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409B1 - 빗물 저장형 화분 - Google Patents

빗물 저장형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409B1
KR101783409B1 KR1020170003596A KR20170003596A KR101783409B1 KR 101783409 B1 KR101783409 B1 KR 101783409B1 KR 1020170003596 A KR1020170003596 A KR 1020170003596A KR 20170003596 A KR20170003596 A KR 20170003596A KR 101783409 B1 KR101783409 B1 KR 101783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rainwater
water
polle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근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근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근옥
Priority to KR1020170003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에 심겨진 조경용 식물이 빗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빗물이 모아지는 저장통에 화분을 설치하여 물을 아끼는 한편 인위적으로 물을 뿌려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빗물 저장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빗물이 모아져 저장되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물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물탱크의 상부는 중앙쪽이 낮아지는 형태가 되게 하되 상기 덮개의 중앙에는 화분이 끼워지는 화분구멍을 형성하는 한편 그 외측으로 빗물을 물탱크로 이동시키는 빗물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빗물구멍에는 거름망이 구비된 거름캡을 끼워주고, 상기 화분구멍 끼워지는 화분은 하측은 물탱크의 바닥에 닿게 화분바디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화분바디에는 물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화분의 내측에 토사를 채우고 조경식물을 식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빗물 저장형 화분{Rainwater storage-type flowerpot}
본 발명은 화분에 심겨진 조경용 식물이 빗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빗물이 모아지는 저장통에 화분을 설치하여 물을 아끼는 한편 인위적으로 물을 뿌려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빗물 저장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도로변 또는 공원 등에는 조경용 대형 화분을 설치하여 조경용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 미화를 하고 있으나, 야외에 설치되는 화분은 넓은 장소에 설치되는 관계로 관리범위가 넓고, 설치 개수가 많을 경우에는 관리자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여 제때에 물을 주지 못하는 문제로 인하여 화분에 심겨진 조경용 식물의 성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즉, 조경을 위하여 공원이나 도로변 등의 야외에 설치되는 화분은 조경용 식물의 생육을 위한 수분 공급이 필수적인 것으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화분은 빗물이나 인위적으로 뿌려주는 물에 의존하여 생육을 하게 되나, 빗물에 의존하는 경우는 주기적으로 빗물을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하늘에서 뿌리는 빗물만으로는 화분의 조경용 식물을 자라게 할 수 없고, 또한, 인위적으로 물을 뿌리는 경우는 화분이 넓은 지역에 설치되는 한편 화분마다 호스를 이용하여 물을 뿌려야 하기 때문에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특히, 야외에 조경용으로 설치되는 화분에 인위적으로 물을 뿌려서 식물의 생육을 돕는 방식은 물을 뿌려주는 작업자와 함께 많은 량의 물을 끌고 다니는 물차를 필요로 하는 것이어서, 야외 화분의 관리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는 한편 물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하늘에서 내리는 빗물을 이용하여 자연적인 물 공급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관리와 물을 낭비하지 않는 이점이 있으나, 빗물은 기상 조건에 따라 활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단순히 하늘에서 내리는 빗물을 이용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화분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게는 할 수 없는 것으로, 본 발명은 비가 내릴 때 빗물을 모아 두었다가 비가 오지 않을 때 효과적으로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267427호(2002.02.26. 등록)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246956호(2001.09.05. 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539186호(2005.12.21. 등록)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3-0046793호(2013.05.08. 공개)
본 발명은 조경용 식물이 심겨진 대형 화분을 조경용으로 야외에 설치함에 있어서, 넓은 관리지역에서 많은 수량이 설치된 야외용 화분에 심겨진 식물을 자라게 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물을 뿌려주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는 한편 빗물을 활용하지 못하고 흘려버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빗물을 모아서 저장한 후 이를 이용하여 화분의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빗물이 모아져 저장되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물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물탱크의 상부는 중앙쪽이 낮아지는 형태가 되게 하되 상기 덮개의 중앙에는 화분이 끼워지는 화분구멍을 형성하는 한편 그 외측으로 빗물을 물탱크로 이동시키는 빗물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빗물구멍에는 거름망이 구비된 거름캡을 끼워주고, 상기 화분구멍 끼워지는 화분은 하측은 물탱크의 바닥에 닿게 화분바디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화분바디에는 물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화분의 내측에 토사를 채우고 조경식물을 식재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물탱크에는 공기관을 형성하여 환기가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수위확인관을 설치하여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덮개로 모아진 빗물은 덮개의 경사를 타고 빗물구멍을 통하여 물탱크에 모아지게 되며, 상기 빗물구멍을 막아주는 거름캡은 덮개에서 돌출되지 않고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거름망을 설치하여 이물질이 물탱크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덮개 중앙에 형성된 화분구멍에는 받침돌기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빗물과 함께 이물질이 화분구멍을 통하여 물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덮개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도록 한다.
