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938B1 - 옹벽녹화블록 - Google Patents

옹벽녹화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938B1
KR101584938B1 KR1020150049508A KR20150049508A KR101584938B1 KR 101584938 B1 KR101584938 B1 KR 101584938B1 KR 1020150049508 A KR1020150049508 A KR 1020150049508A KR 20150049508 A KR20150049508 A KR 20150049508A KR 101584938 B1 KR101584938 B1 KR 101584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wood
water
cove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희문
Original Assignee
송희문
성우조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희문, 성우조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희문
Priority to KR1020150049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0
    • A01G9/1013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옹벽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가벼운 경량토를 사용하고 안전한 구조로 설치되어 안정성이 높으며, 자동 또는 수동 물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관리가 용이한 옹벽녹화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옹벽녹화블록은 옹벽을 따라 적층되어 지고 수목이 이식되는 수목패드(100)와, 수목패드 위를 커버하여 수목패드를 보호하고 고정시키는 패드커버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옹벽녹화블록{Green retainning wall Block}
본 발명은 옹벽녹화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벽, 도로옹벽, 아파트옹벽, 지붕 등의 수직 또는 사면에 식물을 식재하되, 수분 공급이 지속될 수 있는 장치로 관리가 용이하여 원활한 녹화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경량토를 사용하여 안정성이 높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저비용으로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개지의 옹벽, 건물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삭막한 느낌을 주어 미감이 떨어지고, 복사열에 의해 열대야를 유발하여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며, 직사광선과 빗물에 노출되어 부식이 가속화되어 안전문제를 야기하는 등에 따라 최근 옹벽 등 건축 구조물 벽면에 대한 녹화 사업이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구조물의 녹화 방법, 녹화 구조에서, 구조물의 수직벽면이나 사면에 대한 녹화는, 식물이 자생하기 위한 토양이나, 수분공급의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304701호’의 식생주머니는 식생지지판에 올려놓는 구조로, 프레임과의 고정성이 떨어지고, 프레임의 전면으로는 식생주머니를 보호하는 구조가 없으므로, 식생매트가 날씨나 외력에 의한 손상이나 이탈이 쉬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 벽면녹화 방법은, 물을 공급하는 방법이 없어 인위적으로 물을 공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408451’의 블록은 이웃하는 블록과 결착시켜 쌓아올리는 구조로, 고정수단이 없어 블록의 손상이나 이탈이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식재된 식물묘 또한 이탈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물의 공급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관리를 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옹벽 녹화 블록은 옹벽을 따라 적층되어 지고 수목이 이식되는 수목패드(100)와, 수목패드를 커버하여 수목패드를 보호하고 고정시키는 패드커버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목패드(100)는 발근촉진토(120)를 감싸는 패드케이스(110)와, 패드케이스(100) 내부에 위치하면서 수목의 뿌리를 빠르게 생장시키고 수분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발근촉진토(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패드케이스(110)는 공기와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발근촉진토(120)는 경량토, 수분보습제, 생장촉진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녹화블록에 의하면, 기존의 옹벽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가벼운 경량토를 사용하고 안전한 구조로 설치되어 안정성이 높으며, 자동 또는 수동 물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관리가 용이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패드에 수목을 식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녹화블록의 전체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커버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공급장치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공급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시공과정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커버부재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고정판과 고정판고정핀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물저장수단의 물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공급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공급수단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녹화블록에 대한 공정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옹벽녹화블록은 옹벽을 따라 적층되어 지고 수목이 이식되는 수목패드(100)와, 수목패드 위를 커버하여 수목패드를 보호하고 고정시키는 패드커버부재(200)를 포함한다.
수목패드(100)는 발근촉진토(120)를 감싸는 패드케이스(110)와, 패드케이스(110) 내부에 위치하면서 수목의 뿌리를 빠르게 생장시키고 수분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발근촉진토(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수목은 패드케이스(110)를 뚫고 발근촉진토(120)를 파내어 수목포트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이식된다.
