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726U - 조립식 탱크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탱크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726U
KR19990014726U KR2019970027928U KR19970027928U KR19990014726U KR 19990014726 U KR19990014726 U KR 19990014726U KR 2019970027928 U KR2019970027928 U KR 2019970027928U KR 19970027928 U KR19970027928 U KR 19970027928U KR 19990014726 U KR19990014726 U KR 199900147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synthetic resin
bottom plate
wall plate
tank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9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20199700279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4726U/ko
Publication of KR199900147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726U/ko

Links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위판넬 상호간을 견고하면서도 밀실하게 조립되도록 하여 보다 액상물의 저장성을 향상시켜 주는 조립식 탱크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은 직사각형상으로 최하부 바닥에 수평하게 놓여지는 바닥판부(10)와, 상기 바닥판부(10) 사방 둘레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상부로 연장되는 벽판부(20)와, 상기 벽판부(20) 상부에 수평하게 덮여지는 상판부(30)로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10)와 상판부(30)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내표면 테두리를 따라 섬유직포(A1)를 매립하여서 된 수개의 단위판넬(1)들이 직사각형으로 조립된 수평부재(11)(12)로서 각각 연설되도록 하고, 상기 벽판부(20)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내표면 테두리를 따라 섬유직포(A2)를 매립하여서 된 수개의 단위판넬(1)들이 상기 바닥판부(10)와 상판부(30) 사이의 코너부위와 중간부위의 일정간격마다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코너부재(21) 및 수직중간부재(22)로서 연설되도록 하여, 그 벽판부(20)의 대향되는 수직중간부재(22)들 상호간이 타이볼트(23)로서 연결 지지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바닥판부(10), 벽판부(20), 상판부(30)들 각각의 단위판넬(1)들 상호간이 맞대어지는 접속부위에 각기 섬유직포(A2)를 일면에 매립하여서된 접착띠(2)를 배치하고 도포되는 접착제로서 접착시켜서 밀실하면서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탱크구조물
본 고안은 각종의 액상물을 대량으로 저장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특히 단위판넬 상호간을 견고하면서도 밀실하게 조립되도록 하여 보다 액상물의 저장성을 향상시켜 주는 조립식 탱크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립식 탱크구조물을 만드는 소재는 구조적인 강도를 가지는 철판이주로 선택되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이 철판을 소재로 선택하여 만들어진 탱크구조물은 구조적인 강도를 가지면서도 견고성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나, 재질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쉽게 부식될 수 있으며 설치 및 취급이 까다로워 제작비용 및 제작기간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재 개발에 부응하여 최근에는 플라스틱관넬로서 제작된 조립식 탱크구조물이 폭 넓게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조립식 탱크구조물은 각 모서리들이 일체로 접합되며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지며 바닥에 지지되며 사각형의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의 테두리에 일체로 접합되어 상부로 연장되고 그 하부에 배수통공이 형성성되는 사각통형의 벽판부와, 상기 벽판부의 상부에 일체로 접합되어 덮여지며 유입구를 가지는 상판부로 이루어지는 단일판체로 성형된 플라스틱판넬로 만들어졌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판넬로 만들어진 조립식 탱크구조물은 녹이 슬지 않으며 화학약품에도 부식이 쉽게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재를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으며, 철재에 비해 단위무게가 가벼워서 제작 및 취급이 용이한 등의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탱크구조물은 단일판체의 플라스틱판넬로서 성형되었기 때문에, 첫째 철재에 비해 단위두께당 구조적 강도가 취약하여 저장된 액상물에 의하여 작용되는 내압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둘째 외적인 충격이나 압축력이 가해지면 쉽게 판손될 염려가 있어 액상물의 저장성이 저하되었으며, 셋째, 플라스틱판넬 상호간을 실링하고 일일히 체결볼트로서 조립하게 되는 작업상의 이유로 조립제작이 용이하지 못하였으며, 넷째 장기간 사용시에 플라스틱판넬이 변형됨에 따라 그 플라스틱판넬 상호간의 접합부위를 통하여 누수가 발생되었으며, 다섯째 열전달이 쉽게 이루어져 외부 온도의 변화에 따른 저장된 액상물의 악영향을 받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구조적 강도를 가지는 복합단위판넬을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로서 지지시키고 접착띠로서 밀실하게 접합되도록 함으로써, 첫째 저장된 액상물에 의하여 작용되는 내압에 대응하는 견고한 탱크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으며, 둘째 단위판넬 접합부위의 수밀성 및 유연성을 보장하여서 보다 신뢰성있는 탱크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으며, 셋째, 복합 단위판넬를 조립 제작하여서 외기 온도를 적극 차단하여 주는 단열성이 향상된 탱크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으며, 넷째 조립 제작에 따른 작업여건을 단순화하여서 제작비용 및 제작기간을 감축을 통한 경제성있는 탱크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 탱크구조물을 나타낸 일부절결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탱크구조물의 일부절결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탱크구조물의 일부절결 정면도.
