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523Y1 - 조립식 물탱크보강용 브라켓 및 이것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물탱크보강용 브라켓 및 이것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523Y1
KR200410523Y1 KR2020050036488U KR20050036488U KR200410523Y1 KR 200410523 Y1 KR200410523 Y1 KR 200410523Y1 KR 2020050036488 U KR2020050036488 U KR 2020050036488U KR 20050036488 U KR20050036488 U KR 20050036488U KR 200410523 Y1 KR200410523 Y1 KR 200410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racket
vertical member
reinforcing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원
Original Assignee
박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원 filed Critical 박종원
Priority to KR2020050036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5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5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3Modula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0Large containers rigid parallelepiped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65D90/20Frames or nets, e.g. for flexible conta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물탱크 보강용 브라켓에 관련되는 것으로 누수에 취약한 패널 모서리부에 대한 기밀성을 높이는 동시에 조립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구성으로 조립식 물탱크를 구성함에 있어 플랜지를 갖는 패널의 모서리부 보강 및 기밀유지를 위해 설치되는 조립식물탱크 보강용 브라켓에 있어서, ㄴ 자형을 이루도록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갖추며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이루는 각도가 85도 이상에서 90도 미만을 형성하고,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만나는 모서리부위는 면취 처리되고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볼트로서 플랜지에 체결시 작용되는 누름력이 패널의 모서리부로 집중될 수 있게 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바디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부에 동일축을 이루는 통공이 구비되어 패널 내부로부터 형성되는 보강바가 상기 통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삼각형의 측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하는 조립식물탱크 보강용 브라켓 및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물탱크, 누수방지, 보강, 브라켓, 패널

Description

조립식 물탱크보강용 브라켓 및 이것의 설치구조{BRACKET AND ITS INSTALLATION STRUCTURE FOR REINFORCING A BUILT-UP WATER TANK}
도1 - 종래기술에 따른 조립식 물탱크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2 - 도1에 있어 A 부 확대도.
도3 -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외부보강판을 보여주는 정면도와 조립단면도.
도4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5 - 브라켓의 단면도.
도6 - 브라켓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브라켓 110 : 바디
120 : 측판 130 : 보강바고정볼트
200 : 보강바 210 : 보강판
p : 패널 f : 플랜지
본 고안은 가정이나 아파트 등에 설치되어 담수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조립식 물탱크 보강용 브라켓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물탱크 조립을 위해 사용되는 패널과 패널의 연결에 있어 누수에 취약한 모서리부에 추가로 설치됨으로써 효과적인 누수방지가 가능하고 동시에 물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바와 연결하므로서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물탱크보강용 브라켓 및 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에는 생활용수를 저장하기 위해 SMC(SHEET MOLDING COMPOUND)나 스테인레스 재료로 된 사각형의 패널을 상호간에 연결하여 내부가 빈 물탱크를 설치하고 있다.
첨부되는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조립식 물탱크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에 있어 A 부 확대도에 해당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물탱크용 측면패널(20)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가장자리에 플랜지(24)가 갖추어져 이웃한 패널의 연결시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씰링재를 삽입하고 볼트로서 체결하여 물탱크를 완성하게 된다. 이렇게 완성되는 조립식 물탱크는 물이 수용됨으로써 패널에 큰 압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플랜지와 플랜지의 연결부에서 누수가 발생되고 특히 패널의 네 모서리부 부위가 가장 취약한 특성을 나타낸다.