패드케이스(110)는 공기와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부직포는 부식이 가능한 친환경재료 또는 대마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는 1개월쯤 부식되어 수목에 유익한 퇴비로 변하게 된다.
발근촉진토(120)는 경량토, 수분보습제, 생장촉진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발근촉진토(120)는 뿌리의 활착과 성장을 촉진하고, 성장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공극과 수분을 동시에 제공하여 수목의 뿌리가 발근촉진토(120) 내에서 빠른 생장을 하도록 하며, 식재 후에도 외부에서 제공된 수분을 흘려보내지 않고 유지할 수 있어 이식 수목에 안정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발근촉진토(120)는, 경량토와 수분보습제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것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근촉진토(120)에 포함되는 경량토는 열처리된 진주암으로 이루어진다. 진주암은 퍼라이트(perlite)라고도 불리며, 암석이 작은 진주모양의 조각으로 부서지는 동심원상의 균열을 가진 천연 유리이다. 파쇄된 진주암을 급속히 가열하면 내포된 물이 수증기로 바뀌어 부드러워진 암석 내에 작은 기포가 형성되면서 원래 부피의 20배까지 팽창한다. 이처럼 열처리된 진주암은 비중이 매우 낮기 때문에 경량(輕量) 벽 플라스터와 콘크리트 혼합재에서 모래 대신 사용되기도 하며 다공성(多孔性)이므로 열 및 음향 절연체로도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열처리된 진주암을 경량토로 사용하며, 경량토는 충분한 공극을 가지므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식된 수목의 잔뿌리가 수분을 따라 발근촉진토(120)로 뻗어나온 후, 발근촉진토(120)의 외곽을 형성하는 패드케이스(110)의 통공과 경량토의 공극을 통해 생장하고, 발근촉진토를 감쌌던 패드케이스(110)는 1개월쯤 부식되어 수목에 유익한 퇴비로 변한다.
수분보습제는 수목식재 후 1차 관수작업시의 수분을 다량 흡수하여 이식된 수목의 뿌리가 성장하는데 충분한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수분보습제로는 고흡수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생장촉진제는 발근촉진제, 완숙퇴비, 무기 영양제, 뿌리부패방지제 등을 포함한다.
패드커버부재(200)는 수목패드(100) 상면를 덮을 수 있고 물과 공기가 통하는 것으로 시공 과정에서 또는 패드케이스(110)의 부식으로 수목패드(100)의 발근촉진토(120)가 흘러나오는 것을 막아주는 덮개포(210), 덮개포(210) 상면에 밀착되고 물과 공기가 통하도록 천공된 판으로 이식될 수목포트가 삽입될 하나 이상의 식재홀을 포함하며 수목패드(100)와 덮개포(210)를 고정시키는 기능 및 수목패드(1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덮개포덮개판(220), 덮개포덮개판(220)의 식재홀 상부에 설치되어 물과 공기가 통하는 것으로 식재홀의 크기를 조절하는 수목고정판(230), 덮개포덮개판(220)과 수목고정판(230)을 고정시키는 고정판고정핀(240), 덮개포덮개판(220)과 수목고정판(230) 상면을 커버하여 덮개포덮개판(2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성을 향상시키는 고정망(250), 덮개포덮개판(220)과 고정망(25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옹벽에 고정시키는 커버고정부(260)를 포함한다.
이때, 덮개포(210)는 내식 처리된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고, 덮개포(210)와 덮개포덮개판(220)은 수목패드(100)를 하나 이상 덮을 수 있는 크기이며, 수목고정판(230)은 식재홀에 대응되어 수목의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판고정핀(240)은 수목고정판(230)의 양상단에 위치하고 덮개포덮개판(220)과 수목고정판(230)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착탈이 가능한 것이며, 고정망(250)은 내식 처리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드커버부재(200)는 이웃하는 덮개포덮개판(220)들의 사이에 위치되고, 이웃하는 덮개포덮개판(220)들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덮개판연결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판연결부(270)의 일실시 예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판연결부(270)는 원판 형태로 이웃하는 덮개포덮개판(220)들의 사이에 위치하고, 이웃하는 덮개포덮개판(220)들의 모서리 각각을 볼트로 체결한다. 다른 실시예는, 덮개판연결부(270)는 십자 형태로 각 말단이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돌출된 부분이 이웃하는 덮개포덮개판(220)들의 모서리 각각에 대응하여 체결하는 것이다.