도 4는 도 2의 "A"부 확대단면도.
도 5, 도 6, 도 7, 도 8은 본 고안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발췌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위판넬 A1: 섬유직포
2 : 접착띠 A2: 섬유직포
10 : 바닥판부 11 : 수평부재
20 : 벽판부 21 : 수직코너부재
22 : 수직중간부재 23 : 타이볼트
30 : 상판부 31 : 수평부재
본 고안은 직사각형상으로서 최하부 바닥에 수평하게 놓여지는 바닥판부(10)와, 상기 바닥판부(10) 사방 둘레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상부로 연장되는벽판부(20)와, 상기 벽판부(20) 상부에 수평하게 덮여지는 상판부(30)로서 구성되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적인 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 고안의 조립식 탱크구조물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부(10)와 상판부(30)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내표면 테두리를 따라 섬유직포(A1)를 매립하여서 된 수개의 단위판넬(1)들이 직사각형으로 조립된 수평부재(11)(12)로서 각기 연설되도록 하고, 상기벽판부(20)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내표면 테두리를 따라 섬유직포(A2)를 매립하여서된 수개의 단위판넬(1)들이 상기 바닥판부(10)와 상판부(30) 사이의 코너부위와 중간부위의 일정간격마다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코너부재(21) 및 수직중간부재(22)로서 연결되도록 하여, 그 벽판부(20)의 대향되는 수직중간부재(22)들 상호간이 타이볼트(23)로서 연결 지지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바닥판부(10), 벽판부(20), 상부판(30)들 각각의 단위판넬(1)들 상호간이 맞대어지는 접속부재에 상기 섬유직포(A2)를 일면에 매립하여서 된 접착띠(2)를 배치하고 도포되는 접착제로서 접착시켜서 밀실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단위 면적당 단면 2차 모멘트가 큰 복합 단위판넬(1)로서 바닥판부(10), 벽판부(20), 상판부(30)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하중에 대응하는 구조적 강도가 증대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 바닥판부(10), 상부판(30)를 이루는 단위판넬(1)는 금속재의 수평부재(11)(12)로 연설되도록 하고, 그 바닥판부(10)와 상판부(30) 사이의 벽판부(20)를 이루는단위판넬(1)은 수직코너부재(21) 및 수직중간부재(22)로서 연결하여서 대향되는 수직중간부재(22)들을 타이볼트(23)로서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저장된 액상물에 의하여 작용되는 내압에 견고하게 유지 지탱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상기 바닥판부(10), 벽판부(20), 상판부(30)를 이루도록 연결되어서 각기 내표면 테두리에 섬유직포(A1)가 매립된 단위판넬(1)들이 맞대어지는 접합부재에 섬유직포(A2)를 매립하여서된 접착띠(2)를 접착제로서 접합함으로써, 수밀성을 향상시켜주면서도 외부의 온도변화에 융통성있게 대응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판부(10)와 상판부(30)의 수평부재(11)(12)들은 각기 C형 찬넬로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그 수평부재(11)(12)에 단위판넬(1)들이 끼워져서 조립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상기 벽판부(20)의 