본 발명 물탱크의 바닥에는 화분바디가 끼워지는 환형돌기를 형성하는 한편 물탱크의 저면에는 물탱크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이동홈을 형성하여 구조적 안정성과 함께 이동홈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빗물이 덮개에 모아지면 거름캡에서 이물질을 걸러준 후 물탱크에 모아지게 하고, 물탱크에 모아진 빗물은 덮개의 화분구멍에 끼워진 화분의 화분바디를 통하여 조경용 식물이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화분에 심겨진 식물이 빗물에 의해 수분을 공급받는 한편 물탱크에 모아진 빗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기간 비가 내리지 않아도 식물의 생육에 지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넓은 지역에 많은 수로 야외에 설치하여도 관리가 간편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화분은 야외에서 조경용으로 사용되는 한편 빗물을 모아서 식물의 생육에 사용함으로써 주기적으로 물을 뿌려 주어야 하는 불편을 없애는 한편 수돗물을 사용하는 량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물 절약 효과를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거름캡 확대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화분 평면도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덮개평면과 부분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물탱크 평면도와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벤치로 사용하는 상태의 실시예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벤치로 사용하는 상태의 실시예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가림막을 씌운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가림막은 씌운 상태의 다른 실시예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화분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화분의 정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화분의 정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가림막이 씌운 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빗물을 이용하지 않는 상태의 실시예 단면도
본 발명은 야외에 조경용으로 설치되는 화분에 심겨진 조경용 식물에 별도로 물을 뿌려주지 않아도 빗물을 물탱크에 모아준 후 이를 화분의 식물이 흡수토록 함으로써, 야외의 넓은 지역에 많은 개수가 설치된 화분에 주기적으로 물을 뿌려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빗물이 모아지는 물탱크에 화분을 끼워서 물탱크로 모아진 빗물을 화분에 심긴 조경용 식물이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분은 상측에 가림막을 씌워주고, 식물이 구멍을 통하여 식재되게 함으로써,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는 한편 빗물이 직접 토사로 떨어져 덮개의 상부에 떨어지는 토사로 인하여 물탱크에 채워지는 빗물에 이물질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물탱크는 원통형이나 다각형의 형상을 갖고, 내부에 일정량의 빗물을 모으는 공간이 형성되는 한편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물탱크의 상부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형태의 덮개를 씌워주되 상기 덮개의 중앙에는 화분이 끼워지는 화분구멍을 형성하는 한편 화분구멍의 외측으로 빗물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빗물구멍에는 거름망이 설치된 거름캡을 끼워서 빗물만 물탱크로 모아지게 하고, 상기 화분구멍에는 물탱크의 바닥에 닿는 한편 물구멍이 형성되는 화분바디를 갖춘 화분이 끼워지게 하며, 상기 물탱크에는 빗물을 배출시키는 드레인관과 빗물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수위확인관을 설치하는 한편 내부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게 공기관을 설치한다.
