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038B1 -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 및 방파판유닛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 및 방파판유닛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038B1
KR101706038B1 KR1020160093469A KR20160093469A KR101706038B1 KR 101706038 B1 KR101706038 B1 KR 101706038B1 KR 1020160093469 A KR1020160093469 A KR 1020160093469A KR 20160093469 A KR20160093469 A KR 20160093469A KR 101706038 B1 KR101706038 B1 KR 101706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side wall
smc
plates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씨
Priority to KR1020160093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29C70/18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in the form of a mat, e.g. sheet moulding compound [SM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3Modula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2Anti-slosh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Abstract

본 발명은 SMC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탱크의 내부에 방파판유닛을 형성하되, 다수의 방파판을 십자형으로 배열 형성함으로써, 지진 등의 외부 충격이 발생시 물탱크 내부에서 발생되는 심한 슬로싱에 대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게 하며, 이에 따른 SMC물탱크의 측벽부 및 천정부에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키는 등 물탱크의 파손과 부분 훼손으로 인한 잔재의 발생을 방지하며, 또한, 방파판유닛을 형성함에 있어, 각각의 방파판을 저면판넬과 동일한 규격을 적용하면서도 볼팅 조립구조와 방파판과 물탱크의 측벽부와의 강봉을 이용한 지지 보강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조립구조의 개선에 따른 작업성의 향상과 구조적인 안정성이 확보되게 하는 등 SMC물탱크의 내구성 향상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 및 방파판유닛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 및 방파판유닛 설치방법{SMC Water tank with a water breakers panel unit and water breakers panel unit installation method }
본 발명은 소방용 SMC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SMC 판넬을 이용한 SMC물탱크를 구성함에 있어, 내부에 방파판이 형성된 구조를 이루게 함으로써, 지진 등의 외부 충격이 가해질시 유동되는 물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게 하여 물탱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 및 방파판유닛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공장, 산업시설 등에는 금수용, 소화용 등의 물을 저장하여 사용되는 물탱크가 구성되어, 지진, 급수관 파손 등 외부요인에 의하여 정상적인 급수가 곤란할 경우 물탱크의 물을 임시적으로 사용하며, 특히 화재가 발생시에는 물탱크의 물을 소화용수로 이용하여 화재를 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물탱크는, 매우 다양한 소재로 구축되며, 예를 들어 콘크리트 구조물, 스테인리스스틸,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s) 등을 이용한 물탱크가 사용되고 있으며, 근자에 드어서는 SMC(Sheet Molding Compound) 단위판넬 등 플라스틱 합성수지 단위판넬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SMC(Sheet Molding Compound)로 제조된 판넬이 뛰어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내식성 및 성형성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새로운 구조용 및 기능용 소재로 각광을 받으면서 SMC로 제조된 판넬을 사각 박스형상으로 조립하여 구성된 물탱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이 SMC 판넬을 이용하여 설치현장에서 조립하여 완성하는 조립식 물탱크는 SMC 판넬(단위판넬)을 조립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탱크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그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물탱크 들은 대부분 각형(정사각형, 직사각형)의 내부 중공형 구조물로 구성되어 내부에 소화용수가 담겨져있는 것인바, 담수 후, 발생하는 수압에 의해 벽면을 구성하는 단위판넬의 배부름 현상과 이로 인한 균열 및 파손으로 물탱크의 기능이 상실되지 않도록 물탱크 내부 혹은 외부에 강봉 또는 보강판 등으로 된 보강장치를 별도로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SMC물탱크는, 물탱크 내부의 물의 요동이 적을 경우에는 물탱크의 보호는 가능하였으나, 지진 등의 외부충격이 발생시에 물탱크 내부의 물이 심하게 요동을 치는 슬로싱(Sloshing)이 발생되게 되며, 이러한 슬로싱은 물탱크내의 측벽부와 천정부에 상당한 충격을 주게 되는 것인바, 보강장치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였으며, 이로인한 물탱크의 파손을 막지 못하였다.
