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112B1 -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 Google Patents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112B1
KR101593112B1 KR1020150159789A KR20150159789A KR101593112B1 KR 101593112 B1 KR101593112 B1 KR 101593112B1 KR 1020150159789 A KR1020150159789 A KR 1020150159789A KR 20150159789 A KR20150159789 A KR 20150159789A KR 101593112 B1 KR101593112 B1 KR 101593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ater tank
coupled
fram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연우
Original Assignee
박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우 filed Critical 박연우
Priority to KR1020150159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3Modula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개의 단위패널들을 연결하여 물탱크의 상부 구조를 이루는 상부 프레임; 물탱크의 측부 구조를 이루는 측부 지지패널과, 상기 측부 지지패널측올 소정의 물탱크의 측면부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는 측부 보강패널을 포함하는 측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측부 프레임의 하단부가 결합되어 물탱크의 하중을 지지하며, 콘크리트 부재에 물탱크를 설치하는 바닥 고정패널과, 상기 바닥 고정패널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닥패널과, 상기 바닥패널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PE수지층 및 상기 측부 보강패널의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콘크리트 부재에 결합되어 물탱크의 바닥 구조를 이루는 결합 브라켓으로 구성된 바닥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The bottom frame of the water tank}
본 발명은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결합 공정을 최소화함에 따라 물탱크의 조립 효율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켜 제조비용 및 원가를 절감하고, 저장된 음용수의 누수를 차단하여 물탱크의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탱크는 대형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이 용수를 대량으로 소비하는 시설에는 많은 양의 용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대형 물탱크가 설치되어 왔으며, 이러한, 물탱크는 매우 다양한 소재로 구축되며, 예를 들어 콘크리트 구조물, 스테인리스스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s) 패널이나 SMC(Sheet Molding Compound) 패널 등 플라스틱 합성수지 패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아파트나, 공장, 산업시설 등에 각종 물탱크가 설치되어 단수시에도 식수나 산업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물탱크는 스테인리스 패널로 제작되어 대용량이면서도 강도 및 충격에 강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탱크는 각각의 패널을 현장에서 서로 수밀되게 용접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지주도 패널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용접되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시설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사에 의한 진동 또는 지각의 변동에 따른 지진에 의해 물탱크가 손상되거나 물탱크와 연결된 배관이 손상되어 물을 공급할 수 없는 문제가 종종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휘간 물탱크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예로, 등록특허 제10-0937001호에는 콘크리트 패드의 상부에 사각 형태로 설치되는 바닥테두리골격의 내부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바닥골격부와, 바닥골격부의 외측에 등간격으로 수직되게 설치되어 측방수압이 증대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기둥부와, 측판내에 강도 보강을 위한 측판보강재가 결합되며, 측판의 전방면에 측판담수패널이 부착되어 서로 상하좌우로 연결되는 측벽부와, 측방수압이 측벽부로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내부 보강부와, 측방수압을 분산하도록 연결되는 분리벽과, 측벽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측방수압을 지지하는 외부보강부와, 측벽부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천장지지골격의 하부로 천장담수패널이 결합되는 천장골격부를 포함하는 물탱크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기존의 물탱크의 경우 바닥 골격부가 탱크의 외부에서 서로 맞대어지는 구조로 되어있어 바닥 지지골격과 바닥담수 패널의 조립작업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물탱크가 설치된 이후에 유지보수를 위해 그 바닥 지지골격과 바닥담수 패널에 형성된 결합 플랜지의 결합을 점검하는 작업이 매우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7001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결합 공정을 최소화함에 따라 물탱크의 조립 효율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켜 제조비용 및 원가를 절감하고, 저장된 음용수의 누수를 차단하여 물탱크의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개의 단위패널들을 연결하여 물탱크의 상부 구조를 이루는 상부 프레임; 물탱크의 측부 구조를 이루는 측부 지지패널과, 상기 측부 지지패널측올 소정의 물탱크의 측면부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는 측부 보강패널을 포함하는 측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측부 프레임의 하단부가 결합되어 물탱크의 하중을 지지하며, 콘크리트 부재에 