도1 및 도2에 나타난 종래기술에 따른 조립식 물탱크의 코너 보강구조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381805호로 공지된 것이며, 이것의 주요한 구성을 보면, 1쌍이 상하로 서로 이웃하면서 코너연결프레임(10)과 접하여 고정되는 측면패 널(20)의 모서리 한쪽 코너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코너고정부재(30)와, 상기 코너고정부재(30)를 상기 측면패널(20)의 플랜지부(24)에 접하는 상태로 고정시키는 체결구(40)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고정부재(30)는 금속소재의 막대판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중간부를 직각으로 굽힘가공하여 형성되어 한쪽은 상기 코너보강부재(30)와 접하는 쪽에 위치한 측면패널의 플랜지부(24)에 접하여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상하로 인접하는 플랜지부에 접하여 고정되는 고정부(32)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코너연결프레임과 측면패널의 플랜지부 및 코너고정부재의 고정부를 각각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조립식 물탱크의 코너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코너고정부재(30)의 일측에는 연결부(36)가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코너고정부재가 직각을 이루는 고정부(32)로 구성되므로 플랜지부에 볼트로 체결될 시에 누름력이 수직방향으로만 작용하므로 코너부로 힘을 집중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코너고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코너부에 대한 보강이 어느 정도 이루어져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나, 누수방지를 달성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어 여전히 누수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코너고정부재(30)의 외측에만 연결부(36)가 결합되는데, 이로 인해 볼트로 체결시 연결부가 없는 내측에서 고정부(32)의 변형이 유발될 가능성이 많아 장기적인 측면에서 구조적으로 불완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과 관련되는 또 다른 종래기술을 보면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56382호에 외부보강판이 공지되어있다. 도3은 종래기술에 따른 외부보강판을 보여주는 정면도와 조립단면도에 해당되며, 상기 외부보강판(12)은 4개의 패널(2)이 교차하는 부위에 위치되는 내부브라켓(5)과 볼트(13)로서 연결되는 부재이다. 상기 외부보강판은 타 부위에 비해 취약한 패널의 모서리부를 보강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나, 도시된 것처럼 상기 외부보강판은 일체를 이루는 사각부재로서 교차되는 플랜지 상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내부로 부터 관통되는 볼트와 네곳에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외부보강판의 경우 일체를 이루므로 네 곳에서 각각의 패널과 연결시 볼트를 조으는 힘이 동일하지 않게 되면 상대적으로 강하게 조여진 방향으로 굽힘이 발생될 수 있고 이것은 오히려 패널간 연결을 불안정하게 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패널의 외면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브라켓의 구조를 개선하여 플랜지에 체결함에 의해 누름력이 패널의 모서리부로 집중될 수 있게 하여 누수방지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물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바와 개별적인 브라켓을 연결하므로서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물탱크 보강용 브라켓과 이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조립식 물탱크를 구성함에 있어 플랜지를 갖는 패널의 모서리부 보강 및 기밀유지를 위해 설치되는 조립식물탱크 보강용 브라켓에 있어서, ㄴ 자형을 이루도록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갖추며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이루는 각도가 85도 이상에서 90도 미만을 형성하고,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만나는 모서리부위는 면취 처리되고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볼트로서 플랜지에 체결시 작용되는 누름력이 패널의 모서리부로 집중될 수 있게 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바디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부에 동일축을 이루는 통공이 구비되어 패널 내부로부터 형성되는 보강바고정볼트가 상기 통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삼각형의 측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물탱크 보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상기 바디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판 중 패널과 접촉되는 내측 측판은 바디와의 연결부가 둥글게 라운드 처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물탱크 보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조립식 물탱크를 구성함에 있어 플랜지를 갖는 패널의 모서리부 보강 및 기밀유지를 위해 설치되는 조립식물탱크 보강용 브라켓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물탱크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맞은편의 패널을 상호 구속하도록 하는 보강바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보강판을 패널에 고정하기 위해 패널의 내부로 부터 외부로 관통되게 설치되는 보강바고정볼트와; ㄴ 자형을 이루도록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갖추며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이루는 각도가 85도 이상에서 90도 미만을 형성하고,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만나는 모서리부위는 면취 처리되고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플랜지와 체결될 시 누름력이 패널의 모서리부로 집중되게 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바디의 변형을 방지하며 내부에 동일축을 이루는 통공이 구비되어 상기 통공에 상기 보강바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삼각형의 측판과; 상기 통공에 삽입된 보강바고정볼트와 측판을 조여주는 너트;로서 누설에 취약한 패널의 모서리부에 대해 기밀성을 높이고 수압에 의한 패널의 저항력도 향상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물탱크 보강용 브라켓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물탱크 보강용 브라켓 및 이의 설치구조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먼저 조립식물탱크 보강용 브라켓(이하 브라켓이라 명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은 조립식 물탱크를 구성함에 있어 사용되는 패널의 모서리부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기밀유지 및 결합구조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패널은 가장자리에 돌출된 플랜지를 갖추고 있다.