또한, 이러한 물의 요동으로 인해 물탱크 내부의 SMC판넬이나 철재 보강장치 등의 부분적으로 훼손되었으며, 이러한 훼손으로 인한 잔재가 배관을 통해 보일러나 설비 등으로 유입되어 건물의 엄청난 피해를 주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근자에 들어 우리나라에도 지진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인바, 이러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2016년 5월부터 소방용 물탱크에도 내진설계를 적용하게 이르렀으나, 아직까지 그 효과적인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출원공개 제10-2008-0043185호. 대한민국특허출원등록 제10-130632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소방용 SMC물탱크의 내부에 방파판유닛을 형성하되, 다수의 방파판을 십자형으로 배열 형성함으로써, 지진 등의 외부 충격이 발생시 물탱크 내부에서 발생되는 심한 슬로싱에 대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게 하며, 이에 따른 SMC물탱크의 측벽부 및 천정부에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시키며, 이에 따른 물탱크의 파손과 부분 훼손으로 인한 잔재의 발생을 방지하는 등 지진에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 및 방파판유닛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방파판유닛을 형성함에 있어, 각각의 방파판을 저면판넬과 동일한 규격을 적용하면서도 볼팅 조립구조와 방파판과 물탱크의 측벽부와의 강봉을 이용한 지지 보강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조립구조의 개선에 따른 작업성의 향상과 구조적인 안정성이 확보되게 하는 등 SMC물탱크의 내구성 향상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 및 방파판유닛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방향 기초블록이 다수 배열된 콘크리트 기초와, 콘크리트 기초의 상부에 배열되는 기초찬넬과, 기초찬넬의 상부에 형성되며 플랜지를 갖는 다수의 SMC 판넬이 결합되어 바닥부와 측벽부와 천정부를 이루는 물탱크 본체로 된 SMC물탱크에 있어서,
물탱크 본체의 내부 중앙부에, 물탱크 본체 내부에서 슬로싱 발생시 물탱크 본체에 전해지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방파판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방파판유닛은,
둘레에 플랜지를 갖는 SMC 판넬로 된 다수의 방파판을 결합하여 구성하되,
각각의 방파판 하단이 물탱크 본체의 내부 바닥부에 수직 설치되되, 평면상 "+"자 형태를 이루게 구성하며,
이웃하는 방파판은, 어느 한 측의 방파판의 플랜지가 이웃하는 방파판의 일측면 끝단부에 고무재 또는 PVC폼으로 된 씰링재를 사이에 두고 접하도록 사방으로 연속하여 형성하고,
물탱크 본체의 바닥부와 방파판의 접합부에는 고무재 또는 PVC폼으로 된 씰링재가 형성되게 구성하며,
각각의 방파판 외측단과 물탱크 본체의 측벽부는, 수평강봉으로 연결되게 구성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방향 기초블록이 다수 배열된 콘크리트 기초와, 콘크리트 기초의 상부에 배열되는 기초찬넬과, 기초찬넬의 상부에 형성되며 플랜지를 갖는 다수의 SMC 판넬이 결합되어 바닥부와 측벽부와 천정부를 이루며, 측벽부의 대항되는 내부는 양단에 나사부를 갖는 스테이볼트 형태의 측벽 보강봉이 다수 연결 보강되는 물탱크 본체로 된 SMC물탱크의 물탱크 본체 내부에서 슬로싱 발생시 물탱크 본체에 전해지는 충격을 방지하는 방파판유닛을 설치하되,
둘레에 플랜지가 형성된 SMC 판넬로 된 사각판넬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방파판을 구비하되, 각각의 방파판을 플랜지를 이용하여 물탱크 본체의 바닥부 중앙부에 볼팅 체결하여 설치하는 방파판 설치단계; 및
설치된 각각의 방파판을 양단에 나사부를 갖는 스테이볼트 형태의 수평강봉을 이용하여 물탱크 본체와 연결하여 보강 고정하는 방파판 보강단계을 수행하며,
방파판 설치단계는,
이웃하는 방파판을, 그 어느 한 측의 방파판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플랜지가 이웃하는 방파판의 일측면 끝단부에 고무재 또는 PVC폼으로 된 씰링재를 사이에 두고 접하도록 사방으로 연속 연결하여 평면상 "+" 형태를 이루도록 볼팅 체결하며,
각각의 방파판과 물탱크 본체 바닥부의 접합부에는 고무재 또는 PVC폼으로 된 씰링재를 사이에 두고 볼팅 체결하여 설치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 및 방파판유닛 설치방법은, SMC물탱크를 구성함에 있어 내부에 십자형 방파판유닛이 형성되어 있어, 지진 등의 외부 충격으로 인한 심한 슬로싱이 발생시 그 슬로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물탱크의 측벽부 및 천정부에 전해지는 충격이 최소화 되는 등 이에 따른 물탱크의 파손 및 부분적인 훼손이 방지되는 등 지진에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방파판유닛을 구성하는 방파판과 저면판넬의 동일한 규격화 및 조립구조의 개선으로 작업성의 향상과 구조적인 안정성이 확보되게 하는 등 SMC물탱크의 내구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의 물탱크 본체 평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의 방파판 유닛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의 방파판 유닛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의 방파판 유닛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의 방파판 유닛의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의 방파판 유닛의 작동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를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의 