물탱크의 상부를 막아주는 덮개로 떨어지는 빗물은 덮개의 경사에 의해 중앙으로 모아지면서 거름캡의 거름망을 통하여 이물질이 걸러진 후 물탱크에 모이게 되고, 덮개의 중앙에 형성된 화분구멍에는 화분이 끼워지되 화분의 하측에 형성된 화분바디가 물탱크의 바닥에 닿도록 한 상태에서 화분바디에 형성된 물구멍을 통하여 빗물이 화분에 심긴 조경용 식물로 공급되게 한다.
여기서, 거름캡은 덮개의 상면에서 돌출되지 않게 끼워지도록 하고, 화분구멍의 외주연에는 받침돌기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이물질이 빗물과 함께 화분구멍을 통하여 물탱크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덮개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도록 한다.
물탱크에는 바닥으로 이동홈을 형성하여 운반과 구조적 안정성을 갖도록 하는 하편 측면으로는 공기관을 설치하여 악취 발생을 방지하는 통풍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공기관에는 착탈 가능한 거름망을 설치하여 이물질이 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물탱크에는 수위 확인관과 함께 빗물을 빼내는 드레인관을 설치하며, 물탱크의 외측은 나무판이나 시트지를 이용하여 마감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겨울철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가 씌워질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물탱크를 중앙에 두고 원형의 벤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덮개에 형성된 화분구멍에 끼워지는 화분은 하측으로 물탱크 바닥의 환형돌기에 끼워지게 화분바디를 형성하되 상기 화분바디에는 물구멍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화분바디는 물탱크에 채워진 빗물에 잠기게 되고, 상기 화분바디의 내측에는 부직포를 씌워서 플라이애쉬 등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이물질이 물탱크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물탱크에는 외부에서 핸들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교반날개를 설치함으로써, 주기적으로 교반날개를 회전시켜 물탱크에 채워진 빗물이 정체되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빗물을 화분으로 공급하지 않고, 외부에서 물탱크에 물을 채운 후 이를 화분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야외에 조경용으로 설치되는 대형 화분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다양한 형상을 갖는 물탱크(10)의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20)에서 빗물을 모아 물탱크(10)를 채우게 하고, 상기 덮개(20)의 중앙에 형성된 화분구멍(21)에 화분(50)을 끼움으로써, 화분(50)의 조경용 식물(1)이 빗물을 흡수하여 자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은 별도로 물을 뿌리지 않아도 되고, 버리는 빗물을 활용하여 물 부족을 해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물탱크(10)는 상부가 개방된 곳은 덮개(20)로 막아주고, 저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이동홈(12)을 형성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는 한편 이동시 이동홈(12)을 이용하여 쉽게 들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물탱크(10)의 측면에는 환형의 돌기를 형성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물탱크(10)에는 공기관(14)을 설치하여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이루어져 빗물(2)에서 악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공기관(14)에는 거름망(15)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날파리 등의 이물질이 물탱크(10)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하며, 물탱크(10)에 공기관(14)보다 많은 량의 빗물(2)이 모아지게 되면 상기 공기관(14)을 통하여 빗물(2)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물탱크(10)에는 더러운 빗물(2)을 배출하는 드레인관(16)이 설치되는 한편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수위 확인관(13)이 설치되고, 물탱크(10)의 외측에는 미적인 아름다움을 위하여 얇은 나무판이나 시트지를 붙여줄 수 있으며, 물탱크(10)는 야외에 설치되는 관계로 겨울철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물탱크(10)를 덮어주는 덮개(20)는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하여 빗물(2)이 중앙으로 모이게 하고, 상기 덮개(20)의 중앙에는 화분구멍(21)을 형성하여 화분(5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화분구멍(21)의 외주연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받침돌기(22)를 형성하여 빗물이 받침돌기(22)를 넘어 화분구멍(21)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한편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주도록 한다.