도 2 및 도 4에서 보듯이, 옹벽녹화블록에 수목을 식재하는 경우, 식재 과정은 덮개포덮개판(220)의 식재홀을 통하여 덮개포(210)와 패드케이스(110)를 뚫고, 수목포트가 삽입될 크기로 발근촉진토(120)에 구덩이를 파내며, 수목포트를 삽입 시켜 완료된다. 이때, 식재과정은 구덩이를 경사지게 파내어 이식된 수목포트의 안정성을 높이고, 수목포트가 이식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포트의 상면 부분은 부직포 등이 구비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옹벽녹화블록에 수목패드 측면에 설치되어 수목패드(100)에 수분 또는 양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3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공급장치(300)은 옹벽을 따라 설치된 수목패드(100) 각각의 측면으로 연결되고 점적관수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관(310), 수분공급관과 수분공급관(310)을 상호 연결하는 공급관연결부(320), 수분공급관(310)의 내부에 포설되어 모세관 현상을 유도하고 장기간 수분을 저장하는 부착력유도물(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착력유도물(330)은 천, 부직포, 솜 중에서 선택적으로 포설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녹화블록은 인접하는 지면에 빗물이 저장되고 수분공급관(310)이 연통되는 고랑이 설치되며, 고랑의 빗물을 부착력유도물(330)에 의해 모세관 현상으로 수목패드(100)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수분공급관(310)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 5의 일실시 예에 따라, 수목패드(100) 최상단에 수분공급관(310)이 가로로 설치되고, 상기 가로로 설치된 수분공급관(310)에서 돌출되어 수목패드(100) 각각의 측면을 따라 수목패드의 최하단부까지 가지관(311)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목패드의 최하단부까지 내려온 각각의 가지관(311)은 부착력유도물(330)을 통하여 옹벽녹화블록에 인접한 지면부에 설치된 고랑의 빗물을 수목패드(100)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고, 모세관 현상으로 수분을 흡수하는 가지관(311)이 많을수록 수분의 공급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따른 일실시 예에 따라, 수분공급관(310)은 수목패드(100) 최상단부에서 수목패드(100)의 최하단부까지 수목패드(100)를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옹벽녹화블록의 양측단에 설치된 수목패드(100)에는 수분공급관(310)이 가로 방향으로 추가로 설치되도록 하고, 추가로 설치되어 옹벽녹화블록의 양측면으로 돌출된 수분공급관(310)의 말단에 외부에서 수분이나 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양분공급부(340)을 설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양분공급부(340)는 커플러, 고무재질, 코르크마개 중 하나로 수분이나 영양이이 부족한 부분에 대하여 외부에서 보조적으로 수분이나 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수목패드(100)에 안정적인 수분 공급을 위하여 수분공급장치(300)에 연결되어 수목패드에 저장된 수분을 공급하는 물저장수단(4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저장수단(400)은 옹벽 위에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된 통으로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통(410), 물저장통(410) 내부 상단과 하단에 격벽이 설치되어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물저장통(410) 바닥에 가라앉히고 걸러진 상층수만을 수분공급관(310)으로 전달하는 유도거름격벽(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도거름격벽(420)은 물저장통(410)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물저장통(410)으로 공급되는 물을 한쪽으로 유도하는 유도격벽(421), 유도되어 모아진 물의 이물질을 물저장통(410)의 하부에 가라앉히고 상부의 깨끗한 물만 이용할 수 있도록 물저장통(410) 내부 하단에 설치되는 거름격벽(4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의 이물질이 수분공급관(310)으로 들어가 점적 홀을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도거름격벽(420)의 거름격벽(422)은 물저장수단(400)의 크기에 따라 개수와 크기가 가변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도 9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거름격벽(422)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층수를 다시 거를 수 있도록 물저장통(410) 내부 하단에 제2거름격벽(423)이 설치된다.
