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039A - 녹화 장치 - Google Patents

녹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039A
KR20100055039A KR1020080113940A KR20080113940A KR20100055039A KR 20100055039 A KR20100055039 A KR 20100055039A KR 1020080113940 A KR1020080113940 A KR 1020080113940A KR 20080113940 A KR20080113940 A KR 20080113940A KR 20100055039 A KR20100055039 A KR 20100055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rainwater
support
storage tank
veg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헌
Original Assignee
이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헌 filed Critical 이태헌
Priority to KR1020080113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5039A/ko
Publication of KR20100055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빌딩의 옥상 또는 공원 등에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설치됨으로 바닥이 상하지 않으면서도 피복 및 녹음(綠陰) 효과를 극대화시켜 태양광으로 인한 건물 바닥열 또는 공원 등의 지열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를 저장하여 건기시에 식물의 생장에 이용하여 식물의 고사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중량이 가벼워 화단 또는 화분을 설치하는 것에 비하여 건물에 부하를 거의 주지 않는 녹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내부에 중동을 갖는 통 형상으로서,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우수를 저장하고, 과잉우수를 오버플로우하는 우수저장조와; 상기 우수저장조의 상측에 조립되어 식물을 식생하는 식물식생 유닛과; 메쉬망으로서, 상기 식물식생 유닛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식물을 지지하는 식물지지메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옥상, 녹화, 우수저장조, 식물식생 유닛, 식물지지메쉬