상기 덮개(20)의 화분구멍(21) 외측으로는 빗물구멍(23)을 형성하고, 상기 빗물구멍(23)은 거름망(31)이 설치되는 거름캡(30)을 씌워주되 상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덮개(20)에 모아진 빗물이 거름망(31)에서 이물질을 걸러준 후 물탱크(10)에 모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덮개(20)에는 화분구멍(21)의 외측으로 빗물구멍(23)이 형성되고, 상기 빗물구멍(23)은 거름망(31)이 설치된 거름캡(30)을 끼워줌으로서, 빗물(2)만 거름망(31)을 통하여 물탱크(10)에 모아지고, 낙엽 등의 이물질은 거름망(31)에 의해 걸러지게 되며, 상기 거름캡(30)은 덮개(20)의 표면에서 돌출되지 않게 함몰되어 설치되는 것이 적합하고, 이물질이 걸러지면 거름캡(30)을 분리시켜 이물질을 털어낸 후 다시 빗물구멍(23)에 끼운 후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덮개(20) 중앙에 설치된 화분구멍(21)에는 화분(50)을 끼워주게 되는 것으로, 상기 화분(50)의 하측은 물탱크(10)의 바닥에 닿도록 화분바디(51)를 형성하고, 상기 화분바디(51)에는 빗물(2)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물구멍(52)을 형성하며, 화분바디(51)의 하측은 물탱크(10)의 바닥에 돌출되게 형성된 환형돌기(11)의 내측으로 세워지게 함으로써, 화분바디(51)가 일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화분바디(51)의 내측에는 부직포(40)를 깔아주어, 물구멍(52)을 통하여 빗물(2)만 유입되고, 내부의 이물질은 물탱크(10)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부직포(40)의 내측으로는 경량이고 공극율이 높은 플라이애쉬(61)를 채워주고, 화분(50)의 내측에서 토사(60)를 채워 식물(1)이 심겨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플라이애쉬(61)는 마사토나 스폰지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분(50)에 심겨진 식물(1)은 물구멍(52)을 통하여 유입되는 빗물(2)을 흡수하게 되는 것으로, 식물의 뿌리는 플라이애쉬(61)를 통하여 화분바디(51)의 깊숙이 박히게 되며, 이와는 달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바디(51)의 내측으로 아무것도 채워지지 않도록 차단판(75)을 설치하고, 상기 차단판(75)에는 하측으로 빗물(2)을 흡수하는 흡수포(76)를 설치하는 한편 흡수포(76)로 흡수되는 빗물이 차단판(75)의 상측에 채워진 토사(6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분바디(51)에 채워진 빗물(2)이 흡수포(76)로 흡수된 후 토사(60)에 심겨진 식물(2)이 흡수하여 자랄 수 있도록 한다.
이 같이, 흡수포(76)를 사용하는 경우는 빗물(2)에 플라이애쉬(61)나 토사(60)가 직접 닿지 않아 빗물(2)이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분구멍(21)에 화분(50)을 끼우게 되면, 화분바디(51)는 물탱크(10)의 바닥에 닿게 되고, 화분(50)의 외측은 받침돌기(22)에 의해 받쳐지게 되며, 상기 받침돌기(22)는 덮개(20)의 상측으로 모아진 빗물이 그대로 화분구멍(21)을 통하여 물탱크(10)로 모아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빗물과 함께 이물질이 물탱크(1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화분(5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를 구멍(6)이 뚫린 가림막(5)으로 막아주어, 토사(60)에 심긴 식물(1)이 구멍(6)을 통하여 식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화분(50)의 상부에서 토사(60)가 그대로 노출되게 하는 경우, 수분의 증발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잡초가 자라는 한편 빗물이 토사(60)를 튕겨 빗물이 혼입시키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가림막(5)의 구멍(60)에는 외주연으로 돌출되는 돌출턱(7)을 형성하여, 빗물이 직접 구멍(6)으로 유입되지 않고, 가림막(5)을 타고 흘러 내린 후 덮개(20)의 빗물구멍(23)을 통하여 물탱크(10)에 모아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사(60)가 화분(50)에서 누출되는 경우를 없애도록 한다.