또한, 옹벽의 상측에 설치되고 우수(雨水)를 저장하며 저장된 우수를 옹벽녹화블록에 공급하는 우수공급수단(5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수공급수단(500)은 옹벽의 상측에서 우수를 집수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바닥면을 커버하는 방수포(510), 방수포(510)에 수용되어 방수포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형태유지부재(520), 형태유지부재(520) 위를 커버하여 이물질이 형태유지부재 사이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는 피복부(530), 방수포(510)에 저장된 우수를 옹벽녹화블록으로 공급하는 우수공급관(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수포(510)는 집수된 우수의 유실을 방지하는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형태유지부재(520)는 방수포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채워지는 골재로 구성될 수 있다. 골재는 구하기 쉽고 친환경적이다.
피복부(530)는 우수가 관통되고 흙이나 모래와 같은 이물질의 투입을 차단하도록 부직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우수공급관(540)은 공급되는 우수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이물질거름망(550)이 더 설치될 수 있고, 이물질거름망(550)에 의해 모래나 이물질이 걸러지므로 우수공급관(540)의 막힘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옹벽녹화블록의 시공과정 및 효과에 대해 도 12의 공정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블록 제작 공정(S1)은, 도3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을 따라 수목패드(100), 패드커버부재(200) 및 수분공급장치(300)을 설치하는 공정으로, 옹벽을 따라 수목패드(100) 1단을 쌓고, 수분공급관(310)을 수목패드(100) 측면을 지나도록 설치한다. 덮개포(210)와 덮개포덮개판(220)은 수목패드(100)를 하나 이상 덮을 수 있는 크기일 수 있으므로 수목패드(100)를 2단으로 쌓은 후, 수목패드(100)의 상면을 덮개포(210)로 덮으며, 덮개포(210)의 상면에 덮개포덮개판(220)을 덮는다. 이때, 덮개포(210)와 덮개포덮개판(220)을 커버고정부(260)로 옹벽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일실시 예와 같이, 덮개판연결부(270)는 이웃하는 덮개포덮개판(220)들의 모서리 각각을 체결한다. 상기 옹벽녹화블록은 옹벽의 높이에 따라 설치하며, 그 폭에 따라, 다수개를 설치한다. 이때, 수분공급관(310)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 5의 일실시 예에 따라, 수목패드(100) 최상단에 수분공급관(310)이 가로로 설치되고, 상기 가로로 설치된 수분공급관(310)에서 돌출되어 수목패드(100) 각각의 측면을 따라 수목패드의 최하단부까지 가지관(311)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도 6 및 도 7에 따른 일실시 예에 따라, 수분공급관(310)은 수목패드(100) 최상단부에서 수목패드(100)의 최하단부까지 수목패드(100)를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옹벽녹화블록의 양측단에 설치된 수목패드(100)에는 수분공급관(310)이 가로 방향으로 추가로 설치되도록 하고, 추가로 설치된 수분공급관(310) 말단에 외부에서 수분이나 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양분공급부(340)을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식재 공정(S2)은,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한 옹벽녹화블록에 수목을 식재하는 공정으로, 덮개포덮개판(220)의 식재홀을 통하여 덮개포(210)와 패드케이스(110)를 뚫고, 수목패드(100)에서 수목포트가 삽입될 크기로 발근촉진토(120)에 구덩이를 경사지게 파내며, 수목포트를 삽입 시켜 완료된다. 이때, 식재과정은 구덩이를 경사지게 파내어 이식된 수목포트의 안정성을 높이고, 수목포트가 이식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포트의 상면 부분은 부직포 등이 구비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목포트가 이식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수목포트의 상면 부분은 상기 덮개포(210)와 같이 부직포가 구비된 상태에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수목포트의 이식 후 일반 식재시와 같이 관수작업을 진행한다. 이때, 수분은 상기 수목패드(100)에 저장되므로, 이식된 수목의 뿌리에 공급되는 수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이식된 수목포트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덮개포덮개판(220)의 식재홀 상부에 수목고정판(230)을 고정판고정핀(240)으로 고정시킨다. 이때, 덮개포덮개판(220)과 수목고정판(230) 상면을 커버하여 덮개포덮개판(2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성을 향상시키는 고정망(250)을 설치한다.