물탱크 본체 평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1)는, 통상의 SMC물탱크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방향 기초블록(110)이 다수 배열된 콘크리트 기초(100)와, 콘크리트 기초(100)의 상부에 배열되는 기초찬넬(200)과, 기초찬넬(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플랜지(302)를 갖는 다수의 SMC 판넬(301)이 결합되어 바닥부(310)와 측벽부(320)와 천정부(330)를 이루며, 측벽부(320)의 대항되는 내부는 양단에 나사부를 갖는 스테이볼트 형태의 측벽 보강봉(340)이 다수 연결 보강되는 물탱크 본체(300)로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1)는, 물탱크 본체(300)의 내부 중앙에 물탱크 본체(300) 내부에서 물의 요동으로 인한 슬로싱(Sloshing) 발생시 그 슬로싱으로 인한 물탱크 본체(300)에 전해지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방파판유닛(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방파판유닛(400)은, 먼저 둘레에 플랜지(411)가 직각 돌출 형성된 다수의 방파판(410)(410')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각각의 방파판(410)(410')은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물탱크 본체(300)에 적용되는 사각판체 형태의 SMC 판넬로 구성된다.
이에 각각의 방파판(410)(410')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그 하단이 물탱크 본체(300)의 내부 바닥부(310)에 수직으로 설치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각각의 방파판(410)(410')은 사방으로 돌출되는 평면상 "+"자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한편, 각각의 방파판(410)(410')을 +"자 형태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이웃하는 방파판(410)(410') 중 어느 한 측의 방파판(410)의 플랜지(411)가 이웃하는 방파판(410')의 단부면 끝단부에 접하도록 구성하되, 각각의 방파판(410)(410')이 사방으로 연속되게 연결하며, 각각의 방파판(410)(410')의 접합부에는 고무재 또는 PVC폼 중 어느 하나로 된 씰링재(420)가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방파판(410)(410')은, 그 외측단과 상단이 물탱크 본체(300)의 측벽부(320)와 천정부(330)와 이격되게 구성함으로 물의 소통에는 장해를 받지않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방파판(410)(410')과 물탱크 본체(300)의 바닥부(310)의 접합부에는 고무재 또는 PVC폼 중 어느 하나로 된 씰링재(430)가 더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방파판(410)(410')은, 수평강봉(440)을 통해 물탱크 본체(300)의 측벽부(320)와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수평강봉(440)은 그 일단이 방파판(410)(410') 외측단 플랜지(411)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측벽부(320)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방파판(410)(410')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ㄴ"형 보강편(460)을 통해 물탱크 본체(300)의 바닥부(310)에 더 연결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보강편(460)은 그 상부가 방파판(410)(410')의 플랜지(411)에 연결되고, 그 하단이 바닥부(310)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방파판유닛(400)은, 도 6을 참조하여 시공되는 SMC물탱크(1)는 용량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 것인바, 본 발명 방파판유닛(400)은 물탱크 본체(300)의 크기에 따라 각각의 방파판(410)(410')이 플랜지(411) 결합을 통해 상부 및 외측으로 연속하여 연결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의 방파판유닛 설치방법을 살펴보면,
본 발명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의 방파판유닛 설치방법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방향 기초블록(110)이 다수 배열된 콘크리트 기초(100)와, 콘크리트 기초(100)의 상부에 배열되는 기초찬넬(200)과, 기초찬넬(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플랜지(302)를 갖는 다수의 SMC 판넬(301)이 결합되어 바닥부(310)와 측벽부(320)와 천정부(330)를 이루며, 측벽부(320)의 대항되는 내부는 양단에 나사부를 갖는 스테이볼트 형태의 측벽 보강봉(340)이 다수 연결 보강되는 물탱크 본체(300)로 된 SMC물탱크(1)의 물탱크 본체(300) 내부에서 슬로싱 발생시 물탱크 본체(300)에 전해지는 충격을 방지하는 방파판유닛(400)을 설치하되, 방파판 설치단계와 방파판 보강단계를 수행하여 된다.
먼저 방파판 설치단계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물탱크 본체(300)의 내부에 방파판유닛(400)을 이루기 위한 방파판(410)(410')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를 위해서는 먼저 둘레에는 플랜지(411)가 직각 절곡 형성된 통상의 SMC 판넬로 된 사각 판체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방파판(410)(410')이 구성된다.