Description

녹화 장치{An afforestation device for rooftop}
본 발명은 녹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빌딩의 옥상 또는 공원 등에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설치됨으로 바닥이 상하지 않으면서도 피복 및 녹음(綠陰) 효과를 극대화시켜 태양광으로 인한 건물 바닥열 또는 공원 등의 지열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를 저장하여 건기시에 식물의 생장에 이용하여 식물의 고사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중량이 가벼워 화단 또는 화분을 설치하는 것에 비하여 건물에 부하를 거의 주지 않는 구조를 갖도록 한 녹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옥상 녹화시설은 화단을 설치하거나 또는 다수개의 화분을 배치하여 바닥면으로 조사되는 태양광을 최소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옥상 녹화 시설은 그 설치비용에 비하여 녹화효과가 낮을 뿐만 아니라 중량이 무거워 건물에 화단 및 화분의 무게로 인한 부하도 크게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빌딩의 옥상 또는 공원 등에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설치됨으로 바닥이 상하지 않으면서도 피복 및 녹음(綠陰) 효과를 극대화시켜 태양광으로 인한 건물 바닥열 또는 공원 등의 지열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를 저장하여 건기시에 식물의 생장에 이용하여 식물의 고사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중량이 가벼워 화단 또는 화분을 설치하는 것에 비하여 건물에 부하를 거의 주지 않는 녹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중동을 갖는 통 형상으로서,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우수를 저장하고, 과잉우수를 오버플로우하는 우수저장조와; 상기 우수저장조의 상측에 조립되어 식물을 식생하는 식물식생 유닛과; 메쉬망으로서, 상기 식물식생 유닛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식물을 지지하는 식물지지메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는 빌딩의 옥상 또는 공원 등에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설치됨으로 바닥이 상하지 않으면서도 피복 및 녹음(綠陰) 효과를 극대화시켜 태양광으로 인한 건물 바닥열 또는 공원 등의 지열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 수를 저장하여 건기시에 식물의 생장에 이용하여 식물의 고사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중량이 가벼워 화단 또는 화분을 설치하는 것에 비하여 건물에 부하를 거의 주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살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를 하측에서 보고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의 중요부를 단면하여 확대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의 우수저장조 및 식물식생 유닛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 중 식물식생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 중 우수 저장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의 다른 설치상태를 예시한 설치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10)는 지지체(11)와, 우수저장조(20)와, 식물식생 유닛(30)과, 식물지지메쉬(4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체(11)는 내부에 중동을 갖는 통 형상으로서,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공중 녹화 파고라(10)의 상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부에서 오버플러우되는 우수가 내측공간으로 낙수하는 배수관 역할도 갖는다.
상기 우수저장조(20)는 상기 지지체(1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집수되는 우수 를 저장하고, 과잉유입된 우수를 상기 지지체(11)의 내측공간으로 오버플로우하여 건기에 사용될 일정량의 우수를 저수하는 것으로서, 본체(24)와 조립원통(26)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4)는 저면 중앙부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우수저장부(21)를 구비한 역 모자형상의 단면을 갖는 원통으로서, 상기 우수저장부(21)의 상단 내주면을 따라 상호 간격져서 관통형성되어 과집수된 우수를 오버플로우하는 다수개의 방류공(22)과, 중앙부에 통공을 갖는 도넛 형상의 원판으로서, 하면에 우수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 또는 돌부를 갖고, 우수저장조(20)의 저면 연부에 배치되는 배수판(23)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11)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조립원통(26)은 일정두께를 갖는 링형상으로서, 하단부를 따라 집수된 우수를 우수저장조(20)의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우수유입구(25)를 갖고 본체의 상측에 착탕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식물식생 유닛(30)은 상기 우수저장조(20)의 상측에 조립되어 식물을 식생하기 위한 상면이 개방된 원통으로서, 다수개의 심지공(31a)(31b)과, 다수개의 배수공(32)과, 다수개의 심지(33)와, 배수판(34)을 구비하고, 상기 우수저장조(20)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다수개의 심지공(31a)(31b)은 식물식생 유닛(30)의 저면 중앙부 및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관통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배수공(32)은 상기 심지공(31a)(31b) 중 외곽 심지공(31b)과 외향으로 간격진 식물식생 유닛(30)의 저면에 관통형성되어 과잉된 우수를 상기 우수저장조(20)로 배수한다.
상기 다수개의 심지(33)는 직물, 부직포, 스폰지 등과 같이 수분의 흡수성이 우수한 원료로 제작되며, 상단부는 상기 심지공(30)(31)에 조립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우수저장조(20)의 우수저장부(21)내에 저장된 우수에 잠겨지도록 설치되어 우수저장부(21)내에 저장된 우수를 빨아올려 식물식생 유닛(30)내로 수분을 공급한다.
상기 배수판(34)은 중앙부에 통공을 갖는 도넛 형상의 원판으로서, 하면 전면에 돌기 또는 돌부가 형성되어 우수의 배수로를 형성하고, 전면에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배수공(34a)을 갖고 식물식생 유닛(30)의 저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배수판(34)의 상측에는 부직포 등과 같은 식생포(35)가 적층되고, 식생포(35)의 상측에 식생토(36)가 채워지고, 상기 식생토(36)에는 식물이 심어져 식생된다.
상기 식물지지메쉬(40)는 메쉬망으로서, 상기 식물식생 유닛(30)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식물을 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10)는 옥상 등의 요구되는 위치에 독립적으로 설치하여 사이사이에 이동로가 형성되도록 하거나 다수개를 인접시켜 여러개의 군으로 설치하여 각 군 사이에 이동통로를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 6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10)의 다른 실시예는 하나의 큰 식물지지메쉬(40)를 다수개의 지지체(11)가 지지하도록 하여 바닥 전체 또는 일부를 효과적으로 녹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다수개의 지지체(11)의 상부에는 모두 우수저장조(20)와 식물식생 유닛(30)이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고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식물지지메쉬(40)는 다수개의 지지체(11)가 지지하여야 할 정도로 크게 제작하여 녹화대상 바닥에 먼저 다수개의 지지체(11)을 상호 간격지게 설치한 후 그 상측에 큰 하나의 식물지지메쉬(40)을 설치하여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설치방식은 큰 면적을 매우 효과적으로 빈틈 없이 신속하게 녹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살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를 하측에서 보고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의 중요부를 단면하여 확대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의 우수저장조 및 식물식생 유닛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 중 식물식생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 중 우수 저장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 장치의 다른 설치상태를 예시한 설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녹화 장치 11: 지지체
20: 우수저장조 30: 식물식생 유닛
40: 식물지지메쉬 50: 우수집수판

Claims (4)