그리고, 덮개(20)에는 물탱크(10)에 채워진 빗물(2)을 교반하는 교반날개(70)를 설치하고, 상기 교반날개(70)는 핸들(71)을 이용하여 필요시 회전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교반날개(70)는 주기적으로 핸들(71)을 끼워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 같이 교반날개(70)가 회전되면 물탱크(10)에 채워진 빗물(2)의 교반이 이루어져, 빗물(2)이 신선한 상태로 오래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탱크(10)나 화분(50)은 원형에 국한되지 않고, 도 12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태의 화분(50a)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사각의 물탱크(10a)에 덮개(20a)가 씌워지는 한편 덮개(20a)와 화분(50a)은 일체로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물탱크(10a)에는 수위확인관(13)과 드레인관(16) 및 공기관(14)과 이동홈(12)이 형성되는 것은 전술된 바와 같다.
그리고, 덮개(20a)에는 거름망(31)이 설치된 거름캡(30)이 끼워져 빗물만 물탱크(10a)에 모아지게 되고, 상기 화분(50a)의 내측에는 부직포(40)로 감싼다음 플라이애쉬(61)와 토사(60)을 채운 후 식물(1)을 식재하거나, 토사(60)가 빗물(2)에 닿지 않도록 차단판(75)을 설치하되 상기 차단판(75)의 하부에 설치된 흡수포(76)만 빗물(2)에 잠기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분(50a)의 상부는 구멍(6)이 형성된 가림막(5)으로 막아줄 수 있으며, 구멍(6)을 통하여 식물(1)이 식재되며,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는 한편 빗물에 의해 토사(60)가 사방으로 흩어지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
본 발명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b)로 떨어진 빗물이 물탱크(10a)로 모아지지 않고, 외부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탱크(10a)에는 빗물이 모이지 않고, 외부에서 펌프를 이용하여 공급하는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한 후 물탱크(10a)에 채워진 물을 화분(50a)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화분(50a)에 심긴 식물(1)이 물을 거의 흡수하지 않는 종류일 경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화분(50)의 화분바디(51) 내측 또는 화분(50a)에 부직포(40)를 씌워준 후 플라이애쉬(61)를 채우고, 그 위에 토사(60)를 채운 후 식물(1)을 식재하게 되고, 이러한 화분(50)은 화분구멍(21)에 끼워서 화분바디(51)의 하측이 물탱크(10)의 바닥에 닿아 환형돌기(11)로 받쳐지게 하거나, 덮개(20a)와 일체로 형성된 화분(50a)의 하측이 물탱크(10a)의 바닥에 닿은 상태로 설치되게 한다.
그리고, 빗물구멍(23)은 거름망(31)이 구비된 거름캡(30)으로 막아주어 빗물이 덮개(20)(20a)의 상측에 떨어질 때 거름망(31)을 통하여 이물질은 걸러진 후 물탱크(10)(10a)로 모아지게 되며, 상기 거름캡(30)은 주기적으로 분리하여 거름망(31)에 걸린 이물질을 털어낸 후 재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화분(50)(50a)은 야외에 설치되는 것이어서, 비가 오게 되면 빗물이 덮개(20)(20a) 물구멍(23)에 끼워진 거름캡(30)을 통하여 물탱크(10)에 채워지게 되고, 빗물(2)이 공기관(14)보다 수위가 높게 채워지게 되면, 공기관(14)을 통하여 넘치는 빗물(2)은 자연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며, 물탱크(10)에 채워진 빗물(2)은 수위 확인관(13)을 통하여 확인이 가능하고, 오염된 빗물(2)은 드레인관(16)을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며, 물탱크(10)를 이동할 때는 이동홈(12)을 이용하여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탱크(10)(10a)빗물이 채워진 상태가 되고, 화분(50) 화분구멍(21)에 끼워져 있거나, 화분(50a)이 물탱크(10a)의 바닥에 받쳐져 있게 되므로, 물탱크(10)(10a)에 저장된 빗물(2)은 화분(50a)이나 화분바디(51)의 물구멍(52)을 통한 후 부직포(40)에서 플라이애쉬(61)를 거쳐 토사(60)에 심긴 식물(1)이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가 올 때 빗물이 거름망(31)을 통하여 물탱크(10)(10a)에 모아지게 하고, 물탱크(10)(10a)에 모아진 빗물(2)은 화분(50)(50a)의 식물(1)이 자라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기적으로 물을 주는 번거로움을 없애는 한편 빗물을 활용하는 것이다.