이에, 각각의 방파판(410)(410')은, 각각의 플랜지(411)를 이용하여 물탱크 본체(300)의 바닥부(310) 중앙부에 설치하되, 이는 볼팅 작업을 통해 하단측의 플랜지(411)를 관통 및 바닥부(310)에 체결 설치하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각각의 방파판(410)(410')은, 사방으로 돌출되는 평면상 "+"자 형태를 이루게 설치되되, 이를 위해서는 먼저 어느 하나의 방파판(410)을 기준으로 하여 바닥부(310)에 볼팅 체결한다.
이후, 연속하여 이웃하여 또 다른 방파판(410')을 설치하되, 이웃하는 방파판(410')은 그 방파판(410')의 일측면 끝단부에 기 설치된 방파판(410)의 플랜지(411)가 접하게 한 상태로 볼팅 체결하여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이러한 설치방법을 통해 방파판(410)(410')을 사방으로 연속하여 설치하면 되는 것이며, 이렇게 설치된 각각의 방파판(410)(410')은 그 일단이 이웃하는 방파판(410)(410')과의 중첩된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서로간에 지지력이 확보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중첩되게 설치되는 각각의 방파판(410)(410')의 접합부에는, 고무재 또는 PVC폼 중 어느 하나로 된 씰링재(420)를 내입한 상태에서 방파판(410)(410')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렇게 설치된 방파판(410)(410')은 고무의 탄성에 의해 외력이 부여시 충격의 흡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방파판(410)(410')을 물탱크 본체(300)의 바닥부(310)에 설치함에 있어, 그 각각의 방파판(410)(410')과 바닥부(310)의 접합부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고무재 또는 PVC폼 중 어느 하나로 된 씰링재(430)를 내입한 상태에서 방파판(410)(410')을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이렇게 설치된 방파판(410)(410')은 고무의 탄성에 의해 외력이 부여시 충격의 흡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각각의 방파판(410)(410')은, 물탱크 본체(300)의 내부에서 그 외측단 및 상단이 물탱크 본체(300)의 측벽부(320) 및 천정부(330)와 이격되도록 설치함으로 물탱크 본체(300) 내부에서 물의 소통이 가능하게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방파판유닛(400)은, 시공되는 물탱크 본체(300)의 용량 즉 크기에 따라 달리 구성할 수 있는 것인바,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각각의 방파판(410)(410')에 형성된 플랜지(411)를 통한 볼팅 결합에 의해 상부 및 외측으로 연속하여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방파판 보강단계는,
상기와 같이 설치된 각각의 방파판(410)(410')의 보강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단계로, 각각의 방파판(410)(410')을 물탱크 본체(300)와 연결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먼저 각각의 방파판(410)(410')은 양단에 너트(N) 체결 가능한 스테이볼트 형태의 수평강봉(440)에 의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각각의 방파판(410)(410')의 외측단에 위치된 플랜지(411)의 상부에는 방파판(410)(410') 보다 큰 폭을 이루어 양측으로 돌출되는 "ㄱ"형 방파판 브라켓(451)이 용접 형성된 것으로, 이때 방파판 브라켓(451)은 그 수평을 이루는 상부가 플랜지(411)의 상단을 감싸고 수직을 이루는 하부가 플랜지(411)의 외측을 감싸게 설치되며 그 하부 양측에는 수평강봉 체결공(451a)이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방파판 브라켓(451)과 대항되는 위치에서 물탱크 본체(300)의 측벽부(320) 내측에는 사각판체 형태의 내측 측벽브라켓(452)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때 내측 측벽브라켓(452)에는, 그 하부에 방파판 브라켓(451)의 수평강봉 체결공(451a)과 대항되는 하부 체결공(452a)이 양측 한 쌍을 이루게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양측 한 쌍의 상부 체결공(452b)이 형성되며, 상부 중앙에는 상기 측벽 보강봉(340)이 관통 및 너트(N) 체결되는 보강봉 브라켓(453)이 형성된다.
그리고 측벽부(320)의 외측에는, 상기 내측 측벽브라켓(452)과 대항되도록 외측 측벽브라켓(454)이 형성되는 것으로, 외측 측벽브라켓(454)에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 내측 측벽브라켓(452)의 상,하부 체결공(452a)(452b)과 대항되도록 상,하부 체결공(454a)(454b)이 각각 구성되어 있다.