또한, 물 공급 공정(S3)은, 옹벽녹화블록의 물 공급 시스템에 대한 공정으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녹화블록은 인접하는 지면에 빗물이 저장되고 수분공급관(310)이 연통되는 고랑이 설치되며, 고랑의 빗물을 부착력유도물(330)에 의해 모세관 현상으로 수목패드(100)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수목패드의 최하부까지 내려온 가지관(311) 각각은 부착력유도물(330)을 통하여 옹벽녹화블록에 인접한 지면부에 설치된 고랑의 빗물을 수목패드(100)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고, 모세관 현상으로 수분을 흡수하는 가지관(311)이 많을수록 수분의 공급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옹벽녹화블록의 양측면으로 돌출된 가로형태의 수분공급관(310) 말단에 양분공급부(340)를 설치하도록 하여 양분공급부(340)를 통하여 수분이나 양분이 부족한 부분에 보조적으로 수분이나 양분을 공급하도록 한다. 여기서, 건조한 시기에 보다 안정적인 수분의 공급을 위하여 옹벽 위에 설치된 물저장수단(400)에 물을 채워 공급수단(300)을 통해 수목패드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물저장수단(400)의 물저장통(410) 내부 상단에 유도격벽(421)을 설치하여 물저장통(410)으로 공급되는 물을 한쪽으로 유도하고, 유도되어 모아진 물은 거름격벽(422)에 의해 이물질을 물저장통(410)의 하부에 가라앉히고 상부의 깨끗한 물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의 이물질이 수분공급관(310)으로 들어가 점적 홀을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공급수단(300)에 공급된 물은 녹화옹벽 전체에 설치된 수분공급관(310)으로 이송되고, 수분공급관(310)의 점적관수와 수분공급관(310) 내부의 부착력유도물(330)에 의해 천천히 오랜 시간에 걸쳐 수목패드(100)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건조한 시기가 오래 지속되더라도 발근촉진토(120)에 포함된 수분보습제에 의해 수분이 쉽게 증발하지 않고, 상기 물저장수단(400)에서 공급된 물을 지속적으로 흡수하여 안정적인 수분 공급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가 내리면 우수공급수단(500)의 방수포(510)에 의해 우수는 땅속으로 흡수되지 않고 집수되며, 또한, 옹벽 상부 인근의 아파트나 주택에서 우수를 집수하여 우수공급수단(500)으로 우수를 유입시키고, 우수공급수단(500)으로 유입되어 집수된 물을 옹벽녹화블록으로 공급할 수 있어 우수에 의한 수분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수목패드 110 : 패드케이스
120 : 발근촉진토 200 : 패드커버부재
210 : 덮개포 220 : 덮개포덮개판
230 : 수목고정판 240 : 고정판고정핀
250 : 고정망 260 : 커버고정부
270 : 덮개판연결부 300 : 수분공급장치
310 : 수분공급관 320 : 공급관연결부
330 : 부착력유도물 340 : 양분공급부
400 : 물저장수단 410 : 물저장통
420 : 유도거름격벽 500 : 우수공급수단
510 : 방수포 520 : 형태유지부재
530 : 피복부 540 : 우수공급관
550 : 이물질거름망

Claims (19)

  1. 옹벽을 따라 적층되어 지고 수목이 이식되는 수목패드(100)와; 수목패드를 커버하여 수목패드를 보호하고 고정시키는 패드커버부재(200)를 포함하고,
    수목패드(100)는 발근촉진토(120)를 감싸는 패드케이스(110)와; 패드케이스(100) 내부에 위치하면서 수목의 뿌리를 생장시키기 위한 발근촉진토(120)를 포함하되,
    패드케이스(110)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발근촉진토(120)는 경량토, 수분보습제, 생장촉진제를 포함하고,
    패드커버부재(200)는 수목패드(100) 상면를 덮을 수 있고 수목패드(100)의 발근촉진토(120)가 흘러나오는 것을 막아주는 덮개포(210); 덮개포(210)에 밀착되고 물과 공기가 통하도록 천공된 판으로 이식될 수목이 삽입될 하나 이상의 식재홀을 포함하며 수목패드(100)와 덮개포(210)를 고정시키고 수목패드(1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덮개포덮개판(220); 덮개포덮개판(220)의 식재홀에 설치되어 수목을 고정시키는 수목고정판(230); 덮개포덮개판(220)과 수목고정판(230)을 고정시키는 고정판고정핀(240); 덮개포덮개판(220)과 수목고정판(230) 상면을 커버하여 덮개포덮개판(2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성을 향상시키는 고정망(250); 덮개포덮개판(220)과 고정망(25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옹벽에 고정시키는 커버고정부(260)를 포함하되,
