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913B1 -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 - Google Patents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913B1
KR100913913B1 KR1020080087905A KR20080087905A KR100913913B1 KR 100913913 B1 KR100913913 B1 KR 100913913B1 KR 1020080087905 A KR1020080087905 A KR 1020080087905A KR 20080087905 A KR20080087905 A KR 20080087905A KR 100913913 B1 KR100913913 B1 KR 100913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water
storage tank
storag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자
Original Assignee
이경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자 filed Critical 이경자
Priority to KR1020080087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high-level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로 떨어지는 빗물을 경사면을 이용하여 일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낸 상태로 빗물을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부로 떨어지는 빗물을 상기 제1저장탱크의 상부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이 구비되는 빗물유도부; 상기 빗물유도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저장탱크에 저수된 물을 공급받아 수경재배가 이루어지는 수경재배부; 및 상기 제1저장탱크에 연결되어 밸브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1저장탱크에 저수된 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배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옥상에서 빗물을 저수하여 외기의 변화에 대해 건물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건물의 냉난방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빗물, 저수, 수경재배, 태양광

Description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A STORING AND UTILIZING DEVICE USING THE ROOF OF A STRUCTURE}
본 발명은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옥상에서 빗물을 저장하여 외기에 대해 건물을 급격한 온도변화를 방지하고, 저장된 빗물을 수경재배 및 건물 각부에서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옥상은 피난과 물탱크 등의 시설물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슬래브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형태의 옥상은 태양광이 뜨거운 여름철에는 과도하게 뜨거워져 건물의 상층부 온도를 상승시키고, 겨울철에는 외부의 차가운 온도에 과도하게 차가워지게 된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건물의 상층부 온도가 높아져 냉방비용이 증가하고, 반대로 겨울철에는 건물의 상층부의 열기가 옥상을 통해 배출되므로 상층부에 대한 난방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건물에 떨어지는 빗물은 그대로 배수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빗물은 집중호우시에 저지대로 유입되어 저지대의 침수를 유발하게 된다. 그리고 빗물을 그대로 배수하면서도 수도 사용량은 증대됨에 따라 수도 사용료에 대한 부 담이 커질 뿐만 아니라, 수도 생산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도 증가 추세에 있다.
아울러,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농약사용에 대한 폐해와 유전자변형 식품에 대한 우려가 보도되면서 식재료에 대한 염려가 증폭되어, 할 수만 있다면 본인이 직접 재배하거나 믿을 수 있는 곳에서 재배된 야채 등을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대도시 지역에서는 가정이나 업소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공간이 없거나 현저히 부족하여 그러한 시도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현안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옥상에서 빗물을 저수하여 외기의 변화에 대해 건물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빗물을 저수하여 건물의 각부에서 사용되는 물을 공급하는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빗물의 저수와 함께 저수된 빗물로 수경재배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물 옥상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로 떨어지는 빗물을 경사면을 이용하여 일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낸 상태로 빗물을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와, 상기 제1저장탱크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부로 떨어지는 빗물을 상기 제1저장탱크의 상부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이 구비되는 빗물유도부;와, 상기 빗물유도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저장탱크에 저수된 물을 공급받아 수경재배가 이루어지는 수경재배부;와, 상기 제1저장탱크에 연결되어 밸브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1저장탱크에 저수된 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배수부; 및 상기 빗물유도부에 연결되고, 상부로 떨어지는 빗물을 경사면을 이용하여 일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낸 상태로 빗물을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빗물유도부는 상부로 떨어지는 빗물을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로 분배하도록 경사면이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저장탱크는, 제1 및 제2저장탱크의 상부에서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따라 흘러내린 빗물을 일지점으로 유도하는 수로와, 상기 수로에 의해 빗물이 유도되는 