이에, 양측 두개 한 쌍을 이루는 양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스테이볼트 형태 수평강봉(440)을 통해 방파판 유닛(400)과 물탱크 본체(300)을 연결하여 그 방파판 유닛(400)을 보강하되,
이는, 먼저 각각의 수평강봉(440)의 그 일단은, 방파판 브라켓(451)의 수평강봉 체결공(451a)에 삽입 관통시킨 상태에서 그 방파판 브라켓(45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너트(N)를 체결하여 고정하면 된다.
또한 수평강봉(440)의 그 타단은, 내측 측벽브라켓(452)의 하부 체결공(452a)과 측벽부(320)와 외측 측벽브라켓(454)의 하부 체결공(454a)을 삽입 관통한 상태에서 그 내,외측 측벽브라켓(452)(454) 및 측벽부(32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너트(N) 체결하여 고정하면 된다.
또한 내측 측벽브라켓(452)과 외측 측벽브라켓(454)의 상부 체결공(452b)(454b)에는, 볼트(B)를 관통 및 너트(N) 체결하여 고정한다.
즉, 상기와 같이 방파판 유닛(400)은, 수평강봉(440)을 통해 방파판(410)(410')과 물탱크 본체(300)의 측벽부(320)과의 연결로 견고한 보강 지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수평강봉(440)은 방파판(410)(410')의 배열과 같이 평면상 "+"자 형태로 사방에서 보강하게 됨으로 그 방파판 유닛(400)의 견고한 보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방파판 보강단계에서는, 각각의 방파판(410)(410')에 대한 추가 보강이 가능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먼저 각각의 방파판(410)(410')에 해당하게 보강편(460)을 구비하되,
이때 보강편(460)은, 방파판(410)(410')의 플랜지(411) 보다 넓은 폭을 이루면서 플랜지(411)에 밀착되는 수직보강부(461)와, 그 수직보강부(461)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바닥보강부(462)로 된 "ㄴ"형 절곡 판체 형태로 구성된다.
이에 보강편(460)은, 그 수직보강부(461)를 통해 각각의 방파판(410)(410')에 해당하게 외측에 외치한 플랜지(411)에 밀착 및 볼팅 체결하고, 바닥보강부(462)를 통해 물탱크 본체(300)의 바닥부(310)에 볼팅 결합하면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보강편(460)을 통해 각각의 방파판(410)(410')을 바닥부(310)에 고정하게 됨으로 그 방파판 유닛(400)의 견고한 보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보강편(460)을 설치시에는 방파판 브라켓(451)은 그 보강편과 중첩되게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의 방파판유닛의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설치방법에 의해 방파판유닛이 설치된 본 발명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통상의 SMC물탱크는, 지진 등 외부의 충격이 발생시 물탱크 본체의 내부에서는 충전된 물이 요동치는 슬로싱(Sloshing)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인바, 이렇나 슬로싱 현상의 자칫 물탱크 본체의 파손을 야기시키게 된다.
이때, 본 발명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1)는, 물이 충전되는 내부에 방파판유닛(400)이 형성된 것인바, 슬로싱 현상에 효과적인 대응으로 물탱크 본체(30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7의 도시와 같이 일예로 물탱크 본체(3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물이 요동쳐 슬로싱이 발생시 본 발명에서는 방파판유닛(400)에 의해 그 슬로싱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는 요동치는 물이 타측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방파판유닛(400)에 먼저 슬로싱이 작용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각각의 방파판(410)(410')에서는 슬로싱으로 인한 충격에 1차적으로 대응하여 그 1차 충격을 흡수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에 물탱크 본체(300)의 반대측 측벽부(320) 및 천정부(330)에 작용하는 슬로싱으로 인한 충격을 감소시켜 물탱크 본체(300)의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방파판유닛(400)은, 물탱크 본체(300) 내부에서 "+"자 형태를 이루어 물탱크 본체(300)의 구획하는 것으로, 물탱크 전체 면적에 작용하는 슬로싱을 