물탱크를 설치하는 바닥 고정패널과, 상기 바닥 고정패널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닥패널과, 상기 바닥패널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PE(Polyethylene)수지층 및 상기 측부 보강패널의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콘크리트 부재에 결합되어 물탱크의 바닥 구조를 이루는 결합 브라켓으로 구성된 바닥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 고정패널은 상기 바닥패널이 안착 및 결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양측 단부에 하방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PE수지층의 일측 단부가 접합되고, 상기 측부 보강패널 및 결합 브라켓이 체결되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선단부측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일측에는 체결수단이 체결되어 상기 측부 보강패널이 체결되는 제1체결공과, 상기 결합 브라켓이 체결되는 제2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타측에는 바닥 고정패널이 결합되는 제3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체결공은 상기 접합부의 일측, 또는 타측 모두에 형성되거나, 타측부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E수지층은 상기 바닥패널의 상부에 밀착되어 물탱크의 내부 바닥면을 이루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일측 선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바닥 고정패널과 상기 측부 보강패널 및 결합 브라켓 사이에 삽입 및 결합되어 상기 평탄부를 상기 바닥패널에 밀착시키는 기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에는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소정의 홀을 형성하고, 이 홀의 외주면에 체결수단의 외주면을 감싸는 실링부재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부 프레임에는 상기 측부 보강패널과 상기 측부 지지패널을 결합시키는 고정 클램프와, 상기 물탱크의 각 모서리부에 배치되며, 측부 지지패널의 플랜지부와 체결되는 연결 프레임과, 상기 측부 지지패널과 쳐결되어 물탱크의 측부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 다수개 구성되는 보강 프레임과,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음용수의 양을 체크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의 결합 공정을 최소화함에 따라 물탱크의 조립 효율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켜 제조비용 및 원가를 절감하고, 저장된 음용수의 누수를 차단하여 물탱크의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의 외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의 외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물탱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의 상부 천장 구조를 이루는 상부 프레임(100)과, 물탱크의 측면부를 이루는 측부 프레임(200) 및 물탱크의 바닥 구조를 이루며, 물탱크를 콘크리트 부재(302)에 설치하는 바닥 프레임(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프레임(100)은 물탱크 내부에 존재하는 가스 등의 팽창시 발생하는 압력으로부터 찌그러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의 요홈이 형성된 다수개의 단위패널(110)들을 고정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부 프레임(100)에는 그 중앙부에 물탱크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맨홀(120)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통상의 에어벤트(미도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측부 프레임(200)은 물탱크의 둘레면을 이루는 것으로 물탱크의 측면부를 이루는 측부 지지패널(210)과, 이 측부 지지패널(210)의 외면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물탱크의 측부 수압에 대하여 소정의 강성을 보강하는 측부 보강패널(220)과, 물탱크의 각 모서리부에 배치되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측부 지지패널(210)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230)과, 물탱크의 측부 둘레면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측부 보강패널(220)과 함께 측부 지지패널(210)로 소정의 강성을 제공하는 보강 프레임(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측부 보강패널(220)은 후술할 바닥 프레임(300)의 결합 브라켓(340)과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되어 측부 보강패널(220)과 바닥 프레임(33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지 플랜지(222)가 더 구성되며, 이 지지 플랜지(222)에는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통홀(222a)이 더 형성됨은 물론이다.
아울러, 측부 보강패널(220)의 하측부에는 후술할 바닥 프레임(300)의 바닥 고정패널(310)과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도록 측부 체결홀(224)이 더 형성된다.
또한, 측부 보강패널(220)에는 측부 지지패널(210)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클램프(240)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연결 프레임(230)은 사각 형태의 물탱크의 각 모서리부에 배치되며, 측부 보강패널(220)과 같이 물탱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측부 지지패널(210)의 양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보강 프레임(250)은 물탱크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측부 보강패널(220)을 고정시키면서 물탱크의 강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으로, 적어도 2개 이상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구성된다.