또한, 화분(50)(50a)의 내측에 차단판(75)을 설치하여 화분(50)(50a)을 물탱크(10)(10a)에 설치할 때 차단판(75)이 빗물(2)에 닿지 않도록 하되 차단판(75)의 하측에 고정시킨 흡수포(76)만 빗물(2)에 잠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경 재배와 같이 화분(50)(50a)에 심긴 식물(1)을 재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물탱크(10)(10a)에 채워진 빗물(2)을 깨끗이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분(50)(50a)의 상부는 구멍(6)이 뚫린 가림막(5)으로 막아주어, 토사(60)에 심긴 식물(1)이 구멍(6)을 통하여 식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화분(50)(50a)의 상부에서 토사(60)가 그대로 햇빛에 노출되는 경우, 수분의 증발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잡초가 자라는 한편 빗물이 토사(60)를 튕겨 빗물이 혼입시키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림막(5)을 설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물탱크(10)의 주변에는 벤치(100)를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벤치(100)에 앉아 물탱크(10)에 기대어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벤치(100)는 사각체 형상의 목재나 인조 목재 또는 합성목재를 이용하여 제작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물탱크(10)는 야외에 설치되어 일정량의 빗물(2)이 모아지게 되는 것으로,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로 처리하도록 하는 한편 외관상 아름다움을 위하여 표면에 얇은 나무판을 대거나 별도의 마감재를 처리하여 외관상 아름답게 보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물탱크(10)(10a)에 채워진 빗물(2)은 여름철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이를 낮춰 주어야만 식물(1)이 잘 자랄 수 있는 것으로, 빗물(2)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여름철에는 물탱크(10)(10a)에 채워진 빗물을 지하에 설치된 열교환탱크로 배출시킨 후 지하에서 지열과 열교환이 이루어져 차가워진 빗물은 펌프를 이용하여 다시 물탱크(10)(10a)에 채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물탱크(10a)(10a)에 채워진 빗물은 지하에 설치된 열교환 탱크나 열교환 파이프를 지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지하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빗물은 펌프로 물탱크(10)(10a)에 채워지게 함으로써, 식물(1)의 생육이 이루어지는 적정온도를 유지하게 되어, 더운 여름철에도 원활한 생육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물탱크(10)(10a)에 외부에서 물을 채울 경우에는 물탱크(10)(10a)에 일정 수위가 유지될 수 있도록 공지의 수위조절장치를 설치하여야 하고, 물탱크(10)(10a)에 채워진 물은 전술된 열교환탱크나 열교환파이프로 배출된 후 다시 펌프로 물탱크(10)(10a)에 채워질 때 공지의 수위조절장치에 의해 일정량의 수위가 유지된다.