수직코너부재(21)는 한쌍의 C형 찬넬들을 직각으로 대접되도록 하여서 되며, 그 수직코너부재(21)들 중간에 위치하는 수직중간부재(22)들은 한쌍의 C형 찬넬들이 간격유지볼트(24)로서 일정 틈새를 가지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상기 벽판부(20)의 대향되는 수직중간부재(22) 상호간의 틈새를 통하여 타이볼트(23)를 관통되게 체결하여서 지지되도록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부(10), 벽판부(20), 상판부(30)를 이루는 단위판넬(1)들은 합성수지로서 성형하여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판(1a)으로서 형성되도록 하고, 그 내표면의 사방 테두리를 따라 섬유직포(A1)를 매립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단위판넬(1)들은 중공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판(1a)으로서 단위면적당 단면2차모멘트가 증대되도록 하면서도, 그 단위판넬(1)들이 맞물려지는 상기 바닥판부(10), 벽판부(20), 상판부(30)의 접합부위가 그 단위판넬(1) 사방 테두리와 접착띠(2)에 각기 매립된 섬유직포(A1)(A2)를 매개로하여 접착제로서 밀실하게 접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변형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으로써,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바닥판부(10), 벽판부(20)를 이루는 단위판넬(1)들은 합성수지로서 성형하여서 내부에 적은 크기의 중공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판(1a)의 내표면 사방테두리를 따라 섬유직포(A1)를 매립하여서 되며, 그 합성수지 중공판(1a)의 외측에 겹쳐져서 굴곡파형이 연속되는 단면형상을 갖는 금속판(1b)이 합성수지 단판(1c)으로서 감싸지도록 한 것이다.
또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바닥판부(10), 벽판부(20)를 이루는 단위판넬(1)들은 합성수지로서 성형하여서 내부에 적은 크기의 중공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판(1a)의 내표면 사방 테두리를 따라 섬유직포(A1)를 매립하여서 되며, 그 합성수지 중공판(1a)의 외측에 배치되는 보강앵글(1d)로서 보강되도록 한 것이다.
또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바닥판부(10)와 벽판부(20)를 이루는 단위판넬(1)들은 굴곡파형이 연속되는 단면형상을 가지는 금속판(1b)의 내외면이 합성수지로서 성형된 합성수지 단판(1c)들로서 감싸지도록 하고, 그 내측에 위치하는 합성수지 단판(1c)의 내표면 사방 테두리를 따라 섬유직포(A1)를 매립하여서 된 것이다.
또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바닥판부(10), 벽판부(20)를 이루는 단위판넬(1)들은 합성수지로서 성형하여서 내부에 적은 크기의 중공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판(1a)의 내표면 사방 테두리를 따라 섬유직포(A1)를 매립하여서 되며, 그 합성수지 중공판(1a)의 외측에 배치되는 보강앵글(1d)로서 보강되도록 한 것이다.
또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바닥판부(10), 벽판부(20)를 이루는 단위판넬(1)들은 합성수지로서 성형하여서 내부에 적은 크기의 중공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판(1a)의 내표면 사방 테두리를 따라 섬유직포(A1)를 매립하여서 되며,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1a)의 외측에 굴곡파형이 연속되는 단면형상을 가지는 보강앵글(1d)로서 보강되도록 한 것이다.