    덮개포(210)는 내식 처리된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고, 덮개포(210)와 덮개포덮개판(220)은 수목패드(100)를 하나 이상 덮을 수 있는 크기이며, 수목고정판(230)은 덮개포덮개판(220)의 식재홀에 대응되어 수목의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고정판고정핀(240)은 수목고정판(230)의 양상단에 위치하고 덮개포덮개판(220)과 수목고정판(230)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이며, 고정망(250)은 내식 처리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패드커버부재(200)는 이웃하는 덮개포덮개판(220)들의 사이에 위치되고, 이웃하는 덮개포덮개판(220)들을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덮개판연결부(270)를 포함하고,
    옹벽녹화블록의 수목패드(100)에 설치되어 수목패드에 수분 또는 양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300)을 포함하고,
    수분공급장치(300)은 옹벽을 따라 설치된 수목패드(100) 각각의 측면으로 연결되고 점적관수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관(310); 수분공급관과 수분공급관(310)을 상호 연결하는 공급관연결부(320); 수분공급관(310)의 내부에 포설되어 모세관 현상을 유도하고 장기간 수분을 저장하는 부착력유도물(330)을 포함하되,
    옹벽녹화블록은 인접하는 지면에 빗물이 저장되고 수분공급관(310)이 연통되는 고랑이 설치되고,
    수분공급관(310)은 수목패드(100) 최상단부에서 수목패드(100)의 최하단부까지 수목패드(100)를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고,
    수분공급관(310)은 옹벽녹화블록의 양측단에 설치된 수목패드(100)에 가로 방향으로 추가로 설치되도록 하고, 추가로 설치된 수분공급관(310) 말단에 양분공급부(340)이 설치되고,
    수목패드(100)에 안정적인 수분 공급을 위하여 수분공급장치(300)에 연결되어 수목패드에 저장된 수분을 공급하는 물저장수단(400)을 더 포함하고,
    물저장수단(400)은 내부가 중공된 통으로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통(410); 물저장통(410) 내부 상단과 하단에 격벽이 설치되어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물저장통(410) 바닥에 가라앉히고 걸러진 상층수만을 수분공급관(310)으로 전달하는 유도거름격벽(420)을 포함하되,
    유도거름격벽(420)은 물저장통(410)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물저장통(410)으로 공급되는 물을 한쪽으로 유도하는 유도격벽(421); 유도되어 모아진 물의 이물질을 물저장통(410)의 하부에 가라앉히고 상부의 깨끗한 물만 이용할 수 있도록 물저장통(410) 내부 하단에 설치되는 거름격벽(422)을 포함하고,
    옹벽의 상측에 설치되고 우수를 저장하며 저장된 우수를 옹벽녹화블록에 공급하는 우수공급수단(500)을 더 포함하고,
    우수공급수단(500)은 옹벽의 상측에서 우수를 집수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바닥면을 커버하는 방수포(510); 방수포(510)에 수용되어 방수포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형태유지부재(520); 형태유지부재(520) 위를 커버하여 이물질이 형태유지부재 사이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는 피복부(530); 방수포(510)에 저장된 우수를 옹벽녹화블록으로 공급하는 우수공급관(5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녹화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50049508A 2015-04-08 2015-04-08 옹벽녹화블록 KR101584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508A KR101584938B1 (ko) 2015-04-08 2015-04-08 옹벽녹화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508A KR101584938B1 (ko) 2015-04-08 2015-04-08 옹벽녹화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938B1 true KR101584938B1 (ko) 2016-01-15