일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수로를 통해 유입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 상태로 빗물을 통과시키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를 통과한 빗물을 저수하는 저수부와, 상기 저수부의 청소를 위하여 개폐가능한 출입문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에 연결되어 여과부에서 1차로 걸러진 빗물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을 내부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빗물을 2차로 정화하여 상기 저수부에 빗물을 저수하는 정화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제4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정화부에는, 상기 여과부를 통과한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정화탱크와, 상기 정화탱크로부터 지속적으로 소량의 빗물을 배출하는 배수관과 밸브 및, 상기 여과부로부터 정화탱크로 빗물을 유도하고 일부가 상부로 관통되어 있어 내부에 빗물이 가득차면 상부로 빗물이 배출되어 저수부로 공급되는 유도관과, 상기 배수관으로 배출되는 빗물의 양보다 상기 유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빗물의 양이 많아 일정 수위의 빗물이 상기 정화탱크에 채워지면 유도관으로부터의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수위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4발명에서, 상기 수위조절수단은, 부력에 의해 상기 정화탱크에 저수된 빗물의 수면상에 위치되는 부레와, 상기 부레에 연결되어 상기 부레의 이동에 따라 상기 유도관을 개폐하는 볼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제1 및 제2저장탱크로부터 일정 수위로 물이 상기 수경재배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수단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발명은, 제6발명에서, 상기 공급수단은, 부력에 의해 수면상에 위치되는 부레와, 상기 부레에 연결되어 상기 부레의 이동에 따라 개폐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수경재배부에 물을 공급하는 볼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빗물유도부는, 상기 수경재배부에서 재배되는 식물에 태양광이 공급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제1 및 제2저장탱크에는 내부에 저장된 빗물이 서로 유통될 수 있는 연결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에 의하면, 건물의 옥상에서 빗물을 저수하여 외기의 변화에 대해 건물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건물의 냉난방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빗물을 저수하여 건물의 각부에서 사용되는 물을 공 급함으로써, 가정이나 업소 등의 수도사용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도 생산에 따른 에너지 소비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건물의 옥상에 자연적으로 내리는 빗물을 저수하여 저수된 빗물을 옥상으로부터 건물의 각부에 대한 수압에 의해 무동력으로 빗물을 활용함으로써, 빗물의 저수 및 사용에 따른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에너지를 절약함으로써, 에너지 소비에 따른 CO2 발생량을 줄여 결국 지구온난화 예방에 기여하는 잇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빗물의 저수와 함께 저수된 빗물로 수경재배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물 옥상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가정이나 업소 등에서 원하는 식물을 수경재배하여 식용 또는 관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용 또는 관상용 식물의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건물의 옥상에 수경재배를 하여 녹지대가 많아지게 되어 대기 중의 CO2를 감소시키고 산소를 증가시키는 잇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의 제1실 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여과부와 정화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 1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부레와 볼탭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는, 크게 제1저장탱크(10), 빗물유도부(20), 수경재배부(30), 배수부(50) 및 정화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저장탱크(10)는 상부로 떨어지는 빗물을 경사면을 이용하여 일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낸 상태로 빗물을 저장한다.
이러한 제1저장탱크(10)는, 돌출부(11), 수로(13), 여과부(15), 저수부(17) 및 출입문(19)을 포함한다. 먼저 돌출부(11)는 제1저장탱크(10)의 상부에서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로 떨어지는 빗물을 경사면을 이용하여 수로(13)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삼각단면이나 곡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로(13)는 상기 돌출부(11)를 따라 흘러내린 빗물을 일지점, 즉, 상기 여과부(15)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수로(13)는 상기 여과부(15)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에 떨어지는 빗물과 돌출부(11)에서 흘러내린 빗물이 모두 여과부(15)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여과부(15)는, 상기 수로(13)를 통해 유입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 상태로 빗물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여과부(15)에는 빗물은 유입되고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다수개의 관통공(15a)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부(17)는 상기 여과부(15)를 통과한 빗물을 저수하는 장소이다.
이때 여과부(15)를 통과한 빗물은 저수부(17)로 바로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에서 설명될 정화부(60)를 거쳐서 저수부(17)로 투입된다. 즉, 여과부(15)에 의해서는 잎사귀와 같은 큰 이물질이 걸러지고, 정화부(60)에 의해서는 먼지 등과 같은 작은 이물질이 걸러진다.