100%로 할때 1/4로 구획된 공간에서 슬로싱이 발생하게 되는 것인바, 물의 요동을 감소시키게 되며, 이에 따른 슬로싱을 1/4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방파판유닛(400)에 슬로싱이 발생시 그만큼 각각의 방파판(410)(410')은 충격으로 인한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인바, 이때 본 발명에서는 각가의 방파판(410)(410')이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를 이루어 그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방파판유닛(400)은, 각각의 방파판(410)(410')의 단부가 서로 중첩된 상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이웃하는 방파판(410)(410')들과의 서로간의 지지력이 확보되어 내구성이 향상되어 각각의 방파판(410)(410')에 슬로싱으로 인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어 슬로싱에 대응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방파판유닛(400)은,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각각의 방파판(410)(410')의 접합부 및 방파판(410)(410')과 물탱크 본체(300)의 바닥부(310)의 접합부에 씰링재(420)(430)가 형성된 것인바, 각가의 방파판(410)(410')에 슬로싱이 작용시 접합부에 대한 충격이 흡수되어 그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파판유닛(400)은, 각각의 방파판(410)(410')이 수평강봉(440)을 통해 물탱크 본체(300)의 측벽부(320)에 연결 고정된 것인바, 내구성이 향상되어 각각의 방파판(410)(410')에 슬로싱으로 인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어 슬로싱에 대응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방파판유닛(400)은, 보강편(460)을 통해 각각의 방파판(410)(410')이 물탱크 본체(300)의 바닥부(310)과 연결 고정된 것인바, 내구성이 향상되어 각각의 방파판(410)(410')에 슬로싱으로 인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어 슬로싱에 대응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는, 물탱크 본체 내부에 형성된 "+"자형 방파판유닛에 의해 지진 등의 충격으로 인한 내부에서 슬로싱이 발생시 어느 방향에서나 물탱크 본체에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시킬 수 있어 물탱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소방용 물탱크로의
100 : 콘크리트 기초 200 : 기초찬넬
300 : 물탱크 본체 310 : 바닥부
320 : 측벽부 330 : 천정부
340 : 보강봉
400 : 방파판유닛 410,410' : 방파판
411 : 플랜지 420 : 씰링재
430 : 씰링재 440 : 수평강봉
451 : 방파판 브라켓 452 : 내측 측벽브라켓
453 : 보강봉 브라켓 454 : 외측 측벽브라켓
460 : 보강편

Claims (7)

  1.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방향 기초블록(110)이 다수 배열된 콘크리트 기초(100)와, 콘크리트 기초(100)의 상부에 배열되는 기초찬넬(200)과, 기초찬넬(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플랜지(302)를 갖는 다수의 SMC 판넬(301)이 결합되어 바닥부(310)와 측벽부(320)와 천정부(330)를 이루며, 측벽부(320)의 대항되는 내부는 양단에 나사부를 갖는 스테이볼트 형태의 측벽 보강봉(340)이 다수 연결 보강되는 물탱크 본체(300)로 된 소방용 SMC물탱크에 있어서,
    물탱크 본체(300)의 내부 중앙부에는 물탱크 본체(300) 내부에서 슬로싱 발생시 물탱크 본체(300)에 전해지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탱크 본체(300)의 크기에 따라 플랜지(411)를 통해 상부 및 외측으로 연속하여 연결되게 방파판(410)(410')을 구비하는 방파판유닛(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방파판유닛(400)은,
    둘레에 플랜지(411)를 갖는 SMC 판넬로 된 다수의 방파판(410)(410')을 결합하여 구성하되,
    각각의 방파판(410)(410') 하단이 물탱크 본체(300)의 내부 바닥부(310)에 수직 설치되되, 평면상 "+"자 형태를 이루게 구성하며,
    이웃하는 방파판(410)(410')은, 어느 한 측의 방파판(410)의 플랜지(411)가 이웃하는 방파판(410')의 일측면 끝단부에 고무재 또는 PVC폼으로 된 씰링재(420)를 사이에 두고 접하도록 사방으로 연속하여 형성하고,