이러한 보강 프레임(250)은 측부 지지패널(210)의 단부에 구성된 플랜지부와 밀착되며,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 브라켓(252)이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측부 프레임(200)에는 물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음용수의 수위를 체크하여 저장된 음용수의 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음용수의 급수 및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위 센서(26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바닥 프레임(300)은 물탱크의 하중을 지지하며, 물탱크와 콘크리트 부재(302)를 연결하여 물탱크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닥 고정패널(310)과, 바닥 고정패널(320)의 상부에 결합되어 물탱크 내부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패널(320)과, 바닥패널(320)의 상부면에 접합되어 음용수의 부식을 방지하고,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300)의 균열, 부식 등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PE수지층(330) 및 물탱크 측부 프레임(200)의 측부 보강패널(220)의 단부가 결합되며, 콘크리트 부재(302)에 결합되어 물탱크의 바닥 구조를 이루는 결합 브라켓(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 고정패널(310)은 물탱크의 하부 구조를 이루며, 콘크리트 부재(302)에 물탱크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물탱크의 바닥 구조를 이루는 바닥패널(320)이 안착 및 결합되는 안착부(312)와, 이 안착부(312)의 양측 단부에 하방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고, 후술할 PE수지층(330)의 기밀부(334)의 일면이 접합되는 접합부(314)와, 접합부(314)의 선단부측에 절곡 형성되어 콘크리트 부재(302)와 결합되는 결합부(31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안착부(312)는 바닥패널(320)과의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으며, 용접 등에 의해 바닥패널(320)이 융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접합부(314)의 일측에는 측부 보강패널(220)에 형성된 측부 체결홀(224)과 동일중심선상에 위치하며, 체결수단이 체결되어 바닥 고정패널(310)과 측부 보강패널(2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체결공(214a)과, 이 제1체결공(214a)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결합 브라켓(340)과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되는 제2체결공(314b)이 형성된다.
아울러, 접합부(314)의 타측부에는 바닥 고정패널(310)들끼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3체결공(314c)이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바닥 고정패널(310)은 물탱크의 하부 구조를 이룰 때, 가장 외측부에 설치되어 측부 보강패널(220) 및 결합 브라켓(340)과 결합되도록 제1 내지 제3체결공(314a, 314b, 314c)들이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구성과, 바닥 고정패널(310)들 끼리만 서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양측부에 제3체결공(314c)만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결합부(316)는 접합부(314)의 하측 선단부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부재(302)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고정 플랜지로서, 앙카볼트가 관통하는 제1고정홀(316a)이 형성된다.
바닥패널(32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바닥 고정패널(3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물탱크 내부의 바닥을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바닥패널(320)은 그 상부면에 PE수지층(330)이 적층되게 구성된다.
PE수지층(330)은 바닥패널(320)의 상부에 적층 구성되며, 양단부가 결합 브라켓(340)과 접합부(314) 사이에서 결합되어 바닥패널(320)과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음용수의 부폐를 방지하는 것으로, 바닥패널(320)에 밀착 구성되는 평탄부(332)와, 이 평탄부(332)의 일측 선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받침 고정패널(310)의 접합부(314)와, 측부 보강패널(220) 및 결합 브라켓(34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볼트 등을 통해 고정되며, 물탱크의 바닥 구조에 대한 기밀성을 극대화하여 음용수의 누설을 방지하는 기밀부(33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PE수지층(330)의 기밀부(334)는 받침 고정패널(310)의 접합부(314)와, 측부 보강패널(220) 및 결합 브라켓(340) 사이에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평탄부(312)의 단부를 잡아 당겨 평탄부(332)와 바닥패널(320)이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면서 고정볼트를 통해 결합 브라켓(340)과 체결되면서 평탄부(332)와 바닥패널(320) 간의 밀착력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PE수지층(330)은 평탄부(332)와 바닥패널(320)이 서로 견고하게 밀착 구성될 수 있도록 평탄부(332)가 열접합에 의해 바닥패널(320)과 접합되거나, 소정의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밀부(334)는 내면이 바닥 