아울러, 출입문(19)은 상기 저수부(17)의 청소를 위하여 개폐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출입문(19)은 상기 제1저장탱크(10)의 상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면에는 돌출부(1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출입문(19)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즉, 출입문(19)을 닫아 놓은 상태인 평상시에는 상기 출입문(19)도 돌출부(11)와 같이 상부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흘러내려 수로(13)로 흘려보내고(도 3 참조), 상기 돌출부(11)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저수부(17)의 청소 등의 관리를 위해서는 개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한편, 빗물유도부(20)는, 상기 제1저장탱크(10)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부로 떨어지는 빗물을 상기 제1저장탱크(10)의 상부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이 구비된다. 이러한 빗물유도부(20)의 일단은 상기 제1저장탱크(10)의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장착되고, 타단은 이러한 경사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부(21)에 의해 지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빗물유도부(20)는 상기 제1저장탱크(1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빗물유도부(20)는 수경재배부(30)에서 재배되는 식물에 태양광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경재배부(30)는 상기 빗물유도부(20)의 하부에서 상기 제1저장탱크(10)에 면하여 지면에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수경재배부(30)에는 상기 제1저장탱크(10)에 저수된 물을 공급받아 수경재배가 이루어진다. 이때 수경재배부(30)에는 상기 제1저장탱크(10)로부터 일정 수위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공급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공급수단은 다양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부력에 의해 수면상에 위치되는 부레(41)와, 상기 부레(41)에 연결되어 상기 부레(41)의 이동에 따라 개폐되면서 상기 제1저장탱크(10)로부터 상기 수경재배부(30)에 물을 공급하는 볼탭(4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부레(41)와 볼탭(43)의 구성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배수부(50)는 상기 제1저장탱크(10)에 연결되어 밸브(53)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1저장탱크(10)에 저수된 물을 선택적으로 배수하는데 사용된다. 즉, 제1저장탱크(10)는 건물의 옥상(70)에 설치되므로, 옥상 이하의 층(71)에서는 상기 제1저장탱크(10)의 저수부(17)로 배관(51)을 연결하여 밸브(53)를 개폐하면 수압에 의해 저수부(17)에 저장된 물은 배수된다. 따라서 옥상 이하의 층(71)에서 화장실의 세면대나 대변기 및 소변기 또는 청소용이나 세탁용으로 사용되는 물을 상기 저수부(17)에 저장된 빗물로 대신 사용함으로써 수도사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정화부(60)는, 상기 여과부(15)에 연결되어 여과부(15)에서 1차로 걸러진 빗물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을 내부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2차로 정화하여 상기 저수부(17)에 빗물을 공급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정화부(60)는, 정화탱크(61), 배수관(62)과 밸브(63), 유도관(65) 및 수위조절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화탱크(61)는 여과부(15)를 통과한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정화탱크(61)에는 정화탱크(61)로부터 지속적으로 소량의 빗물을 배출하는 배수관(62)과 밸브(63)가 장착된다. 즉, 배수관(62)에 구비되는 밸브(63)는 완전히 잠겨져 있지 않은 상태로 있어 배수관(62)으로부터는 빗물이 방울 형태로 지속적으로 배출된다.
한편, 유도관(65)은 상기 여과부(15)로부터 정화탱크(61)로 빗물을 유도하고 일부가 상부로 관통되어 있어 내부에 빗물이 가득 차면 상부로 빗물이 배출되어 저수부(17)로 공급되는 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유도관(65)의 중단에는 상부로 개방된 관통공(65a)이 형성되어 있어, 정화탱크(61)에 일정 수위로 빗물이 차면 상기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유도관(65)이 차단된다. 따라서 유도관(65)에는 빗물이 차게 되고, 상기 유도관(65)을 완전히 채운 빗물은 상기 관통공(65a)을 통해 저수부(17)로 유입된다.
또한 수위조절수단은 상기 배수관(62)으로 배출되는 빗물의 양보다 상기 유도관(65)을 통해 공급되는 빗물의 양이 많아 일정 수위의 빗물이 정화탱크(61)에 채워지면 유도관(65)으로부터의 빗물의 유입을 차단한다. 이러한 수위조절수단은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수단과 같은 부레(67)와 볼탭(68)으로 구성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비가 내리면 빗물은 제1저장탱크(10)의 돌출부(11)에 마련된 경사면을 따라 수로(13)로 유도되고, 빗물유도부(20)에서도 경사면을 따라 빗물이 흘러내려 수로(13)로 유도된다.