    물탱크 본체(300)의 바닥부(310)와 방파판(410)(410')의 접합부에는 고무재 또는 PVC폼으로 된 씰링재(430)가 형성되게 구성하며,
    각각의 방파판(410)(410') 외측단과 물탱크 본체(300)의 측벽부(320)는, 수평강봉(440)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각각의 방파판(410)(410')과 바닥부(310)는 "ㄴ"형 보강편(460)으로 연결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
  2. 삭제
  3. 삭제
  4.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방향 기초블록(110)이 다수 배열된 콘크리트 기초(100)와, 콘크리트 기초(100)의 상부에 배열되는 기초찬넬(200)과, 기초찬넬(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플랜지(302)를 갖는 다수의 SMC 판넬(301)이 결합되어 바닥부(310)와 측벽부(320)와 천정부(330)를 이루며, 측벽부(320)의 대항되는 내부는 양단에 나사부를 갖는 스테이볼트 형태의 측벽 보강봉(340)이 다수 연결 보강되는 물탱크 본체(300)로 된 SMC물탱크(1)의 물탱크 본체(300) 내부에서 슬로싱 발생시 물탱크 본체(300)에 전해지는 충격을 방지하는 방파판유닛(400)을 설치하되,
    물탱크 본체(300)의 크기에 따라 볼팅 체결되는 플랜지(411) 결합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부 및 외측으로 연속하여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 다수의 방파판(410)(410')이 둘레에 플랜지(411)가 형성된 SMC 판넬로 된 사각판넬 형태를 이루면서 각각의 방파판(410)(410')을 플랜지(411)에 의해 물탱크 본체(300)의 바닥부(310) 중앙부에 볼팅 체결하여 설치하는 방파판 설치단계; 및
    설치된 각각의 방파판(410)(410')을 양단에 나사부를 갖는 스테이볼트 형태의 수평강봉(440)을 이용하여 물탱크 본체(300)와 연결하여 보강 고정하는 방파판 보강단계을 수행하며,
    방파판 설치단계는,
    이웃하는 방파판(410)(410')을, 그 어느 한 측의 방파판(410)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플랜지(411)가 이웃하는 방파판(410')의 일측면 끝단부에 고무재 또는 PVC폼으로 된 씰링재(420)를 사이에 두고 접하도록 사방으로 연속 연결하여 평면상 "+" 형태를 이루도록 볼팅 체결하며,
    각각의 방파판(410)(410')과 물탱크 본체(300) 바닥부(310)의 접합부에는 고무재 또는 PVC폼으로 된 씰링재(430)를 사이에 두고 볼팅 체결하되도록 하고,
    방파판 보강단계는,
    각각의 방파판(410)(410')의 외측단 상부에는, 방파판(410)(410') 보다 큰 폭을 이루며 양측에는 수평강봉 체결공(451a)이 각각 형성된 "ㄱ"형 방파판 브라켓(451)을 용접 형성하고,
    그 방파판 브라켓(451)과 대항되는 위치에서 측벽부(320)에는, 하부에 수평강봉 체결공(451a)과 대항되는 한 쌍의 하부 체결공(452a)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양측 한 쌍의 상부 체결공(452b)과 중앙에 측벽 보강봉(340)이 관통 및 너트(N) 체결되는 보강봉 브라켓(453)이 형성된 내측 측벽브라켓(452)을 형성하며,
    측벽부(320)의 외측에는, 내측 측벽브라켓(452)과 대항되도록 한 쌍의 하부 체결공(454a)과 상부 체결공(454b)을 갖는 외측 측벽브라켓(454)을 형성하되,
    양측 한 쌍의 수평강봉(440)은, 그 일단이 방파판 브라켓(451)의 수평강봉 체결공(451a)에 관통 및 너트(N) 체결되고, 타단이 내측 측벽브라켓(452)의 하부 체결공(452a)과 측벽부(320)와 외측 측벽브라켓(454)의 하부 체결공(454b)을 관통 및 너트(N) 체결하며, 내측 측벽브라켓(452)과 외측 측벽브라켓(454)의 상부 체결공(452b)(454b)은 볼트(B)를 관통 및 너트(N) 체결하여 방파판(410)(410')과 측벽부(320)의 연결로 방파판 유닛(400)의 보강이 가능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의 방파판유닛 설치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방파판 보강단계에서는,
    각각의 방파판(410)(410')의 보강을 위해 그 플랜지(411) 보다 넓은 폭을 이루면서 플랜지(411)에 밀착되는 수직보강부(461)와, 그 수직보강부(461)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직각 절곡된 바닥보강부(462)로 된 보강편(460)으로 더 보강하되,
    보강편(460)은, 수직보강부(461)에 의해 플랜지(411)의 외측단에 볼팅 결합되고, 바닥보강부(451)에 의해 바닥부(310)에 볼팅 결합되어 방파판(410)(410')을 보강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의 방파판유닛 설치방법.