  1. 내부에 중동을 갖는 통 형상으로서,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체(11)와;
    상기 지지체(1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우수를 저장하고, 과잉우수를 오버플로우하는 우수저장조(20)와;
    상기 우수저장조(20)의 상측에 조립되어 식물을 식생하는 식물식생 유닛(30)과;
    메쉬망으로서, 상기 식물식생 유닛(30)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식물을 지지하는 식물지지메쉬(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녹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저장조(20)는,
    저면 중앙부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우수저장부(21)를 구비한 역 모자형상의 단면을 갖는 원통으로서,
    상기 우수저장(21)부의 상단 내주면을 따라 상호 간격져서 관통형성되어 과집수된 우수를 오버플로우하는 다수개의 방류공(22)과,
    중앙부에 통공을 갖는 도넛 형상의 원판으로서, 하면에 우수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 또는 돌부를 갖고, 우수저장조(20)의 저면 연부에 배치되는 배수판(23)를 구비하는 본체(24)와;
    일정두께를 갖는 링형상으로서, 하단부를 따라 집수된 우수를 우수저장조(20)의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우수유입구(25)를 갖고 본체의 상측에 착탕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원통(2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식생 유닛(30)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서,
    저면 중앙부 및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심지공(31a)(31b)와,
    상기 외곽 심지공(31b)과 외향으로 간격져서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배수공(32)과,
    상기 다수개의 심지공에 상단부가 끼움조립되어 우수저장조(20)내에 저장된 우수를 빨아올려 식물식생 유닛(30)내로 수분을 공급하는 다수개의 심지(33)와,
    중앙부에 통공을 갖는 도넛 형상의 원판으로서, 하면 전면에 돌기 또는 돌부가 형성되어 우수의 배수로를 형성하고, 전면에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배수공을 갖고 저면에 배치되는 배수판(34)을 구비하고; 상기 우수저장조(20)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배수판(34)의 상측에는 부직포 등과 같은 식생포(35)가 적층되고, 식생포(35)의 상측에 식생토(36)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녹화 장치(10)는,
    하나의 큰 식물지지메쉬(40)를 다수개의 지지체(11)가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 시스템.
KR1020080113940A 2008-11-17 2008-11-17 녹화 장치 KR20100055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940A KR20100055039A (ko) 2008-11-17 2008-11-17 녹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940A KR20100055039A (ko) 2008-11-17 2008-11-17 녹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039A true KR20100055039A (ko) 2010-05-26

Family

ID=42279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940A KR20100055039A (ko) 2008-11-17 2008-11-17 녹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503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152B1 (ko) * 2010-10-28 2011-05-13 장기웅 옥상 녹화시스템
KR101225187B1 (ko) * 2012-06-22 2013-01-22 오준성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옥상 녹화장 구조체
EP3970476A1 (de) * 2020-09-22 2022-03-23 Comma GmbH Module dachbegrünu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152B1 (ko) * 2010-10-28 2011-05-13 장기웅 옥상 녹화시스템
KR101225187B1 (ko) * 2012-06-22 2013-01-22 오준성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옥상 녹화장 구조체
EP3970476A1 (de) * 2020-09-22 2022-03-23 Comma GmbH Module dachbegrün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28827A (ja) 縦型植栽システム
KR101779010B1 (ko) 빗물 저장형 벤치 화분
JP3172597U (ja) 空気の流通性保水性を高めた植木鉢
JP2004298140A (ja) 屋上緑化システムと屋上緑化プランター
JP2006129846A (ja) 壁面緑化設備の植栽ブロック受け皿
KR20100055039A (ko) 녹화 장치
JP4657359B2 (ja) 緑化システムおよび緑化用トレー
KR100876938B1 (ko) 지붕 녹화용 식생 유니트
JP6347077B2 (ja) 建築物緑化システム
KR101783409B1 (ko) 빗물 저장형 화분
JP5231134B2 (ja) 壁面緑化パネルとこれを用いた壁面緑化構造
JP4657683B2 (ja) 壁面緑化設備
JP2007167039A (ja) 緑化容器
KR200475509Y1 (ko) 식재용 상자 조립체
KR200473373Y1 (ko) 식재용 상자 조립체
KR100766993B1 (ko)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수분 공급 장치
KR101779008B1 (ko) 빗물 저장형 화분
JP2010045976A5 (ko)
KR101584938B1 (ko) 옹벽녹화블록
JP4703665B2 (ja) 緑化装置
JP4604148B2 (ja) 壁面緑化設備の灌水装置
JP4364927B2 (ja) 屋根緑化システム及び屋根緑化方法
JP4303460B2 (ja) 屋上緑化プランター
CN211257402U (zh) 一种环保建筑外墙绿化框架
KR101484641B1 (ko) 옥상 녹화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