5 : 가림막 10,10a : 물탱크
20,20a : 덮개 21 : 화분구멍
23 : 빗물구멍 30 : 거름캡
31 : 거름망 40 : 부직포
50,50a : 화분 51 : 화분바디
60 : 토사 61 : 플라이애쉬
70 : 교반날개 75 : 차단판
76 : 흡수포 100 : 벤치

Claims (8)

  1. 야외에 설치되어 빗물(2)이 저장되는 공간을 갖추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물탱크(10)를 구비하고,
    상기 물탱크(10)의 상부를 막아주는 덮개(20)를 구비하되 상기 덮개(20)의 중앙에는 화분구멍(21)을 형성하는 한편 덮개(20)에는 화분구멍(21)이 형성된 쪽으로 빗물이 흐르게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화분구멍(21)의 외주연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받침돌기(22)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화분구멍(21)의 외측 덮개(20)에는 덮개(20)의 경사면을 타고 흐르는 빗물(2)을 물탱크(10)로 유입시키는 빗물구멍(23)을 형성하고,
    상기 빗물구멍(23)에는 거름망(31)이 설치된 거름캡(30)을 씌워주되 상기 거름캡(30)은 덮개(20)의 상면에서 돌출되지 않게 설치하고,
    상기 덮개(20)의 화분구멍(21)에 끼워지는 화분(50)의 하측에는 물탱크(10)의 바닥에 받쳐져 빗물(2)에 잠기는 화분바디(51)를 구비하되 상기 화분바디(51)에는 물구멍(52)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20)의 상측으로 돌출된 화분(50)의 내측에는 부직포(40)를 씌운 후 플라이애쉬(61)와 토사(60)를 채워 식물(1)을 식재하고,
    상기 물탱크(10)에는 바닥의 저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이동홈(12)을 형성하는 한편 바닥 중앙에는 화분바디(51)가 끼워지는 환형돌기(11)를 형성하고,
    상기 물탱크(10)의 양쪽으로 내부공기를 통풍시키는 공기관(14)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공기관(14)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15)을 설치하고,
    상기 물탱크(10)에는 빗물(2)의 수위를 확인하는 수위 확인관(13)을 설치하는 한편 물탱크(10)의 빗물(2)을 빼내는 드레인관(16)을 설치하고,
    상기 물탱크(10)의 외측은 단열재를 씌워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장형 화분.
  2. 야외에 설치되어 빗물(2)이 저장되는 공간을 갖추고 상부가 개방된 사각 형태의 물탱크(10a)를 구비하고,
    상기 물탱크(10a)의 상부를 막아주는 덮개(20a)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20a)의 중앙에는 상하부로 돌출된 화분(50a)을 형성하되 덮개(20a)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화분(50a)에는 물구멍(52)을 형성하는 한편 덮개(20a)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화분(50a)의 상부는 개방되게 하고,
    상기 덮개(20a)는 화분(50a)이 형성된 쪽으로 빗물이 흐르게 경사면을 형성하되 상기 화분(50a)이 형성된 부위의 외측으로 덮개(20a)의 경사면을 타고 흐르는 빗물(2)을 물탱크(10a)로 유입시키는 빗물구멍(23)을 형성하고,
    상기 빗물구멍(23)은 거름망(31)이 구비된 거름캡(30)으로 막아주되 상기 거름캡(30)은 덮개(20a)의 상면에서 돌출되지 않게 설치하고,
    상기 물탱크(10a)의 바닥에 받쳐지는 화분(50a)의 내측에는 부직포(40)를 씌운 후 플라이애쉬(61)와 토사(60)를 채워 식물(1)을 식재하고,
    상기 물탱크(10a)에는 바닥의 저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이동홈(12)을 형성하는 한편 바닥 중앙에는 화분바디(51)가 끼워지는 환형돌기(11)를 형성하고,
    상기 물탱크(10a)의 양쪽으로 내부공기를 통풍시키는 공기관(14)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공기관(14)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15)을 설치하고,
    상기 물탱크(10a)에는 빗물(2)의 수위를 확인하는 수위 확인관(13)을 설치하는 한편 물탱크(10a)의 빗물(2)을 빼내는 드레인관(16)을 설치하고,
    상기 물탱크(10a)의 외측은 단열재를 씌워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장형 화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물탱크(10)의 덮개(20)에는 물탱크(10)에 채워진 빗물(2)을 교반하는 교반날개(70)를 설치하고, 상기 교반날개(70)는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핸들(71)을 끼워 회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장형 화분.