또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바닥판부(10), 상판부(30) 각각의 수평부재(11)(12)들은 L형 찬넬로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합성수지 중공판(1a)으로서 형성된 단위판넬(1)들이 수평하게 맞대어져서 연설되도록 하고, 상기 벽판부(20) 사방의 코너부위에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코너부재(21)들은 각기 L형 찬넬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되, 그 벽판부(20)의 수직코너부재(21)들 중간에 치하는 수직중간부재(22)들은 T형 찬넬로서 이루어지도록 하여서 합성수지 중공판(1a)으로 형성된 단위판넬(1)들이 수직으로 연설되도록 하고, 상기 벽판부(20)의 대향되는 수직코너부재(21)들 상호간이 걸고리(23a)를 가지는 타이볼트(23)로서 연결 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 고안의 조립식 탱크구조물을 구조적 강도를 가지는 복합 단위판넬을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로서 지지시키고 접착띠로서 밀실하게 접합되도록 함으로써, 외적인 하중 및 충격은 물론이고 저장된 액상물에 의하여 작용되는 내압에 대응하는 구조적 강도와 단열성능을 동시에 향상시켜 주며, 단위판넬 접합부위의 수밀성을 보장하여 주며, 간편,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등의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8)

  1. 직사각형상으로 최하부 바닥에 수평하게 놓여지는 바닥판부(10)와, 상기 바닥판부(10) 사방 둘레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상부로 연장되는 벽판부(20)와, 상기 벽판부(20) 상부에 수평하게 덮여지는 상판부(30)로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10)와 상판부(30)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내표면 테두리를 따라 섬유직포(A1)를 매립하여서 된 수개의 단위판넬(1)들이 직사각형으로 조립된 수평부재(11)(12)로서 각각 연설되도록 하고, 상기 벽판부(20)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내표면 테두리를 따라 섬유직포(A2)를 매립하여서 된 수개의 단위판넬(1)들이 상기 바닥판부(10)와 상판부(30) 사이의 코너부위와 중간부위의 일정간격마다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코너부재(21) 및 수직중간부재(22)로서 연설되도록 하여, 그 벽파부(20)의 대향되는 수직중간부재(22)들 상호간이 타이볼트(23)로서 연결 지지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바닥판부(10), 벽판부(20), 상판부(30)들 각각의 단위판넬(1)들 상호간이 맞대어지는 접속부위에 각기 섬유직포(A2)를 일면에 매립하여서된 접착띠(2)를 배치하고 도포되는 접착제로서 접착시켜서 밀실하면서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탱크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10), 벽판부(20), 상판부(30)를 이루는 단위판넬(1)들은 합성수지로서 성형하여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판(1a)으로서 형성되도록 하고, 그 내표면의 사방 테두리를 따라 섬유직포(A1)를 매립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탱크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10), 벽판부(20)를 이루는 단위판넬(1)들을 합성수지로서 성형하여서 내부에 적은 크기의 중공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판(1a)의 내표면 사방 테두리를 따라 섬유직포(A1)를 매립하여서 되며, 그 합성수지 중공판(1a)의 외측에 겹쳐져서 굴곡파형이 연속되는 단면형상을 가지는 금속판(1b)이 합성수지 단판(1c)으로서 감싸지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탱크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10), 벽판부(20)를 이루는 단위판넬(1)들은 합성수지로서 성형하여서 내부에 적은 크기의 중공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판(1a)의 내표면 사방 테두리를 따라 섬유직포(A1)를 매립하여서 되며, 그 합성수지 중공판(1a)의 외측에 배치되는 보강 앵글(1d)로서 보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탱크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10)와 벽판부(20)를 이루는 단위판넬(1)들은 굴곡파형이 연속되는 단면형상을 가지는 금속판(1b)의 내외면이 합성수지로서 성형된 합성수지 단판(1c)들로서 감싸지도록 하고, 그 내측에 위치하는 합성수지 단판(1c)의 내표면 사방 테두리를 따라 섬유직포(A1)를 매립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탱크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10), 벽판부(20)를 이루는 단위판넬(1)들은 합성수지로서 성형하여서 내부에 적은 크기의 중공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판(1a)의 내표면 사방 테두리를 따라 섬유직포(A1)를 매립하여서 되며, 그 합성수지 중공판(1a)의 외측에 배치되는 보강앵글(1d)로서 보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탱크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10), 벽판부(20)를 이루는 단위판넬(1)들은 합성수지로서 성형하여서 내부에 적은 크기의 중공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중공판(1a)의 내표면 사방 테두리를 따라 섬유직포(A1)를 매립하여서 되며, 상기 합성수지 중공판(1a)의 외측에 굴곡파형이 연속되는 단면형상을 가지는 보강앵글(1d)로서 보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탱크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10), 상판부(30) 각각의 수평부재(11)(12)들은 L형 찬넬로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을 이루도록 합성수지 중공판(1a)으로서 형성된 단위판넬(1)들이 수평하게 연설되도록 하고, 상기 벽판부(20) 사방의 코너부위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코너부재(21)들은 각기 L형 찬넬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되, 그 벽판부(20)의 수직코너부재(21)들 중간에 치하는 수직중간부재(22)들은 T형 찬넬로서 이루어지도록 하여서 합성수지 중공판(1a)으로 형성된 단위판넬(1)들이 수직으로 연설되도록 하고, 상기 벽판부(20)의 대향되는 수직코너부재(21)들 상호간이 걸고리(23a)를 가지는 타이볼트(23)로서 연결 지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탱크구조물.
