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017Y1 - 물탱크용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 - Google Patents

물탱크용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017Y1
KR200281017Y1 KR2020020012304U KR20020012304U KR200281017Y1 KR 200281017 Y1 KR200281017 Y1 KR 200281017Y1 KR 2020020012304 U KR2020020012304 U KR 2020020012304U KR 20020012304 U KR20020012304 U KR 20020012304U KR 200281017 Y1 KR200281017 Y1 KR 200281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olt
water tank
bolt coupl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치근
Original Assignee
한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치근 filed Critical 한치근
Priority to KR2020020012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0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017Y1/ko

Links

Landscapes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 탱크용 조립식 판넬에 관한 것으로, 물탱크용 볼트 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에 있어서,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외측으로 외향돌출된 돌출부(101)가 형성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와 일체로 구성되고 본체부(100)의 가장 자리부에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등간격으로 볼트결합공(111)이 형성되어 인접된 판넬과 볼트 결합되는 볼트결합부(110); 그리고, 상기 볼트결합부(11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0)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판넬의 볼트결합부(110)에 볼트(140)가 결합되어 판넬과 판넬이 조립될 시, 볼트결합부(110)의 강성을 유지시켜 볼트결합부(110)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강성보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물탱크용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판넬자체의 강성이 유지됨에 의해 결합부의 뜨는 현상이 방지됨과 동시에 별도의 보강부재의 설치가 필요치 않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물탱크용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stainless steel panel for water tank}
본 고안은 조립식 물탱크의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판넬의 프렌지 부분이 ㄷ 자형으로 절곡되어 볼트로 결합됨에 의해결합을 강하게 하여 누수를 방지시킴과 동시에 수압에 잘 견디는 물텡크용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용량 조립식 물탱크는 내식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판넬의 소재로서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하여 판넬을 구성하고 볼트를 사용하여 판넬 상호간을 조립함에 의해 사용되었다.
상기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256382호에 내식성능이 우수한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물탱크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판넬의 플렌지면을 상호간에 대항 접촉시킨 후 볼트로 조임함에 의해 조립식 물탱크를 완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판넬의 플렌지 부분이 ㄱ자로 절곡되어 있어 프렌지 부분을 볼트로서 상호간에 조임함에 의해 볼트로 조임된 부분은 상호간에 밀착되지만 볼트와 볼트사이의 중간부분은 강성이 지탱되지 못함에 의해 틈이 발생하게 되어 틈 사이로 누수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보강바가 설치되어야만 하므로 제작비용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판낼후렌지 부분이 외측으로 예리하게 돌출됨에 의해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립식 물텡크용 스테인레스 판넬의 프렌지 부분을 ㄷ 자로 절곡하여 플렌지 부분을 볼트로결합하여 판넬을 상호간에 연결함에 의해 결합 강성을 유지하며 결합부분의 뜨는 현상이 방지되는 물탱크용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판넬과 판넬의 연결부위가 H 빔형상으로 형성되어 강성을 유지함에 의해 별도의 보강부재가 필요치 않는 물탱크용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을 제공하는 것을 또한 목적으로 한다.
도1 - 종래기술에 따른 판넬의 접합구조를 나타낸 도.
도2 - 본 고안에 따른 물탱크용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의 사시도.
도3 - 요부종단면도.
도4 - 판넬의 일부 절개된 형상을 나타낸 도.
도5 - 판넬과 판넬이 결합된 형상을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부 101 : 돌출부
110 : 볼트결합부 111 : 볼트결합공
120 : 강성보조부 130 : 볼트
140 : 씰링테이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물탱크용 볼트 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에 있어서,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외측으로 외향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구성되고 본체부의 가장 자리부에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등간격으로 볼트결합공이 형성되어 인접된 판넬과 볼트결합되는 볼트결합부; 그리고, 상기 볼트결합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판넬의 볼트결합부에 볼트가 결합되어 판넬과 판넬이 조립될 시, 볼트결합부의 강성을 유지시켜 볼트결합부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강성보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물탱크용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강성보조부는 강성보조부의 단부가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판넬자체의 강성이 유지됨에 의해 결합부의 뜸 현상이 방지됨과 동시에 별도의 보강부재의 설치가 필요치 않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물탱크용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의 사시도이고, 도3은 요부종단면도이며, 도4는 판넬의 일부절개된 형상을 나타낸 도이며, 도5는 판넬과 판넬이 결합되는 형상을 나타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탱크용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은 대용량의 물탱크에 사용되는 것으로 판넬과 판넬을 상호간에 조립하여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구조이며 사용되는 스테인레스는 STS 계열이 사용된다.
본 고안의 판넬은 크게 본체부(100)와, 볼트결합부(110) 그리고 강성보조부(120)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부(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돌출부(101)가 형성되며, 판넬이 조립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100)에 수용된 물이 직접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의 단부 인접부는 외측으로 ㄱ자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의 볼트결합부(110)가 상기 본체부(100)에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부(100)의 네 모서리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되어 볼트결합부(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결합부(110)에는 등간격으로 볼트결합공(111)이 다수개 형성되고, 인접한 판넬의 볼트결합부(110)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결합공(111)에 볼트(130)가 삽입되어 너트로 결합됨에 의해 판넬과 판넬이 결합되어 물탱크의 전체적 구조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인접한 판넬의 볼트결합부(110) 사이에는 씰링테이프(140)가 삽입됨에 의해 상기 인접한 판넬 사이로 물이 누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런데 상기 본체부(100)의 가장자리 부분에 볼트결합부(110)만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볼트(140)가 결합되는 부분은 볼트(140)에 의해 조임된다. 그러나 볼트조임부의 볼트조임에 의해 볼트조임부와 볼트조임부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생기게 되어 상기 공간으로 물이 누수되는 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강성보조부(120)를 형성시켰다.
상기 강성보조부(120)는 상기 볼트결합부(110) 단부에 상기 본체부(100)측으로 ㄱ자형상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상기 볼트결합부(110)와 일체로 형성 판넬의 프렌지는 대략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결합부(110)에 볼트(140)가 조임되더라도 상기 강성보조부(120)가 상기 볼트결합부(110)의 강성을 보조함에 의해 상기 볼트결합부(110)의 뜨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강성보조부(120)의 단부는 라운딩 처리됨에 의해 설치시 사용자에 대한 안전사고 등이 예방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사용자가 상기 판넬을 이용하여 물탱크를 형성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돝출부(101) 및 볼트결합부(110)가 외측으로 드러나게 한다. 그런 다음 판넬과 판넬을 상호간에 대접시키는바, 인접한 판넬 상호간에 볼트결합부(110)가 상호간에 접촉되게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인접한 판넬 상호간에는 볼트결합부(110)에 형성된 볼트결합공(111)이 상호간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그런 다음, 상기 인접한 판넬의 볼트결합부(110)와 볼트결합부(110) 사이에 씰링테이프(140)를 삽입하고, 볼트결합공(110)에 볼트(140)를 삽입하여 너트로 고정하는 형태로 판넬과 판넬을 연결 결합시키면 물탱크 형상이 완성된다. 즉, 강성보조부(120)가 형성됨에 의해 판넬 자체로 볼때는 ㄷ 자형상으로 형성되며 판넬과 판넬이 조립결합되는 경우에, 도6과 같이 H 형강 구조로 됨에 의해 내구성과 안전도가 뛰어나 대용량 물탱크로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상기 판넬의 외표면에 단열재 등을 설치하여 물탱크 내부에 수용된 물을 외부와 열적으로 차단시킨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첫째, 볼트결합부에 있어서 볼트와 볼트사이의 뜨지 않게 되어 누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강성보조부가 판넬전체를 지지함에 의해 별도의 보강바 설치가 불필요 하다는 효과가 있다.
판넬자체로는 ㄷ 자 형상이지만 판넬이 조립결합되는 경우 조립부가 H 형강 구조가 됨에 의해 내구성과 안전도가 뛰어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물탱크용 볼트 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에 있어서,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외측으로 외향돌출된 돌출부(101)가 형성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와 일체로 구성되고 본체부(100)의 가장 자리부에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등간격으로 볼트결합공(111)이 형성되어 인접된 판넬과 볼트 결합되는 볼트결합부(110); 그리고,
    상기 볼트결합부(11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0)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판넬의 볼트결합부(110)에 볼트(140)가 결합되어 판넬과 판넬이 조립될 시, 볼트결합부(110)의 강성을 유지시켜 볼트결합부(110)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강성보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용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보조부(120)는 강성보조부(120)의 단부가 라운딩 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용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
KR2020020012304U 2002-04-23 2002-04-23 물탱크용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 KR200281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304U KR200281017Y1 (ko) 2002-04-23 2002-04-23 물탱크용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304U KR200281017Y1 (ko) 2002-04-23 2002-04-23 물탱크용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017Y1 true KR200281017Y1 (ko) 2002-07-13