  8. 삭제
KR1020170003596A 2017-01-10 2017-01-10 빗물 저장형 화분 KR101783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596A KR101783409B1 (ko) 2017-01-10 2017-01-10 빗물 저장형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596A KR101783409B1 (ko) 2017-01-10 2017-01-10 빗물 저장형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409B1 true KR101783409B1 (ko) 2017-10-23

Family

ID=6029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596A KR101783409B1 (ko) 2017-01-10 2017-01-10 빗물 저장형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4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15672A1 (es) * 2018-07-30 2019-06-05 De La Iglesia Turino Santiago Maceta con drenaje, para interior o exterior, con dispositivo de autorriego por capilaridad que suministra el agua desde la superficie de la maceta al fondo (de arriba a abajo)
KR20210064484A (ko) * 2019-11-25 2021-06-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작물 생육 트레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913B1 (ko) * 2008-09-05 2009-08-26 이경자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
KR101354278B1 (ko) * 2013-01-17 2014-01-2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빗물 집수가 가능한 휴게용 벤치
WO2016093401A1 (ko) * 2014-12-10 2016-06-16 베델바이오테크 공기정화 및 공기청정 기능이 부가된 식물재배장치
KR101652488B1 (ko) * 2016-05-13 2016-08-31 주식회사 근옥 실내 조경용 수경 재배기의 바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913B1 (ko) * 2008-09-05 2009-08-26 이경자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
KR101354278B1 (ko) * 2013-01-17 2014-01-2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빗물 집수가 가능한 휴게용 벤치
WO2016093401A1 (ko) * 2014-12-10 2016-06-16 베델바이오테크 공기정화 및 공기청정 기능이 부가된 식물재배장치
KR101652488B1 (ko) * 2016-05-13 2016-08-31 주식회사 근옥 실내 조경용 수경 재배기의 바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15672A1 (es) * 2018-07-30 2019-06-05 De La Iglesia Turino Santiago Maceta con drenaje, para interior o exterior, con dispositivo de autorriego por capilaridad que suministra el agua desde la superficie de la maceta al fondo (de arriba a abajo)
WO2020025842A1 (es) * 2018-07-30 2020-02-06 De La Iglesia Turino Santiago Dispositivo de autorriego por capilaridad, para macetas con drenaje, que suministra el agua desde la superficie de la maceta al fondo
KR20210064484A (ko) * 2019-11-25 2021-06-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작물 생육 트레이
KR102412897B1 (ko) * 2019-11-25 2022-06-28 대한민국 작물 생육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614B1 (ko) 벽면식재장치
KR101779010B1 (ko) 빗물 저장형 벤치 화분
WO2007043186A1 (ja) 多目的植栽基盤
KR101783409B1 (ko) 빗물 저장형 화분
JP4256354B2 (ja) みどりのユニット装置及び緑化工法
KR101182722B1 (ko) 가로수 물공급장치
JP4657359B2 (ja) 緑化システムおよび緑化用トレー
CN205284348U (zh) 墙体绿化系统
JP5058214B2 (ja) 屋上緑化装置
KR101344914B1 (ko) 수분 자동 공급장치
JP3121174B2 (ja) 雨水貯留型植栽地盤
JP3421848B2 (ja) 水位調節装置、水位調節可能な水受け器および水位調節可能なプランター
KR101779008B1 (ko) 빗물 저장형 화분
KR200475509Y1 (ko) 식재용 상자 조립체
JP2008253210A (ja) 壁面緑化装置
JP4343048B2 (ja) 屋上の緑化方法および装置
JP2013090623A (ja) 建築物緑化システム
JP2001161160A (ja) 多肉植物を用いた永続性緑化基盤
KR20100055039A (ko) 녹화 장치
KR200445752Y1 (ko) 비닐 팩 화분
JP4303460B2 (ja) 屋上緑化プランター
KR101817758B1 (ko) 빗물 저장형 화분
JP4703665B2 (ja) 緑化装置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EP3784023A1 (en) Floral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