KR2019970027928U 1997-10-08 1997-10-08 조립식 탱크구조물 KR199900147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928U KR19990014726U (ko) 1997-10-08 1997-10-08 조립식 탱크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928U KR19990014726U (ko) 1997-10-08 1997-10-08 조립식 탱크구조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514A Division KR100394434B1 (ko) 2002-10-04 2002-10-04 조립식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726U true KR19990014726U (ko) 1999-05-06

Family

ID=69675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928U KR19990014726U (ko) 1997-10-08 1997-10-08 조립식 탱크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4726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898B1 (ko) * 2001-03-03 2003-04-11 변무원 조립식 대형수조
KR100456227B1 (ko) * 2002-10-15 2004-11-09 변무원 조립식 물탱크
KR100456228B1 (ko) * 2002-10-15 2004-11-09 변무원 조립식 물탱크
KR100460484B1 (ko) * 2002-10-15 2004-12-08 변무원 조립식 물탱크
KR100762978B1 (ko) * 2007-04-10 2007-10-02 주식회사 청산기업 수조(水槽)
KR200448026Y1 (ko) * 2009-07-30 2010-03-10 주식회사 시스턴 조립식 탱크의 복합패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898B1 (ko) * 2001-03-03 2003-04-11 변무원 조립식 대형수조
KR100456227B1 (ko) * 2002-10-15 2004-11-09 변무원 조립식 물탱크
KR100456228B1 (ko) * 2002-10-15 2004-11-09 변무원 조립식 물탱크
KR100460484B1 (ko) * 2002-10-15 2004-12-08 변무원 조립식 물탱크
KR100762978B1 (ko) * 2007-04-10 2007-10-02 주식회사 청산기업 수조(水槽)
KR200448026Y1 (ko) * 2009-07-30 2010-03-10 주식회사 시스턴 조립식 탱크의 복합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923B1 (ko) 외부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스테인리스 물탱크
KR19990014726U (ko) 조립식 탱크구조물
KR101455819B1 (ko) 합성수지 중공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물탱크
KR100588393B1 (ko) y형강판 띠 기둥 = y형 띠 기둥
KR0119659Y1 (ko) 플라스틱 수조
JP4086145B2 (ja) 耐久性のある密封タンク
KR101827146B1 (ko) 외부보강 조립식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100407231B1 (ko) 패널수조 제조방법 및 패널수조
KR100456228B1 (ko) 조립식 물탱크
KR100209016B1 (ko) 합성수지제 탱크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63822Y1 (ko) 보온커버를 구비하는 조립식 물탱크
KR100244887B1 (ko) 조립식 탱크구조물
KR101593112B1 (ko)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KR102440815B1 (ko) 웨이브형 조립블록을 이용한 내진성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960005156Y1 (ko) 내부 보강재없는 frp 탱크
KR100460484B1 (ko) 조립식 물탱크
KR100992998B1 (ko) 조립식 수조의 내부보강재 연결장치
KR100302488B1 (ko) 대형수조용 유니트판넬 및 그를 이용한 대형수조의 제조방법
KR100394435B1 (ko) 대형수조의 설치구조
KR19980061672U (ko) 사각패널을 이용한 물저장탱크
KR200356763Y1 (ko) 패널을 결합하여 구성된 조립식 물탱크
KR100352387B1 (ko) 합성수지제 대형 물탱크
KR102312189B1 (ko) 건식패드 일체형 무용접, 무보강 pdf 내진물탱크
KR200154627Y1 (ko) 합성수지제 대형수조
KR200281017Y1 (ko) 물탱크용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25 Withdrawal of application by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