Family

ID=7307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304U KR200281017Y1 (ko) 2002-04-23 2002-04-23 물탱크용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0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019B1 (ko) * 2009-11-06 2012-02-24 김재철 조립식 물탱크의 실링구조
KR101481799B1 (ko) 2014-09-16 2015-01-14 성일기계공업 (주) 염소가스에 의한 부식방지 구조를 갖는 물탱크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019B1 (ko) * 2009-11-06 2012-02-24 김재철 조립식 물탱크의 실링구조
KR101481799B1 (ko) 2014-09-16 2015-01-14 성일기계공업 (주) 염소가스에 의한 부식방지 구조를 갖는 물탱크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1017Y1 (ko) 물탱크용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
KR960010260B1 (ko) 펌프의 배관접속부
JP6060307B1 (ja) 圧入装置
KR19990014726U (ko) 조립식 탱크구조물
JP3962478B2 (ja) セグメント継手およびトンネル覆工作業用のセグメント
KR100318008B1 (ko) 돔 커버의 조립구조
KR100787877B1 (ko) 물탱크용 패널의 조립구조
JPS644716Y2 (ko)
KR200410523Y1 (ko) 조립식 물탱크보강용 브라켓 및 이것의 설치구조
KR19980038718U (ko) 건축용 배관덕트의 배관지지장치
JPH10183732A (ja) 可撓性継手の取付け構造
JPS636261Y2 (ko)
JPH07232793A (ja) パネル組立式タンク用ステーブロック取付構造
KR100992998B1 (ko) 조립식 수조의 내부보강재 연결장치
JP3037072B2 (ja) 液体貯留タンク
KR200302758Y1 (ko) 파이프 연결용 체결구조
JPS6318617Y2 (ko)
JPH049764Y2 (ko)
KR20000074385A (ko) 방수성이 개선된 샌드위치 패널지붕 및 그 시공방법
KR200206020Y1 (ko) 파형강판용 연결기구
JPH0232424B2 (ko)
JP4255175B2 (ja) 母屋の取付け構造
JPS6333833Y2 (ko)
JPH0414564Y2 (ko)
JPH04561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