이렇게 수로(13)로 유도된 빗물은 수로(13)의 경사를 따라 여과부(15)로 유입된다. 상기 여과부(15)에는 관통공(15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비교적 큰 이물질은 상기 관통공(15a)에 걸려 통과하지 못하고, 빗물만이 통과된다.
여과부(15)를 통과한 빗물은 유도관(65)을 따라 정화탱크(61)로 유입된다. 이때 정화탱크(61)에서는 배수관(62)을 통해 지속적으로 내부의 물이 방울 형태로 조금씩 배출되고 있으므로, 수위가 점차 낮아져서 부레(67)가 수위를 따라 이동되면서 볼탭(68)이 개방된 상태로 있다. 따라서 유도관(65)을 통과한 빗물은 정화탱크(61)로 유입될 수 있다.
유도관(65)을 통해 정화탱크(61)로 유입되는 빗물이 많아지면, 비록 정화탱크(61)에서 배수관(62)을 통해 소량의 빗물이 배출되더라도 정화탱크(61)의 수위는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승된 수위가 일정 수위에 이르면 부레(67)가 상승하면서 볼탭(68)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더 이상 유도관(65)을 통해 정화탱크(61)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고, 이때부터는 유도관(65)에 빗물이 채워진다.
유도관(65)을 가득 채운 빗물은 유도관(65)의 상부로 관통 형성된 관통부(65a)를 통하여 저수부(17)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여과부(15)에서 큰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에서 초기의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돌출부(11)나 수로(13)에 쌓인 먼지 등의 작은 이물질은 정화탱크(61)에 저장되는 방식으로 걸러지게 된다. 따라서 저수부(17)에는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깨끗한 빗물만이 모여질 수 있다.
저수부(17)에 저장된 물은 수경재배용이나 건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즉, 빗물유도부(20)의 하부에 마련되는 수경재배부(30)에는 볼탭(43)에 의해 저수부(17)에 저수된 물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볼탭(43)은 부레(41)의 수위변화에 따라 개폐되는 것으로, 수경재배부(30)의 수위가 낮으면 부레(41)가 하강하여 볼탭(43)이 개방되면서 수경재배부(30)로 물이 공급되고(도 6 참조), 수경재배부(30)의 수위가 일정 수위에 이르면 부레(41)가 상승하여 볼탭(43)이 폐쇄된다(도 5 참조). 따라서 수경재배부(30)에서는 빗물을 이용하여 수경재배가 가능한 다양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더구나, 빗물유도부(20)는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므로, 수경재배되는 식물에 태양광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저수부(17)에 저장된 물은 배관(51)을 통하여 건물의 각부에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배관(51)이 화장실에 연결되어 대변기와 소변기에서 사용되는 물을 저수부(17)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고, 또는 청소용이나 세탁용으로 사용되는 물을 저수부(17)로부터 공급받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저수부(17)에서 공급되는 물의 배수는 배관(51)의 말단에 장착된 밸브(5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빗물을 저수하여, 여름철에 건물의 옥상(70)이 태양광에 의해 뜨거워지는 것과 겨울철에 대기에 의해 차가워지는 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수경재배가 가능하여 원하는 식물을 유기농법으로 재배할 수 있으므로, 가정이나 업소에서는 식재료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건물의 각부에서 다양한 용도로 빗물을 활용할 수 있어 수도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가정이나 업소에서는 수도사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도 생산을 위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저장탱크(10)와 제2저장탱크(80)가 마련되고, 상기 제1저장탱크(10)와 제2저장탱크(80)의 사이에 빗물유도부(20)가 설 치된다. 이때 제2저장탱크(80)의 구성은 제1저장탱크(1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2저장탱크(80)는 제1저장탱크(10)와 함께 다수개의 저장탱크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제2저장탱크(80) 이외에 제3 및 제4저장탱크도, 제2저장탱크(80)를 연결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건물 옥상의 면적에 따라 제1실시예와 같이 제1저장탱크(10) 하나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저장탱크(10)와 제2저장탱크(80)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내지 제4저장탱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5개 이상의 저장탱크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저장탱크(10)와 제2저장탱크(80)가 연결관(9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90)은 제1저장탱크(10)와 제2저장탱크(80)에 저수된 빗물이 서로 유통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연결관(90)에 의해 각 저장탱크(10, 80)의 수위는 서로 동일하게 조정될 수 있다.