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시된 것처럼 상기 브라켓은 크게 바디(110)와 측판(120)으로 구성이 되는데, 상기 바디(110)는 ㄴ 자형을 이루도록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갖추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교차되어 이루는 각도는 85도 이상에서 90도 미만을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만나는 모서리부위(115)는 면취 처리되어져 있으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 각각에는 천공된 체결공(117)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공의 형상 은 타원형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를 구성하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이루는 각도를 85도 이상에서 90도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은 볼트로서 플랜지에 브라켓을 체결시 발생되는 누름력이 패널의 모서리부로 집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바디를 이루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직각을 이루므로 볼트로 체결시 힘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므로 패널의 모서리부로 힘이 집중되지 못하게 되나, 본 고안과 같이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90도 미만의 각을 이루므로 볼트로 체결하게 되면 작용, 반작용의 원리에 의하여 누름력이 패널의 모서리부로 집중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이루는 각도는 85도 이상으로 하는데, 이것은 85도 미만으로 할 시에는 볼트와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가 이루는 접촉면이 지극히 작아져 효과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며,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교차되는 부위를 면취 처리하는 것은 패널의 모서리부에 설치시 간섭되는 문제와 패널을 손상케 하는 문제를 없애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바디(110)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측판(120)에 대해 설명하며, 상기 측판(120)은 바디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양 측판에는 동일축을 이루는 통공(125)이 구비되어있다. 상기 통공(125)에는 패널(p) 내부로부터 형성되는 보강바고정볼트(130)가 삽입되며 너트(n)로서 측판과 보강바고정볼트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보강바고정볼트 및 측판과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할 브라켓 설치구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한편, 상기 바디(110)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판(120) 중 패널(p)과 직접 접촉되는 내측 측판은 바디와의 연결부가 둥글게 라운드 처리되는 형태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5는 브라켓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측판(120a)은 바디(110)와의 연결부가 둥글게 처리되어 있고, 외측측판(120b)은 직각을 이루고 있음을 보여준다. 물론 외측측판 역시 라운드 처리될 수도 있다. 이처럼 패널과 직접 접촉되는 내측 측판과 바디와의 연결부를 라운드처리 하는 것은 브라켓을 패널에 설치하기 위해 볼트로 조임에 의해 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패널과의 간섭으로 인해 완전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게 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상술한 브라켓을 이용한 조립식물탱크 보강용 브라켓의 설치구조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도6은 이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브라켓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디와 측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동일한 것인 바,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간략화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물탱크 내부에는 담수시 발생되는 높은 수압으로 인해 패널(p)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바(200)가 다수 설치된다. 즉, 상기 보강바(200)는 물탱크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맞은편의 패널을 상호 구속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보강바(200)의 양단부에는 보강판이(210) 연결되고 상기 보강판(210)은 패널(p) 내부에 부착된다. 보강판(210)을 패널(p) 내부에 설치키 위해 보강바고정볼트(130)가 패널 외부까지 돌출되게 형성되며 보강바 고정볼트가 관통되는 패널 내부에는 누수방지를 위한 박킹(135)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보강바(200)는 패널과 패널의 교차점에 설치되며 네개의 패널이 만나는 곳에 설치되면 네개의 보강바고정볼트가 패널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패널(p)의 각 모서리에 브라켓(100)을 위치시키며 이때 브라켓을 이루는 측판(120)에 형성되는 통공에 상기 보강바고정볼트(130)가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보강바고정볼트는 두개의 측판을 관통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추도록 하며 볼트로서 브라켓을 플랜지에 고정시키며 또한 너트(n)로서 보강바고정볼트와 측판을 체결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을 이용하여 물탱크용 패널을 설치하게 되면 상기 브라켓이 플랜지(f)에 체결됨으로써 누름력이 패널의 모서리부위로 집중되며 이로 인해 누수에 취약한 패널의 모서리부에 대한 기밀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에 더하여 브라켓을 이루는 측판(120)에 패널 내부로부터 형성되는 보강바고정볼트(130)를 삽입시키고 너트(n)로서 조이게 되면 보강바와 브라켓이 일체로서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과 달리 본 고안에서는 각각의 브라켓이 독립적이므로 네개의 패널이 교차하는 부위의 각 모서리부에 브라켓을 두고 내부로부터 돌출되는 보강바고정볼트와 개별적으로 체결함으로서 네개의 보강바고정볼트에 작용하는 체결력에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이로 인한 영향이 타 패널에 전달되지 않아 설치작업의 자유도가 높아지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브라켓의 경우 패널과 직접 접촉되는 내측 측판으로 인해 패널이 지지되므로 패널을 보강하게 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물탱크 보강용 브라켓 및 이의 설치구조에 의하면, 누수에 취약한 패널의 모서리부를 보다 확실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이와 더불어 물탱크 내부로부터 형성되는 보강바고정볼트와 브라켓을 연결함에 따라 전체적인 결합강도가 향상되어 물탱크가 더욱 안정화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패널의 모서리에 브라켓을 설치하는 것으로 누수방지뿐 아니라 물탱크의 결합구조를 한층 보강한다는 두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게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 외에도 본 고안의 브라켓은 그 각각이 독립적이므로 보강바고정볼트와 각각 결합시 그 체결력에 다소 차이가 있다 하더라도 구조적인 문제가 크지 않은 바, 설치작업이 쉽다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조립식 물탱크를 구성함에 있어 플랜지(f)를 갖는 패널(p)의 모서리부 보강 및 기밀유지를 위해 설치되는 조립식물탱크 보강용 브라켓에 있어서,
    ㄴ 자형을 이루도록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갖추며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이루는 각도가 85도 이상에서 90도 미만을 형성하고,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만나는 모서리부위(115)는 면취 처리되고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에는 체결공(117)이 형성되어 볼트로서 플랜지에 체결시 작용되는 누름력이 패널의 모서리부로 집중될 수 있게 하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바디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부에 동일축을 이루는 통공(125)이 구비되어 패널 내부로부터 형성되는 보강바고정볼트(130)가 상기 통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삼각형의 측판(1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물탱크 보강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물탱크 보강용 브라켓은,
    상기 바디(110)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판 중 패널과 접촉되는 내측 측판(120a)은 바디와의 연결부가 둥글게 라운드 처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물탱크 보강용 브라켓.