KR1020160093469A 2016-07-22 2016-07-22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 및 방파판유닛 설치방법 KR101706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469A KR101706038B1 (ko) 2016-07-22 2016-07-22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 및 방파판유닛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469A KR101706038B1 (ko) 2016-07-22 2016-07-22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 및 방파판유닛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038B1 true KR101706038B1 (ko) 2017-02-14

Family

ID=58121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469A KR101706038B1 (ko) 2016-07-22 2016-07-22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 및 방파판유닛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0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115B1 (ko) * 2017-07-17 2017-12-04 주식회사 원진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
KR101815865B1 (ko) * 2017-06-09 2018-01-30 주식회사 종우 내진에 의한 슬로싱 방지 구조를 갖는 물탱크
KR102005953B1 (ko) * 2018-08-01 2019-10-01 신진선 방파판이 구비된 소화수조
WO2021101448A1 (en) * 2019-11-21 2021-05-27 Poly-Line Pte Ltd Sectional panel tank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1148A (ja) * 2002-10-11 2004-04-30 Japan Water Works Association 薬品貯蔵槽
KR200381758Y1 (ko) * 2005-01-18 2005-04-18 영성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물탱크의 칸막이 보강구조
KR20080043185A (ko) 2006-11-13 2008-05-16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에스엠씨 판넬 조립식 물탱크
KR101306323B1 (ko) 2011-12-12 2013-09-09 주식회사 성일 조립식 에스엠씨 물탱크의 보강장치
KR101439220B1 (ko) * 2014-03-07 2014-09-12 주식회사 세진에스엠씨 항균 에스엠씨 패널을 이용한 항균 에스엠씨 물탱크
KR101640229B1 (ko) * 2016-03-25 2016-07-15 (주)아쿠아 내부 무보강 및 방파부재가 구비된 물탱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1148A (ja) * 2002-10-11 2004-04-30 Japan Water Works Association 薬品貯蔵槽
KR200381758Y1 (ko) * 2005-01-18 2005-04-18 영성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물탱크의 칸막이 보강구조
KR20080043185A (ko) 2006-11-13 2008-05-16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에스엠씨 판넬 조립식 물탱크
KR101306323B1 (ko) 2011-12-12 2013-09-09 주식회사 성일 조립식 에스엠씨 물탱크의 보강장치
KR101439220B1 (ko) * 2014-03-07 2014-09-12 주식회사 세진에스엠씨 항균 에스엠씨 패널을 이용한 항균 에스엠씨 물탱크
KR101640229B1 (ko) * 2016-03-25 2016-07-15 (주)아쿠아 내부 무보강 및 방파부재가 구비된 물탱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865B1 (ko) * 2017-06-09 2018-01-30 주식회사 종우 내진에 의한 슬로싱 방지 구조를 갖는 물탱크
KR101804115B1 (ko) * 2017-07-17 2017-12-04 주식회사 원진 사각 저면패널부 형상이 개선된 물탱크
KR102005953B1 (ko) * 2018-08-01 2019-10-01 신진선 방파판이 구비된 소화수조
WO2021101448A1 (en) * 2019-11-21 2021-05-27 Poly-Line Pte Ltd Sectional panel tank
US11926471B2 (en) 2019-11-21 2024-03-12 Poly-Line Pte Ltd Sectional panel tan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038B1 (ko) 슬로싱에 의한 충격방지용 방파판유닛을 갖는 소방용 smc물탱크 및 방파판유닛 설치방법
KR101723029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조립식 물탱크
KR101521774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한 물탱크
KR101815865B1 (ko) 내진에 의한 슬로싱 방지 구조를 갖는 물탱크
KR101640229B1 (ko) 내부 무보강 및 방파부재가 구비된 물탱크
KR101865758B1 (ko) 내부 보강재와 기초패드 결합구조에 의한 내진성을 갖는 물탱크
KR101691326B1 (ko) 지진에 안전한 내진 물탱크
US4050605A (en) Panel assembled tank
KR20180012584A (ko) 조립식 내진용 배관 지지장치
KR102058155B1 (ko) 조립식 물탱크의 내진보강 구조
KR101927204B1 (ko) 내진장치가 설치된 컨테이너 하우스용 화장실
KR102120457B1 (ko) 내부 무보강 내진용 pdf 물탱크
KR101760763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조립식 smc 물탱크
KR101489848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철골프레임에 프리텐션을 도입한 개구부 내진보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867074B1 (ko) 필로티 구조 건물의 내진 보강구조
KR101362746B1 (ko) 내, 외부보강 및 이중바닥으로 시공되는 구조보강용 원통형 저장탱크
KR101939341B1 (ko) 소화수조 전도 방지형 내진 버팀대 구조
KR101692989B1 (ko) 내진 강화부재가 구비된 pdf 저수조
KR101321057B1 (ko) 제진용 유체탱크를 갖는 수배전반용 외함
KR102054313B1 (ko) 좌굴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조의 전도방지용 버팀대 구조
KR101367429B1 (ko) 직접접촉방식의 유류증발방지용 커버구조
KR102217685B1 (ko) 내진성능을 갖는 무용접 하지 프레임
KR101691324B1 (ko) 물 출렁임 저감이 가능한 물탱크
KR101924135B1 (ko) 내진장치가 설치된 컨테이너 하우스용 벽체구조
KR102005953B1 (ko) 방파판이 구비된 소화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