고정패널(310)의 외면에 결합되고, 외면이 측부 보강패널(220) 및 결합 브라켓(340)의 내면과 결합되어 상호 긴밀한 결합을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기밀부(334)에는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소정의 홀을 형성하고, 이 홀의 외주면에 실링부재를 더 구성하여 물탱크의 기밀성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실링부재는 PE수지층(330)의 결합시, 체결수단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접합부(314)의 제1고정홀(314a)과 동일중심을 이루는 위치에 삽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결합 브라켓(340)은 체결수단에 의해 바닥 고정패널(310)과 결합되고, 그 상부면에 측부 보강패널(220)이 안착 및 결합됨으로써, 물탱크의 측부 수압에 대한 강성 보강을 유지시키는 한편, 물탱크의 바닥 구조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PE수지층(330)의 기밀부(334)를 가압하여 PE수지층(330)의 평탄부(332)와 바닥패널(320) 간의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음용수의 누설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 브라켓(340)은 바닥 고정패널(310)의 접합부(314)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제2체결공(314b)과 연통하는 중앙 체결홀(342)이 형성되고, 하부면으로 콘크리트 부재(302)와 앙카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앙카볼트가 결합되는 결합홀(344)과, 측부 보강패널(220)의 지지 플랜지(222)가 안착 및 결합되도록 측부 체결홀(224)과 연통하여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2고정홀(346)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물탱크는 다수개의 바닥 고정패널(310)들을 서로 연결하여 바닥면의 기초를 이루면서 콘크리트 부재(302)에 설치되도록 하고, 이 바닥 고정패널(310)의 상부면으로 바닥패널(320) 및 PE수지층(330)을 밀착되게 결합하여 물탱크의 내부 바닥면을 이루도록 하며, PE수지층(330)의 단부에 기밀부(334)를 더 형성하여 바닥 고정패널(310)과 결합 브라켓(340) 사이에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음용수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을 분만 아니라, 결합 브라켓(340)의 상부면으로 측부 보강패널(220)을 고정시켜 물탱크의 측부에 대한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의 결합 공정을 최소화함에 따라 물탱크의 조립 효율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켜 제조비용 및 원가를 절감하고, 저장된 음용수의 누수를 차단하여 물탱크의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상부 프레임 110: 상부 단위패널
200: 측부 프레임 210: 측부 지지패널
220: 측부 보강패널 230: 연결 프레임
250: 보강 프레임 300: 바닥 프레임
310: 바닥 고정패널 320: 바닥패널
330: PE수지층 332: 평탄부
334: 기밀부 340: 겨합 브라켓

Claims (7)

  1. 다수개의 단위패널들을 연결하여 물탱크의 상부 구조를 이루는 상부 프레임(100);
    물탱크의 측부 구조를 이루는 측부 지지패널(210)과, 상기 측부 지지패널(210)측올 소정의 물탱크의 측면부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는 측부 보강패널(220)을 포함하는 측부 프레임(200);을 포함하고,
    상기 측부 프레임(210)의 하단부가 결합되어 물탱크의 하중을 지지하며, 콘크리트 부재에 물탱크를 설치하는 바닥 고정패널(310)과, 상기 바닥 고정패널(3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바닥패널(320)과, 상기 바닥패널(320)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PE수지층(330) 및 상기 측부 보강패널(220)의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콘크리트 부재(302)에 결합되어 물탱크의 바닥 구조를 이루는 결합 브라켓(340)으로 구성된 바닥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 고정패널(310)은
    상기 바닥패널(320)이 안착 및 결합되는 안착부(312)와,
    상기 안착부(312)의 양측 단부에 하방으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PE수지층(330)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측부 보강패널(220) 및 결합 브라켓(340)이 체결되는 접합부(314)와,
    상기 접합부(314)의 선단부측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부재(302)와 결합되는 결합부(31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314)의 일측에는 체결수단이 체결되어 상기 측부 보강패널(220)이 체결되는 제1체결공(314a)과, 상기 결합 브라켓(340)이 체결되는 제2체결공(314b)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316)의 타측에는 바닥 고정패널(310)이 결합되는 제3체결공(314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체결공(314c)은 상기 접합부(314)의 일측, 또는 타측 모두에 형성되거나, 타측부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E수지층(330)은
    상기 바닥패널(320)의 상부에 밀착되어 물탱크의 내부 바닥면을 이루는 평탄부(332)와,
    상기 평탄부(332)의 일측 선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바닥 고정패널(310)과 상기 측부 보강패널(220) 및 결합 브라켓(340) 사이에 삽입 및 결합되어 상기 평탄부(332)를 상기 바닥패널(320)에 밀착시키는 기밀부(334)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334)에는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소정의 홀을 형성하고, 이 홀의 외주면에 체결수단의 외주면을 감싸는 실링부재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프레임(200)에는