Family

ID=55173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508A KR101584938B1 (ko) 2015-04-08 2015-04-08 옹벽녹화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9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0464A (zh) * 2016-04-27 2016-08-17 安徽省上行山茶叶有限公司 一种高产高品质茶叶的种植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230Y1 (ko) * 2003-08-28 2003-12-03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
KR200398771Y1 (ko) * 2005-07-13 2005-10-18 강태호 식생매트를 이용한 수직 인공구조물 전면 녹화장치
KR101471062B1 (ko) * 2014-04-22 2014-12-10 장수산업 주식회사 벽면 녹화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벽면 녹화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230Y1 (ko) * 2003-08-28 2003-12-03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
KR200398771Y1 (ko) * 2005-07-13 2005-10-18 강태호 식생매트를 이용한 수직 인공구조물 전면 녹화장치
KR101471062B1 (ko) * 2014-04-22 2014-12-10 장수산업 주식회사 벽면 녹화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벽면 녹화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0464A (zh) * 2016-04-27 2016-08-17 安徽省上行山茶叶有限公司 一种高产高品质茶叶的种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52598B (zh) 生态建筑及其工作方法
CN201957502U (zh) 屋顶种植箱
US20110225883A1 (en) Vegetation wall
CN201550462U (zh) 墙体绿化装置
KR101779010B1 (ko) 빗물 저장형 벤치 화분
JP2006262712A (ja) 緑化構造および緑化方法
CN106982666A (zh) 一种墙面绿化装置
JP2006304760A (ja) 雨水貯溜層の貯溜水を毛管現象で基盤層が吸水し緑化基盤、放熱基盤とする軽質炭酸カルシウムを主要基盤材に使用した建築物屋上,壁面のヒートアイランド現象軽減工法
KR101584938B1 (ko) 옹벽녹화블록
KR20130048670A (ko) 경량 식재 모듈 구성으로 식물의 생육, 빗물 여과, 홍수조절 시스템
KR101203135B1 (ko)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및 공법
JP2000262150A (ja) 緑化用コンテナ
CN205284348U (zh) 墙体绿化系统
JP2011050329A (ja) 緑化システムおよび緑化用トレー
JP2009183280A (ja) 緑化装置
CN206821400U (zh) 一种墙面绿化装置
CN214046999U (zh) 一种用于垂直绿化的立体灌溉系统
JP2002345342A (ja) 水位調節装置、水位調節可能な水受け器および水位調節可能なプランター
KR102076347B1 (ko)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
KR20100055039A (ko) 녹화 장치
JP2012023992A (ja) 建築物に敷設する立体庭園
CN106717903B (zh) 一种新型组合式基质连通屋顶绿化箱体
JP2004248550A (ja) 壁面緑化装置および壁面緑化方法
JP3609816B2 (ja) 屋上集合ガーデンプランター
JP4303460B2 (ja) 屋上緑化プラン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