  3. 조립식 물탱크를 구성함에 있어 플랜지(f)를 갖는 패널(p)의 모서리부 보강 및 기밀유지를 위해 설치되는 조립식물탱크 보강용 브라켓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물탱크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맞은편의 패널을 상호 구속하도록 하는 보강바(200)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보강판(210)을 패널(p)에 고정하기 위해 패널의 내부로 부터 외부로 관통되게 설치되는 보강바고정볼트(130)와;
    ㄴ 자형을 이루도록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갖추며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이루는 각도가 85도 이상에서 90도 미만을 형성하고,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만나는 모서리부위는 면취 처리되고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플랜지와 체결될 시 누름력이 패널의 모서리부로 집중되게 하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바디의 변형을 방지하며 내부에 동일축을 이루는 통공(125)이 구비되어 상기 통공에 상기 보강바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삼각형의 측판(120)과;
    상기 통공(125)에 삽입된 보강바고정볼트(130)와 측판(120)을 조여주는 너트(n);로서 누설에 취약한 패널의 모서리부에 대해 기밀성을 높이고 수압에 의한 패널의 저항력도 향상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물탱크 보강용 브라켓의 설치구조.
KR2020050036488U 2005-12-27 2005-12-27 조립식 물탱크보강용 브라켓 및 이것의 설치구조 KR2004105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488U KR200410523Y1 (ko) 2005-12-27 2005-12-27 조립식 물탱크보강용 브라켓 및 이것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488U KR200410523Y1 (ko) 2005-12-27 2005-12-27 조립식 물탱크보강용 브라켓 및 이것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523Y1 true KR200410523Y1 (ko) 2006-03-07

Family

ID=41760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488U KR200410523Y1 (ko) 2005-12-27 2005-12-27 조립식 물탱크보강용 브라켓 및 이것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5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763B1 (ko) 2017-02-14 2017-07-25 주식회사 종우 내진 기능을 갖는 조립식 smc 물탱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763B1 (ko) 2017-02-14 2017-07-25 주식회사 종우 내진 기능을 갖는 조립식 smc 물탱크
WO2018151476A1 (ko) * 2017-02-14 2018-08-23 주식회사 종우 내진 기능을 갖는 조립식 smc 물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762B1 (ko) 외부를 보강한 내진 기능을 갖는 물탱크
KR101004577B1 (ko) 물탱크용 외부보강재, 물탱크용 외부 보강프레임 및 외부 보강프레임 어셈블리
JP2010043480A (ja) ドアパネル
KR200410523Y1 (ko) 조립식 물탱크보강용 브라켓 및 이것의 설치구조
KR101827146B1 (ko) 외부보강 조립식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200423362Y1 (ko) 창틀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장치
KR102006931B1 (ko) Pe 복합 스테인리스 강판제 물탱크 상판 및 바닥프레임 체결구조
KR101613280B1 (ko) 강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물탱크
KR100976934B1 (ko) 조립식 건물 구조체
KR100878183B1 (ko) 물탱크용 기초 프레임
KR101926476B1 (ko) 건축물의 수직 패널
KR101975087B1 (ko) 스틸커튼월용 유리패널모듈의 수평고정장치
KR102615432B1 (ko) 외부 보강 내진 복합 물탱크
KR100992998B1 (ko) 조립식 수조의 내부보강재 연결장치
KR20060103996A (ko) 조립식 원형 물탱크
KR101593112B1 (ko)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KR101267510B1 (ko) 조립식 물탱크의 칸막이 설치구조
KR102312189B1 (ko) 건식패드 일체형 무용접, 무보강 pdf 내진물탱크
KR200380131Y1 (ko) 샌드위치패널
RU2715381C1 (ru) Рамный каркас электрическое шкафа
KR200410522Y1 (ko) 물탱크용 패널 및 이의 조립구조
KR20100010888U (ko)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용 후드 조립체
JPH0525755B2 (ko)
JPS6037356Y2 (ja) 組立式水槽の防波装置
JP3037072B2 (ja) 液体貯留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