    상기 측부 보강패널(220)과 상기 측부 지지패널(210)을 결합시키는 고정 클램프(240)와,
    상기 물탱크의 각 모서리부에 배치되며, 측부 지지패널(210)의 플랜지부와 체결되는 연결 프레임(230)과,
    상기 측부 지지패널(220)과 쳐결되어 물탱크의 측부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 다수개 구성되는 보강 프레임(250)과,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음용수의 양을 체크하는 수위센서(2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KR1020150159789A 2015-11-13 2015-11-13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KR101593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789A KR101593112B1 (ko) 2015-11-13 2015-11-13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789A KR101593112B1 (ko) 2015-11-13 2015-11-13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112B1 true KR101593112B1 (ko) 2016-02-11

Family

ID=55351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789A KR101593112B1 (ko) 2015-11-13 2015-11-13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1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758B1 (ko) * 2017-10-18 2018-07-04 주식회사 종우 내부 보강재와 기초패드 결합구조에 의한 내진성을 갖는 물탱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805Y1 (ko) * 2004-04-16 2004-07-05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조립식 패널수조
KR100937001B1 (ko) 2008-03-04 2010-01-15 양순호 물탱크
KR20100007066U (ko) * 2008-12-31 2010-07-08 전재영 조립식 수조
KR20120058848A (ko) * 2010-11-30 2012-06-08 유병하 조립식 물탱크
KR101458144B1 (ko) * 2014-07-07 2014-11-05 (주)덕일기공 스테인레스 스틸 복합 물탱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805Y1 (ko) * 2004-04-16 2004-07-05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조립식 패널수조
KR100937001B1 (ko) 2008-03-04 2010-01-15 양순호 물탱크
KR20100007066U (ko) * 2008-12-31 2010-07-08 전재영 조립식 수조
KR20120058848A (ko) * 2010-11-30 2012-06-08 유병하 조립식 물탱크
KR101458144B1 (ko) * 2014-07-07 2014-11-05 (주)덕일기공 스테인레스 스틸 복합 물탱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758B1 (ko) * 2017-10-18 2018-07-04 주식회사 종우 내부 보강재와 기초패드 결합구조에 의한 내진성을 갖는 물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803B1 (ko) 내외면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KR101640229B1 (ko) 내부 무보강 및 방파부재가 구비된 물탱크
KR101004577B1 (ko) 물탱크용 외부보강재, 물탱크용 외부 보강프레임 및 외부 보강프레임 어셈블리
KR101525476B1 (ko) 지지보강재가 구비된 조립식 철제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89060A (ko) 내진기능을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외부 보강프레임 조립체
KR101863864B1 (ko) Pe 복합 스테인리스 강판제 물탱크 상판의 체결구조
JP5437050B2 (ja) 仮設貯液槽用の枠組体及び仮設貯液槽
KR20120089062A (ko) 외부 보강프레임 조립체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KR101455819B1 (ko) 합성수지 중공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물탱크
KR101593112B1 (ko)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KR101050268B1 (ko) 폴리에틸렌 이중 복합 판넬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101827146B1 (ko) 외부보강 조립식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101612081B1 (ko) 복수의 패널로 이루어진 조립식 물탱크
KR102006931B1 (ko) Pe 복합 스테인리스 강판제 물탱크 상판 및 바닥프레임 체결구조
KR101504549B1 (ko) 알루미늄 바디를 구비하는 경량 소방차
KR101671725B1 (ko) 강선연결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피디에프 물탱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80073561A (ko) 패널 조립식 물탱크와 그 설치 방법
KR20010109505A (ko) 패널수조 제조방법 및 패널수조
KR19990014726U (ko) 조립식 탱크구조물
KR101468718B1 (ko) 물탱크 조립체
KR102446554B1 (ko) 외부보강 내진 구조를 가진 일체형 조립식 포스맥 물탱크
KR100625119B1 (ko) 조립식 원형 물탱크
KR102615432B1 (ko) 외부 보강 내진 복합 물탱크
KR102440815B1 (ko) 웨이브형 조립블록을 이용한 내진성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101486709B1 (ko) 조립식 물탱크용 단위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