한편, 빗물유도부(20)의 일측은 제1저장탱크(10)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은 제2저장탱크(80)에 의해 지지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빗물유도부(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1)는 필요하지 않다.
이상과 같이 다수개의 저장탱크를 사용하면 저수부(17)에 저수되는 물의 양이 증가될 수 있고, 수경재배 면적도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수경재배로 재배되는 식물의 생산량이 증대되고, 건물의 각부에서 저수부(17)에 저수된 물을 보다 풍족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여과부와 정화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 1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부레와 볼탭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제2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제1저장탱크 20 : 빗물유도부
30 : 수경재배부 41 : 부레
43 : 볼탭 50 : 배수부
60 : 정화부 70 : 건물 옥상
71 : 옥상 이하의 층 80 : 제2저장탱크
90 : 연결관

Claims (9)

  1. 상부로 떨어지는 빗물을 경사면을 이용하여 일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낸 상태로 빗물을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부로 떨어지는 빗물을 상기 제1저장탱크의 상부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이 구비되는 빗물유도부;
    상기 빗물유도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저장탱크에 저수된 물을 공급받아 수경재배가 이루어지는 수경재배부;
    상기 제1저장탱크에 연결되어 밸브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1저장탱크에 저수된 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배수부; 및
    상기 빗물유도부에 연결되고, 상부로 떨어지는 빗물을 경사면을 이용하여 일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낸 상태로 빗물을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빗물유도부는 상부로 떨어지는 빗물을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로 분배하도록 경사면이 양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저장탱크는, 제1 및 제2저장탱크의 상부에서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따라 흘러내린 빗물을 일지점으로 유도하는 수로와, 상기 수로에 의해 빗물이 유도되는 일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수로를 통해 유입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 상태로 빗물을 통과시키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를 통과한 빗물을 저수하는 저수부와, 상기 저수부의 청소를 위하여 개폐가능한 출입문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에 연결되어 여과부에서 1차로 걸러진 빗물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을 내부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빗물을 2차로 정화하여 상기 저수부에 빗물을 저수하는 정화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에는, 상기 여과부를 통과한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정화탱크와, 상기 정화탱크로부터 지속적으로 소량의 빗물을 배출하는 배수관과 밸브 및, 상기 여과부로부터 정화탱크로 빗물을 유도하고 일부가 상부로 관통되어 있어 내부에 빗물이 가득차면 상부로 빗물이 배출되어 저수부로 공급되는 유도관과, 상기 배수관으로 배출되는 빗물의 양보다 상기 유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빗물의 양이 많아 일정 수위의 빗물이 상기 정화탱크에 채워지면 유도관으로부터의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수위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수단은, 부력에 의해 상기 정화탱크에 저수된 빗물의 수면상에 위치되는 부레와, 상기 부레에 연결되어 상기 부레의 이동에 따라 상기 유도관을 개폐하는 볼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저장탱크로부터 일정 수위로 물이 상기 수경재배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수단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부력에 의해 수면상에 위치되는 부레와, 상기 부레에 연결되어 상기 부레의 이동에 따라 개폐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수경재배부에 물을 공급하는 볼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유도부는, 상기 수경재배부에서 재배되는 식물에 태양광이 공급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저장탱크에는 내부에 저장된 빗물이 서로 유통될 수 있는 연결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
KR1020080087905A 2008-09-05 2008-09-05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 KR100913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905A KR100913913B1 (ko) 2008-09-05 2008-09-05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905A KR100913913B1 (ko) 2008-09-05 2008-09-05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913B1 true KR100913913B1 (ko) 2009-08-26

