물의 수면 높이에 따라 부력체(98), 지지대(94a) 및 히터(96)가 승강되면서 수면 높이와 상관없이 히터(96)가 물에 잠겨 열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바닥면을 이루는 복수 개의 저면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이음부가 물탱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이음부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물탱크가 대형화되면서 가중되는 하중에 의해 물탱크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탱크의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탱크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기초블록 12 : 베이스프레임
32 : 측면패널 32a : 굴곡부
32b : 제1돌출부 34 : 상면패널
34a : 제1지지홈부 34b : 제2돌출부
36 : 저면패널 36a : 제2지지홈부
36b : 제3돌출부 36c : 보강파이프
50 : 보강부 52 : 제1연결대
54 : 제2연결대 56 : 보강대
70 : 누적방지부 72 : 마감패널
74 : 지지대 80 : 곡선형 유동방지부
82 : 블레이드 84 : 중심축
86 : 통과홀부

Claims (10)

  1. 복수 개가 연속되게 연결되어 물탱크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
    물탱크의 측면과 연결되어 물탱크의 상면을 이루도록 복수 개가 연속되게 연결되는 상면패널;
    상기 측면패널의 하단을 밀폐시키도록 복수 개가 연속되게 연결되어 물탱크의 바닥면을 이루는 저면패널; 및
    물탱크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기 측면패널 사이의 간격과,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기 상면패널 및 상기 저면패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저면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이음부는, 물탱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물탱크에 담수되는 물이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고, 담수된 물의 수면에 열에너지를 제공하여 수면부터 동결되는 물의 동결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동파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파방지부는,
    상기 상면패널에 설치되는 컨트롤박스;
    상기 컨트롤박스로부터 물탱크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이동블록;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물에 열에너지를 제공하여 동결을 억제시키는 히터;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이동블록을 수면 높이에 따라 승강시키도록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수면을 따라 유동되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에는 물탱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돌출부와, 물탱크 내측으로 굴곡되어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기 측면패널과 연결되어 상기 이음부를 이루는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패널은, 물탱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돌출부와, 물탱크 내측으로 굴곡되어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기 상면패널과 연결되어 상기 이음부를 이루는 제1지지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패널은, 물탱크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3돌출부와, 물탱크 외측으로 굴곡되어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기 저면패널과 연결되어 상기 이음부를 이루는 제2지지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기 측면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제1연결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기 상면패널과 상기 저면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제2연결대; 및
    상기 제1연결대 또는 상기 제2연결대 연결부위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키도록 상기 제1연결대 또는 상기 제2연결대로부터 분기되어 물탱크 내벽에 연결되는 보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탱크 바닥면 모서리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측면패널과 상기 저면패널이 연결되는 모서리에 구비되는 누적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방지부는,
    상기 측면패널과 상기 저면패널이 연결되는 모서리를 차단하도록 상기 측면패널과 상기 저면패널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마감패널; 및
    상기 측면패널과 상기 저면패널 사이의 모서리와,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탱크에 담수되는 물이 일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물탱크 일부분에 하중이 가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물탱크 내부에서 물의 흐름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곡선형 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90435A 2017-07-17 2017-07-17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 KR101804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435A KR101804115B1 (ko) 2017-07-17 2017-07-17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435A KR101804115B1 (ko) 2017-07-17 2017-07-17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115B1 true KR101804115B1 (ko) 2017-12-04

Family

ID=60921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435A KR101804115B1 (ko) 2017-07-17 2017-07-17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1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017A (ko) * 2018-05-03 2019-11-13 장성욱 캠핑용 물탱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693Y1 (ko) * 1999-11-18 2000-05-15 성일기계공업주식회사 청소가 용이한 물저장 탱크
KR200210025Y1 (ko) * 2000-08-26 2001-01-15 박연수 위생 물탱크
KR200260811Y1 (ko) * 2001-10-11 2002-01-17 박상엽 물탱크의 동파 방지장치
KR200355737Y1 (ko) * 2004-04-19 2004-07-07 (주) 와이 디 티 패널조립식 물탱크용 보강대 조인트
KR101706038B1 (ko) * 2016-07-22 2017-02-14 주식회사 에스엠씨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 및 방파판유닛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693Y1 (ko) * 1999-11-18 2000-05-15 성일기계공업주식회사 청소가 용이한 물저장 탱크
KR200210025Y1 (ko) * 2000-08-26 2001-01-15 박연수 위생 물탱크
KR200260811Y1 (ko) * 2001-10-11 2002-01-17 박상엽 물탱크의 동파 방지장치
KR200355737Y1 (ko) * 2004-04-19 2004-07-07 (주) 와이 디 티 패널조립식 물탱크용 보강대 조인트
KR101706038B1 (ko) * 2016-07-22 2017-02-14 주식회사 에스엠씨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 및 방파판유닛 설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017A (ko) * 2018-05-03 2019-11-13 장성욱 캠핑용 물탱크장치
KR102100237B1 (ko) * 2018-05-03 2020-04-13 장성욱 캠핑용 물탱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260B1 (ko) 보강부를 갖는 저장탱크
KR102182923B1 (ko) 외부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스테인리스 물탱크
KR101804115B1 (ko)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
KR20120089060A (ko) 내진기능을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외부 보강프레임 조립체
KR101238030B1 (ko) 외부 보강프레임 조립체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KR101833440B1 (ko) 향상된 저장성 및 수압지지력을 가지는 사각 물탱크
KR101422783B1 (ko) 라이닝 판넬을 갖는 저장탱크
KR101170701B1 (ko) 스테인레스 패널이 라이닝된 물탱크
KR101945697B1 (ko) 슬래브용 트러스 데크
KR200379165Y1 (ko) 조립식 패널수조
KR0119659Y1 (ko) 플라스틱 수조
KR100951908B1 (ko) 조립식 탱크의 바닥부 조립구조
KR100762978B1 (ko) 수조(水槽)
KR20180131947A (ko) 향상된 저장성 및 수압지지력을 가지는 사각 물탱크
KR200408798Y1 (ko) 콘크리트 수조 리모델링구조
KR102411899B1 (ko) 자가진단이 가능한 물탱크
KR200371267Y1 (ko) 대용량 물탱크
KR100625119B1 (ko) 조립식 원형 물탱크
KR100569726B1 (ko) 조립식 원형 탱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원형 물탱크
KR100951907B1 (ko) 조립식 탱크의 상부패널
CN212100309U (zh) 一种外箍架大模板无筋式水箱
KR19990014726U (ko) 조립식 탱크구조물
KR101593112B1 (ko)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KR100570303B1 (ko) 대용량 물탱크
KR200170441Y1 (ko) 스테인레스 조립식 물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