Family

ID=41210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905A KR100913913B1 (ko) 2008-09-05 2008-09-05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91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326B1 (ko) 2012-01-18 2013-08-09 전홍기 식생블록
KR101779010B1 (ko) * 2016-06-03 2017-09-18 주식회사 근옥 빗물 저장형 벤치 화분
KR101783409B1 (ko) * 2017-01-10 2017-10-23 주식회사 근옥 빗물 저장형 화분
KR20220089781A (ko) * 2020-12-21 2022-06-29 조명우 작물 재배용 양액 혼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물 재배 시스템
CN116446491A (zh) * 2023-06-07 2023-07-18 江苏沪武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雨水收集净化系统及施工方法
KR102603610B1 (ko) * 2022-12-19 2023-11-21 주식회사 한국에너지서비스 신재생 에너지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806A (ja) * 1996-04-23 1998-01-13 Sekisui Chem Co Ltd 底面自動灌水装置
JPH10102549A (ja) * 1996-09-30 1998-04-21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雨水利用装置
JP2001140289A (ja) 1999-11-10 2001-05-22 Tokai Homes Co Ltd 浴槽排水及び雨水のリサイクル装置
KR100784262B1 (ko) 2006-11-28 2007-12-11 주식회사서흥산업기계 대형 빗물 저장탱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806A (ja) * 1996-04-23 1998-01-13 Sekisui Chem Co Ltd 底面自動灌水装置
JPH10102549A (ja) * 1996-09-30 1998-04-21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雨水利用装置
JP2001140289A (ja) 1999-11-10 2001-05-22 Tokai Homes Co Ltd 浴槽排水及び雨水のリサイクル装置
KR100784262B1 (ko) 2006-11-28 2007-12-11 주식회사서흥산업기계 대형 빗물 저장탱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326B1 (ko) 2012-01-18 2013-08-09 전홍기 식생블록
KR101779010B1 (ko) * 2016-06-03 2017-09-18 주식회사 근옥 빗물 저장형 벤치 화분
KR101783409B1 (ko) * 2017-01-10 2017-10-23 주식회사 근옥 빗물 저장형 화분
KR20220089781A (ko) * 2020-12-21 2022-06-29 조명우 작물 재배용 양액 혼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물 재배 시스템
KR102490782B1 (ko) * 2020-12-21 2023-01-20 조명우 작물 재배용 양액 혼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물 재배 시스템
KR102603610B1 (ko) * 2022-12-19 2023-11-21 주식회사 한국에너지서비스 신재생 에너지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N116446491A (zh) * 2023-06-07 2023-07-18 江苏沪武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雨水收集净化系统及施工方法
CN116446491B (zh) * 2023-06-07 2024-02-02 江苏沪武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雨水收集净化系统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913B1 (ko)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
KR100725029B1 (ko) 옥상녹화 시스템
KR100833122B1 (ko) 수막재배용 온도조절장치
CN103563727A (zh) 水培养系统
JP2011130761A (ja) 雨水人工涵養可能な地質循環式水幕栽培システム{Protectedcultivationsystemwithgeologicalcirculationofgroundwaterandrainfallartificialrecharge}
JP2007267732A (ja) 屋上緑化システム
KR100847826B1 (ko) 빗물 이용 및 저장장치
JP2012107451A (ja) 雨水の貯留構造及びこれを使用した雨水の循環システム
CN110436717B (zh) 一种具有脉冲配水和模块化人工湿地的污水处理系统
KR20110126917A (ko) 빗물저장탱크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KR101161297B1 (ko) 시설하우스 빗물이용장치
CN207185424U (zh) 一种大棚节水降温系统
CN211548418U (zh) 一种屋顶水循环系统
JP2008212104A (ja) ワサビのハウス促成栽培システム
JP2005253472A (ja) 栽培方法並びに栽培施設
CN108486986A (zh) 海绵城市行道树供养系统
CN101151958A (zh) 有蓄水装置的种植盆
CN106069825A (zh) 一种标准猪舍
CN208167442U (zh) 海绵城市行道树供养系统
KR20160004033A (ko) 관개수로용 수문
KR20170000599A (ko) 관개수로용 수문
TWM573565U (zh) Water-free planting equipment
JP2011038295A (ja) 雨水排水構造
KR20170004490A (ko)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
CZ201545A3 (cs) Způsob tepelné stabilizace objektů opatřených z vnějšku zelenou vegetací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